KR20050016148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148A
KR20050016148A KR1020040061514A KR20040061514A KR20050016148A KR 20050016148 A KR20050016148 A KR 20050016148A KR 1020040061514 A KR1020040061514 A KR 1020040061514A KR 20040061514 A KR20040061514 A KR 20040061514A KR 20050016148 A KR20050016148 A KR 2005001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displays
display
dat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ublication of KR2005001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14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plural displays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confirm more data by magnifying the size of displays, and to operate a keypad having a touch pad system,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input desired data while actively coping with various changes in taste sinc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kind of the keypad. CONSTITUTION: Plural bodies(10,20) are hinge-coupled to rotate in mutually folded position and unfolded position by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Plural displays(11,21) are disposed on certain sides of the bodies(10,20),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to occupy substantial surfaces of the bodies(10,20). A controller controls the plural displays(11,21) to display predetermined data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 displays(11,21).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 데이터 통신, 주소록, 스케쥴러, 메모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쉽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크기와 중량이 휴대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기술적으로 볼 때 휴대폰의 크기를 현저하게 작게 하는 것은 반도체 집적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닌 것이 되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should be designed to be easy for a user to carry out functions such as telephone, data communication, address book, scheduler, and memo. For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be small enough that its size and weight do not feel uncomfortable to carry.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ot difficult to considerably reduce the size of mobile phones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integrated technology.

그러나, 사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정 크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적으로 휴대폰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마련된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문자ㆍ화상ㆍ동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키패드와 표시부는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휴대성을 고려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 문제와 사용상의 편리함을 고려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 문제는 서로 상충되는 점이 있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a mobile phone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keypad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for user's operation, and also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exts, images, videos, etc., and the keypad and display unit can be operated or visually recognized. It should have a certain size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Therefor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size probl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the size probl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in use.

이러한 양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기존에 제안되거나 제품화되어 있는 방식으로는, 예컨대 키패드를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 별도의 착탈가능한 외장형 디스플레이를 마련하여 디스플레이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방식 등이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meet these requirements. Conventionally proposed or commercialized methods include a method of allowing the keypad to be pulled in / out, a method of expanding the display area by providing a separate removable external display, and the like.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중 휴대폰의 경우, 과거에는 소위 플립형이라고 하는 형태의 휴대폰이 주류를 이루었다. 플립형의 경우 일반적인 무선 전화기의 형태의 본체상에 디스플레이와 키패드를 마련하고 키패드를 개폐하는 커버를 본체에 힌지결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obile phones 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past, a so-called flip type mobile phone has become mainstream. The flip type has a form in which a display and a keypad are provided on a main body in the form of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and a cover for hinge opening and closing the keypad is hinged to the main body.

최근에는 소위 폴더형이라고 하는 휴대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폴더형 휴대폰은 상호 힌지결합된 두 개의 본체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된 휴대폰을 말하며, 두 개의 본체 중 하나의 본체에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마련하고 다른 하나의 본체에는 키패드와 마이크를 마련한 형태를 갖는다. 폴더형은 두 개의 본체가 접힌 상태에서는 그 크기가 작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 크기가 크므로, 플립형에 비해서 휴대시의 크기가 작은 데에 반해 사용시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플립형에 비해서 크다는 장점이 있다.In recent years, so-called cell phones have become mainstream. The clamshell cell phone refers to a cell phone made of a form in which two main bodies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two main bodies has a display and a speaker, and the other main body has a keypad and a microphone. Since the two main bodies are smaller in the folded state and larger in the unfolded state, the folding type is smaller than the flip type, while the display size in use is larger than the flip type.

그러나,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SMS 또는 동영상 다운로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최근의 멀티미디어 환경하에서는, 현재의 폴더형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사용자가 충분히 향유하는 데에는 부족하다.However, in the recent multimedia environment where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SMS or video download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current clamshell mobile phone allows the user to fully enjoy various types of contents. There is not enough.

예컨대, SMS 서버스를 이용하여 타인으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세지를 확인하는 경우, 하나의 화면 내에 전송된 모든 메세지가 표시되지 못하므로 메세지를 읽는 도중에 사용자는 별도의 키조작을 통해 화면을 스크롤시켜 메세지의 다음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동작을 하여야 한다. 만약, 화면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사용자는 수신한 메세지 전체를 한 화면 내에서 조회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checking a text message sent from another person using an SMS server, all the messages sent in one screen are not displayed. Therefore, while reading a message, the user scrolls the screen using a separate key operation to display the next message. Make sure the page is displayed. If the screen size is large enough, the user will be able to view the entire received message in one screen.

또 다른 예로서, 무선인터넷을 통해 화상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은 경우, 하나의 화면 내에는 다운로드한 화상이 너무 작게 표시된다. 또한, 화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된 화상에 대한 별도의 조작 - 예컨대, 화상의 저장이나 다운받은 화상을 타인에게 전송하는 등의 조작 - 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표시부의 모서리 부근이나 하단에 조그맣게 표시된 메뉴바를 키패드의 조작에 의해 선택하여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데이터에 대해서 취할 수 있는 어떤 조작에 대한 안내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의 일부분에 실행 가능한 기능들을 안내하는 메뉴바가 표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화면 크기의 실질적인 감소를 야기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image data is downloaded via the wireless Internet, the downloaded image is displayed too small in one screen.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on the displayed image while the image is displayed, for example, storing the image or transmitting the downloaded image to another person, the user may make a small amount near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or at the bottom. The menu bar displayed must be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keypad to execute the desired function. As such, in order to guide any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data currently displayed, a menu bar that guides executable functions to a portion of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should be displayed. Can cause a substantial reduction in screen siz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폴더형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근의 발달된 멀티미디어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clamshell mobile phone, so as to maximize the user's ability in the recent advanced multimedia environment. It is to maximize the ease of use.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최대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application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ximize the user's ease of us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maximum size of the display as described ab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호 절첩된 위치 및 상호 이격되어 펼쳐진 위치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복수의 본체; 상기 복수의 본체가 상기 펼쳐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동일한 면으로 인지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상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의 실질적인 전체 면을 차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및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bodies hinged to be rotatable in a mutually folded position and in an unfolded position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displays each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as the same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are rotated to the unfolded position, and arranged to occupy substantially the entir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splays to display predetermined data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접촉에 의한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의 조작키가 마련된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시키며,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명령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Here, any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configured as a touchpad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by contac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displays an image of a keyp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on at least one of the touch pads,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displays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 여부의 설정명령 및/또는 상기 키패드를 표시할 상기 터치패드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아이콘을 표시시킨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setting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of whether to display an image of the keypad and / or a selection command of the touch pad to display the keypad on at least one of the touch pad. Display the ic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 여부의 설정명령 및/또는 상기 키패드를 표시할 상기 터치패드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버튼이,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tting button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of whether to display an image of the keypad and / or a selection command of the touchpad to display the keypad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touchpad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한편, 상기 키패드는 상기 터치패드상에 윈도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키패드의 영상의 형태나 크기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 keypa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window on the touch pad. According to this, the shape and size of the image of the keypad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종류의 상기 키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키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을 상기 터치패드상에 표시시킨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for the plurality of types of keypads, wherein the controller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keypads. Display on the touch pad.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 터치패드로 구성된 다른 하나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가능하며 스크린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소정의 동작 명령들을 표시시킨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predetermined data on one of the displays, and display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s that may be performed on the data and input by a screen touch on the other of the displays, which are configured as touch pad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한 외장형 입력장치; 및 상기 키패드장치와 상기 제어부를 데이터 송수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input devic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y; And an interface configured to connect the keypad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여기에서, 상기 외장형 입력장치는 키패드 장치 또는 조이스틱일 수 있다.Here, the external input device may be a keypad device or a joystick.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터치패드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타일러스펜; 및 상기 스타일러스펜을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펜홀더;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pen used to operate the touch pad; And a pen holder to detachably fix the stylus pen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 표시데이터 및 상기 표시할 데이터에 대응되어 있는 조작패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패드 데이터를 상기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패드상에 표시된 상기 조작패드 데이터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receiving display data to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peration 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Displaying the received display data on any one of the displays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pad data on any one of the touch pads; And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 data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d data displayed on the touch pa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폴더형 휴대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폴더형 휴대폰은 제1본체(10), 제2본체(20), 제1LCD(11), 제2LCD(21), 및 힌지부(30)를 구비한다.The folding cellular phone includes a first body 10, a second body 20, a first LCD 11, a second LCD 21, and a hinge portion 30.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는 힌지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는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상호 절첩된 위치 및 상호 이격되어 펼쳐진 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connected by the hinge portion 30. Therefor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can be rotated between the folded position and the mutually spaced ap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30.

제1LCD(11)는 제1본체(10)상에 마련되어 있고, 제2LCD(21)는 제2본체(20)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1LCD(11)와 제2LCD(21)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절첩된 상태에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상호 접촉되는 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LCD(11)와 제2LCD(21)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동일한 면으로 인지하는 각 일면상에 배치된다. 즉,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환전한 평면을 이루지 않고 180도 보다 조금 작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되나,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야에는 제1LCD(11)와 제2LCD(21)가 동시에 들어오게 된다.The first LCD 11 is provided o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LCD 21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20. In this case,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are provided on the surface wher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folded. Is placed.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rotated and rotated around the hinge part 30,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may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on the same side. It is disposed on each side. That is, the first main body 10 and the second main body 20 are position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180 degrees without forming an exchanged plane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second LCD 21 come in at the same time.

제1LCD(11)와 제2LCD(21)는 각각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을 차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본체(10)의 상단부 영역에는 스피커(13)가 마련되어 있고 제2본체(20)의 하단부 영역에는 마이크(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LCD(11)와 제2LCD(21)는 각각 스피커(13)가 형성된 영역과 마이크(23)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본체(10)와 제2본체(20) 어느 쪽에도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통상적인 키패드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휴대를 위해 절첩된 상태의 휴대폰의 면적의 두배에 가깝게 된다.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are disposed to occupy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respectively. In more detail, the speaker 13 is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microphone 23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are provided. 21 is formed over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1st main body 10 and the 2nd main body 20 except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speaker 13 was formed, and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microphone 23 was formed, respectively. With this structure, neither the first body 10 nor the second body 20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keypad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area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display area folded for carrying. Close to twice.

제1LCD(11)와 제2LCD(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촉에 의해 명령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로 구성된다. 즉, 제1LCD(11)만을 또는 제2LCD(21)만을 터치패드 기능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제1LCD(11)와 제2LCD(21) 모두를 터치패드 기능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is configured as a touchpad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by contact. That is, only the first LCD 11 or only the second LCD 21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touch pad function, or both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may be liquid crystals having a touch pad function.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display.

이때, 터치패드로 구성된 LCD 는 그 표면이 소프트 타입으로 눌림에 의해 함몰변형되는 형태의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타일러스펜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스크린을 터치시 스크린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드는 그 표면의 강성에 따라 하드 타입과 소프트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ATM 기기 등과 같은 스크린에는 하드 타입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터치패드는 소프트 타입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린 터치시 스크린을 터치하는 데에 촉감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터치의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CD configured as the touch pad is configured as a touch pad whose surface is deformed and deformed by being pressed into a soft type. That is, the touch pad that recognizes the screen touch when the screen is touched by a stylus pen or a user's finger has a hard type and a soft type according to the rigidity of the surface thereof. In general, hard types are employed in screens such as ATM machines of banks. However, the touch pa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adopts a soft typ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below, it is desirable to give the user a feeling of touch by giving a touch to the user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with a finger.

제2본체(20)의 상측에는 안테나(40)가 마련되어 있다. 안테나(40)는 외부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제2본체(20) 내에 설치된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인터페이스(90)와 안테나(40)를 통해 기지국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An antenna 40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body 20. The antenna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20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90. The controller 1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ase station through the interface 90 and the antenna 40.

제2본체(20)의 좌측면에는 세 개의 조작키(51, 52, 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작키(51, 52, 5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Three operation keys 51, 52, 53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ody 20. These operation keys 51, 52, 53 are us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later.

제2본체(20)의 죄측면에는 스타일러스펜(61)이 부착되어 있다. 스타일러스펜(61)은 제2본체(20)와 일체로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홀더(62)에 의해 제2본체(20)의 좌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또는 스타일러스펜(61)을 이용하여 터치패드인 제1LCD(11) 또는 제2LCD(21)를 터치조작할 수 있다.A stylus pen 61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The stylus pen 61 is detachably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ody 20 by a holder 62 made integrally with the second body 20 or as a separate component. The user may touch-operate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which is a touch pad, using his or her finger or the stylus pen 61.

제2본체(20)의 하부에는 키패드 인터페이스(70)가 마련되어 있다. 키패드 인터페이스(70)는 외장형 키패드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외장형 키패드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선택적으로 부가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장형 키패드장치를 제2본체(20)에 연결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LCD(11) 또는 제2LCD(21)에 표시되는 키패드 영상을 조작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키패드 인터페이스(70)에는 외장형 키패드장치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이용하여 게임 등을 즐기기 위한 조이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작ㆍ입력 장치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The keypad interface 7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body 20. The keypad interface 70 is a portion to which an external keypad device (not shown) is connected, and the external keypad device is a device that can be selectively added to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 external keypad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0 to input a command, or the keypa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may be manipulated as described below. You can also enter commands. In this case, the keypad interface 70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operation and input devices such as a joystick for playing games using a mobile phone as well as an external keypad devic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폰은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제1LCD(11)는 문자메세지나 화상과 같은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제2LCD(21)는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1LCD(11)와 제2LCD(21)의 구동은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된다.In the normal state of the mobile phone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LCD 11 is used to display data such as a text message or an image, and the second LCD 21 is used to display an image of a keypad. The driving of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0.

또한 제어부(100)는 터치패드로 되어 있는 제1LCD(11) 또는 제2LCD(21)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61)을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입력한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pressing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that is a touch pad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61.

한편, 제어부(100)는 제1LCD(11) 또는 제2LCD(21)상에 키패드에 대한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아이콘을 표시시킨다. 설정아이콘은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설정명령 및/또는 키패드를 표시할 부분이 제1LCD(11)인가 제2LCD(21)인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setting icon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for the keypad on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The setting icon is used to input a setting command for whether to display an image of the keypad and / or a selection command for whether the keypad is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을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1본체(20)의 우측에 마련된 조작버튼(51, 52, 53)이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에 대한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조작버튼(51, 52, 53)은 상기한 설정아이콘과 마찬가지로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 여부에 대한 명령, 제1LCD(11)와 제2LCD(21) 중 어느 것에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제1조작버튼(51)을 누르면 키패드의 영상이 제2LCD(21)에 표시되고 키패드의 영상이 제2LCD(21)에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제1조작버튼(51)을 누르면 키패드의 영상이 사라진다. 이때, 만약 제1LCD(11)와 제2LCD(21) 모두가 터치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조작버튼(51)의 누름을 반복함에 따라 키패드의 영상이 제1LCD(11)에 표시된 상태, 제2LCD(21)에 표시된 상태, 및 표시되지 않는 상태가 교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trol this operation in a different manner, the operation buttons 51, 52, 5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ody 20 can be use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image of the keypad. That is, the operation buttons 51, 52, 53 are similar to the setting icon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isplay the image of the keypad, whether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displays the image of the keypad. It is used to input the setting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ration button 51 is pressed, the image of the keypad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21, and when the first operation button 51 is pressed again while the image of the keypad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21, the image of the keypad is displayed. Disappear. At this time, if both the first LCD 11 and the second LCD 21 is configured as a touch pad, the image of the keypad is displayed on the first LCD 11 as the first operation button 51 is repeatedly pressed. The state displayed on the second LCD 21 and the state not displayed can be controlled to be alternated.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는 터치패드상에 윈도우 형태로 표시된다. 이러한 윈도우 형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영상의 모서리를 스타일러스펜(61)을 이용하여 드래그-앤드-드롭(drag-and-drop)함으로써 키패드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작버튼(51, 52, 53)을 이용하여 키패드의 위치, 크기 등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keypad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window on the touch pad. This window shape allows the size and shape of the keypad to be adjust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corners of the keypad image with the stylus pen 61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it may be to adjust the position, size, etc. of the keypad using the operation buttons (51, 52, 53).

또한, 상기 키패드는 그 형태 및/또는 색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절도 제1LCD(11) 또는 제2LCD(21)상에 마련된 별도의 메뉴바에 의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조작버튼(51, 52, 53)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keypad may be capable of adjusting its shape and / or color. Such adjustment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menu bar provided on the first LCD 11 or the second LCD 21, or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operation buttons 51, 52, and 53.

한편, 제2본체(20) 내부에는 저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저장부는 일반적으로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휴대폰 자체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며,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종류의 키패드의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즉, 키패드는 그 형태나 크기가 여러 가지로 마련되어 그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키패드 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20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is generally used to store the downloaded data or to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phone itself, and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to store data for images of a plurality of types of keypads. That is, the keypad has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data thereof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various keypads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또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 컨텐츠 중의 하나로서 키패드의 영상을 다운로드 받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예컨대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경우 당해 게임이 그 게임에 특화된 특정 형태의 조이스틱을 구비하는 경우 플레이하기 용이하다면, 당해 게임에 대응되는 조이스틱의 영상을 키패드로서 마련하여 게임 전송시에 함께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즐기는 게임에 최적화된 조작 기구의 모습이 제2LCD(21)에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이 조작 기구의 영상의 특정 부위를 누르거나 드래그 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1LCD(11)에 표시된 동영상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가 소프트 타입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조작 기구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조작버튼을 누르는 느낌을 받을 수가 있으므로, 보다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one of the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ay be to download the image of the keypad. Further, for example, when playing an online game using the wireless Internet, if the game is equipped with a specific type of joystick specialized in the game, and if it is easy to play, the image of the joystick corresponding to the game is provided as a keypad to be accompanied at the time of game transmission. You can also send it. In this case, the user presses or drags a specific portion of the image of the manipulation mechanism to the first LCD 11 while the appearance of the manipulation mechanism optimized for the game he enjoys is displayed on the second LCD 21. You will be able to play the game according to the displayed video. At this time, when the touch pad is configured as a soft typ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eel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button with a finger while the state of the operation mechanism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a more realistic game.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최대화 되어 사용자가 많은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패드 방식의 키패드를 조작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또한 키패드의 종류를 원하는 것으로 고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취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isplay is maximiz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a lot of data more easily.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keypad of the touch pad metho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and to select the type of keypad as desired,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a variety of taste changes.

또한, 무선인터넷을 통한 게임 등을 즐길 경우 현재 실행되는 게임에 최적화된 조이스틱의 영상을 통해 게임을 보다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게임 제공업체의 입장에서는 게임 조작수단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는 다양한 게임을 개발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f you enjoy a gam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you can enjoy the game more fun through the image of the joystick optimized for the currently running game. From a game provid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provide a variety of games to a user that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game operation mea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폴더형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clamshell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폰의 각 구성 부품의 블록도, 그리고2 is a block diagram of each component of the foldable cellular phone shown in FIG.

도 3 은 도 1 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본체 11 : 제1LCD10: first body 11: first LCD

20 : 제2본체 21 : 제2LCD20: second body 21: second LCD

Claims (13)

상호 절첩된 위치 및 상호 이격되어 펼쳐진 위치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복수의 본체;A plurality of bodies hinged to be rotatable in mutually folded positions and in mutually spaced apart positions; 상기 복수의 본체가 상기 펼쳐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동일한 면으로 인지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상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의 실질적인 전체 면을 차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및A plurality of displays each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as the same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are rotated to the unfolded position, and arranged to occupy substantially the entir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 And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isplays to display predetermined data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접촉에 의한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d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by contac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의 조작키가 마련된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시키며,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명령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displays an image of a keyp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on at least one of the touch pads,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displays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Mobi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 여부의 설정명령 및/또는 상기 키패드를 표시할 상기 터치패드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아이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displays a setting icon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of whether to display an image of the keypad and / or a selection command of the touch pad to display the keypad on at least one of the touch pads.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터치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키패드의 영상의 표시 여부의 설정명령 및/또는 상기 키패드를 표시할 상기 터치패드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버튼이,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is provided with a setting button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of whether to display an image of the keypad and / or a selection command of the touch pad to display the keypad on at least one of the touch pa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는 상기 터치패드상에 윈도우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touch pad in the form of a window.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패드는 그 형태 및/또는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pa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and / or color can be adjust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복수의 종류의 상기 키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storage for storing data for a plurality of types of the keypa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키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을 상기 터치패드상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touch pad a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keypads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 터치패드로 구성된 다른 하나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가능하며 스크린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소정의 동작 명령들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ler may display predetermined data on one of the displays, and display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s that may be performed on the data and input by a screen touch on the other of the displays, the touch pad being configured.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한 외장형 입력장치; 및An external input device detachable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And 상기 키패드장치와 상기 제어부를 데이터 송수신가능하게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interface configured to connect the keypad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외장형 입력장치는 키패드 장치 또는 조이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external input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device or joystick.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터치패드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타일러스펜; 및A stylus pen used to manipulate the touch pad; And 상기 스타일러스펜을 상기 복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펜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en holder detachably fixing the stylus pen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할 표시데이터 및 상기 표시할 데이터에 대응되어 있는 조작패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display data to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display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수신된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패드 데이터를 상기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received display data on any one of the displays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pad data on any one of the touch pads; And 상기 터치패드상에 표시된 상기 조작패드 데이터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어방법.And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 data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d data displayed on the touch pad.
KR1020040061514A 2003-08-04 2004-08-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KR2005001614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3694 2003-08-04
KR1020030053694 2003-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148A true KR20050016148A (en) 2005-02-21

Family

ID=37226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514A KR20050016148A (en) 2003-08-04 2004-08-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KR1020040061515A KR20050016149A (en) 2003-08-04 2004-08-04 Mothod for displaying touch operation image optimized to play gam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515A KR20050016149A (en) 2003-08-04 2004-08-04 Mothod for displaying touch operation image optimized to play gam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16148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25B1 (en) * 2005-10-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vent indication function and an event setup, ind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09813B1 (en) * 2005-12-22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touch screen
KR100747580B1 (en) * 2005-09-15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00827B1 (en) * 2006-09-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Flip-up type mobile phone
KR20080102727A (en) * 2007-05-22 2008-11-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terminal of applying input type of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terminal
KR100886852B1 (en) * 2006-05-10 2009-03-04 오준수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KR20110040078A (en)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r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US8194043B2 (en) 2005-09-26 2012-06-05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867B2 (en) 2005-01-20 2011-10-0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Two-mode switch for controlling digital TV applications on handheld video devices
WO2007027293A1 (en) * 2005-08-31 2007-03-08 Thomson Licensing Bi-modal switching for controlling digital tv applications on video devices
KR100860685B1 (en) * 2007-05-03 2008-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ask func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slide
KR20120076579A (en) * 2010-12-03 2012-07-09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apparatus, and recorded mediu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game playing
KR101817652B1 (en) 2011-09-01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ieving game streamming data and method and server of transmitting game streaming dat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80B1 (en) * 2005-09-15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US8194043B2 (en) 2005-09-26 2012-06-05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662425B1 (en) * 2005-10-0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vent indication function and an event setup, ind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09813B1 (en) * 2005-12-22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touch screen
KR100886852B1 (en) * 2006-05-10 2009-03-04 오준수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KR100800827B1 (en) * 2006-09-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Flip-up type mobile phone
KR20080102727A (en) * 2007-05-22 2008-11-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terminal of applying input type of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terminal
KR20110040078A (en)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r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149A (en)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7206B2 (en)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EP1578089B1 (en) A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i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US7447527B2 (en) Handheld electronic data processing device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for different functions
KR10089177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mproving interface function
US2007026826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ata entry and/or navigation controls on the reverse side of the display
US20080167081A1 (en) Keyless touch-screen cellular telephone
US20090322690A1 (en) Screen display
EP1686769B1 (en) Handle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JP200915322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WI411282B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5001614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JP2005346244A (en)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0585776B1 (en) Mobile phone having a pluraility of screens and control method of menu list indication using same
JP2009003628A (en) Input terminal equipment
US20100041451A1 (en)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JP5561168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state switching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14145972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screen display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1109061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JP2004363683A (en) Mobile terminal
WO2001071518A1 (en) Electronic briefcase
JP4887244B2 (en) Mobile phone
KR20060083772A (en) Mobile terminal
JP5702690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program
JP510189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5616003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