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738A -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738A
KR20050013738A KR1020030052289A KR20030052289A KR20050013738A KR 20050013738 A KR20050013738 A KR 20050013738A KR 1020030052289 A KR1020030052289 A KR 1020030052289A KR 20030052289 A KR20030052289 A KR 20030052289A KR 20050013738 A KR20050013738 A KR 2005001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storage
storage device
connector
inpu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익
김신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738A/ko
Publication of KR2005001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와, 저장 용량의 확장을 위하여 다른 저장장치가 접속하기 위한 확장 커넥터, 및 다른 저장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커넥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다란 저장 용량을 갖는 휴대용 저장매체가 없이도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매체를 연결하여 용량이 매우 큰 데이터를 저장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들이 연결하여 각 휴대용 저장장치 안의 정보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Extensible Portable Storage}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PDA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장치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필요로 한다. 종전에 대표적인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혹은 컴팩트 디스크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이와 더불어 휴대하기에 간편한 메모리 카드나 메모리 스틱과 같은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TREK사의 ThumDrive와 같은 USB 메모리 스틱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여 USB 규격의 플러그를 갖추고 있어 USB 리셉터클을 갖고 있는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USB 메모리 스틱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메모리 스틱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30), 다른 장치 또는 USB 타입의 케이블의 리셉터클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USB 타입의 플러그(10), 및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트롤러(20)를 구비한다. USB 타입의 플러그(10)는 현재 A Type과 B Type이 있으나 주로 A Type의 플러그가 많이 이용된다. 플래시 메모리(30)는 읽기와 쓰기 연산이 모두 가능하며 지우기 연산은 블록단위로 연산된다. 컨트롤러(20)는 플러그(10)를 통해 입력되는 USB 규격의 신호를 받아 플래시 메모리 규격에 맞는 신호로 변환시켜 플래시 연산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컨트롤러(20)는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받아 이를 USB 규격의 신호로 변환시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러그(10)를통해 다른 장치 등에 전송한다.
현재 휴대의 편의성과 함께 이용의 편리함 때문에 USB 메모리 스틱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플래시 메모리 용량 자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현재 생산되고 있는 가장 고용량의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계이고, 또 가장 용량이 큰 메모리의 경우에는 저장 용량당 가격이 양산되어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 비해 비싼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양산되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를 만들고 이를 확장할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도 2는 종전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휴대용 저장장치는 메모리를 갖고 있는 본체(60)와 본체를 덮는 커버(70 또는 70a)로 구성된다. 본체(60)에는 커버(70 또는 70a)와 결합하기 위한 메모리 확장용 커넥터(65)가 있는데 평상시에는 커버(70)로 덮어서 사용하지만 메모리를 확장할 필요가 있을 때는 확장용 메모리를 갖고 있는 커버(70a)를 메모리 확장용 커넥터(65)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전의 발명의 경우에도 저장장치의 저장 용량을 단순히 한번만 확장시킬 수 있어 용량 부족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는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여러 개의 휴대용 메모리를 연결하여 필요한 만큼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지않고, 단순히 하나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저용량 또는 고용량 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확장성이 보다 우수한 휴대용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충분한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저장 공간을 충분히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USB 메모리 스틱의 구조를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종전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확장 커넥터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입출력 커넥터의 위치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저장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와, 저장 용량의 확장을 위하여 다른 저장장치가 접속하기 위한 확장 커넥터, 및 다른 저장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커넥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쓰기 및 지우기 연산이 가능한 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소정의 규격을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이고 상기 확장 커넥터는 상기 입출력 커넥터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소켓형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USB 플러그이고 상기 확장 커넥터는 USB 리셉터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휴대용 저장장치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은 USB 타입의 휴대용 저장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기존의 USB 타입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갖고 있는 입출력 커넥터(110), 컨트롤러(120), 및 플래시 메모리(130)와 저장 용량 확장을 위하여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커넥터(150)와 커넥트 컨트롤러(140) 및 입출력 커넥터의 위치가 휴대용 저장장치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115)를 포함한다.
입출력 커넥터(110)는 USB A 타입 또는 USB B 타입의 플러그가 될 수 있고 입출력 커넥터(11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진다. 컴퓨터의 USB 커넥터(미 도시됨)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든다. 입출력 커넥터(110)는 컴퓨터의 커넥터를 통해 명령어와 데이터가 포함된 USB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원을 공급받는다.
컨트롤러(120)는 입력받은 USB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서 명령어와 데이터를 추출하고 명령어를 해석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쓰기 연산의 경우에는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30)의 해당 물리적 주소의 위치에 기록한다. 한편, 읽기 연산의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130)에서 논리적 주소에 해당하는 물리적 주소의 데이터를 읽어와서 이를 입출력 커넥터(11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플래시 메모리(130) 상에서 지우기 연산은 블록단위로 수행한다.
점선으로 표시된 확장 커넥터(150)는 다른 휴대용 입력장치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메모리 용량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때 다른 휴대용 입력장치를 확장 커넥터(150)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확장 커넥터(150)와 입출력 커넥터(110)는 같은 규격의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입출력 커넥터(110)가 USB A 타입의 플러그인 경우에 확장 커넥터(150)는 USB A 타입의 리셉터클이고, 입출력 커넥터(110)가 USB B 타입의 플러그인 경우에 확장 커넥터(150)는 USB B 타입의 리셉터클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트 컨트롤러(140)는 확장 커넥터에 접속한 휴대용 저장장치의 주소가 현재 자신의 마지막 주소의 다음부터 주소를 갖도록 하게 한다. 또한 휴대용 저장장치가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확장 커넥터에 연결된 경우에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가 갖는 주소의 마지막 주소의 다음부터 자신의 주소가 시작 되도록 한다. 즉 커넥트 컨트롤러(140)는 새로운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될 때 이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 알려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커넥트 컨트롤러(140)를 구현할 경우에 64MB의 저장 용량을 갖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두 개 연결하였을 경우에 컴퓨터는 128MB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 중에 다시 32MB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160MB의 휴대용 저장장치로 인식한다. 즉, 32MB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앞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갖는 마지막 주소의 다음부터 주소가 시작된다. 이를 위하여 커넥트 컨트롤러(140)는 현재 자신의 주소가 어디부터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나는지에 대한 계산을 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아닌 자신의 확장 커넥터(150)에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연산이 있는 경우에 USB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전달한다.
한편,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연산은 논리주소에서 물리적 주소로 바꾼 후에 실행되므로 각 휴대용 저장장치는 독립적인 디스크처럼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개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때는 각 휴대용 저장장치는 d:, e:, 및 f: 디스크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 전체가 하나의 디스크처럼 인식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논리 주소와 물리적 주소간의 매핑이 어떻게 되었는지 커넥트 컨트롤러(140)는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휴대용 저장장치간의 결합의 경우를 살펴본다. 컴퓨터에 연결 된 첫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128MB로 가정)에 두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64MB로 가정)가 연결된다. 두 번째 64MB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어 두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인터럽트 트랜스퍼(인터럽트 신호)를 컴퓨터를 향해(첫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로) 보낸다. 첫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는 두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로부터 오는 인터럽트 신호를 받고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192MB임을 컴퓨터에 알려준다.
이 후에 두 번째 64MB 휴대용 저장장치에 세 번째 32MB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된다. 세 번째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오는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두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는 64MB+32MB = 96MB를 사용가능함을 인식하고 이를 첫 번째 128MB 휴대용 저장장치에 알려준다. 첫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는 두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로부터 받은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전체 활용가능한 저장 공간이 128MB + 96MB =224MB임을 알고 이를 컴퓨터에 알려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컴퓨터는 전체 사용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의 용량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말고도 각각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보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컴퓨터에 그대로 전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될 때 컴퓨터의 USB 드라이버는 각각의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오는 인터럽트 신호를 바로 받아서, 해당 인터럽트 신호가 몇 번째 휴대용 저장장치인지 인식한 후, 활용가능한 공간을 계산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용 저장장치가 분리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분리하고자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분리하기 전에 분리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저장장치 분리하는 것을 컴퓨터에 알리지 않고 휴대용 저장장치를 분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컴퓨터가 마지막 분리된 휴대용 저장장치 공간을 액세스하지 않으면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휴대용 저장장치를 분리한 후 분리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정보를 쓰거나 읽는 등의 연산을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쓰기 연산을 하려는 경우에 쓰기 신호를 보내도 응답을 받을 수 없다. 분리된 휴대용 저장장치의 바로 앞에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는 일정시간(time out)을 기다린 후 응답이 없으면 마지막으로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는 분리된 것으로 처리한다. 즉, 연결되어 있던 마지막 휴대용 저장장치가 분리 되었음을 바로 앞의 휴대용 저장장치에 알려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컴퓨터는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 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휴대용 저장장치가 분리됨에 의하여 쓰기 연산이 이루어질 수 없을 때, 현재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 중 어느 하나의휴대용 저장장치에 쓰기 연산을 수행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분리여부는 바로 앞의 휴대용 저장장치가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컴퓨터가 일정 시간동안 연산이 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휴대용 저장장치 이후의 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회전부(115)는 입출력 커넥터(110)가 휴대용 저장장치 상에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컨트롤러(120)와 커넥트 컨트롤러(140)를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입출력 커넥터(210)와 플래시 메모리(230)와 확장 커넥터(250) 및 회전부(215)를 갖는다. 그러나 도 3과 달리 커넥트 컨트롤러가 수행해야할 기능과 컨트롤러가 수행해야할 기능을 커넥트 컨트롤러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220)가 모두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확장 커넥터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휴대용 저장장치의 확장 커넥터(150)는 도 5에서 1 내지 9의 어떤 곳에 위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위치는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와의 연결의 편의성과 연결시의 부피나 휴대성 등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입출력 커넥터의 위치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입출력 커넥터(110)는 도 3의 회전부(115)를 통해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그림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90도 움직일 수도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필요한 이유는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확장 커넥터에 연결할 때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움직임의 방법은 도 6에서 보여준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부(115)가 없이 입출력 커넥터(110)가 삽입 및 추출될 수 있도록 휴대용 저장장치의 특정 위치에 입출력 커넥터(110) 삽입구를 만들어 둘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방향은 도 6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앞쪽 혹은 뒤쪽으로 회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종전의 USB 메모리 스틱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다만 확장 커넥터(150)가 입출력 커넥터(110)와 반대편에 있어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b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종전의 USB 메모리 스틱과는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입출력 커넥터(110)의 위치가 도 7a처럼 메모리 스틱의 끝부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스틱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확장 커넥터(150)도 메모리 스틱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도 7b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여러 개 연결했을 때 전체의 표면적은 도 7a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여러 개 연결한 것보다 작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입출력 커넥터(110)는 도 8a, 8b, 8c, 및 8d는 각각 본 발명에따라 휴대용 저장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세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준다.
8a의 경우에는 도 5a에서 "8"의 위치에 확장 커넥터(150)가 위치한 두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1과 3)와 7의 위치에 확장 커넥터(150)가 위치한 하나의 휴대용 저장장치(2)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 때 연결을 위하여 입출력 커넥터(110)는 휴대용 저장장치(2)의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고 휴대용 저장장치(3)의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연결한다.
도 8b의 경우에는 도7b의 휴대용 저장장치 세 개를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8c의 경우에는 도 5a에서 "8"의 위치에 확장 커넥터(150)가 위치한 두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1과 3)와 7의 위치에 확장 커넥터(150)가 위치한 하나의 휴대용 저장장치(2)를 연결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 때 연결을 위하여 입출력 커넥터(110)는 휴대용 저장장치(2)의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고 휴대용 저장장치(3)의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연결한다. 한편 맨 왼쪽의 휴대용 저장장치는 컴퓨터나 기타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하여 입출력 커넥터(11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도 8d는 도 7a의 휴대용 저장장치 3개를 연결하여 구현한다.
이렇듯이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들을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용량을 넘어서는 커다란 데이터도 저장할 수가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들의 정보를 읽기 위하여 휴대용 장치를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저장된 정보를 읽고 분리하고 또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하고 분리하고 읽고하는 등의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이 한번에 연결하여 데이터 액세스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USB 타입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확장 커넥터에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입출력 커넥터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휴대용 저장장치의 입출력 커넥터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용 저장장치의 확장 커넥터와 규격을 결합할 수 있는 규격의 일반적인 저장장치나 혹은 케이블 등을 통해 다른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들을 확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커다란 저장 용량을 갖는 휴대용 저장매체가 없이도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용량이 매우 큰 데이터를 저장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휴대용 저장장치들이 연결하여 각 휴대용 저장장치 안의 정보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입출력 커넥터와;
    저장 용량의 확장을 위하여 다른 저장장치가 접속하기 위한 확장 커넥터; 및
    다른 저장장치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커넥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소정의 규격을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이고 상기 확장 커넥터는 상기 입출력 커넥터와 동일한 규격을 갖는 소켓형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USB 플러그이고 상기 확장 커넥터는 USB 리셉터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휴대용 저장장치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컨트롤러는 상기 확장 커넥터에 다른 저장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다른 저장장치의 주소가 현재 자신의 마지막 주소의 다음부터 주소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 컨트롤러는 자신이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에 연결된 경우에 상기 다른 휴대용 저장장치가 갖는 주소의 마지막 주소의 다음부터 자신의 주소가 시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KR1020030052289A 2003-07-29 2003-07-29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KR20050013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89A KR20050013738A (ko) 2003-07-29 2003-07-29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89A KR20050013738A (ko) 2003-07-29 2003-07-29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38A true KR20050013738A (ko) 2005-02-05

Family

ID=3722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289A KR20050013738A (ko) 2003-07-29 2003-07-29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34B1 (ko) * 2005-08-06 2007-09-03 한국과학기술원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
KR100801015B1 (ko) * 2006-08-30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데이터 저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34B1 (ko) * 2005-08-06 2007-09-03 한국과학기술원 체인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usb 장치
KR100801015B1 (ko) * 2006-08-30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데이터 저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1831B2 (en) Backward compatible extended USB plug and receptacle with dual personality
US6792501B2 (en) Universal serial bus flash memory integrated circuit device
US20070083689A1 (en) USB system having card-type USB interface connector
US8073986B2 (en) Memory devices configured to identify an operating mode
KR100499686B1 (ko)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US20060047982A1 (en) Mult-interface auto-switch circuit and memory device with dual interface auto-switch circuit
US20090067303A1 (en) Data storage device using two types or storage medium
US20070168614A1 (en) Secure-Digital (SD) Flash Card with Auto-Adaptive Protocol and Capacity
JP2008511916A (ja) ハブ機能付きメモリデバイス
JP2007519119A (ja) 複数のメモリデバイスを使用するポータブルデータ記憶デバイス
KR200341281Y1 (ko) 마이크로 카드 및 그 연결용 접속장치
WO2004047111A1 (ja) データ記憶装置
KR20040075138A (ko) 카드 타입 usb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usb 변환 젠더및 usb 메모리 카드
US200402211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accessing non-volatile memory by PC and X-BOX
US20060187717A1 (en) Robust face detection algorithm for real-time video sequence mobile drive with expansion capacity, stackable, mobile storage device and control circiut thereof
KR20130076706A (ko) 범용 시리얼 버스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40103163A1 (en) Serial bus disk extender and portable storage device
KR20050013738A (ko) 확장가능한 휴대용 저장장치
US7555582B2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such devices
KR100884239B1 (ko) 메모리 카드 시스템 및 그것의 백그라운드 정보 전송 방법
CN114730201A (zh) 双连接器存储系统和用于向计算设备同时提供电力和存储器访问的方法
CN107402622B (zh) 存储器存储装置及其电源管理方法
CN216412148U (zh) 一种无需物理驱动器的具有高移动储存容量的多口hub
CN210244348U (zh) 自带存贮双面usb转串口
KR200316559Y1 (ko) 다중 전송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