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946A - 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 Google Patents

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946A
KR20050015946A KR1020030083428A KR20030083428A KR20050015946A KR 20050015946 A KR20050015946 A KR 20050015946A KR 1020030083428 A KR1020030083428 A KR 1020030083428A KR 20030083428 A KR20030083428 A KR 20030083428A KR 20050015946 A KR20050015946 A KR 2005001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ailing
tailings
rod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누키테루오
미무라에이코
이누키야스오
이누키타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굿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굿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굿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05001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4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are a method and a device for rice-polishing, material for rice polishing, and a method and a device for wash-free rice manufacturing, which allow the rice grain to be effectively rubbed against each other and attached thereto, and improve a second removal of finely-pulverized, defatted rice bran by attaching it to the rice. CONSTITUTION: The method for rice-polishing includes the steps of: relatively moving two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supplying rice grains and rice-polishing materials between two members; and rubbing and polishing the rice grains against each other; wherein the milled rice is polished inside a rice-polishing path(33) by applying the rotation resistance of a rotor and stator to the milled rice and rice-polishing material and then stirring.

Description

연미방법, 연미장치, 연미재, 무세미 제조방법 및 무세미 제조장치{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정미(精米)를 원료로 하여 이를 비벼 깨끗이 하는 연미(硏米)방법, 연미장치 및 밥을 지을 때 쌀을 물로 씻을 필요가 없는 청정한 상태인 무세미(無洗米)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 연미에 사용하는 연미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연미하여 청정미 혹은 무세미를 건식법에 의해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ice milling method using a rice polish as a raw material, the rice milling method, a rice mill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lean rice without the need to wash rice with water when the rice is cooke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tailing material used for the tailings. 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que of producing a clean or no-grill by a dry method by making it soft without using water.

정미한 백미의 표면에는 정미기로는 다 제거할 수 없는 점성이 있는 쌀겨가 남아 있다. 쌀을 수중에서 비벼 씻음으로 인해, 이 쌀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쌀겨가 씻겨나가므로 맛있는 밥이 된다. 쌀을 수중에서 비벼 씻는 수고를 없앤 것이 무세미이다. 무세미는 씻을 필요가 없는 위생적인(깨끗한) 쌀이다. 자루에서 쌀을 꺼내 물을 붙고 바로 밥을 지을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polished rice, there is a sticky rice bran that cannot be removed by the rice polisher. As the rice is rubbed in water, the rice bra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ice is washed away, thus making the rice delicious. It is a mussel that eliminated the trouble of washing rice in water. Mussels are sanitary (clean) rice that does not need to be washed. You can take the rice out of the bag and stick it with water to cook it.

무세미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물을 사용하여 쌀겨를 쌀의 표면에서 제거한 후 건조시키는 습식법과,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연미재 등을 사용하여 쌀겨를 없애는 건식법 등이 있다. 연미재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이용하여 정미를 수중에서 마찰시켜 씻는 소위, 물로 씻는 습식법이 현재의 무세미 제조방법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결점은 식미(밥맛)의 저하나 정미의 열화(劣化) 등과 같은 문제가 있으며, 특히 곰팡이 발생 등과 같은 난제가 있다.Methods of preparing a semi-semi include a wet method of removing rice bran from the surface of rice using water and then drying, and a dry method of removing rice bran using a tailing material without using water. The so-called wet method of washing rice by rubbing it in water using water without using a tailing material is the mainstream of the current process of manufacturing a non-smear. However, the drawbacks of this method includ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aste and deterioration of taste and the like, in particular, difficulties such as mold development.

본 출원인은 건식법에 의한 무세미 제조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을 제안해왔다. 즉, 일본 특허 제2958885호 공보 " 청정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및 일본 특허공개 2001-327881호 공보 "탈지강을 이용한 청정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invention regard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non-smear by the dry method. Namely, Japanese Patent No. 2958885 "Cleaning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27881 "Cleaning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kim Steel" are exemplified.

이들 발명은 연미재로서 탈지강을 주목하여, 정미에 남아 있는 쌀겨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미와 연미재를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쌀의 표면에 남아 있는 쌀겨와 탈지강을 접촉시키기 위해, 회전축에 회전체를 장착하여 교반 연미하는 방법이다. 이 연미 기술은 연미재가 정미와 정미 사이에 개재되면서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정미의 탁도를 충분히 떨어뜨리는 정도까지 연미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개량의 여지가 있는 것이다. These inventions are intended to remove rice bran remaining in the netting, paying attention to the degreasing steel as a tailing material. It is a method of attaching a rotating body to a rotating shaft and stirring and stirring in order to contact rice bra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rice, and degreasing steel by mixing and stirring a rice mill and a tailings material. This tailings technology rotates integrally while the tailings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netting and the netting, an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such as the ne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polish the rice to the degree of sufficiently reducing the turbidity of the netting.

일본 특허 2958885호 공보는 원료인 정미에 탈지강과 너트 형태의 가압재를 배합하고, 이들 배합물을 회전 드럼에 투입한 후 회전 교반 처리하여 청정미, 가압재 및 청정재를 선별하고, 쌀 입자에 부착되는 미세 분말을 제거하여 무세미인 청정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Japanese Patent No. 2958885 discloses a degreasing steel and a nut-type pressurizing material in a net rice as a raw material, and puts these blends into a rotating drum, followed by rotary stirring to sort clean rice, pressurizing material and cleaning material, and adhere to rice particles. I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lean rice which is a non-fine by removing fine powder.

일본 특허공개 2001-327881호 공보는 일본 특허 2958885호 공보에서 제안한 발명을 개량한 발명으로, 가압재를 사용하지 않고 피처리될 쌀과 탈지강을 배합하여 청정미를 제조하는 제조기술로서, 연미수단과 장치구성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27881 discloses an improvement of the inventio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No. 2958885, which is a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preparing clean rice by combining rice to be processed and degreasing steel without using a pressurizing material. Improvements were made to the device configuration.

한편, 탈지강은 탈지되어 있으므로 정미의 표면에 있는 지질(脂質)을 포함하는 쌀겨를 흡착하기 쉽고, 강하게 비벼도 쌀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경도를 가지며, 함수율을 쌀과 같은 정도로 조정하기 쉬워 쌀과 섞이더라도 쌀을 건조시키는 일 없이 건조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쌀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소재이므로 안전한 재료이고, 대량으로 싸게 얻을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이 있어 쌀과 잘 어울리므로, 본 발명자가 종래부터 주목해 온 연미재료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greasing steel is degreased, it is easy to adsorb rice bran containing lipids on the surface of the net, and has a hardness that does not damage rice even if it is strongly rubbed. Even if mixed, dry cracking can be prevented without drying the rice, and since it is a natural material obtained from rice, it is a safe material, and can be obtained in large quantities at low cost. It is a warm taste material.

쌀과 잘 어울린다고 하는 것은 쌀의 표면에 부착되어 역으로 잘 떨어지지 않는 것이기도 하므로, 기출원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고안해 낸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또한 장치 및 탈지강과 관련하여서도, 효율성과 쌀 표면의 청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제안을 하는 것이다.To go well with ric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ice does not fall well in reverse, so as the original application was devised in various ways. This invention also makes proposals to further improve the efficiency and cleanliness of the rice surface with regard to the apparatus and the degreasing steel.

본 발명자들은 탈지강과 정미를 효율적으로 접촉시키고 마찰시켜, 정미에 잔존하는 쌀겨를 탈지강에 부착시켜 제거하는 방법과 장치를 계속 연구해왔다. 그 성과로서, 가압재를 개재시킴으로써 탈지강을 쌀의 표면에 밀어 붙이는 수단을 제안하였으며, 또 교반방법과 관련하여 고안해 낸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였다. 또, 연구개발을 계속한 결과, 종래의 제안에서는 다수의 정미와 탈지강을 함께 교반하기 때문에, 개개의 쌀 입자에 대하여 확실하게 탈지강을 접촉시키는 측면이 부족하므로 장시간의 교반이나 마무리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깨닫고, 개개의 쌀 입자에 효과적으로 비벼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tinued to stud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fficiently contacting and rubbing the degreasing steel and the net rice to adhere and remove rice bran remaining on the net of the net. As a result, a means for pushing the degreasing steel to the surface of rice by interposing a pressurizing material was proposed, and a method and apparatus devised in connection with the stirring method were propo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tinu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conventional proposal, since a plurality of rice and skim steel are stirred together, there is a lack of a side in which the skim steel can be reliably contacted with individual rice particles, resulting in unstable stirring and finishing for a long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a method and an apparatus which can be effectively rubbed onto individual rice particles.

또한, 연미재인 탈지강의 성질과 상태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검토하여, 정미립에 잔존하는 쌀겨를 확실하게 부착시켜 제거하는 성질과 상태, 및 쌀과 잘 어울림으로 인한 결점으로서 미세 분말화된 탈지강이 쌀쪽에 부착되어 버려 재차 제거해야 하는 점을 개선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nature and condition of the degreasing steel, which is a tailing material, will be examined in detail, and the fine powdered degreasing steel as a defect due to a good match with rice will be adhered to and removed from the rice bran remaining in the fine gra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oint that it is attached to the side and needs to be removed again.

또한, 정미와 연미재를 자동적으로 배합함으로써 연미 효율/정밀도를 유지하는 수단을 발명하여, 시스템으로서의 연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iling device as a system by inventing a means for maintaining tailing efficiency / precision by automatically blending the tailings and the tailings material.

또한, 연미재를 순환 이용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적게 하고, 저가의 원료 비용을 실현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recycled tailings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waste and to realize low cost of raw materials.

본 발명자는 연미봉(硏米棒) 등의 교반수단과 정미와 연미재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게 되며, 연미재가 쌀 입자에 비벼 부착되는 기회가 적어지는 폐해를 억제하기 위해, 연미조내에서의 정미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다. 혹은 개개의 쌀 입자에 확실하게 마찰시키는 작용을 가하기 때문에, 쌀 입자의 이동 공간의 틈새를 제한하는 방법 및 기구를 마련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ors turn the stirring means such as Yeonmibong, rice milling and rice milling materials together and rotate, and the rice milling in the rice milling tank in order to suppress the harmful effect of the chance that the rice milling material is attached to rice particles. To provide a means of limiting movement. Alternatively, since a function of reliably rubbing the individual rice particles is provided, a method and a mechanism for limiting the gap of the moving space of the rice particles are provided.

또한, 이 방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개개의 쌀 입자에 비벼대는 작용을 실시함으로써, 연미재가 쌀 입자에 역으로 달라붙어 버리는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연미재의 부착성분인 알파화된 백색 전분을 제거하는 탈지강을 제안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is method, by applying the action to rub the individual rice particles, in order to eliminate the defect that the tailing material is sticking to the rice particles in reverse, the alpha starched white starch, which is an adhesion component of the tailing material, It is to propose a degreasing steel to remove.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에 따른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1) 본 발명의 연미방법은 간격을 두고 배치한 2개의 물체를 상대 이동시키면서, 2개의 물체 사이에 쌀 입자와 연미재를 공급하여 쌀 입자를 마찰 연미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1) The flav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ce particles and the tailing material are supplied between the two objects while the two objects arranged at intervals are relatively moved, thereby frictionally polishing the rice particles.

(2) 본 발명의 연미방법은 연미조에 있어서, 정미와 연미재를 회전체와 고정체에 의해 회전 저항을 부여하면서 회전 교반함으로써 정미를 연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tailing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ilings are polished by rotationally stirring the netting and the tailings material while providing rotational resistance by the rotating body and the fixed body.

(3) 본 발명의 (1)에 기재된 연미방법은 간격을 두고 빗살 형태로 배치한 복수의 고정봉과 이 고정봉 간의 간격을 간신히 빠져나가 이동하는 봉체(棒體)가 형성된 연미용기내에 정미와 연미재를 투입하고, 연미용기내에서 상기 이동봉체에 의해, 고정봉으로 인한 저항을 부가하면서 정미와 연미재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delicacy method according to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fixed rods arranged in the form of comb teeth at intervals, and the tailings and tailings are formed in the tailings container in which a rod body which barely moves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fixed rods is formed. The ash is added, and the moving rod body is subjected to a process of moving the netting and the tailings material while adding resistance due to the fixed rod in the tailing vessel.

(4) 본 발명의 (2) 또는 (3)에 기재된 연미방법은 연미조의 연미부분으로의 공급 수단과 연미조 출구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회전 교반되는 정미에 압력을 가하면서 연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tailing method according to (2) o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supply means and tailing outlet of the tailing tailing tank and applying the pressure to the net which is stirred by rotation. It is done.

(5) 본 발명의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방법은 연미된 정미와 연미재는 체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연미재는 재차 순환사용되며, 한편 정미는 미세 분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In the season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ed rice and the rice taste are separated by a sieve, and the separated rice is circulated again, while the rice polish removes fine powder. It is characterized by.

(6) 본 발명은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무세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fine coating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7) 본 발명의 연미장치는 연미용기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형성된 복수개의 저항체와, 연미용기내에 상기 간격에 대향하도록 봉상체인 연미봉을 배치하며, 연미용기와 연미봉은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 연미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7) The sof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plurality of resistors fixedly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softness container, and a soft rod that is a rod-shaped body to face the gap in the softness container, and the tailing container and the tailing rod are relatively move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ailing machine configured.

(8) 본 발명의 연미장치는 공급통과 정미공급통과 연미재 공급통을 구비한 진동 피더로서, 양쪽 통의 선단과 공급통의 저면 받침면과의 간격을 변동시킴으로써 공급량을 조정하고, 하류측에 위치하는 공급통에 대응하는 받침면은 상류측에서 공급되는 재료흐름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급량 조정기구를 갖는 정량공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8) The tai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ng feeder having a supply cylinder, a net supply cylinder, and a tailing material supply cylinder, wherein the supply amount is adjusted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both cylinders and the bottom support surface of the supply cylinder, The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cylinder located is provided with the fixed quantity feeder which has a supply amount adjustment mechanism formed so that it may be located above the material flow surface supplied from an upstream.

(9) 본 발명의 연미장치는 정미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원료인 정미와 연미재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연미재를 소정량 공급하는 정량 공급기(A)와, 이 정량 공급기로부터 호퍼를 통해 원료인 정미와 연미재를 연미용기에 공급받아, 저항체와 연미봉에 의해 교반 연미하는 연미기(B)와, 이 연미기(B)로부터 배출된 정미와 연미재를 폐기 미세분말과 정백미와 재이용 연미재로 선별 분리하는 체(C)와, 재이용 연미재에 신규 연미제를 추가하여 정량 공급기로 송출하는 연미재 보충기구(D)와, 정백미를 미세분말 제거용 체(E) 및/또는 미세분말 흡입기(F)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개재하지 않고 수용하는 정백미 탱크(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The after-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quantity feeder (A)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olished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netting storage and the tailings feeding material from the tailings storage, and the netting and raw rice serving as raw materials through the hopper from the fixed-quantity feeder. After the ash is supplied to the rice container, the rice mill (B) which is stirred and polished by the resistor and the rice stick, and the rice and tail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ice mill (B) are separated into waste fine powder, white rice and recycled rice A sieve (C) to be added, a tailings refilling mechanism (D) for adding a new tailing agent to the reused tailings and sending it to the metering feeder, and a fine powder removing sieve (E) and / or a fine powder inhaler (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lished rice tank (G) that accommodates with or without intervening.

(10) 본 발명의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연미봉이 연미용기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에 고정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iling device uses a tailing device fixed to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ailings container.

(11) 본 발명의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연미용기는 회전하고 연미봉은 고정되어 있는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11)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items (7) to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iling container is used while the tailing device is used and the tailing rod is fixed.

(12) 본 발명의 (7)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원통형, 다각형 또는 절두체형이며, 세로, 가로 또는 비스듬하게 설치된 연미용기를 구비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tailing machine having a cylindrical, polygonal or frustum shape and having a tailing container install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obliquely.

(13) 본 발명의 (7)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정미와 연미재의 투입구와 배출구 및 내벽에 저항체봉이 형성된 연미용기체와, 이 연미용기체의 중심축에 형성된 회전축체에 연미봉을 설치한 연미조로서, 이 연미조에는 저항체가 막대 형태로 내벽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1개∼수개 형성되며, 또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빗살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며, 연미봉이 빗살 형태로 형성된 저항체봉의 틈새와 대향하는 회전축체의 위치에 방사방향으로 1개∼수개 형성되고, 회전축의 투입구측에는 공급용 스크류가 형성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3) The tailings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ilings container having a resistance rod forme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net and the tailings material, and a rotating shaft formed at the central axis of the tailings container. Yeonmi-jo, which has a rod of yeonmi-bong, has one or several resistors formed radially from the inner wall toward the center in the form of a rod, and a plurality of rods are formed in the form of comb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to several radially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body facing the gap of the resistor rod formed in the shape, and using a tailing machine provided with a supply screw on the inlet side of the rotating shaft.

(14) 본 발명의 (7)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저항체와 연미봉은 배출구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4)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are inclined toward the outlet side.

(15) 본 발명의 (7)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저항체와 연미봉과의 최접근간격은 쌀 입자의 짧은 직경∼긴 직경의 2배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5)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st spacing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is set in the range of about 2 times the short diameter to the long diameter of the rice particles. .

(16) 본 발명의 (7)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저항체와 연미봉의 횡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혹은 모따기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6)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is semicircular, elliptical or chamfered rectangular.

(17) 본 발명의 (7)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연미기내 정미의 온도가 54℃ 이하가 되도록, 저항체봉과 회전봉의 형상 및 설치 간격 및/또는 회전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7)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6)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hape, installation interval, and / or rotation of the resistance rod and the rotating ro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net in the tailing machine is 54 ° C or lower. It is done.

(18) 본 발명의 (7)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는 연미재 보충기구(D)는 선별분리체(C)로부터 정량 공급기(A)로 재이용 연미재를 보내는 연미재 순환 공급통과, 연미재 저장고로부터의 연미재를 공급하는 신규 연미재 공급통을 구비하고, 이 순환 공급통의 도중에 신규 연미재 공급통을 합류시켜, 이 합류지점에서 신규 연미재 공급통의 합류위치측에 회동지점을 마련하며, 연미재 순환 공급통측에 선단측을 자유롭게 위치시킨 조절밸브를 형성하고, 이 조절밸브의 최저 개도(開度)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8) In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ilings replenishment mechanism (D) sends the recycled tailings from the sorting separator (C) to the metering feeder (A). A supply passage and a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for supplying the tailings material from the tailings storage, and joining the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in the middle of the circulation supply cylinder, and at the confluence point of the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by providing a pivot point at the side, and freely positioning the front end side on the tailing material circulation supply cylinder side.

(19) 본 발명은 (7)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를 이용하여 무세미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19)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emi-fine powder using the tai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8).

(20) 본 발명의 연미재는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0) The tailings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emoving alpha starch from the skim steel.

(21) 본 발명의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방법 혹은 무세미의 제조방법은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1) The tailing method or the method for producing a semi-fin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tailing material obtained by removing alpha starch from degreasing steel.

(22) 본 발명의 (7)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미장치 혹은 무세미 제조장치는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2) The tailing device or the no-microbe manufacturing apparatus in any one of (7)-(19) of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tailing material remove | eliminated alpha starch from the skim steel.

(23) 본 발명에서는 연미기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연미용기체의 외경은 50∼500mm으로 하고, 회전체의 축지름은 5∼485mm으로 하며, 연미용기체의 내벽에 설치되는 봉상체의 폭은 10∼100mm으로 하고, 회전체에 설치되는 봉상체의 폭은 5∼60mm으로 하며, 양 봉상체의 두께는 회전저항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하고, 양 봉상체의 선단은 대향하는 내벽 혹은 회전체 표면에서 쌀 입자의 짧은 직경∼긴 직경의 3배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23)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ailing machine, the outer diameter of the tailings container is 50 to 500 mm, the shaft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is 5 to 485 mm, and the width of the rod-shaped body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tailings device is 10 to 100 mm, the width of the rod-shaped body installed on the rotating body is 5 to 60 mm, the thickness of both rod-shaped body is such that the strength is not damaged by the rotational resistance, the tip of the two rod-shaped body is opposed to the inner wall Alternatively, it may be arranged at a distance of about three times the short diameter to the long diameter of the rice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rotor.

(24) 연미장치의 연미기의 회전수는 350회전/분 이하 등, 종래 연미기의 회전수보다도 낮은 회전수로 충분하다.(24) The rotation speed of the tailing machine of the tailing device is sufficient to be lower than the speed of the conventional tailing machine, such as 350 rotations / minute or less.

(25) 연미재의 원재료로서 탈지강 외에, 옥수수알 껍질, 톱밥, 왕겨, 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25) In addition to degreasing steel, corn husk, sawdust, rice hull, bean curd, and the like may be used as raw materials of the tailing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연미방법, 무세미의 제조방법〉〈Fasteless method, manufacturing method of non-fineness〉

본 발명은 쌀 입자에 연미재(탈지강)를 접촉 작용시키는, 즉 마찰시키는 방법, 수단 그리고 쌀 입자의 표면에 남아 있는 쌀겨를 벗겨내는 가장 좋은 연마재를 발명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vents a method, means for rubbing a rice cake (degreasing steel) on rice grains, ie rubbing, and the best abrasive to peel off rice bra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rice grains. Firs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1. 연미재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연미기 : 술을 빚을 쌀 등으로 사용되는 쌀 입자의 표층을 연마하는 방법은 쌀 입자끼리를 강하게 서로 마찰시킴으로써, 쌀 입자끼리의 상호 연마작용을 이용한 것. 이는 쌀의 표층을 깍아내버리는 것으로, 연미조의 연미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교반하여 연마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마찰열과 연삭분이 발생하여 악영향을 미치므로, 중심으로부터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미조의 외주에 형성한 미세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연마분도 배출하는 수단이 취해져 있다.1. Conventional tailing machine that does not use tailings: The method of grinding the surface layer of rice particles used as rice to make liquor uses friction action of rice particles by mutually rubbing rice particles together. . This is to scrape off the surface layer of rice, and to generate polishing force by stirring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tail portion of the tailing tank. As a result, friction heat and grinding powder are generated and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a means is provided for supplying cooling air from the center, sucking air through the fine hol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ft tub, and also discharging the abrasive powder.

2. 연미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은 쌀 입자의 표층을 깍아내는 것이 아니고, 정미후의 쌀 입자에 잔존하는 쌀겨('쌀겨'는 정미 표면에 남아 있는 미강을 의미한다)를 벗겨내기 위해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쌀 입자의 표면을 천으로 닦아내는 듯한 행위이다. 이를 위해서는 쌀 입자를 잡고 한 알씩 닦아내면 좋지만, 이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성립되지 않는다.2.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tailings material does not scrape the surface layer of the rice particles, but rather removes the rice bran ('rice bran' refers to rice bran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rice). Is to use. For example, it is like wiping the surface of rice particles with a cloth. To do this, grab rice grains and wipe them out, but this is very inefficient and economically ineffective.

3. 종래의 연미재를 사용하지 않는 연미방법을 채용하며, 압력을 가하면서 교반하여 쌀 입자끼리의 마찰을 이용하는 방법은 (1) 연미조의 외주에 구멍을 뚫으면 연미재가 배출되어 버리므로 채용할 수 없는 점, (2) 연미조의 외주에 구멍을 뚫지 않고 강압 마찰을 실시하면, 열을 제거할 수 없어 쌀의 열화(劣化)를 초래한다는 점, (3) 최대의 문제는 탈지강 등의 쌀 입자보다도 약간 부드러운 연미재를 사용하면, 연미재가 완충재의 역할을 해서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점, 4) 쌀 입자의 럭비볼과 같은 형태는 압력이 가해져도 일정 자세를 유지하는 일이 없으며, 충분한 연마작용을 부여할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3.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the tailings that does not use the tailings material, and the method of using the friction between rice particles by stirring while applying pressure (1) When the tailings are dr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ailings tank, the tailings material is discharged. Unfavorable point, (2) If forced friction is carried out without making a hole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ft-mijo tank, heat cannot be remov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rice. If the soft material is slightly softer than the particles, the soft material will act as a cushioning material so that sufficient pressure is not exerted. 4) The shape such as rugby ball of rice particles does not maintain a constant posture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inability to give a polishing action.

4. 쌀 입자보다도 딱딱한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은 쌀 입자의 표면을 상처내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4. It is not preferable to use harder tailings than rice grains because it will scratch the surface of rice grains.

5. 다량의 쌀을 단시간에 처리하는 효율성과, 각 쌀 입자의 표면을 닦아내어 깨끗하게 하는 수법, 구성, 연미재료를 개발하여 본 발명은 완성된 것이다.5.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developing the efficiency of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rice in a short time, and a method, composition, and taste material for wiping and cleaning the surface of each rice particle.

6. 본 발명은 정미를 연미하여 쌀 입자 표면으로부터 쌀겨 등을 제거하여, 밥을 지을 때에 쌀을 물로 씻을 필요가 없을 정도의 청정한 쌀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연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청정미로서 '무세미'가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무세미'로서 (사)일본정미공업회의 정의를 채택하고 있다.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ean rice such that rice is not required to be washed with water when the rice is cooked by removing rice bran and the like from the surface of the rice particles by seasoning the rice. As such a clean rice, "mushes" are circulated in the market, and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definition of the Japan Rice-making Industry Association as "mushes".

<무세미의 정의><Definition of Tax Free>

(사)일본정미공업회내에 마련된 무세화(無洗化)처리 정미 검토회가 2001년 10월 26일자로 보고한 "무세화처리 정미 검토회의 검토정리결과에 대해"에 준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G) In accordance with the "Rearranging Result of the Tax Determination Review Review Committee" reported on 26 October 2001 by the Tax Review Processing Review Committee established in the Japan Rice Milling Industry Association. According to this report, 2. The net cleansing (free) is defined as follows.

(1)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의 일반적 정의(1) General definition of no refined net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란, 보통의 정미를 전용 무세화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하여, 밥을 지을 때 물로 씻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정제된 정미를 말한다"고 한다."Non-determined rice" refers to rice that has been so refined that ordinary rice is processed by a dedicated micronized processing devic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wash it with water when cooking rice. "

그리고 3.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의 품질 기준으로서, (가)에 「밥을 지을 때, 물로 씻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정제되어 있을 것. 또, 전용장치에서 처리하기 전의 정미와 같은 정도의 맛일 것. 단, 건식연미마무리 방식의 것에서는 2회 정도 물로 씻을 것.And 3. As the quality standard of non-cleaned rice, the product should be refin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wash with water when cooking rice. In addition, the taste should be about the same as the taste before processing in a dedicated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dry finishing method, wash with water twice.

(1) 공업화가 정한 계측법 "세미수(洗米水, 쌀 씻을 물) 건고물 시험법 : 후술"을 본 건으로 하여 계측하고, "탁도시험법 : 후술"은 병용하는 것으로 한다..........(2) 세미수 탁도 시험법에 준거한 방법에 따른 탁도가 시료 20g중 70ppm이하일 것. 또한, 원료가 되는 정미 및 환경조건에 따라 5%정도의 보정이 발생하더라도 어쩔 수 없다. 단, 건식연미마무리 방식에서는 탁도가 시료 20g중 90ppm이하일 것.」등이 기재되어 있다.(1) Measurement method determined by industrialization "Semi-water (water for washing rice) dry matter test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is measured using this case, and "turbidity test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shall be used in combination ... (2) Turbidity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Semi-Water Turbidity Test Method should be 70ppm or less in 20g of the sample. In addition, even if the correction of about 5% occurs depending on the nett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s the raw material is unavoidable. However, in the dry finishing method, turbidity should be 90 ppm or less in 20 g of samples.

또한, 이 보고의 별지로서, (사)일본정미공업회의 이름으로 2001년 10월 26일자 : 세미수 건고물 시험방법과 세미수 탁도시험방법에 대해"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report, there is a "Semi-Dried Water Test Method and Semi-Water Turbidity Test Method" dated October 26, 2001 under the name of the Japan Rice Milling Industry Association.

세미수 탁도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semi-water turbidity test method is as follows.

1. 쌀 시료 20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200ml의 물을 부은 후, 고무 마개를 하여 진탕기(주1)에 의해 10분간 진탕(주2)한다.1. Pour 20 g of a rice sample into an Erlenmeyer flask, pour 200 ml of water, and shake with a rubber stopper for 10 minutes with a shaker (Note 1).

2. 진탕후, 용액을 비이커에 취해, 이로부터 50ml을 다시 물을 사용하여 10배(500ml)로 희석한다.2. After shaking, the solution is taken in a beaker, from which 50 ml is diluted 10 times (500 ml) again with water.

3. 희석후 탁도계(주3)에 의해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한다.3. After dilution, measure three times with turbidity meter 3, and use the average value as the measured value.

본 발명에서는 이 세미수 탁도시험방법에 준거하여 탁도를 계측하고 있다. 또한, 탁도는 'ppm'으로 표시되는 수치이다.In this invention, turbidity is measured based on this semi-water turbidity test method. In addition, turbidity is a numerical value expressed in ppm.

〈기본 구성예〉<Basic configuration example>

이하, 구체적인 연미방법, 연미장치, 연미재 및 무세미의 제조방법 및 무세미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tailing method, a tailing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ilings material and the non-fine, and a non-fine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제1의 수법으로서, 다수의 쌀 입자 각각에 연미재를 확실하게 작용시키기 위해, 쌀 입자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좁은 간격을 두고 2개의 면을 서로 마주보게 하고, 한 쪽 혹은 다른 방향으로 면을 이동시킴으로써, 확실하게 쌀 입자에 연마작용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간격은 쌀 입자의 짧은 직경에서 긴 직경의 3배정도가 적당하다. 곡물의 낟알은 품질에 따라서도 크기가 다르므로 일괄적으로는 규정할 수 없지만, 대략 2mm∼20mm 정도라 할 수 있다.As a first techniqu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rice cake material act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ice particles, the two surfaces face each other with a narrow gap for sandwiching the rice particles therebetween, and the surfaces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are faced with each other. By moving, the rice particle can be reliably polished. This spacing is suitably about three times the long diameter of the shorter diameter of the rice particles. Since grains of grains differ in size depending on their quality, they cannot be collectively defined, but may be about 2 mm to 20 mm.

면의 형태는 평면, 곡면, 혹은 간격을 변동시켜 변화를 주어도 좋다. 평면의 경우는 경사지게 하여 면을 왕복 이동시키고, 상방에서 하류측으로 원료인 정미를 이동시키면서 연마작용을 실시할 수 있다. 곡면의 경우는 외측 원통과 내측 원통에 의해 2중 원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중 원통의 틈새를 쌀 입자가 통과함으로써 연마 작용을 하게 된다. 원통의 경우는 어느 쪽 원통을 회전시킬지, 양쪽 원통을 회전수에 차이를 두어 회전시킬 지, 역회전시킬 지 등 동작에 변화를 줄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rface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plane, curved surface, or spacing. In the case of a flat surface, the surface can be inclined and reciprocated, and polishing can be performed while moving the netting material which is a raw material from the upper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case of a curved surface, a double cylinder can be comprised by an outer cylinder and an inner cylinder. As the rice particles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uble cylinders, they are polished. In the case of a cylinder, the operation can be changed, such as which cylinder is to be rotated, both cylinders are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or are rotated in reverse.

어느 경우라도 연마작용면에 쌀 입자가 체류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배치(batch)식으로 처리하거나, 출구측을 조여 쌀 입자의 체류 시간(연마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In either case, since the rice particles need to stay on the polishing action surface, it is necessary to treat them in a batch manner or to control the residence time (polishing time) of the rice particles by tightening the outlet side.

연마간격의 구성으로서, 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돌기부의 선단과 대향면간 의 틈새를 상기 간격으로 할 수도 있으며, 돌기부와 돌기부 사이에 쌀 입자가 머무르는 포켓부가 형성되어, 포켓부와 네크부가 번갈아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각각의 네크부에서 서서히 연마가 진행된다. 돌기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게 또는 조밀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선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As a configuration of the polishing interval, a project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gap between the tip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projection may be used as the above interval, and a pocket portion in which rice particles remain between the projection portion and the projection portion is formed, and the pocket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are alternately continuous. Since it is formed to, the polishing is gradually progressed at each neck portion.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scattered or dense, or may be formed in a linear form.

이 돌기를 털 형태의 브러시로 형성하는 것은 털 사이에 연미재 등의 분체가 끼여 연마작용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탈지강이나 쌀의 표면에서 벗겨진 미세분말이 브러시 사이에 머무르게 되며, 방치하면 잡균의 번식이나 악취의 원인이 되므로, 위생 면이나 유지관리 면에서 적당하지 않다.It is not preferable to form this protrusion with a hair-shaped brush, because the polishing action is reduced by sandwiching powder such as a tailing material between hairs. In addition, the fine powder peeled off the surface of the degreasing steel or rice stays between the brushes, and if left untreated, it causes breeding and odor of various bacteria, which is not suitable for hygiene and maintenance.

제2 수법으로서, 제1 수법의 돌기에 따른 연마간격을 형성하는 수법을 발전시켜, 곡물의 낟알를 더욱 대량으로 처리하는 수법으로서, 연미조에 쌀 입자를 넣고 상기 간격을 두고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한 봉상체(棒狀體)를 상대 이동시켜, 상대 이동하는 봉상체가 접근한 틈새에 쌀 입자가 끼였을 때 연마 작용이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다.As a second method, a method of forming a polishing interval according to the projection of the first method is developed, and a method of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grains of grains. Relative movement is performed so that the polishing action is exerted when the rice particles are caught in the gap approached by the relatively moving rod-like body.

봉상체를 상대 이동시키면, 대향하는 봉상체 끼리가 서로 스칠 때, 연미조에서 연미재와 쌀 입자가 끼이게 되고 저항이 발생하여 연마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봉상체의 한쪽을 고정하고 회전시킬 경우에, 간격을 두고 빗살 형태로 배치한 복수의 고정봉과 이 고정봉 간의 간격을 간신히 빠져 나가 이동하는 봉체가 형성된 연미용기내에 정미와 연미재를 투입하고, 연미용기내에서 상기 이동봉체에 의해, 고정봉으로 인한 저항을 부가하면서 정미와 연미재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할 수 있다.When the rod-shaped bodies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opposing rods rub against each other, the tailings and the rice particles are pinched in the tailing tank and resistance can be generated to impart a polishing action. In the case of fixing and rotating one of the rod-shaped bodies, a net and a tailing material are put into a tailing vessel in which a plurality of stationary rods arranged in a comb-tooth form at intervals and a rod body which barely move out of the gap between the stationary rods are formed. In the tailings container, the moving rod body can be used to move the netting and tailings while adding resistance due to the fixed rods.

또한, 연미조의 연미부분으로의 공급수단과 연미조 출구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회전교반되는 정미에 압력을 가해 연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supply means to the tailing portion of the tailing tank and the tailing tank outle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sure to the net polished by rotating stirring to improve the tailing action.

이와 같은 연미처리후, 정미와 연미재는 체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연미재는 재차 순환 사용되며, 한편 정미는 미세분말을 제거하여 표면을 청정한 상태로 만든다. 연미재는 재이용하여 폐기물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After such a tailing treatment, the netting and tailings are separated by a sieve, and the separated tailings are used again and again, while the netting removes fine powder to make the surface clean. The tailings can be recycled to reduce waste and reduce costs.

확실하게 연마작용을 각 쌀 입자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된 정백미는 무세미로서 충분히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처리 정미를 정백미, 청정미, 무세미와 같이 상황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모두 연미처리된 정미를 가리키고 있다.Since the polishing action can be surely applied to each rice particle, the processed white rice satisfies the criterion sufficiently as a non-sme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ed rice is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uch as rice polished, clean rice, non-clean rice, all refers to the polished rice.

봉상체의 형상으로서는 둥근 막대, 각진 막대가 있는데, 둥근 막대는 최접근 간격이 점형태이므로, 연마작용은 짧고, 효율성은 잘 올라가지 않는다. 각진 막대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모따기하여 모서리를 없애는 등의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다. 봉체로서는 둥근 막대의 일부를 연삭하여 평면을 형성한 것(거의 반원형 등), 타원형의 단면도 포함된다.The rod-shaped body has a round bar and an angular bar. Since the round bar has a point closest interval, the grinding action is short and the efficiency is not improved. Angled bars are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and can have variations such as chamfering to eliminate edges. Examples of the rod include those in which a part of the round bar is ground to form a flat surface (near semicircular shape, etc.), and an elliptical cross section.

〈제조 공정예〉<Production process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it demonstrat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is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미장치의 전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연미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정량 공급기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재이용 연미재에 신규 연미재를 첨가하여 연미재를 순환 공급하는 연미재 혼합기구를 나타낸다. 도 6는 도 3에 도시한 연미기의 연미처리부(원 A 표기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1 is a process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ai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tailing machin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metering feeder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tailings mixing mechanism for circulating supply of the tailings by adding a new tailings to the reused tailing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tailing treatment unit (circle A notation) of the tailing machine shown in Fig. 3.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An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FIGS. 1 to 6.

원료인 정미 A와 연미재인 탈지강 B를 정량 공급기(C)에서 일정비율로 배합하고, 승강기(D)를 통해 연미조의 호퍼(E)로 공급한다. 호퍼(E)로부터 연미기의 연미조(F)에 투입되며, 교반연미처리를 거쳐 선별용 체(G)에서, 정백미와 폐기 미세분말(J)과 재이용하여 순환 연미재로서 이용하는 순환 연미재강(K)의 3가지로 선별한다. 선별된 정백미는 다시 정백미에 혼재되어 있는 미세분말을 미세분말 제거용 체(H), 풍력 미세분말 제거기(L)를 경유하여 제거한 청정한 상태의 정백미를 제조한 후 청정미 저장조(M)에 저장한다. 한편, 순환 연미재강(K)은 연미처리공정에서 미세분말화 등을 실시하여 일부가 폐기되어 있으므로 부족분으로서 신규 연미재를 보충하여 정량 보급기로 순환시킨다.The raw material A and the degreasing steel B which are the tailings are mix | blended in a fixed ratio in the fixed-quantity feeder (C), and are supplied to the hopper (E) of a soft rice tank through the elevator (D). The circulating tailings steel, which is fed from the hopper E to the tailing tank F of the tailing machine and is recycled with the polished rice and waste fine powder (J) in the screening sieve (G) through stirring and tailing treatment (G). We select three kinds of K). The selected white rice is again stored in the clean rice storage tank (M) after preparing the white rice in a clean state by removing the fine powder mixed in the white rice via the fine powder removal sieve (H), the wind fine powder remover (L).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ng tailings steel (K) is subjected to micropowderization and the like in the tailings treatment process, so that some of them are discarded and supplemented with new tailings as a shortage and circulated to the quantitative diffuser.

본 실시예에서는 정량 보급기를 연미조의 호퍼보다도 하단측에 배치하고 있다. 배합된 원료인 정미와 탈지강은 승강기로 이송되는 동안이나 호퍼에 투입됨으로써, 혼합되어 연미처리부로 내보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metering dispenser is arranged at the lower side than the hopper of the soft tank. The raw material and the degreasing steel which are mix | blended raw materials are mixed into a hopper while being conveyed to an elevator, or are sent to a tailing processing part.

〈연미장치 구성(무세미 제조장치)예〉〈Example of tailing device configuration (Semi-finished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A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은 원료인 정미와 연미재를 정량 공급기로부터 연미조의 호퍼(2)쪽으로 운반하여 투입하는 승강기, 2는 연미조의 투입용 호퍼, 3은 신규의 연미재를 공급하는 호퍼, 4는 정백미와 연미재와 폐기미세분말 3가지로 선별하는 체, 5, 6, 7은 각각 체(4)의 정백미 배출구, 순환연미재 배출구, 폐기연미재 배출구, 8, 9는 체(4, 28)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모터, 10, 11은 체(4)의 정백미 및 연미재를 선별하는 선별용 체, 12는 교반봉, 13은 저항체, 14는 모터, 15는 체(4)의 저면, 16은 미세분말 보충용 네트, 17은 미세분말 보충용 에어 흡입구, 18은 청정미를 수용하는 제품 탱크, 19는 원료정미 탱크, 20은 체의 정백미 배출구, 21은 정백미를 올려 보내는 승강기의 수납용 호퍼, 22는 진동 피더, 23은 승강기(1)의 수납용 호퍼, 24는 재이용 연미재를 내보내는 슈트, 25는 재이용 연미재의 오버 플로우 홀, 26은 승강기(1)과 (34)의 구동용 모터, 27은 원료 정미를 내보내는 슈트, 28은 미세분말 제거용 체, 29는 슈트(27a)과 (24)의 하단을 상하로 위치조정하는 장공, 30은 신규 연미재를 내보내는 슈트, 31은 공급용 스크류, 32는 스크류(31)와 교반봉(12)을 부착한 샤프트, 33은 연미조, 34는 정백미를 저장 탱크(18)내로 공급하기 위한 승강기, 35는 공급되는 연미재를 받는 조정판, 36은 정량 공급기, 37은 재이용 연미재와 신규 연미재와의 추가 보충량을 조정하는 혼합조정기구이다.1 is an elevator for transporting and feeding the raw and polished raw materials from the metering feeder to the hopper 2 of the tailing tank, 2 is a hopper for feeding the tailing tank, 3 is a hopper for supplying new tailings, 4 is a polished rice and tailings And sieves sorted into three fine waste powders, 5, 6, and 7 are the polished rice outlet, the circulating tailings outlet, and the waste tailings outlet, and 8 and 9 impart vibrations to the sieves 4 and 28, respectively. Vibration motor, 10, 11 is a screening sieve for screening fine rice and tailings of sieve 4, 12 is a stirring rod, 13 is a resistor, 14 is a motor, 15 is the bottom of the sieve 4, 16 is fine powder Replenishment net, 17 is an air inlet for replenishing fine powder, 18 is a product tank for accommodating clean rice, 19 is a refined rice tank, 20 is a polished rice outlet of a sieve, 21 is a storage hopper for an elevator to lift polished rice, 22 is a vibrating feeder, 23 is a hopper for the storage of the elevator 1, 24 is a chute to put out the reused tailings material, 25 is a reused tailings 26 is an overflow hole, 26 is a motor for driving the elevators 1 and 34, 27 is a chute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28 is a fine powder removing sieve, 29 is a top and bottom of the chute 27a and 24 Long hole to adjust the position, 30 is chute for sending out new tailings, 31 is screw for supply, 32 is shaft attached with screw 31 and stirring rod 12, 33 is tailing tank, 34 is white rice. 18) An elevator for supplying the inside, 35 is an adjustment plate receiving the supplied tailings, 36 is a fixed-quantity feeder, 37 is a mixing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dditional replenishment amount between recycled and new tailings.

쌀의 움직임을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the movement of the rice is described in order, it is as follows.

원료정미 탱크로부터 송출된 정미는 슈트(27)를 경유하여 정량 공급기(36)에서 일정량의 공급량이 되며, 한편 연미재도 이 정량 공급기(36)에서 일정량의 공급량이 되어, 정미와 연미재가 일정 비율로 배합됨으로써, 승강기(1)에 의해 상방으로 운반되어 연미조의 호퍼(2)에 투입된다. 호퍼에 투입된 정미는 연미조(38)에 낙하하며, 스크류(31)에 의해, 연미조(33)의 연미처리부에 밀집상태로 순서대로 공급되게 된다. 연미처리부에서, 빗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교반봉(12)에 의해 교반되면서, 저항체(13)에 의해 이동을 방해받으며, 교반봉과 저항봉이 이루는 간격이나 연마조의 내벽과 교반봉의 선단이 이루는 간격 또는 샤프트 표면과 저항봉 선단이 이루는 간격 사이를 순서대로 간신히 빠져나가면서 연마 작용을 받아 호퍼측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이동한다.The net rice sent out from the raw rice polishing tank becomes a certain amount of supply in the metering feeder 36 via the chute 27, while the tailings ash also becomes a certain amount of supply in the metering feeder 36, and the netting and tailings are in a constant ratio. By mix | blending, it is conveyed upward by the elevator 1 and is thrown into the hopper 2 of a soft rice tank. The net rice injected into the hopper falls into the tailing tank 38, and is supplied to the tailings processing part of the tailing tank 33 in order by the screw 31 in order. In the tailings treatment unit, while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rod 12 formed in the form of a comb, the movement is prevented by the resistor 13, the interval between the stirring rod and the resistance rod or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polishing tank and the tip of the stirring rod, or It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haft surface and the resistance rod tip in order, and is moved from the hopper side toward the outlet by polishing action.

연미조를 나온 정미는 연미된 쌀 입자와 연미재와 마모된 연미재나 쌀 입자로부터 떨어진 쌀겨 등의 미세분말이 섞인 상태가 되어 체(4)에 들어온다. 체(4)안에서는 2단으로 형성된 선별용 체(10, 11)에 의해 쌀 입자, 재이용되는 연미재, 폐기되는 미세분말 등 3종류로 선별된 후, 각각의 배출구(5, 6, 7)를 통해 방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보내어진다. 체(4)는 진동식 체로서, 모터(8)에 의해 구동된다.The polished rice that comes out of the rice flakes enters the sieve 4 in a state in which the fine rice particles, such as the polished rice particles, and the fine powder such as worn rice and rice bran separated from the rice particles are mixed. In the sieve 4, the sorting sieves 10 and 11 formed in two stages are separated into three types, such as rice particles, re-used tailings, and discarded fine powder, and then each outlet 5, 6, 7 is discharged. Are released and sent to the next process. The sieve 4 is a vibrating sieve and is driven by the motor 8.

체(4)에서 나온 정미에는 아직 미세분말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체(28)를 통해 미세분말을 제거하여, 청정하게 된 쌀을 저장하는 제품 탱크(18)로 올려 보내기 위한 승강기(34)의 수납용 호퍼로 보내진다. 승강기(34)에 의해 상단까지 들어올려진 정백미는 제품 탱크(19)에 투입되기 전에, 에어 흡입구(17)와 지그재그로 형성된 미세분말 보충용 네트(16)를 구비한 마무리용 미세분말 흡입부를 경유시킨다. 체(4) 이후의 마무리용 미세분말 보충은 생략할 수도 있으며, 또 더 추가할 수도 있다.Since the fine powder may still be mixed in the net from the sieve 4, the elevator 34 for removing the fine powder through the sieve 28 and uploading it to the product tank 18 storing the purified rice. Is sent to the storage hopper. The polished rice lifted to the upper end by the elevator 34 passes through the finishing fine powder inlet provided with the air inlet 17 and the fine powder replenishing net 16 formed zigzag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product tank 19. Supplementation of the fine powder for finishing after the sieve 4 may be omitted and may be further added.

한편, 체(4)의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 재이용 연미재는 슈트(24)를 경유하여 정량 공급기(36)로 공급된다. 재이용 연미재는 연마처리에 의해 소모되어 폐기되는 분량이 있으므로, 슈트(24)의 도중에서 신규 연미재를 수용하고 있는 호퍼(3)에 연결되는 슈트(30)와 합류시켜, 부족한 연미재를 보충한다. 또한, 재이용 연미재는 순환이용에 의해 연마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 비율로 신규의 연미재를 보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일본 특허공개 2001-327881호 공보에 개시된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used tailings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6 of the sieve 4 is supplied to the metering feeder 36 via the chute 24. Since the reused tailings are consumed and discarded by the polishing process, they join the chute 30 connected to the hopper 3 containing the new tailings in the middle of the chute 24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tailings. . In addition, the recycled tailings material is depleted due to circulation, so that new tailings are always replenished at a constant rate. The structure can use the mechanism disclos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1-327881.

이와 같이 하여, 본 장치예는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지만, 연미조와 연속운전하기 위한 정량 공급기, 연미재의 순환기구에 독자적인 고안, 발상을 집중시켰기 때문에,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manner, the present apparatus example is a system that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However, since the original design and the idea are concentrated on the feeding device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the circulation mechanism of the tailing material, the specific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연미기의 예〉<Example of tailing machine>

연미조의 구성은 도 3 및 그 일부를 확대한 구성을 도 6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of the soft-mijo is shown in FIG. 6 in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FIG. 3 and a part thereof.

연미조(33)는 외형이 원통형이며, 도 3의 우측 상부에 정미수납구(33a)가 형성되며, 좌단에는 출구(33b)가 형성되며, 연미조의 정미수납구측을 제외한 연미조의 내벽에 봉형태의 저항체(13)를 빗살 형태로 다수 설치하고, 원통의 중심축부에 회전하는 샤프트(32)를 삽입 관통시키며, 이 샤프트에는 정미수납구측으로 공급용 스크류(31)와 다수의 교반봉을 빗살 형태로 형성하여, 저항체(13)와 교반봉(12)은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빗살형태의 간격으로 삽입하여, 샤프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ailing tank 33 has a cylindrical shape, a netting container 33a is formed at the upper right of FIG. 3, and an outlet 33b is formed at the left end, and has a rod shape on the inner wall of the tailing tank except for the netting side of the tailing tank. A plurality of resistors 13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a comb, and a shaft 32 that rotates in the central shaft portion of the cylinder is inserted therein, and the feed screw 31 and a plurality of stirring rod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omb in the net storage side. Thus, the resistor 13 and the stirring rod 12 are inserted at intervals in the form of comb teeth so as not to interfere, and are configured to allow rotation of the shaft.

교반봉(12)과 저항체(13)는 정미를 출구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반출력이 가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0∼80도 정도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 약 60도로 설정하고 있다. 스크류(31)의 공급력은 저항체와 교반봉에 의한 반출력보다도 크도록 설정하여, 연미 처리되는 정미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설정한다.Stirring rod 12 and the resistor 13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a semi-output for applying the netting to the outlet side is applied. The inclination ang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bout 30 to 80 degrees, and is set to about 60 degrees 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force of the screw 31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half output by the resistor and the stirring rod,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lished rice to be polished.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교반봉(12)과 저항체(13)는 가늘고 긴 판형태이며 모서리부가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원주방향으로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를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stirring rod 12 and the resistor 13 are in the form of an elongated plate, and the edges are chamfered. In add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not only one but also a plurality can be formed radially.

도 6에 나타낸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주로 연미처리가 작용하는 부위는 저항체(13)와 교반봉(12)과의 틈새(Δd2), 교반봉(12)의 선단과 교반조의 내벽과의 틈새(Δd1), 저항체(13)의 선단과 샤프트(3)2)와의 틈새(Δd3)로서, 그 간격은 쌀 입자가 간신히 빠져나가는 최소간격인 쌀 입자의 폭으로부터 쌀 입자 길이의 2 내지 3배 정도로 할 수 있다. 다수의 쌀 입자가 틈새Δd1∼Δd3에 몇겹이나 개재된다면 효과적으로 쌀 입자에 마찰 압력을 가할 수 없으며, 또한 연미재가 완충재가 되어 연마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쌀 입자의 크기는 품종에 따라 다르므로 일괄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일본의 쌀 입자 크기는 현미의 길이가 4.9mm∼6mm로 폭의 1.6∼2배정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틈새Δd1∼Δd3은 2.5mm∼20mm정도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6mm로 설정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partially enlarged view shown in FIG. 6, the site where the mild treatment is mainly applied is a gap Δd2 between the resistor 13 and the stirring rod 12, a gap between the tip of the stirring rod 12 and the inner wall of the stirring vessel. (Δd1), the gap (Δd3) between the tip of the resistor 13 and the shaft (3) 2, the interval being about two to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rice grains from the width of the rice grains, which is the minimum interval through which the rice grains barely escape. can do. If a large number of rice particles are interposed in the gaps Δd1 to Δd3, they cannot effectively apply friction pressure to the rice particles, and the tailing material becomes a cushioning material so that no abrasive force is generated. Since the size of rice grains varies depending on the variety, it cannot be said collectively, but the size of rice grains in Japan is 4.9 mm to 6 mm in length, and is about 1.6 to 2 times the width. Therefore, the gaps Δd1 to Δd3 are set to about 2.5 mm to 20 mm. In this embodiment, it is set to about 6 mm.

샤프트의 회전수는 연미처리시 정미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는 편이, 쌀의 열화(劣化)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며, 특히 전분이 호화(糊化)되기 시작하는 54℃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정미 온도에 주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샤프트의 회전수를 설정하는데, 종래의 연삭하는 연미장치의 회전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shaft suppresses the increase in the net temperature during the tailing treatment, which does not cause deterioration of the rice, and in particular, suppresses the temperature below 54 ° C. at which the starch starts to gelatinize. It is important. Although the rotation speed of a shaft is set so that it may be made paying attention to this net temperature, it can make it less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ventional grinding | polishing apparatus.

연미조의 크기는 처리능력이나 용도에 따라, 원통의 외경을 50∼500mm, 회전체의 축경을 5∼485mm로 하고, 연미용기 껍질의 내벽에 형성하는 봉상체의 폭을 10∼100mm로 하며, 회전체에 형성되는 봉상체의 폭을 5∼50mm로 하고, 양 봉상체의 두께를 회전저항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할 수 있다. 원통의 길이는 연미처리의 목적에 알맞게 설계할 수 있는데, 연미처리의 공급 스피드가 빠르면 길어지며, 늦으면 짧아진다. 봉상체의 각도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일괄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길이는 100cm라도 업무용으로서 설계할 수 있다. 대형은 쌀가게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소형은 가정용으로 할 수도 있다. 소형은 한번 밥 지을 분량의 무세미를 제조하는 능력과 관련해서 볼 때는 샤프트를 수동으로 돌리더라도 가능하며, 후단의 선별용 체를 특별히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The size of the tailing tank is 50 ~ 500mm for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er, 5 ~ 485mm for the shaft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and 10 ~ 100mm for the width of the rod-shaped body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ailing container. The width | variety of the rod-shaped object formed in the whole can be 5-50 mm, and the thickness of both rod-shaped bodies can be made into the intensity | strength so that it may not be damaged by rotational resistance. The length of the cylinder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ailing treatment, but the longer the supply speed of the tailing treatment is, the shorter it is. Since it also changes with the angle of a rod-shaped object, although it cannot say collectively, even if length is 100 cm, it can be designed for business use. Larger ones can be used for rice shops and small ones for home use.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produce a small amount of rice for cooking once, the small size can be rotated manually by the shaft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pecial sorting sieve at the rear end.

〈정량 공급기의 예〉<Example of fixed-quantity feeder>

정량 공급기의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metered feeder is shown in FIG. 4.

분체(粉體)를 진동 피더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장치는 일본 특허공개 평9-5148호 공보에 있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는데, 진동 피더 그 자체로 계량과 배합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는 아직 나와 있지 않다. 본 발명은 2종류의 분체를 정량적으로 연속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2종류의 분립체를 일정 비율로 배합 공급하여 연속 운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예는 원료인 정미와 연미재의 2종류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들 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분립체 일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금과 후추, 밀가루와 설탕,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조미료 등의 2종 이상인 경우도, 원료 공급부를 늘림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upplying powder by vibrating feeder is known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5148. However, an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weighing and compounding by vibrating feeder itself has not yet been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continuously supply two kinds of powders quantitatively, so that two kinds of powders can be blended and supplied at a constant rate to continuously operate the powders. The present example pays attention to two kinds of raw materials, such as rice polish and tailings, but is not limited to these substances and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powder. Examples include salt and pepper, flour and sugar, and seasonings. Even if it is 2 or more types, such as a seasoning, it can respond by increasing a raw material supply part.

정량 공급기(36)는 진동 피더(22)와 원료 정미 공급슈트(27)로부터 계속되는 원료 공급용 선단슈트(27a)와 연미재 공급슈트(24)의 선단 슈트(24a)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 슈트(27a)(24a)에는 진동 피더측의 선단부 위치를 상하로 이동조정가능한 장공(29)이 형성되고, 이 장공과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선단 슈트(27a)의 선단은 간격(ΔS1)을 두고 진동 피더 통의 평평한 저면(22a)과 대향하며, 이 간격(ΔS1)이 원료 정미의 공급 간격이 된다. 단위시간 당 공급량은 진동 피더의 공급 속도와 이 간격(ΔS1)에 의존하게 된다.The fixed-quantity feeder 36 is provided with the tip chute 27a for raw material supply which continues from the vibrating feeder 22, the raw material netting chute 27, and the tip chute 24a of the tailing material supply chute 24. As shown in FIG. A long hole 29 is formed in the tip chute 27a, 24a which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the position of the tip end of the vibrating feeder, and is fixed by using the long hole, a screw or the like. The front end front end of the chute (27a) is opposed to the flat bottom surface (22a) of the left vibrating feeder through the gap (ΔS 1), and is this distance (ΔS 1) the supply interval of the net material. The supply amount per unit time depends on the supply speed of the vibration feeder and this interval ΔS 1 .

한편, 선단 슈트(24a)의 선단은 간격(ΔS2)을 두고 저면(22a)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조정판(35)과 대향하며, 이 간격(ΔS2)이 연미재의 공급간격이 된다. 조정판(35)은 기단부를 진동 피더의 통에 장착되며,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인 정미 흐름의 표면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장착된다. 선단 슈트(24a)를 상하로 조절하는 대신에, 조정판(35)을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이용 연미재 슈트(24)에는 슈트(24)내가 연미재로 충만했을 때, 연미재를 내보내기 위한 오버 플로우 홀(25)을 상방에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front end of the chute (24a) and is opposite to the adjusting plate (35) form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22a) at a distance (ΔS 2), this is the distance (ΔS 2) is yeonmi material supply interval. The adjustment plate 35 is mounted on the base end of the barrel of the vibrating feeder, and has an upper surface formed flat, and is mounted so as to be above the surface of the net flow, which is a raw material supplied from upstream. Instead of adjusting the tip chute 24a up and down, the adjustment plate 35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The recycled tailings chute 24 is provided with an overflow hole 25 for discharging the tailings upward when the chute 24 is filled with the tailings.

간격(ΔS1)과 간격(ΔS2)을 조정함으로써, 원료 정미와 연미재의 배합 비율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피더의 공급 속도에 의해, 장치 전체로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distance (ΔS 1) and the distance (ΔS 2), as well as to determine the mixing ratio and the net member materials yeonmi, by the feed rate of the vibration feed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eed rate of the entire apparatus.

또한, 원료인 정미와 연미재는 진동 피더상에서 어느 정도는 혼합되지만, 균일한 혼합상태가 되지 않고, 후속 공정인 이송공정에서 혼합이 진행되어 연미조내에서는 균일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기는 패킷을 이용하여, 비중이 다른 쌀과 연미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패킷으로부터 호퍼(2)로 방출될 때에는 접촉판을 마련하여 분산하도록 하는 등의 고안을 강구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raw rice and the tailings material are mixed to some extent on the vibrating feeder, the mixture is not brought into a uniform mixing state, but the mixing proceeds in a subsequent transfer step to become a uniform state in the tailing tank.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or uses a packet to prevent separation of rice and tailing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nd to provide and disperse a contact plate when it is discharged from the packet to the hopper 2. I am looking for it.

〈연미재의 순환기구〉<Circulation mechanism of the tailings ash>

연미재는 쌀 입자의 표면홈에 남는 쌀겨나 호화층(糊化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쌀 입자보다도 작고, 쌀 입자 표면을 상처내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연마재, 예를 들면 탈지강을 사용한다. 연미재는 연미조에서 쌀 입자에 압착, 마찰되어 일부는 마찰 파손된다. 충분히 재이용 가능한 연미재는 신규 연미재를 보충하여 순환 이용함으로써 장치의 연속 운전이 가능한 기구를 개발하였다. 연미재의 성능은 재이용에 의해 서서히 저하되므로, 일정 회수마다 갱신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신규 연미재는 항상 일정 비율을 추가 보충하여 연미재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장치의 예에서는 신규 연미재를 최저 정미량 1kg에 대해 30g 보충하도록 설정하고 있다.Since the tailings are used to remove rice bran or luxury layer remaining in the surface grooves of the rice particles, the abrasive is smaller than the rice particles and has a hardness that is not enough to damage the surface of the rice particles, for example, degreasing steel. Use The tailings are pressed and rubbed on the rice particles in the tailings tank, and some of them are ruined. Fully reusable tailings have been supplemented with new tailings to develop a mechanism that enables continuous operation of the device. Since the performance of a tailing material falls gradually by reuse, it is necessary to update it every fixed number of times. For this reason, new tailings are always supplemented with a certain ratio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ailings. In the example of this apparatus, 30 g of new tailings are replenished with respect to 1 kg of minimum net weight.

순환 기구 전체 및 정량 공급기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재이용 연미재와 신규 연미재의 보충기구는 그 구성예를 도 5를 따라 설명한다.Since the whole circulation mechanism and the fixed-quantity feeder were already demonstrated, the recycled tailings material and the replenishment mechanism of a new tailings material demonstrate the structural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체(4)로 선별된 재이용가능한 연미재는 배출구(5)로부터 슈트(24)로 내보내진다. 슈트(24)의 도중에 신규 연미재를 저장하는 호퍼(3)에 연결되는 슈트(30)와 합류한다. 합류점에는 추가보충량을 자동 조정하는 혼합조정기구를 마련한다. 이 혼합조정기구(37)는 예를 들면 슈트(30)의 합류위치측에 회동지점(37b)을 마련하고, 슈트(24)측에 선단측을 자유로이 위치시킨 조절밸브체(37a)를 형성하며, 슈트(30)의 합류점 하부에 조절나사(37c)를 형성하고 나사의 선단을 슈트(30)의 내측에 돌출시켜 이 조절밸브체(37a)의 하단측에 접촉시킴으로써 최저 개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구조로 한다.The reusable tailings screened by sieve 4 is discharged from outlet 5 to chute 24. In the middle of the chute 24 joins the chute 30, which is connected to the hopper 3 for storing the new tailings. At the confluence point there should be a mixing control mechanism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supplementary amount. The mixing adjusting mechanism 37 provides a pivot point 37b at the confluence position side of the chute 30, for example, and forms a control valve body 37a having the tip side freely positioned at the chute 24 side. The adjustment screw 37c is formed below the confluence point of the chute 30, and the tip of the screw protrudes inside the chute 30 so as to contact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trol valve body 37a so that the minimum opening degree can be adjusted. It is a structure.

이 구조에 의해, 신규 연미재는 슈트(30)내에 항상 충만하며, 조절밸브체(37a)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한편, 슈트(24)에는 배출구(5)로부터의 재이용 연미재가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조절밸브체(37a)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양쪽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각도로 조절밸브체(37a)가 위치하여, 쌍방의 연미재를 정량 공급기(36)로 보낼 수 있다. 슈트(24)측의 압력이 강해 슈트(30)측이 완전 폐쇄가 되는 일이 없도록, 나사(37c)의 선단이 조절밸브체(37a)의 최저 개도를 유지하며, 일정량의 신규 연미재는 항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로 인해, 장치의 운전 개시시에는 전체량이 신규 연미재가 되는 일은 분명하다.With this structure, the new tailings are always filled in the chute 30,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rol valve body 37a. On the other hand, the reused tailings material from the discharge port 5 is supplied to the chute 24,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rol valve body 37a in a similar manner. The control valve body 37a is positioned at an angle at which both pressures are balanced, so that both tailings can be sent to the metering feeder 36. The tip of the screw 37c maintains the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body 37a so that the pressure on the chute 24 side is not so strong that the chute 30 side is completely closed, and a certain amount of new tailings is always supplied. It is supposed to be. Due to this structure, it is evident that the entire amount becomes a new tailings material at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apparatus.

〈연미재〉〈Yeonmija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정미를 제조하는 정미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쌀겨 성분과 쌀 입자 배유 표층에 있는 호분층(糊粉層)을 연마 제거하여 청정한 표면을 갖는 쌀로 다듬고자 하는 것이다. 청정한 정도는 목적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데, 쌀을 씻을 필요가 없을 정도(상술한 무세미)까지 청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olish the rice bran component and the ho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ice grain endosperm, which are not removed in the rice milling process to produce a net rice on the market, to be polished into a rice having a clean surface. The degree of cleannes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which can be cleaned up to the point where rice is not required to be washed (no-smell described above).

밥을 짓기 전에 쌀을 씻는 이유는 쌀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나 강(糠)이나 표층부의 호화되기 쉬운 전분을 제거하여 맛있는 쌀을 짓는 것에 있다. 상술한 무세화처리 정미 검토회의 보고서에는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의 학술적 정의가 참고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이바라키대학, 마쯔다 교수의 정의 : "무세화처리 정미(무세미)란, 전용 무세화처리장치에 의해, 도정과정에서 형성된 쌀 입자 표면의 호화층이 완전히 제거되어, 쌀 입자 표면에는 배유 세포벽과 호화되지 않은 전분 가루만이 존재하고, 기타 아무런 부착물도 확인되지 않는 정미이다."로 되어 있다.」The reason why rice is washed before making rice is to make delicious rice by removing foreign matter mixed with rice, starch which is easy to lavish on river or surface. In the report on the Tax-Free Semi-Conduct Review Committee, the scholarly definition of the non-microbial nets is presented for reference. `` Definition of Micronized Rice (Micronized Rice) means that the extracellular layer on the surface of rice particles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milling is completely removed by a dedicated micronized treatment device. Only starch flour that is not present is present and no other deposits are found. ”

일반적으로 정미처리에서는 현미를 구성하는 강층(糠層)(5%), 배아(3%), 배유(92%) 중 강층과 배유를 제거하는데, 현미에 대한 도정 수율은 91%전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미를 밥 지을 때에는 쌀 입자 표면에 남아 있는, 쌀겨나 호화되기 쉬운 전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이 호화되기 쉬운 전분은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하면, 밥을 짓기 위해 가열할 때, 이 쌀 입자 표층부의 전분이 호화되고, 그로 인해 쌀 입자의 중심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이나 열이 전달되는 것도 방해를 받게 되어, 심이 있는 쌀밥이 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도 물로 씻는 것과 물에 담그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In general, rice processing removes the steel layer and the endosperm from the steel layers (5%), embryos (3%), and endosperm (92%) that make up brown rice, and the milling yield for brown rice is around 91%. When the rice is cooked, it is necessary to remove rice bran or starch which tends to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rice particles. In addition, when the starch is easily removed without being removed, the starch of the surface layer of rice particles is gelatinized when heated to cook rice,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rice particles and transferring heat. It is said that it is easy to become deep-grained rice. For this reason, washing with water and immersion in water are necessary.

무세미는 참고한 학술적 정의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전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공업회에서는 세미수 건고물량이나 세미수 탁도에 의거 무세미로 기준을 정하고, 쌀을 씻지 않아도 충분히 맛있는 쌀밥이 되는 쌀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scientific definition referenced by the semi-semi, it is necessary to remove such starch, and the industrial society sets the standard as a non-semi based on the semi-dry dry water quantity or semi-water turbidity, and provides rice that is delicious enough to be cooked without washing the rice. Doing.

또한, 상세하게 정미후의 잔존상태를 관찰하면, 쌀 입자의 표면에 있는 줄무늬 형태의 홈부에 강분(糠粉)이 남아 있다. 강(糠) 이외의 방해가 되는 호화되기 쉬운 전분은 주로 배유의 최외층을 형성하는 호분층으로부터 유리된다. 이것도 당연히, 줄무늬 형태의 홈부에 위치하는 강(糠)의 아래에 많이 존재한다. 이들 강과 호분층을 어떻게 제거할지가 각 회사의 무세미 제조기술이다.In addition, when observing the residual state after the polishing in detail, a strong powder remains on the stripe-shaped groove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rice particles. Starch which tends to be gelatinous other than steel is mainly released from the crushed layer which forms the outermost layer of the oil. This also naturally exists under the steel which is located in the groove part of stripe form. How to get rid of these steels and lakes is the company's non-cementing technology.

본 발명은 쌀 입자 표면의 홈부에 연미재를 작용시켜, 강과 호분층을 비벼 떨어뜨리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미재로서, 본 발명자는 먼저 예로 든 종래예에 개시한, 내츄럴 소프트 파이버라 칭하는 유지분을 흡수하기 쉬운 "옥수수알 껍질 가루, 탈지강"을 사용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톱밥, 왕겨, 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미재는 홈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나 각도,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도나 돌기가 쌀의 표면을 상처내는 일이 없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연미재는 안전성의 관점에 볼 때 먹어도 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ub steel and whistle layer by acting a tailing material on the groove portion of the surface of rice particles. As such a tail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or can also use the "corn kernel shell powder, degreasing steel" which is easy to absorb the fats and oils called natural soft fiber disclosed by the prior art example mentioned earlier. In addition, sawdust, rice husk, bean curd, etc.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hat a tailings material has a magnitude | size, an angle, and a processus | protrusion into a groove | channel,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material which an angle and a processus | protrusion do not hurt the surface of ric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se tailings materials are harmless even if they are eaten from a viewpoint of safety.

연미재의 사용량을 배합비로 볼 때, 탈지강은 정미에 대해 용적비로 0.5∼1.5이며, 예를 들면 동량 정도가 적당하다. 쌀 1리터(900g)에 대해 동일 용적의 탈지강은 약 450g에 상당하며, 순환 사용시에는 미세분말화되어 폐기되는 탈지강은 25∼30g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탈지강의 순환 이용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탈지강을 30g이상 추가보충하도록 설정하고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tailings material is used as the blending ratio, the degreasing steel is 0.5 to 1.5 by volume ratio with respect to the net, for example, about the same amount is appropriate. With respect to 1 liter (900 g) of rice, the same volume of degreasing steel is equivalent to about 450 g, and the degreasing steel which is micropowdered and discarded in circulation is 25-30 g. Therefore, in the embodiment, in the circulation use system of the degreasing steel, the new degreasing steel is set to be supplemented more than 30 g.

본 발명자는 원래 쌀로부터 유래된 미강, 특히 탈지강에 주목하여 그 효율적인 이용을 연구해 왔다. 현미로부터 미강의 대부분을 제거한 정미 표면에는 상술한 강이나 호분층 외에,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유지분이 있다. 이 유지분은 미세분말류를 부착시켜 버리므로, 쌀의 표면을 작은 분립체로 연마한 경우, 이들 분립체를 흡착하여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모되어 미세분말화된 연마분립체나 떨어져 나온 강이나 호분층에서 유래한 전분이 재부착되어 버려, 연미처리의 후공정인 분리선별공정 등으로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것이 건식법에 의한 세미수 탁도를 내릴 수 없는 일 요인인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자는 탈지강에 주목해, 유지분이 제거된 탈지강이 효율적으로 쌀 표면의 유지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발견하여 활용하고 있다. 쌀 표면의 유지분은 산화 열화(劣化)의 원인이 되기도 되며 정미의 보존성도 나쁘게 하였는데, 이를 제거함으로써, 무세미의 보존성도 개선할 수 있었다. 통상 정미에서는 상온 보존에서 맛의 변화가 작다고 여겨지는 것은 1개월 정도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3개월로 보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cused on rice bran, especially degreasing river, originally derived from rice, and have studied its efficient use. On the polished surface from which most of the rice bran is removed from the brown rice, there are fats and oils contained in the rice bra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teel and whistle layer. Since the fats and oils adhere to the fine powders, when the surface of the rice is ground with small powd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powders are difficult to adsorb and separate. In addition, the abraded and finely divided abrasive powder, starch derived from the separated steel or arc layer may be reattached, and may be difficult to remove even in a separation screening process, which is a post-treatment step. It was found that this was one factor that could not reduce the semi-water turbidity by the dry method. This inventor pays attention to degreasing steel, and discovers and utilizes the effect | action that the degreasing steel from which fat or oil was removed efficiently absorbs the fat or oil on the rice surface. Oil on the surface of the rice may cause oxidative deterioration and deteriorate the preservation of the rice. By removing this, the preservation of the non-smear could be improved. Normally, the change in taste is regarded as small in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in about one month,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f life can be extended to three months.

탈지강은 원래 쌀로부터 유래된 것이므로, 쌀 입자와의 융합이나 경도의 문제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미강에는 약 20%의 유지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그 안의 17% 전후가 원유로서 탈지된다고 되어 있다. 미강으로부터 노르말 헥산을 이용한 탈지방법에 따른 산물인 탈지강에는 식물 섬유 29.2%(중량%, 이하 동일), 당질 24.6%, 단백질 17.5%, 지질 9.9%, 회분 12.1%, 수분 6.7%라는 분석 데이터가 있다.Since the degreasing steel is originally derived from ric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without causing problems with fusion and hardness of rice particles. It is believed that rice bran contains about 20% fat, and around 17% of it is degreased as crude oil. Degreasing steel, the product of degreasing using normal hexane from rice bran, contains analytical data of 29.2% (weight% or less), sugar 24.6%, protein 17.5%, lipid 9.9%, ash 12.1%, and 6.7% moisture. have.

연미재의 일예가 이 탈지강이다. 탈지강을 연미 처리에 사용할 경우에는 정미 수분 14.5% 전후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정미는 13%이하가 되면 균열이 발생하므로, 과도한 건조상태의 탈지강을 사용하면, 쌀로부터 수분을 뺏어 악영향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연미재로서 사용한 경우의 청정미의 세미수 탁도는 90이하를 실현할 수 있으며, 공업회의 건식법에 따른 무세미 기준을 만족하고 있다.One example of yeonmijae is this degreasing steel. When degreasing steel is used for tailings, adjust it to around 14.5% net moisture. If the net weight is less than 13%, cracking occurs, and using an excessively dry skim steel deprives the rice of water and adversely affects it. In this state, the semi-water turbidity of the clean rice in the case of using it as a tailings material can achieve 90 or less, and satisfies the no-ceiling standard according to the dry method of the industrial society.

또한, 건식법에 의해서도 세미수 탁도 70이하를 실현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장치적인 개량 이외에 연미재의 개량에도 주목하여 새롭게 탈지강을 개량함으로써, 이를 실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studying to achieve a semi-water turbidity of 70 or less by the dry method, it was possible to realize this by improving the degreasing steel by paying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tailings material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improvement.

〈정제 탈지강〉<Tablet skim steel>

상기한 탈지강에 포함되는 당질에는 탈지공정에서 가열 처리되어 알파화된 전분이 포함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알파화된 전분은 소위 호화된 것이므로 부착성이 강하고, 이를 포함한 상태에서 쌀 입자 끼리를 서로 마찰시키면, 일부가 쌀 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벗겨지기 어렵게 되며, 그것에 다른 성분도 부착되어 세미수 탁도 저하의 곤란 요인이 되는 것을 깨달아, 이 알파화된 전분을 제거한 탈지강을 개발한 결과, 세미수 탁도를 70이하로 할 수 있었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sugars contained in the degreasing steel include alpha starch which has been heat treated in the degreasing step. Since alpha starch is so-called luxury, it has strong adhesion, and if the rice particles are rubbed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containing them, some of them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rice particles, making it difficult to peel off, and other components are also attached to i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duce the semi-turbidity. Realizing that it was a factor, the degreased steel from which this alphadized starch was removed developed the semi-water turbidity below 70.

알파화된 전분은 백색의 우동가루 형태의 미세분말로서, 탈지강에 혼재되어 있으므로 체로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백색의 알파화 전분을 제거한 탈지강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백색의 알파화 전분을 제거한 탈지강은 식물 섬유가 주성분 중 하나로 되어 있다.Alpha-based starch is a fine powder in the form of white udon powder. Since it is mixed in the degreasing steel, it can be separated by a sieve and will be expressed as degreasing steel from which the white alpha-starch is removed. The degreasing steel, which has been stripped of the white, alpha starch, has plant fiber as one of its main components.

〈시험예 1〉<Test Example 1>

다음의 연미조를 사용하여 연미 처리하고, 체에 걸려 얻은 청정미의 세미수 탁도를 계측하였다.The following tailings were used for the tailing treatment, and the semi-turbidity of the clean rice obtained through the sieve was measured.

1. 연미조 : 직경 130mm, 길이 600mm의 원통형.1.Tumi-mizo: Cylindrical of 130mm in diameter and 600mm in length.

·회전속도 250회/분, 연미량 150kg/시간.250 rpm / min, 150kg / hr.

·회전축에는 스크류 및 좌우로 교반봉인 연미봉체를 장비.· The rotary shaft is equipped with a screw and a soft rod body with stirring rods from side to side.

·빗살형태의 저항판체는 원 안을 균등하게 4분할하여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배열하여 장비한 것과의 탁도 비교.Comb-shaped resistance plate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in a circle, and compared with turbidit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연미재인 정제 탈지강이란 알파화 전분(백색)을 제거한 탈지강 사용. Refined degreasing steel, which is a tailing material, uses degreasing steel from which alpha starch (white) is removed.

※ 비교시험 : 저항체를 제거한 연미조를 사용하였다.※ Comparative test: soft-mijo was removed from the resistor.

2. 연미수 탁도(硏米水濁度)2. Tailings turbidity (硏 米 水 濁度)

재단법인 일본정미 공업회의 규정에 따른 방법에 따라 계측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result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Japan Rice Milling Association.

비교 데이터는 원료 정미, 저항판을 제외한 연미 처리미를 사용하였다.The comparative data used the taste-processing rice except the raw material netting and the resistance plate.

그 결과, 탁도는 90이하는 충분히 만족하는 74, 68, 59를 실현할 수 있으며, 저항판체를 장비한 쪽이 탁도는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다.As a result, the turbidity can realize 74, 68, and 59 which satisfy | fills 90 or less fully, and the turbidity falls remarkably when the resistance plate body is equipped.

또한, 탁도는 ppm 표시이다.In addition, turbidity is ppm display.

원료정미 탁도Raw material taste turbidity 본실시예 탁도Example turbidity 저하도Degradation degree 저항판체이 없는 비교예 탁도Comparative Example Turbidity Without Resistance Plate 저하도Degradation degree 정미 ANet A 118118 7474 -44-44 9393 -25-25 정미 BNet B 105105 6868 -37-37 8282 -23-23 정미 CNet C 9494 5959 -35-35 7676 -18-18

〈시험예 2〉<Test Example 2>

통상 탈지강과 정제 탈지강을 연미재로 한 연미 탁도의 비교Comparison of taste and turbidity using ordinary degreasing and refined degreasing steel

1. 연미조건1. Taste

·정제탈지강이란 알파화 전분(백색)을 제거한 탈지강.Refined degreasing steel is a degreasing steel from which alpha starch (white) is removed.

·탁도 계측법은 재단법인 일본 정미공업회의 규정에 따른 방법.・ The turbidity measurement method is a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of the Japan Rice Milling Industry Association.

·연미장치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일본 특허 NO2958885의 연미방법 채택.The tailing device adopts the tailing method of Japanese Patent No. 2958885 proposed by the inventor.

회전 드럼, 직경 190mm, 깊이 300mm  Rotary drum, diameter 190mm, depth 300mm

가압재(너트) 4kg, 정미 및 연미재 각 1리터  4 kg of pressurizing material (nut), 1 liter each of rice and tailings

회전속도 36회전/분, 연미시간 40분   Speed 36 revolutions / minute, tailing time 40 minutes

※연미처리온도의 상승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이 기구의 시험기를 채택하였다. 회전속도가 느린 연미기구이므로, 연미상승온도는 거의 없으며, 통상의 탈지강에 포함되는 알파화 전분을 쌀 표면에 밀어붙이는 작용이 적은 장치 쪽이, 차이가 잘 발생되지 않으므로 굳이 종래의 장치에서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The tester of this instrument was adopted to eliminate the effect of the rise in tailing temperature. Because of the slow speed of the tailing device, there is little increase in tailing temperature, and the device that does not push the alpha starch contained in ordinary degreasing steel to the surface of rice is less likely to make a difference. The test was conducted.

2.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2.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알파화 전분을 제거한 쪽이 탁도가 저하되며, 72, 64, 67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연미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혹은 원료 정미의 정제도(精製度)를 올리는 세미수의 탁도를 70이하, 즉 건식 무세미 이외의 장치의 무세미 기준도 만족할 수 있다.The turbidity of the alpha starch was removed, resulting in 72, 64, 67. By using the tail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he turbidity of the semi-water which raises the refinement | purification degree of a raw material netting can be 70 or less, ie, the non-smear criterion of apparatuses other than dry type | mold-free.

회전속도가 느린 연미기구이므로 연미 상승온도는 거의 없으며, 따라서 정미에 점착성이 발생되리라고는 생각할 수 없어 통상 탈지강, 연미 탁도는 불용성인 전분의 부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Because of the slow rotation speed of the tailing mechanism, there is little rise in the tailing temperature. Therefore, it is hard to think that stickiness will occur on the net. Therefore, degreasing steel and tailings turbidity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attachment of insoluble starch.

원료정미탁도Raw material taste turbidity 통상탈지강 연미탁도Normal degreasing steel soft turbidity 저하도Degradation degree 본실시예 연미탁도EXAMPLES Soft Turbidity 저하도Degradation degree 정미 DNet D 110110 8181 -29-29 7272 -38-38 정미 ENet E 9292 7878 -14-14 6464 -28-28 정미 FNetting F 9696 8383 -13-13 6767 -29-29

시험예 1과 시험예 2의 결과를 합쳐 평가하면, 정제 탈지강을 사용한 경우, 또한 정제 탈지강을 연미재에 사용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했을 경우는 탁도가 저하되므로,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When the results of Test Example 1 and Test Example 2 were evaluated together, when the refined skim steel was used, and whe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refined skim steel was used for the tailings material, turbidity was lowered, it was clear that it was effective. .

〈시험예 3〉<Test Example 3>

쌀 표면의 유지상태시험Maintenance condition test of rice surface

일본 전통지로 만든 주머니에, 시험예 1에서 사용한 원료 정미 B와 본 시험 처리미를 넣고 밀봉한 후 주머니 표면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원료 정미 B는 2, 3일 경과후에 표면에 기름이 배어나왔지만, 본 시험처리미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1주일간 관찰을 계속하였지만, 변화가 없었다.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bag was observed after sealing the raw material B used in Test Example 1 and this test treated rice in a bag made of traditional Japanese paper. In the raw material netting B, oil leaked to the surface after 2 or 3 days, but it was not confirmed in this test rice. Observation was continued for 1 week, but there was no change.

〈참고예〉<Reference example>

상기한 보고서의 별지, (사)일본정미공업회의 이름으로 2003년 10월 26일자 "세미수 건고물 시험방법과 세미수 탁도 시험방법에 대해"에는 기종별 무세화처리 정미의 백도(白度), 탁도, 건고물량(乾固物量)의 계측 데이터가 첨부되어 있으므로, 참고예로서 표 3에 나타냈다. 단, 기종명은 밝히지 않는다.In the separate sheet of the above report, "Semi-water dried test method and semi-water turbidity test method" of October 26, 2003, in the name of the Japan Rice Milling Industry Association, , Measurement data of turbidity and dry matter amount are attached, and are shown in Table 3 as a reference example. However, the model name is not disclosed.

주 1 : K, S, T 3종류의 무세미는 습식법에 의한 무세미로서, 씻지 않고 탁도를 측정하였으며, R, KP 2종류의 무세미는 건식법에 의한 무세미로서, 2회 물로 씻어 계측하였다.Note 1: K, S, and T three types of ammonia were the non-wet by a wet method, and turbidity was measured without washing. R, KP, the two types of the a-fine were the non-wet by a dry method, and washed twice with water.

이 참고예와 시험예 1, 2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습식법에 견주어 손색이 없는 탁도가 얻어짐을 알 수 있다.Comparing this reference example with Test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urbidity without comparable to conventional wet methods.

백도(%)Whiteness (%) 탁도(ppm)Turbidity (ppm) 건고물량(g)Dry matter (g) K무세미K-free 4949 5555 0.240.24 S무세미S-free 47.947.9 5656 0.360.36 T무세미T-free 46.746.7 6969 0.60.6 R무세미R-free 44.344.3 9191 0.90.9 KP무세미KP Tax-free 43.943.9 9595 0.90.9 보통 정미Ordinary rice 41.0∼39.441.0 to 39.4 101∼110101-110 1.08∼1.381.08-1.38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건식법에 따른 무세미의 제조가 가능해진다.1)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on-fine powder by the dry method.

2) 보존성을 높여, 맛을 떨어뜨리지 않고 무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2) It improves preservability and can manufacture a non-smear without deteriorating taste.

(사) 일본정미공업회에 따르면, 여름철 조건하에서 1개월간 보관하더라도 품질이 유지되는 것도 무세미의 조건 중 하나로 되어 있는데, 충분히 이 조건을 만쪽하는 것이다.(G) According to the Japan Rice Milling Association, quality is maintained even if stored for one month under summer conditions.

3) 정량 공급기를 개발하여, 2종류의 분립체(分粒體)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면서 공급 가능하게 하고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3) A fixed-quantity feeder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the supply of two types of granules at a constant rate and to enable continuous operation.

4) 연미재를 순환사용할 때, 신(新)연미재를 자동적으로 일정 이상 추가 보충하는 기구를 개발하여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4) When recycling and using the tailings ashe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operate by developing a mechanism that automatically supplements the new tailings ashes over a certain amount.

5) 연미기구를 개선하고 후공정의 연미재와 정백미와의 분리선별수법을 개선하여, 종래의 탈지강을 사용한 본 장치로, 정백미의 탁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청정한 쌀을 제공할 수 있다.5) By improving the tailing mechanism and improving the separation screening method between the tailing material and polished rice in the post process, this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degreasing steel can reduce the turbidity of the polished rice and provide clean rice.

6) 종래의 탈지강을 사용하여 얻어진 청정미에서 확인되는 다소의 탁도도, 알파화 백색 전분을 제거한 탈지강을 사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6) The slight turbidity found in the clean rice obtained using the conventional degreasing steel can also be eliminated by using the degreasing steel from which alpha whitened starch was removed.

7) 정미와 연미재를 자동적으로 배합하여 연미 효율 및 정밀도를 유지하는 수단을 발명함으로써, 시스템으로서의 연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7) The invention provides a tailing device as a system by inventing a means for automatically blending the tailings and the tailings material to maintain the tailing efficiency and precision.

8) 연미재를 순환 이용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적게 하고, 저가의 원료 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8) By using the tailings material, it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waste and realize the low cost of raw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1 is a process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미장치의 전체구성도.Figure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fterglow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연미기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tailing machin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정량 공급기를 나타내는 도면.4 shows a metering feeder for use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재이용 연미재에 신규 연미재를 첨가하여 연미재를 순환 공급하는 연미재 혼합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5 is a view illustrating a tailing material mixing mechanism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a tailing material by adding a new tailing material to the reused tailing material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연미기의 연미처리부(원 A 표기부)의 확대도.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tailing processing unit (circle A notation) of the tailing machine shown in FIG. 3;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승강기 2 : 호퍼(연미재, 쌀)1: Lift 2: Hopper (mime ash, rice)

3 : 호퍼(신규 연미재) 4 : 체(연미재, 쌀)3: Hopper (new bite ash) 4: sieve (bite ash, rice)

5 : 쌀 배출구 6 : 순환 연미재 배출구5: rice outlet 6: circulation tailings outlet

7 : 폐기 연미재 배출구 8 : 진동 모터7: waste tailings material outlet 8: vibration motor

9 : 진동 모터 10 : 체(연미재, 쌀)9: Vibration Motor 10: Sieve (Boil, Rice)

11 : 체(연미재) 12 : 교반봉11 sieve (aesthetic material) 12: stirring rod

13 : 저항체 14 : 모터13 resistor 14 motor

15 : 저면 16 : 네트15: bottom 16: net

17 : 에어 흡입구 18 : 제품 탱크17 air inlet 18 product tank

19 : 원료정미탱크 20 : 쌀 배출구19: raw material rice tank 20: rice outlet

21 : 호퍼 22 : 진동 피더21: Hopper 22: Vibrating Feeder

23 : 호퍼 24 : 슈트(연미재)23: hopper 24: chute

25 : 오버 플로우 홀 26 : 모터25: overflow hole 26: motor

27 : 슈트(쌀) 28 : 체(쌀미세분말 제거)27: chute (rice) 28: sieve (rice fine powder removed)

29 : 장공(상하 조정) 30 : 슈트(연미재)29: long hole (up and down adjustment) 30: chute (aesthetic material)

31 : 스크류 32 : 샤프트31 screw 32 shaft

33 : 연미조 34 : 승강기33: Yeonmijo 34: Lift

35 : 조정판(유량) 36 : 조정나사(유량)35: adjusting plate (flow rate) 36: adjusting screw (flow rate)

37 : 혼합조정밸브37: Mixing Adjustment Valve

Claims (22)

간격을 두고 배치한 2개의 물체를 상대 이동시키면서, 2개의 물체 사이에 쌀 입자와 연미재를 공급하여 쌀 입자를 마찰 연미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A rice mil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ice particles are fed by friction and the rice particles are fed by feeding the rice particles and the tailings material between the two objects while being relatively moved at intervals. 연미조에 있어서, 정미와 연미재를 회전체와 고정체에 의해 회전 저항을 부여하면서 회전 교반함으로써 정미를 연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In the tailing tank, the tailings method is seasoned by rotating and stirring the netting and the tailings material with the rotational body and the fixed body while providing rotational res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빗살 형태로 배치한 복수의 고정봉과 이 고정봉 간의 간격을 간신히 빠져나가 이동하는 봉체(棒體)가 형성된 연미용기내에 정미와 연미재를 투입하고, 연미용기내에서 상기 이동봉체에 의해, 고정봉으로 인한 저항을 부가하면서 정미와 연미재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The rice mill and the rice milling material are put into a rice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in the form of comb teeth at intervals and a rod body which barely mov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ds are moved. By the movable rod body, the tail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to move the netting and tailings material while adding resistance due to the fixed ro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연미조의 연미부분으로의 공급 수단과 연미조 출구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회전 교반되는 정미에 압력을 가하면서 연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4. The tail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tailing section of the tailing tank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supply means to the tailing section of the tailing tank and applying pressure to a net that is rotated and stirred. 제 2 항∼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미된 정미와 연미재는 체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연미재는 재차 순환사용되며, 한편 정미는 미세 분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polished rice and the rice are separated by a sieve, and the separated rice is circulated again, while the rice is removed fine powder. 제 1 항∼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무세미를 제조하는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non-fine powder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연미용기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형성된 복수개의 저항체와, 연미용기내에 상기 간격에 대향하도록 봉상체인 연미봉을 배치하며, 연미용기와 연미봉은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 연미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A plurality of resistors are formed fixedly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rods are placed in the tailing container so as to face the gap, and the tailing device and the tailing rod are equipped with a tailing device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ailing device. 공급통과 정미공급통과 연미재 공급통을 구비한 진동 피더로서, 양쪽 통의 선단과 공급통의 저면 받침면과의 간격을 변동시킴으로써 공급량을 조정하고, 하류측에 위치하는 공급통에 대응하는 받침면은 상류측에서 공급되는 재료의 흐름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급량 조정기구를 갖는 정량공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An oscillating feeder having a supply cylinder and a net supply cylinder and a tailing material supply cylinder, the feed amount being adjusted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both cylinders and the bottom support surface of the supply cylinder, and a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cylinder located downstream. And a silver feeding device having a supply amount adjusting mechanism formed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flow surface of the material supplied from the upstream side. 정미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원료 정미와 연미재 저장고에서 공급되는 연미재를 소정량 공급하는 정량 공급기(A)와, 이 정량 공급기로부터 호퍼를 통해 원료 정미와 연미재를 연미용기에 공급받아, 저항체와 연미봉에 의해 교반 연미하는 연미기(B)와, 이 연미기(B)로부터 배출된 정미와 연미재를 폐기 미세분말과 정백미와 재이용 연미재로 선별 분리하는 체(C)와, 재이용 연미재에 신규 연미제를 추가하여 정량 공급기로 송출하는 연미재 보충기구(D)와, 정백미를 미세분말 제거용 체(E) 및/또는 미세분말 흡입기(F)를 개재시키거나 또는 개재하지 않고 수용하는 정백미 탱크(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A fixed-quantity feeder (A)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illed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ice mill and the tailings fed from the mill, and the mill is fed from the fixed-quantity feeder to the tailings container through the hopper, thereby receiving resistors and lead The tailing machine (B) which stirs and stirs by unsealing, the sieve (C) which sorts and isolates the rice and tailings material which were discharged from this tailing machine (B) into waste fine powder, white rice, and reused tailing material, and reused tailing material The polished rice replenishment mechanism (D) which adds a new taste agent and sends it to a fixed-quantity feeder, and the polished rice which accommodates white rice with or without a micro powder removal sieve (E) and / or a fine powder inhaler (F). A tailing device comprising a tank (G). 제 7 항∼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미봉이 연미용기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에 고정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tailing rod uses a tailing machine fixed to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ailings container. 제 7 항∼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미용기는 회전하고 연미봉은 고정되어 있는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12. 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wherein the tailing container is used and the tailing rod is fixed. 제 7 항∼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다각형 또는 절두체형이며, 세로, 가로 또는 비스듬하게 설치된 연미용기를 구비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wherein a tailing devic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or a frustum shape, and having a tail container provided vertically, horizontally or obliquely is used. 제 7 항∼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미와 연미재의 투입구와 배출구 및 내벽에 저항체봉이 형성된 연미용기체와, 이 연미용기체의 중심축에 형성된 회전축체에 연미봉을 설치한 연미조로서,13. The tailing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wherein the tailings container is formed o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net and tailings material and the resistance bar is formed on the inner wall, and the tailing rod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tailings container. As a bird, 이 연미조에는 저항체가 막대 형태로 내벽에서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1개∼수개 형성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빗살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며, 연미봉이 빗살 형태로 형성된 저항체봉의 틈새와 대향하는 회전축체의 위치에 방사방향으로 1개∼수개 형성되고, 회전축의 투입구측에는 공급용 스크류가 형성된 연미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 In the soft-mijo, one to several resistors are formed radially from the inner wall toward the center in the form of a rod,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are formed in the form of comb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xis of rotation is opposed to the gap of the resistance rods formed in the form of combs. A tailing device, wherein one to several pieces are formed in the radial position at the position of the sieve, and a tailing machine having a supply screw is used on the inlet side of the rotating shaft. 제 7 항∼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항체와 연미봉은 배출구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14. The afterglow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3, wherein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ar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제 7 항∼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항체와 연미봉과의 최접근간격은 쌀 입자의 짧은 직경∼긴 직경의 2배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4, wherein the closest interval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is set in a range of about twice the short diameter to the long diameter of the rice particles. 제 7 항∼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항체와 연미봉의 횡단면은 반원형, 타원형 혹은 모따기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The tai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5,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sistor and the tail rod is semicircular, elliptical, or chamfered rectangle. 제 7 항∼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미기내 정미의 온도가 54℃ 이하가 되도록, 저항체봉과 회전봉의 형상 및 설치 간격 및/또는 회전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17. The afterglow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6, wherein the shape and mounting intervals and / or rotation of the resistance bar and the rotating rod are controll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net in the tailing machine is 54 ° C or lower. 제 7 항∼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미재 보충기구(D)는 선별분리체(C)로부터 정량 공급기(A)로 재이용 연미재를 보내는 연미재 순환 공급통과, 연미재 저장고로부터의 연미재를 공급하는 신규 연미재 공급통을 구비하고, 이 순환 공급통의 도중에 신규 연미재 공급통을 합류시켜, 이 합류지점에서 신규 연미재 공급통의 합류위치측에 회동지점을 마련하며, 연미재 순환 공급통측에 선단측을 자유롭게 위치시킨 조절밸브를 형성하고, 이 조절밸브의 최저 개도(開度)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18. The tailings replenishment mechanism (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7, wherein the tailings replenishment mechanism (D) from the tailings recirculation supply passage and the tailings receptacle that sends recycled tailings from the sorting separator (C) to the metering feeder (A). A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for supplying the tailings of the tailings; and joining the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in the middle of the circulation supply cylinder, and establishes a pivot point at the confluence point of the new tailings supply cylinder at the joining point; A tail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mechanism for freely positioning a front end side on a tailing material circulation supply cylinder side and adjusting a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regulating valve. 제 7 항∼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연미장치를 이용하여 무세미를 제조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a non-micron using the tai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8.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재.A tailings material characterized by removing alpha starch from degreasing steel. 제 1 항∼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방법 혹은 무세미의 제조방법.The tailings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a tailings material obtained by removing the alpha starch from the skim steel is used. 제 7 항∼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지강으로부터 알파화된 백색의 전분을 제거한 연미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장치 혹은 무세미 제조장치. 20. The tailings device or the non-smear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9, wherein a tailing material from which whitened starch is removed from degreasing steel is used.
KR1020030083428A 2003-08-06 2003-11-24 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KR200500159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8173 2003-08-06
JP2003288173A JP4153844B2 (en) 2003-08-06 2003-08-06 Polishing method, polishing apparatus, polishing material, washing-free rice production method and washing-free rice produ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46A true KR20050015946A (en) 2005-02-21

Family

ID=3453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428A KR20050015946A (en) 2003-08-06 2003-11-24 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53844B2 (en)
KR (1) KR2005001594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1294B2 (en) * 2009-06-10 2013-08-14 株式会社グッド・ライフ Research equipment
JP7097868B2 (en) * 2019-10-11 2022-07-08 照夫 犬木 Rice finishing equipment, rice polishing tank, rice polishing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53844B2 (en) 2008-09-24
JP2005103334A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3950C (en)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JP33085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in polishing and grain pre-treatment
JP4739713B2 (en) Washless rice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5876499A (en) Complete device for producing gingko whole powder
JP4451006B2 (en) Clean rice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defatted rice bran
CZ284035B6 (en) Method of moistening grains with a liquid, as well as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7083217B2 (en) Degreasing bran regeneration device for polishing rice and rice polishing device
KR20110059941A (en) Rice bran sorting device and powdered rice bran
KR20050015946A (en) Rice-polishing method and device, rice-polishing material, and wash-free rice producing method and device
TWI23272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prouted germinated rice
JP4392642B2 (en) Corn germ removal device
JP5261294B2 (en) Research equipment
JP4738427B2 (en) Polishing method or washing-free rice production method, polishing material and polishing apparatus
US5145117A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wheat
JP3909629B2 (en) Processed rice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7097868B2 (en) Rice finishing equipment, rice polishing tank, rice polishing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 rice
JPH103312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unwashed rice and production of the same
US720122A (en) Method or preparing cereal-food products.
JPH06869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our
KR100499590B1 (en) The equipment making cereals loesswater and it does not use brush cleaning
CN208875359U (en) A kind of mushroom leg dry-cleaning equipment
JP2005177723A (en) Rice polishing method and rice polishing apparatus
JPH06154625A (en) Production of wheat flour
US671670A (en) Method of cleaning wheat.
RU32415U1 (en) Separating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