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311A - 무선 제어 멀티탭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멀티탭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311A
KR20050013311A KR1020030051922A KR20030051922A KR20050013311A KR 20050013311 A KR20050013311 A KR 20050013311A KR 1020030051922 A KR1020030051922 A KR 1020030051922A KR 20030051922 A KR20030051922 A KR 20030051922A KR 20050013311 A KR20050013311 A KR 2005001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identification code
unique identification
predetermined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338B1 (ko
Inventor
임정숙
Original Assignee
임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숙 filed Critical 임정숙
Priority to KR10-2003-005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제어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빛의 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인코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RF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RF 변조부, 및 RF 무선 신호를 공간에 송출하는 내장 안테나를 구비한 RF 송신부; 및
상기 RF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검파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추출하는 검파부, 추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디코더, 추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가 미리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절환하는 절환부를 구비한 RF 수신부; 를 포함함으로써,
출,퇴근 또는 외출시,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멀티탭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전기를 사용 또는 절전할 수 있도록 하고,
멀티탭을 무선이 도달하는 위치에 은닉시킬 수 있게 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환경을 보다 정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제어 멀티탭{Wireless controlled socket-outlet}
본 발명은 무선 제어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무선으로 멀티탭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멀티탭은 전기 제품 사용시, 멀티탭의 콘센트공에 플러그를 개별적으로 삽입, 탈거시키거나, 또는 멀티탭에 연결된 모든 전기 제품을 동시에 온,오프시킬 경우에는 멀티탭의 메인 코드에 연결된 플러그 자체를 벽 콘센트에서 삽입, 탈거시키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경우, 상황에 따라 각각의 플러그를 콘센트공에서 탈거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최근에는 각각의 콘센트공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개별 온,오프 스위치가 콘센트공 마다 장착된 멀티탭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별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의 경우에도 출,퇴근시나 외출시, 주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구석진 곳이나 바닥 또는 전기 제품의 뒷편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탭을 찾아 각각의 개별 스위치를 모두 온,오프시킨다는 것은 현대의 바쁜 일상에서 현실적으로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절전 또는 화재 예방 등을 위하여 멀티탭의 스위치를 오프시켜 놓아야 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멀티탭의 스위치를 그냥 켜 둔채 퇴근 또는 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공 멀티탭에는 통상 2 개 이상의 플러그가 꽂혀 있게 되므로, 외관상 멀티탭 주변의 배선이 매우 어지럽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이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퇴근 또는 외출시,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멀티탭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전기를 사용 또는 절전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멀티탭 주변의 배선을 보다 정돈되게 할 수 있는 수단이 부여된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빛의 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인코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RF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RF 변조부, 및 RF 무선 신호를 공간에 송출하는 내장 안테나를 구비한 RF 송신부; 및
상기 RF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검파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추출하는 검파부, 추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디코더, 추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가 미리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절환하는 절환부를 구비한 RF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송신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어 자동 모드와 수동 전원 온 또는 오프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판별부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가 전원 온 또는 오프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환부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드라이버; 및
증폭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되는 릴레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제어 멀티탭은,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조정하기 위한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RF 송신부(10)의 외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은 RF 송신부(10)와 RF 수신부(14)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다. RF 송신부(10)는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100), CSD 센서(102), 임계값 설정부(103), 판별부(104), 인코더(106), RF 변조부(108), 및 내장 안테나(110)을 구비하고, RF 수신부(14)는 수신 안테나(140), 검파부(142), 디코더(144), 절환부(146), 및 콘센트(148)를 구비한다. RF 수신부(14)가 구비되는 멀티탭 부분은 메인 AC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AC 전원을 복수 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를 통하여 분배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제어 멀티탭의 동작을 설명한다.
CSD 센서(102)는 사무실 내의 빛의 량을 감지하고, 판별부(104)는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인코더(106)는 상기 판별부(104)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신호를생성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임계값 설정부(10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정도의 밝기가 되면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가변 저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RF 변조부(108)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RF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내장 안테나(110)를 통하여 RF 무선 신호를 공간에 송출한다.
한편, 공간으로 송출된 RF 무선 신호는 RF 수신부(14)의 수신 안테나(140)로 입력된다. 검파부(142)는 상기 RF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검파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추출한다.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는 송신측 기기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디코더(144)는 검파부(142)에서 추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절환부(146)는 추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가 미리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절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환부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드라이버(146_1)와, 증폭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되는 릴레이(146_2)로 구성한다.
이로써, RF 수신부(14)는 미리 규약된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오프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전원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원 제어 명령 RF 신호가 자신의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온/오프 제어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은 자기가 사용하는 멀티탭만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멀티탭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될 것이다.
위에서는 실내 빛의 량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전원을 온,오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어 자동 모드와 수동 전원 온 및 수동 전원 오프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100)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100)가 전원 온 또는 오프로 절환된 경우에는, CSD 센서(102)와 판별부(104)에 의한 빛의 량에 대한 판별과 무관하게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한다.
공간으로 송출된 RF 무선 신호는 RF 수신부의 수신 안테나(140)로 입력되고,검파부(142)는 상기 RF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검파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추출한다.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는 송신측 기기의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디코더(144)는 검파부(142)에서 추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추출한다. 절환부(146)는 추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가 미리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절환한다.
도 2 에는 도 1 의 RF 송신부(10)의 외관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도 2 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에는 빛의 량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오토 모드와 수동 온 및 수동 오프를 선택하는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202)와, 외부로 노출되는 CSD 센서(204),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온,오프할 기준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노브(206: knob)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이 노브를 돌려 전원 온,오프를 위한 기준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 제어 멀티탭은 출,퇴근시에 사무실 또는 가정의 구석진 곳이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멀티탭을 찾아 전원을 일일이 끄고 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통상 2,3 개 이상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배선이 어지럽게 보일 수 있는 멀티탭을 무선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라면 어떠한 장소에도 은닉시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환경을 보다 정돈하여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멀티탭은 출,퇴근시, 사무실 또는 가정의 공간에서 구석진 곳이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멀티탭을 찾아 전원을 일일이 끄고 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통상 2,3 개 이상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배선이 어지럽게 보일 수 있는 멀티탭을 무선이 도달하는 위치에 은닉시킬 수 있어 사무실이나 가정의 실내 환경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인 AC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AC 전원을 복수 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를 통하여 분배하는 멀티탭에 있어서,
    빛의 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인코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RF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RF 변조부, 및 RF 무선 신호를 공간에 송출하는 내장 안테나를 구비한 RF 송신부; 및
    상기 RF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검파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추출하는 검파부, 추출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디코더, 추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가 미리 설정된 코드와 일치하면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절환하는 절환부를 구비한 RF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멀티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어 자동 모드와 수동 전원 온 및 수동 전원 오프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가 자동 모드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판별부에서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원 온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감지된 빛의 량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가 전원 온 또는 오프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여 RF 무선 신호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멀티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드라이버; 및
    증폭된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멀티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조정하기 위한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멀티탭.
KR10-2003-0051922A 2003-07-28 2003-07-28 무선 제어 멀티탭 KR10050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22A KR100507338B1 (ko) 2003-07-28 2003-07-28 무선 제어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22A KR100507338B1 (ko) 2003-07-28 2003-07-28 무선 제어 멀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311A true KR20050013311A (ko) 2005-02-04
KR100507338B1 KR100507338B1 (ko) 2005-08-08

Family

ID=3722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22A KR100507338B1 (ko) 2003-07-28 2003-07-28 무선 제어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7296A1 (fr) * 2006-12-27 2008-07-03 Chia-Yi Hsu Appareil de commande de luminaire d'éclairage électrique permettant d'économiser l'énerg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7296A1 (fr) * 2006-12-27 2008-07-03 Chia-Yi Hsu Appareil de commande de luminaire d'éclairage électrique permettant d'économiser l'énerg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338B1 (ko) 200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9932C1 (ru)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436114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US9557043B2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JP5096563B2 (ja) 電源装置
US2022014194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llow for a smart device
US20100109850A1 (en) Dual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3306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0279B1 (ko) 전원제어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
KR100507338B1 (ko) 무선 제어 멀티탭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KR20160075834A (ko) 원격 제어식 스위칭 시스템
KR101448695B1 (ko) 인공지능형 절전제어 콘센트
KR100996834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KR100964489B1 (ko) 플러그장치
JP3290044B2 (ja) 無線通信機
KR101124155B1 (ko) 대기 전력 자동 차단 기능을 가지는 멀티탭
KR200302248Y1 (ko) 절약형 강도퇴치 멀티탭
KR200290868Y1 (ko) 콘센트
US20030006904A1 (en) Infrared remote control
KR20090118234A (ko) 무선 멀티탭
KR200360777Y1 (ko) 콘센트
KR200275226Y1 (ko) 무선제어 멀티 콘센트 및 무선 컨트롤러
WO2016144698A1 (en) Outlet control system
KR200268638Y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200256242Y1 (ko) 다기능 복합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