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351A - 황토입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토입욕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351A
KR20050015351A KR1020030054134A KR20030054134A KR20050015351A KR 20050015351 A KR20050015351 A KR 20050015351A KR 1020030054134 A KR1020030054134 A KR 1020030054134A KR 20030054134 A KR20030054134 A KR 20030054134A KR 20050015351 A KR20050015351 A KR 2005001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cher
effect
we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지희
Original Assignee
변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지희 filed Critical 변지희
Priority to KR102003005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5351A/ko
Publication of KR2005001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수(浴水)에 넣어 사용하는 입욕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욕을 통하여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면서 각종 통증 및 류머티스 질환, 피부질환, 냉기로 인한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황토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황토분말을 사용한 황토입욕제 조성물에 있어서, 황토분말 75% 중량부, 노간주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쑥 5% 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토의 효과 이외에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통하여 통풍, 류머티스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 부기, 이뇨 작용에 좋은 효과가 있고, 누리장나무 추출물을 통해서는 마비증, 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이질, 치질, 옹종, 옴, 피부병에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쑥 추출물을 통해서는 출혈질환, 특히 냉기로 인한 각종 통증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와 각종 습진 및 피부가려움증을 치유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입욕제 조성물{A bath Materal with loess}
본 발명은 욕수(浴水)에 넣어 사용하는 입욕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욕을 통하여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면서 각종 통증 및 류머티스 질환, 피부질환, 냉기로 인한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황토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 발달로 말미암아 점차 생활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의 생활은 과중한 업무와 각종 스트레스 및 오염된 환경으로 인하여 심신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삼림욕이나 여행 등을 통하여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으나, 이러한 삼림욕과 여행 등은 시간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그 활동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입욕(入浴)을 통하여 과중한 업무와 오염된 환경으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입욕의 이용은 주거문화의 고급화와 삶의 질을 추구하려는 사회현상과 맞물려 점점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입욕은 심신의 안정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 이외에,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오염된 환경과 스트레스에 지친 피부를 생기있고 깨끗하게 가꾸어주며, 또한 각종 성인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입욕제가 판매되고 있으며, 그 중 화학 입욕 제품의 경우에는 각종 꽃이나 과일향 등이 첨가되어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세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학 입욕제는 세정력과 제품의 특징에 따른 피부 미용 효과를 표방하지만, 입욕제 제조시 화학원료를 사용하고, 화학공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제조과정이나 목욕시에 알러지나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고,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화학 입욕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친환경적인 천연 재료를 이용한 입욕제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황토를 첨가한 입욕제가 출시되고 있는 중에 있다.
이러한 황토 입욕제는 황토가 지니는 고유의 효과, 즉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 기술된 여러 효과 이외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서식하는 약 2억마리의 미생물과 프로타제 및 카탈라제 등 각종 효소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황토는 향과 촉감 및 질감에 있어서는 취약하므로 최근의 입욕 제품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종 천연 식물이나 광물 등을 첨가하고 있다.
일 예로 솔림용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국내특허공개공보 특2003-0006895호)을 살펴보면, 자연염 10중량부당 솔싹의 추출정유물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 황토분말 30중량부 내지50중량부, 숯가루 2 내지 8중량부로 혼합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입욕 조성물은 황토 이외에 자연염과 솔싹 추출물 및 숯가루가 혼합되므로 황토가 구현할 수 없었던 솔향을 통하여 상쾌감을 제공하고, 자연염에 의하여 음이온의 보충 및 피부염 등의 염증을 치료하며, 숯가루를 통하여 염증과 발열에 효과가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입욕 조성물은 그 성분의 한계로 인하여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성인병과 각종 관절질환, 예를 들면 고혈압, 신장염, 류마티스, 신경통, 만성간염, 지염 등에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또한 부기와 통증, 여성의 생리불순과 냉대하에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현대인들이 입욕을 하는 주된 이유는 입욕을 통한 스트레스의 해소와 각종 성인병의 치료 및 관절질환, 그리고 몸의 기운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함인데, 솔싹, 자연염, 숯가루가 첨가된 종래의 입욕 조성물로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황토와, 솔싹추출물, 숯가루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각종 통증 및 류머티스 질환, 피부질환, 냉기로 인한 각종 여성 질환에 대하여 유용한 약리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황토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는 황토분말을 사용한 황토입욕제 조성물에 있어서, 황토분말 75% 중량부, 노간주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쑥 추출물 5% 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입욕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크게 황토, 노간주나무 추출물, 누리장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 그리고 미량의 소금으로 혼합 조성된다.
먼저, 주원료인 황토는 미세한 분만 가루로 가공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대략 75% 중량부의 조성비율이 되도록 한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은 두송실(杜松實)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액기스로 형태로 조성한 것으로 조성비율은 10%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누리장나무 추출물도 쉽게 혼합되도록 액기스 형태로 추출된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조성비율은 10%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쑥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가공된 쑥을 사용하였으며, 조성비율은 5%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황토, 노간주나무 추출물, 누리장나무 추출물, 쑥 추출물로 혼합된 배합물에는 미량의 소금을 첨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욕 사용시에는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도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비율로 생산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황토, 노간주나무, 누리장나무, 쑥의 여러 유용한 약리 효능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에 찌든 현대인들의 피로를 풀어주고, 피부를 깨끗하게 가꾸어준다. 또한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각종 성인병 및 관절질환 등에 효염이 있다.
각각의 배합 원료가 지니는 효능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황토는 동의보감, 동국이상국집강목(중국한의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성이 화평하고, 맛은 약간 달며, 주요 성분으로 철, 인, 망간, 마그네슘, 칼슘, 미네랄, 및 불로장수 성분인 콘드라친 등 풍부한 광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열을 가하면 바이오 원적외선을 발산한다
특히, 황토는 피부세포 삼투압을 조절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병에 강한 피부를 만들고, 수분 및 지방질의 흡입력을 최대한 증가시켜 주름을 제거한다. 또한 피부의 미백효과 및 노화를 방지하고, 미네랄 성분이 피부 깊숙이 스며들어 부드러운 속살을 재생하며,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된 얼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황토는 자기 몸체의 100배 이상의 산소 공급능력이 있어 생리활성화 및 세균 박멸에 탁월한 효과를 천연적으로 지니고 있어 피부의 모공 속에 남아 있는 세균을 제거해 준다. 또한 황토는 지방 분해력이 탁월하여 피부의 지방과 노폐물을 말끔히 제거하는 탁월한 세정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피부를 깨끗이 하여 개운하고 매끈한 피부로 만들어 준다. 뿐만 아니라 황토는 원적외선 효과를 통하여 피부 속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므로 피부를 윤기있게 가꾸어 건강한 피부 미인이 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미세한 분말의 황토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입욕제로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 등의 각종 약리효과로 인한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게 된다. 또한 피부의 지방 분해, 노폐물의 말끔한 제거, 산소의 공급, 세균의 제거 등 뛰어난 세정효과를 발휘하여 윤기 있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주게 된다.
노간주나무의 열매인 두송실(杜松實)은 예로부터 발한(發汗)·이뇨·신경통·류머티즘, 통풍,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두송실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정유성분 0.5~2%, 당분40%, 송진 0.9%, 나머지 기름, 색소, 사과산, 개미산, 초산 등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두송실은 위장점막을 자극하여 위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소화액을 빨리 나오게 하여 소화불량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래를 삭이고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도 있고, 신장을 자극하여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몸이 붓거나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에 효염이 있다.
더욱이 두송실은 통증을 신속히 없애주므로 통풍, 류머티스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에 특효가 있으며, 정유를 바른 부위에 뜨거운 바람을 쐬어 줄 경우 그 치료효과가 더욱 빠르다.
뿐만 아니라, 두송실은 중풍으로 인하여 마비된 부위에 듬뿍 바른 후, 마사지를 하면 특효가 효과가 있다. 또한 온몸이 나른하고 피곤할 때 두송실 유를 온몸에 바르고 마사지를 하면 몸이 개운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두송실로 조성된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므로 입욕제로 사용할 경우, 두송실의 각종 약리효과로 인하여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게 된다.
특히 따뜻한 욕수와 함께 통풍, 류머티스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신장을 자극하여 이뇨 작용을 촉진하므로 몸이 붓거나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을 개선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간주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본 발명은 관절질환이 잦은 노인과, 자궁질환이 많은 여성, 그리고 근육의 뭉침이 잦은 운동선수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노간주나무 추출물은 양주의 재료로도 사용되는 특성상, 특유의 은은한 향을 발산하므로 보다 고품격의 입욕 분위기를 연출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누리장나무는 풍습과 통증을 없애고, 혈압을 낮추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특히 누리장나무의 잔가지와 뿌리에는 팔미틴산, 마이리스틱산, 스테아릭산, 프레드닌, 배당체, 쓴맛물질 등이 들어있으며, 학질 풍습으로 인한 마비증, 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이질, 치질, 옹종, 옴, 피부병, 등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누리장나무의 추출물이 함유되므로 입욕제로 사용할 경우, 각종 약리효과로 인하여 마비증, 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이질, 치질, 옹종, 옴, 피부병, 등에 효과가 높다.
쑥은 동의보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 신, 간 등에서 기혈을 순환시키며, 하복부가 차고 습한 것을 몰아내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궁을 따뜻하게 하면서 출혈을 멈추게 하므로 여자의 경도를 바르게 하고, 유산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쑥은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자궁과 하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자궁출혈 및 임신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등에 효과가 있고,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에 효과가 있다. 또한 땀띠나 풀에 긁혀 부은 부분을 개선하고, 어깨 결림, 요통, 신경통, 류마티즘 등의 통증을 덜어주며, 손발이 찬데도 효과적이다.
더욱이 쑥은 기관지의 평활근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어 만성기관지염과 만성간염, 간경변에도 효과가 있고, 그 이외에 각종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와 세균성 이질과 습진, 피부가려움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쑥 추출물이 함유되므로 입욕제로 사용할 경우, 따뜻한 욕수와 함께 각종 쑥의 약리효과로 인하여 출혈질환, 냉기로 인한 통증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깨 결림, 요통, 신경통, 류마티즘, 만성기관지염, 만성간염, 간경변에 효과가 있고, 이외에 세균성 이질, 습진, 피부가려움증을 치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입욕제와는 달리 노간주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 쑥 추출물 5%가 혼합되므로 종래의 입욕제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여러 유용한 약리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종래의 입욕제는 단순히 자연염에 솔싹의 추출정유물, 황토분말, 숯가루가 조성되므로 그 성분의 한계로 인하여 통증 및 각종 류머티스 질환, 피부질환, 냉기로 인한 각종 여성 질환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통하여 통풍, 류머티스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 부기, 이뇨 작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누리장나무 추출물을 통해서는 마비증, 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이질, 치질, 옹종, 옴, 피부병에 많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쑥 추출물을 통해서는 출혈질환, 특히 냉기로 인한 각종 통증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와 각종 습진 및 피부가려움증을 치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표 1에 따라 조성된 입욕제를 목욕온수에 넣은 후, 표 2와 같이 구분된 20명의 조사대상자를 통상의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대조구의 비율에 따른 세부적인 사용 결과는 표 3 ~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단위 : 중량%)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황토 85 85 75
노간주나무추출물 10 - 10
누리장나무추출물 - 10 10
쑥추출물 5 5 5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와 B C
어혈 5 2
관절염 3 2
근육피로 4 2
아토피성 피부 2 2
지방간 판정자 3 2
중풍마비 3 2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1. 어혈에 대한 효과 5회이상 사용시 - - -
3회이상 사용시 3 - -
1회이상 사용시 1 - 2
그저 그렇다 1 - -
표 3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B는 어혈에 대한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구 A와 C는 어혈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조구 C는 사용횟수가 1회이상에서 효과를 보임으로 어혈에 대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A와 C에 포함된 노간주나무 추출물 10%와 상당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2. 관절염에 대한 효과 10회이상 사용시 2 - -
5회이상 사용시 1 - 2
3회이상 사용시 - - -
표 4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A와 C에서 관절염에 대한 효과가 있었으며, 대조구 B에서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A와 C에 포함된 노간주나무 추출물 10%와 상당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3. 근육피로에 대한 효과 5회이상 사용시 - 1 -
3회이상 사용시 2 - -
1회이상 사용시 1 - 2
표 5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A, B 그리고 C 모두에서 근육피로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4. 아토피성 피부에 대한 효과 5회이상 사용시 - 1 1
3회이상 사용시 - 1 1
1회이상 사용시 - - -
표 6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B와 C에서 아토피성 피부에 대한 효과가 있었으며, 대조구 A에서는 그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B와 C에 포함된 누리장나무 추출물 10%과 상당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5. 지방간 판정자에 대한 효과 10회이상 사용시 - 2 2
5회이상 사용시 - - -
3회이상 사용시 - - -
그저 그렇다 - 1 -
표 7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B와 C에서 지방간 판정자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대조구 A에서는 그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B와 C에 포함된 누리장나무 추출물 10%와 상당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6. 중풍마비 효과 20회이상 사용시 1 1 1
10회이상 사용시 - - 1
5회이상 사용시 - - -
그저 그렇다 - 1 -
표 8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A, B 그리고 C 모두에서 중풍마비에 대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대조구 C에서 중풍마비에 대한 개선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C에 포함된 노간주나무 추출물 10%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의 약효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7. 사용시 육안 및 체감 관찰 여부 입욕 10분후 노폐물이 뜨는 것이 보임 - 5 4
입욕 20분후 노폐물이 뜨는 것이 보임 1 4 6
입욕 30분후 노폐물이 뜨는 것이 보임 - - -
볼수 없었다 9 1 2
표 9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B와 C에서 육안 및 체감 관찰이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구 A에서는 직접적인 관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 B와 C에 포함된 누리장나무 추출물 10%와 상당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단위 : 인원수)
구분 본 발명의 대조구
A B C
8. 다이어트 효과 20회이상 사용시 - - 5
10회이상 사용시 - - 1
5회이상 사용시 - - -
그저 그렇다 - - 6
표 10에 따른 결과를 살펴볼 때에, 대조구 C에서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대조구 A와 B는 다이어트 효과의 실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러므로 표 3 ~ 표 10를 전반적으로 살펴 볼 때에, 노간주나무 추출물이 혼합된 대조구 A와 누리장나무 추출물이 혼합된 대조구 B의 경우에서 어느 정도의 여러 건강상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노간주나무 추출물과 누리장나무 추출물이 모두 혼합된 대조구 C에서 건강상의 효과가 보다 높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황토분말 75% 중량부, 노간주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 쑥 추출물 5%, 미량의 소금으로 혼합 조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합된 황토로 인하여 원적외선 등의 각종 약리효과로 인하여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피부의 지방 분해, 노폐물의 말끔한 제거, 산소의 공급, 세균의 제거 등 뛰어난 세정효과를 발휘하여 윤기 있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된 노간주나무 추출물로 인하여 통풍, 류머티스 관절염, 근육통, 견비통, 신경통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신장을 자극하여 이뇨 작용을 촉진하므로 몸이 붓거나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유의 은은한 향으로 인하여 고품격의 입욕 분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혼합된 누리장나무 추출물로 인하여 마비증, 반신불수, 고혈압, 편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이질, 치질, 옹종, 옴, 피부병, 등에 많은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혼합된 쑥 추출물로 인하여 출혈질환, 냉기로 인한 통증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깨 결림, 요통, 신경통, 류마티즘, 만성기관지염, 만성간염, 간경변에 효과가 있고, 이외에 세균성 이질, 습진, 피부가려움증을 치유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황토분말을 사용한 황토입욕제 조성물에 있어서,
    황토분말 75% 중량부, 노간주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누리장나무 추출물 10% 중량부, 쑥 추출물 5% 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입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황토입욕제 조성물은 미량의 소금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입욕제 조성물.
KR1020030054134A 2003-08-05 2003-08-05 황토입욕제 조성물 KR20050015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134A KR20050015351A (ko) 2003-08-05 2003-08-05 황토입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134A KR20050015351A (ko) 2003-08-05 2003-08-05 황토입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351A true KR20050015351A (ko) 2005-02-21

Family

ID=3722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134A KR20050015351A (ko) 2003-08-05 2003-08-05 황토입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53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897A (ko) * 2013-09-17 2015-03-25 (주)제이에스향료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00097005A (ko) * 2019-02-07 2020-08-18 이지원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7006A (ko) * 2019-02-07 2020-08-18 김성수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897A (ko) * 2013-09-17 2015-03-25 (주)제이에스향료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200097005A (ko) * 2019-02-07 2020-08-18 이지원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7006A (ko) * 2019-02-07 2020-08-18 김성수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8913C (zh) 凹凸棒药物保健浴泥粉
CN107157909A (zh) 一种防脱发洗发水
KR101311692B1 (ko)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CN106798292A (zh) 去除腥味及膻味的佐料配方
CN10485729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消毒膏及其制备方法
CN102871922A (zh) 茶麸姜汁泡米醋洗发沐浴露及其生产工艺方法
KR200343135Y1 (ko) 일회용 천연염색 부직포
CN104225509A (zh) 艾叶足疗保健包
KR20050015351A (ko) 황토입욕제 조성물
CN100404018C (zh) 凹凸棒中药保湿面膜粉
CN108624426A (zh) 一种抑菌保湿艾草凝脂冷制精油皂及其加工工艺
KR100403976B1 (ko) 위생기능성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속내의류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79819A (zh) 一种治疗灰指甲、手足癣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KR20020090177A (ko)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 성분이 함유된 저염도 기능성소금의 제조방법
KR100881274B1 (ko) 해수 지장수 추출장치
CN106728233A (zh) 一种崖柏足浴盐及其制备方法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CN102805406B (zh) 一种多功效醋饮产品
CN107157892A (zh) 一种用于修复痘印的铁皮石斛泥面膜及其制备方法
CN106039153A (zh) 蛇中药提取液的癣湿水
CN105878163A (zh) 一种洁面用盐及制备方法
CN1035742C (zh) 美肤健身浴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