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186A -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13186A KR20050013186A KR10-2003-7007426A KR20037007426A KR20050013186A KR 20050013186 A KR20050013186 A KR 20050013186A KR 20037007426 A KR20037007426 A KR 20037007426A KR 20050013186 A KR20050013186 A KR 20050013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bioabsorbable material
- material according
- medical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맥관(脈管) 스텐트나 봉합사 등의 의료용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생체흡수성 폴리머는, 그 인장강도 등의 역학적 특성 및 흡수를 위한 분해속도가 각각 거의 정해져 있는 것으로, 그 역학적 특성을 높이면 약해지고 또한 분해속도도 느려진다. 또, 분해속도를 높이면 역학적 특성이 감소해버리므로 사용목적 및 사용부위가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생체흡수성 폴리머에 환형 뎁시펩티드를 공중합하여 뎁시펩티드가 개환(開環) 공중합한 공중합체로 함으로써, 뎁시펩티드의 함유량에 의해 그 역학적 특성 및 분해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맥관스텐트나 봉합사 등의 의료용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생체흡수성 폴리머로서는, 폴리유산(乳酸), 폴리글리콜산, 이 양자의 공중합체인 폴리글락틴, 폴리디옥사논, 폴리글리코네이트(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생체흡수성 폴리머는 생체내에서 분해하고 또한 흡수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그 인장강도 등의 역학적 특성 및 흡수를 위한 분해속도가 각각 거의 정해져 있는 것으로, 그 역학적 특성을 높이면 약해지고 또한 분해속도도 느려진다.
또, 분해속도를 높이면 역학적 특성이 감소해버린다. 따라서, 사용목적 및사용부위가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봉합사, 맥관(脈管) 스텐트, 생체세포의 담지체, 약제 등의 담지체 등의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 재제용구(材製用具)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생체흡수성 폴리머에 의한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뎁시펩티드의 구조도이며, 도 2는 뎁시펩티드 유닛을 갖는 3원(元) 공중합체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뎁시펩티드의 합성을 설명하는 구조도이며, 도 4는 뎁시펩티드가 개환 공중합한 3원 공중합체의 구조도이며, 도 5는 3원 공중합체의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완충액만을 함유한 분해액에 의한 가수분해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3원 공중합체 및 각 호모폴리머의 프로테이나아제 K 에 의한 효소분해 특성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은 뎁시펩티드를 갖는 공중합체의 분해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는 뎁시펩티드량과 분해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각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의 합성조건과, 폴리머의 수율과 분자량을 나타낸 도표이며, 도 11은 3원 공중합체 및 각 호모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나타낸 도표이며, 도 12는 3원 공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인장특성)과 열적 특성을 나타낸 도표이며, 도 13은 3원 공중합체의 프로테이나아제 K 에 의한 분해 전후의 폴리머의 여러 물성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며, 도 14는 뎁시펩티드량과 열적 특성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생체흡수성 폴리머와 환형(環形) 뎁시펩티드를 공중합시켜 뎁시펩티드가 개환(開環) 공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에 의해, 뎁시펩티드의 함유량에 따라 그 역학적 특성 및 분해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염증 등의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생체흡수성 폴리머에 의한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로 하였다.
그리고, 뎁시펩티드의 첨가량은 대략 몰비로 2%∼60% 정도이며, 2% 미만에서는 첨가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60% 이상에서는 역학적 특성이 너무 감소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용할 수 있는 생체흡수성 폴리머의 종류는 많고, 그 종류나 공중합체 생체흡수성 폴리머의 경우에는 그 배합량에 따라 뎁시펩티드의 첨가 한계량은 상기한 것 이외의 첨가량으로도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상기한 첨가비율은 확정치는 아니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뎁시펩티드의 구조를 도 1에 나타낸다.
도면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쇄(側鎖)(R)기가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등의 알킬기이며, 측쇄(R')기가 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이다.
뎁시펩티드의 예로서는, 아미노산과 히드록시산 유도체를 합성한 뎁시펩티드는, 히드록시산 유도체로서는 클로로아세틸클로리드, 2-브로모프로피오닐브로미드 및 2-브로모-n-부틸릴브로미드를 사용하고, 얻어진 뎁시펩티드를 이것을 히드록시산 유도체의 순서에 따라 각각 L-MMO-, L-DMO, L-MEMO 로 하고, 그들 모두가 본 발명에 적응 가능하지만, 이들 뎁시펩티드모노머와 생체흡수성 폴리머로서의 ε -카프로락톤(CL)에 의한 공중합체의 효소분해성은 프로테이나아제 K 에 의한 분해에서는 L-MMO/CL 〉L-DMO/CL 〉L-MEMO/CL 의 순이다.
또한, 아미노산과 옥시산 유도체를 합성한 뎁시펩티드는, 아미노산으로서 L -아라닌, L-(DL- 또는 D-)바린 및 L-로이신을 사용하고, 얻어진 뎁시펩티드를 이것을 아미노산의 순에 따라 각각 DMO, PMO, BMO로 하고, 그들 모두는 본 발명에 적응이 가능하지만, 이들 뎁시펩티드모노머와 ε-카프로락톤(CL)에 의한 공중합체의 효소분해성은 프로테이나아제 K 에 의한 분해에서는 DMO/CL 〉PMO/CL ≥BMO /CL의 의 순이고, 콜레스테롤에스테라아제에서는 PMO/CL 〉BMO/CL ≥DMO/CL의 순이다.
제 1 실시형태예
폴리유산의 원료인 L-락티드(L-LA)와 폴리 ε-카프로락톤의 원료인 ε- 카프로락톤(CL)과의 공중합체에 환형 뎁시펩티드(DMO)를 첨가한 3원 공중합체로 하였다.
도 2는 이 뎁시펩티드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펩티드 유닛을 갖는 공중합체의 구조도이다. U는 뎁시펩티드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환형 뎁시펩티드로서 3, 6- 디메틸-2, 5-몰포린디온(DMO)을 합성하였다. 환형 뎁시펩티드는 α-아미노산과 α-히드록시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환형 에스테르아미드이다. 여기에서는 α-아미노산에 DL-아라닌을 α-히드록시산 유도체의 DL-2-브로모프로피오닐브로미드를 사용하였다.
합성의 제1단계로서, 먼저 아라닌과 2-브로모프로피오닐브로미드와의 Scho tten-Baumann 반응을 알칼리수용액내에서 실시하고, 펩티드결합시켜 2-브로모프로피오닐아라닌을 얻었다(도 3).
즉, DL-아라닌(53.4g, 0.6mol)의 4N NaOH(0.6mol)수용액 150ml을 약 5℃로 냉각한 후, 이것에 4n NaOH(0.72mol) 180ml와 DL-2-브로모프로피오닐브로미드 (0.66mol) 69.9ml를 얼음 속에서 냉각 교반하면서 번갈아 약 30분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은 항상 미(微)알칼리성을 유지해두었다. 반응 종료 후 백색의 생성물을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물에 용해하고, pH가 약 3이 되도록 5N HCl을 적하하면서 첨가한 후, 수분은 증발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잔존하고 있는 수용액을 냉각하면서 5N HCl에서 서서히 산성으로 하면 백색 생성물이 또 얻어졌다.
얻어진 이들 백색 생성물을 디에틸에테르를 사용하여 속스렛(soxlet) 추출하여 정제하였다.
수율 30∼40% ;1H NMR(δ, CDCl3) 1.54(d, 3H, NHCHCH3), 1.91(d, 3H, BrCHCH3), 4.45(q, 1H, NHCHCH3), 4.59(q, 1H, BrCHCH3), 6.88(brs, 1H, NH).
계속해서, 정제한 2-브로모프로피오닐아라닌(19.7g, 0.0881mol)과 이것과같은 몰의 NaHCO3(7.40g, 0.0881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150ml에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환류하여 분자내 환화탈염(環化脫鹽)시킴으로써 환형 뎁시펩티드인 DMO를 백색 분말로서 얻었다(도 3).
DMO는 클로로포름에서 2회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수율 40∼60% ; mp 158∼159℃ ;1H NMR(δ, CDCl3) 1.54(d, 3H, NHCHCH3), 1.62(d, 3H, OCHCH3), 4.24(q, 1H, NHCH), 4.91(q, 1H, OCH), 7.07ppm (brs, 1H, NH).
다음에, 3원 공중합체의 합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중합모노머중 환형 뎁시펩티드(L-DMO)는 α-아미노산(L-아라닌)과 α -히드록시산 유도체(DL-2-브로모프로피오닐브로미드)를 합성한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또, 락톤(CL)은 톨루엔에 용해하고, CaH2에 의해 48시간 건조한 후, 감압증류 (2회)함으로써, L-락티드(L-LA)는 THF에서 재결정 후, 승화(2회)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중합조작은 모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L-DMO/CL/L-LA 3원 공중합체의 합성 스킴(skim)을 도 4에 나타낸다.
공중합체의 조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THF중에 용해시킨 소정량의 L-DMO 와 L-LA의 양 모노머 및 촉매의 옥틸산주석(Ⅱ){Sn(Oct)2; 0.2mol%/monomer}의 톨루엔용액을 슈렝크관(중합용기)에 도입 후, 감압하에서 용매의 THF와 톨루엔을 트랩제거한다.
다음에, 소정량의 CL 모노머를 같은 중합용기에 넣고, 용기를 봉관(封管)한다. 봉관한 용기를 120℃의 오일중에 침지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소정 시간(12시간) 후, 중합용기를 오일에서 꺼내어 냉각하였다. 생긴 거친 폴리머를 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메탄올내에서 재침전(2회)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도 10에 각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의 합성조건, 그리고 얻어진 폴리머의 수율과 분자량을 나타낸다.
또, L-DMO/CL/L-LA(=8 : 13 : 79)3원 공중합체의1H NMR데이터(δ, CDCl3)은 다음과 같다.
1.38(m, 2H, CH2CH2CH2CH2CH2), 1.50(m, 6H, CH3×2(L-DMO)), 1.57(d, 6H, CH3×2(L-A)), 1.68(m, 4H, CH2CH2CH2CH2CH2), 2.25∼2.45(splitting in two peaks, 2H, CCH2), 4.60(m, 1H, OCH(L-DMO)), 5.17(q, 3H, OCH×2(L-LA), NHCH(L-DMO) ), 6.60ppm(br. m, 1H, NH).
다음에, 상기 폴리머의 제반 물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폴리머의 조성은 400MHZ의 핵자기공명장치(JEOL JMN-LA400)를 사용하여 측정한1H NMR스펙트럼의 피크적분치비에서 결정하였다.
또, 이들 스펙트럼에서 코폴리머의 연쇄배열(램덤성)에 대해서도 추정을 실시하였다.
폴리머의 수평균분자량(Mn)과 분자량분포(Mw/Mn)은 히가시소-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GPC8010시스템{칼럼 : TSK gel(G2000HHR+G3000HHR+G4000HHR+G5000 HHR),칼럼온도 40℃, 시차굴절율(RI)검출기}을 이용하여, 표준 폴리스틸렌에 의해 제작한 검량선에서 결정하였다.
용리액(溶離液)으로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고, 유속은 1mLmin-1로 하였다.
폴리머의 열적특성, 즉 유리전이온도(Tg), 융점 (Tm) 및 융해열(ΔHm)은 세이코전자공업주식회사 제품의 시차주사 열량계 SSC5100DSC22C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질소분위기하, 승온속도 10℃/min에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열적특성의 값으로부터도 코폴리머의 랜덤성에 대하여 추정하였다.
폴리머의 기계적 특성(파괴시의 인장강도와 신장)은 주식회사 오리엔텍 제품의 인장시험기 RTC-1210A 를 사용하여, 크로스헤드스피드 50mm/min 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최소한 3회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채용하였다.
그리고, 폴리머 샘플의 덤벨(dumbell)시험편(평행길이 ×폭 ×두께=12 ×2.65 ×1.46mm)은 폴리머재료를 180∼200℃에서 약 5분간 가열프레스하여 제작하였다.
다음에, 폴리머의 효소분해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효소분해시험은 종래와 동일하게 하였지만, 다음에 개략을 나타낸다.
폴리에틸렌제의 시트메시(그물눈 약 1 ×1mm)에 봉입한 폴리머필름(막두께 약 100㎛, 수10㎎)을, 효소 및 완충액(50ml)이 들어간 샘플관병 내에서 인큐베이트 (37℃)함으로써 분해하였다. 효소농도는 폴리머샘플 1㎎ 당 1 국제단위(IU)로 하였다.
그리고, 효소를 함유하는 완충액(분해액)은 산소활성의 저하나 공기중의 미생물의 혼입ㆍ증식을 고려하여, 약 40시간마다 새로운 분해액으로 교환하였다.
분해성은 분해 전후의 폴리머의 중량 및 물성(분자량, 조성, 열적 특성)의 변화에 따라 평가하였다.
효소로서 프로테아제의 1종류인 프로테이나아제 K(Tri tirachium album 유래, 와코우준야쿠(和光純藥)공업주식회사 제품, 활성 20IU/㎎)를 제품의 완충액으로서 Tricine(pH 8.0)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시험에 의한 L-DMO/CL/L-LA 3원 공중합체 및 각 호모폴리머의 중합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CL 및 L-LA 호모폴리머{각각 poly(CL), poly(L-LA)}의 경우, 고분자량이며 또한 고수율로 폴리머를 얻을 수 있었지만, L-DMO 호모폴리머{poly(L-DMO)}는 수율, 분자량 모두 낮은 것밖에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생성된 뎁시펩티드폴리머가 그 모노머(여기에서는 L-DMO)나 올리고머와의 에스테르교환반응 또는 분자사슬 절단의 원인이 되는 백바이팅(backbiting)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3원 공중합체의 경우, 코폴리머조성비에서 본 공중합 조건하에서는 L -LA의 반응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또, L-DMO는 CL 보다 코폴리머 내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CL에 비해 반응성은 낮지는 않다. 그러므로, 상기한 L-DMO 호모폴리머의 분자량이나 수율이 낮은 원인은 역시 그 에스테르교환이 일어나기 쉬움에 있다.
코폴리머의 분자량이나 수율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그들의 값은 L-DMO 함유량의 증대와 함께 서서히 저하된다. 이 점도 상기의 고찰을 뒷받침하고 있다.
얻어진 3원 공중합체 및 각 호모폴리머의 열적특성을 도 11에 나타낸다.
종래부터 보고되고 있는 바와 같이, poly(CL)은 Tg, Tm이 각각 약 -60 및 60℃의 유연성이지만, 저융점의 결정성 폴리머, poly(L-LA)는 Tg, Tm이 각각 약 60 및 180℃의 고융점이지만 단단하고 유연한 결정성 폴리머이며, 또 poly (L-DMO)는 비결정성 유리와 같은 폴리머이다.
3원 공중합체의 경우, Tg및 Tm이 각각 하나밖에 관찰되지 않고, 그들의 값도 조성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는 것은 랜덤성이 강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또 기계적 특성에서의 인장강도와 신장(유연성)과의 밸런스에서 말하면, Tg값은 35℃ 전후가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5에는 L-DMO/CL/L-LA(8 : 13 : 79) 3원 공중합체의1H NMR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도 3원 공중합체가 랜덤성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CL유닛 중의 α- 및 ε-메틸렌의 프로톤피크(f, i)는 인접하는 코모노머 유닛에 민감하며, 이들 피크가 각각 2개로 분열하고 있다는(f, i의 고(高) 자장측의 피크가 CL-CL의 호모시퀀스에, 저고(低高) 자장측의 피크가 L-LA-CL 및 L-DMO-CL의 헤테로시퀀스에 따른 피크에 해당함)것에서 이 3원 공중합체가 랜덤 코폴리머인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L-DMO의 Tm(약 170℃)보다 낮은 120℃에서의 공중합에 있어서, 이 유닛이 정확하게 코폴리머내에 도입되는 것은 반응성이 높은 L-LA( Tm은 약 95℃)의 중합이 먼저 일어나고, 이 활성의 성장 말단에 의해 L-DMO(및 또는 CL)가 개환하여, 코폴리머내에 랜덤하게 내포되기 때문이다.
도 12에는 3원 공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인장특성)과 열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면중의 3원 공중합체는 이들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새롭게 큰 스케일로 합성한 것이다(주로 폴리머의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해 CL량을 변화시켜 합성함). 분자량(Mn)적으로는 모두 10만 이상(10.2∼15.8만)의 것을 얻을 수 있으므로 물성에 미치는 분자량의 영향은 그다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
먼저, 인장특성은 CL 함유량의 증대 즉 L-LA량의 감소에 따라 그 강도는 저하되는 반면, 신장은 CL량 20mol%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코폴리머의 유연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 3원 공중합체의 인장강도는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PE)보다 크고, 폴리프로필렌(PP) 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비오노레〔(폴리부틸렌사크시네이트(PBSU), 쇼와고분자주식회사 제품〕이나 바이오폴〔P (3HB-co-3HV), 니혼몬산트주식회사 제품〕보다 인장강도는 크다.
파단신도(破斷伸度)는 CL 함유량 20mol% 이상의 샘플에서는 바이오폴보다 확실히 크고, PE, PP 및 비오노레와 동등 이상이었다.
한편 3원 공중합체의 열적 특성은,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Tm, ΔHm의 양쪽 모두 CL량의 증가에 따라 저하하였지만, 모두 Tm100℃ 이상의 결정성 폴리머인 것을 알았다.
이들 기계적 특성과 열적 특성에서 판단하여, CL함유량 20mol% 이상의 L -DMO/CL/L-LA(4 : 20 : 76) 3원 공중합체(Tg= 34.3℃)가 물성의 밸랜스가 잡히고 있다.
이어서, 효소분해성을 조사하기 전에, 완충액만을 함유한 분해액에 의한 가수분해시험을 하였다(도 6). 그리고, L-DMO호모폴리머는 수용성을 나타내므로 분해시험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수분해성은 CL유닛량의 증가에 따라 저하하고, 반대로 L-DMO 유닛량의 증가와 함께 상승하고 있다.
따라서, L-DMO〈 L -LA〈 CL 유닛의 순으로 소수성이 커진다. 그러나, 최대를 나타내는 3원 공중합체에서도 200시간 후의 중량 감소는 10% 정도이다.
도 7에는 3원 공중합체와 각 호모폴리머의 프로테이나아제 K에 의한 산소분해성을 나타낸다.
호모폴리머의 경우, poly(L-LA)는 어느 정도 분해되는 것에 대하여, 열적특성면에서 생각하면 더욱 분해되기 쉬운 poly(CL)은 200시간 이내에서 대부분 중량 감속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것은 본 효소가 에스테르결합간의 알킬사슬길이가 짧고 또한 측쇄를 갖는 폴리머{여기에서는 락토일기〔-O-CH(CH3)-CO-〕를 갖는 poly(L-LA)}에 대해서는 기질 특이성이 높지만, 에스테르결합간의 에틸렌사슬이 직쇄이고 비교적 긴 poly(CL)에는 특이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3원 공중합체의 경우, L-DMO 유닛 함유량의 증가와 함께 분해성이 poly(L-LA)에 비해 크게 증가한다. 이것은 본 효소가 동일하게 락토일기를 갖는 L-DMO 유닛에도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이 큰 요인일 것이다.
다른 원인으로서는 poly(L-LA)에 비해 3원 공중합체의 분자량(Mn)이나 열적 특성(Tm, ΔHm)이 저하되고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도 11).
어쨌든 L-DMO/CL/L-LA 3원 공중합체는 poly(L-LA)의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을 비교적 유지하면서 프로테이나아제 K에 의한 효소분해성이 향상하였다.
계속해서, 효소에 의한 분해메카니즘을 추정하기 위해 L-DMO/CL/L- LA(8 : 8 : 84) 3원 공중합체의 프로테이나아제 K에 의한 분해 전후의 폴리머의 제반 물성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도 13).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해의 진행에 따라 잔존 폴리머 내의 L -DMO 유닛 함량이 크게 저하되는 결과가 되었다.
본 효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L -LA 및 L-DMO의 양 유닛에 대하여 기질 특이성을 갖고 있지만, L-LA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 도메인은 결정성이므로 L-DMO 유닛이 많이 함유되는 비결정성 친수부(親水部)의 분해성이 커지고, 그 조성비가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대부분 분해되지 않는 CL유닛량도 감소하고 있으므로, L-DMO 유닛의 근처에는 CL 유닛이 존재하고, 양자간의 에스테르결합이 효소에 의해 절단되었다는 것이 시사된다.
폴리머의 분자량(Mn)은 분해의 진행과 함께 저하하고, 그 분포(Mw/Mn)는 확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효소에 의한 분해는 폴리머필름내부에서도 랜덤하게 진행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폴리머의 열적 특성(Tm, ΔHm)은 분해의 진행에 따라 상승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L-DMO 유닛을 많이 함유한 비결정성 친수부의 분해가 우선하여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NMR(핵자기공명측정장치)이나 열적특성의 측정결과에서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알았다.
이로써, 뎁시펩티드를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상실하지 않고 비약적으로 분해속도가 상승한 것을 알았다.
또, 도 7에 이 뎁시펩티드유닛을 갖는 공중합체의 효소분해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는 락티드를 L-락티드로 설명하였지만, L-락티드와 그 경상(鏡像) 이성체인 D-락티드를 조합하여 중합하고, 스테레오컴플렉스를 형성함으로써 융점 등의 열적 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유리전이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자유형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3원 공중합체가 아닌 뎁시펩티드와 L-락티드를 공중합하여 뎁시펩티드가 개환 중합한 2원 공중합체라도 되고, 또한 뎁시펩티드와 상기한 L-락티드와 그 경상 이성체인 D-락티드를 조합하고 공중합하여 스테레오컴플렉스를 형성한 락티드를 공중합하여 뎁시펩티드가 개환 중합한 공중합체의 스테레오컴플렉스로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예
폴리 ε-카프로락톤의 원료인 ε-카프로락톤과 공중합하여 뎁시펩티드가 개환 중합한 공중합체를 얻은 경우의 펩티드유닛을 갖는 공중합체의 구조를 도 2에 나타낸다. U는 뎁시펩티드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예와 동일하게 기계적 강도가 부여되어, 분해속도가 상승하였다.
여기서, 펩티드유닛을 갖는 공중합체중의 뎁시펩티드유닛의 영향을 알기 때문에, 뎁시펩티드중의 측쇄 R기를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로 변화시켜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도 8에 뎁시펩티드를 갖는 공중합체의 분해특성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분해특성은 메틸기 〉〉이소프로필기〉이소부틸기의 순으로 되어, 측쇄의 높이의 증대에 따라 분해성은 감소한 것을 알았다.
제 3 실시형태예
뎁시펩티드로서 3-이소프로필-6-메틸-2.5-몰포린디온(PMO)을 사용하여, 폴리 ε-카프로락톤과 공중합하여 뎁시펩티드가 개환중합한 공중합체로 하였다.
그래서, 뎁시펩티드량을 변화시킨 경우의 열적 특성과 분해속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열적 특성의 관계를 도 14에, 분해속도의 관계를 도 9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뎁시펩티드량의 증가에 따라 유리전이온도(Tg)는 상승하고, ε-카프로락톤량이 20mol% 이하에서는 융점(Tm) 및 융해열(ΔHm)이 관찰되어, 결정성을 갖는 것을 알았다.
또, 분해속도는 뎁시펩티드량의 증대와 함께 상승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생체흡수성 폴리머로서 ε -카프로락톤과 폴리유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생체흡수성 폴리머라도 되고, 예를 들면 폴리디옥사논,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및 그들 2개 이상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흡수성 폴리머에 환형 뎁시펩티드를 공중합시켜 뎁시펩티드유닛을 갖는 공중합체로 함으로써 역학적 특성 및 분해특성을 조정한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펩티드유닛을 알킬기로 수식(修飾)하는 것에 의해서도 역학적 특성 및 분해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7)
- 생체흡수성 폴리머와 환형(環形) 뎁시펩티드를 공중합시켜 뎁시펩티드가 개환(開環) 공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뎁시펩티드의 첨가량을 2%∼60%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생체흡수성 폴리머를 카프로락톤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뎁시펩티드가 환형 뎁시펩티드이며, 카프로락톤이 ε-카프로락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생체흡수성 폴리머를 락티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뎁시펩티드가 환형 뎁시펩티드이며, 락티드가 L-락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뎁시펩티드가 환형 뎁시펩티드이며, 락티드가 L-락티드와 D-락티드와의 스테레오컴플렉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생체흡수성 폴리머를 카프로락톤과 락티드를 공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뎁시펩티드와 생체흡수성 폴리머의 비율을 변경하여 생분해속도를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알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알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메틸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이소프로필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이소부틸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메틸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뎁시펩티드의 측쇄 R'기를 에틸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 생체흡수성 폴리머와 환형 뎁시펩티드를 공중합시킬 때에 뎁시펩티드를 개환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2/006330 WO2004000376A1 (ja) | 2002-06-25 | 2002-06-25 | 医療用生分解性生体吸収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3186A true KR20050013186A (ko) | 2005-02-03 |
Family
ID=298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07426A KR20050013186A (ko) | 2002-06-25 | 2002-06-25 |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WO2004000376A1 (ko) |
KR (1) | KR20050013186A (ko) |
CA (1) | CA2428640A1 (ko) |
WO (1) | WO20040003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75153A (ja) * | 2004-12-24 | 2006-07-06 | Goodman Co Ltd | 医療用生分解性生体吸収材料 |
US8529625B2 (en) * | 2003-08-22 | 2013-09-10 | Smith & Nephew, Inc. | Tissue repair and replacement |
US7862830B2 (en) * | 2006-07-13 | 2011-01-04 |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 Stereocomplex-forming composition and implantable medical device comprising same |
US8298466B1 (en) | 2008-06-27 | 2012-10-30 |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 Method for fabricating medical devices with porous polymeric structur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41496A (en) * | 1982-02-08 | 1984-04-10 | Ethicon, Inc. |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2,5-morpholinediones and surgical devices formed therefrom having accelerat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
US4916209A (en) * | 1987-12-23 | 1990-04-10 | Pfizer Inc. | Bioabsorbable polydepsipeptid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
-
2002
- 2002-06-25 CA CA002428640A patent/CA24286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06-25 KR KR10-2003-7007426A patent/KR200500131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6-25 JP JP2004515461A patent/JPWO2004000376A1/ja active Pending
- 2002-06-25 WO PCT/JP2002/006330 patent/WO2004000376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04000376A1 (ja) | 2005-10-20 |
CA2428640A1 (en) | 2003-12-25 |
WO2004000376A1 (ja) | 2003-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oi et al.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elastic PLGA/PCL/PLGA tri-block copolymers | |
US7067611B2 (en) | Polyhydroxycarboxylic acid and its production process | |
Grijpma et al. | (Co) polymers of l‐lactide, 1. Synthesis, thermal properties and hydrolytic degradation | |
Gonsalves et al. | Degradation of nonalternating poly (ester amides) | |
US5424346A (en) | Biodegradable replacement of crystal polystyrene | |
EP2196484B1 (en) |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having controlled degradation rates | |
US5633342A (en) | Method for the synthesis of environmentally degradable block copolymers | |
US5824751A (en) | Biodegradable high molecular composition | |
Chen et al.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 (L‐lactide)‐Poly (Ethylene glycol) multiblock copolymers by coupling triblock copolymers | |
Nakayama et al. | Synthesis and degradability of a novel aliphatic polyester: poly (β-methyl-δ-valerolactone-co-L-lactide) | |
WO1997015609A9 (en) | Method for the synthesis of environmentally degradable block copolymers | |
JPH08504850A (ja) | ゴム変性されたポリラクチドおよび/またはグリコリド組成物 | |
Abe et al. | Physical properties and enzymic degradability of polymer blends of bacterial poly [(R)-3-hydroxybutyrate] and poly [(R, S)-3-hydroxybutyrate] stereoisomers | |
EP1832302A1 (en) | Biodegradable and bioresorbable material for medical use | |
US5492997A (en) | Copolymer of lactone and carbona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h a copolymer | |
Hou et al. | The in vitro enzymatic degradation of poly (trimethylene carbonate-co-2, 2′-dimethyltrimethylene carbonate) | |
Bezemer et al. | Amphiphilic poly (ether ester amide) multiblock copolymers as biodegradable matrice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proteins | |
EP1041118B1 (en) | Resin composition | |
KR20050013186A (ko) | 의료용 생분해성 생체흡수재료 및 그 제조방법 | |
Vera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degradation studies on the series of sequential poly (ester amide) s derived from glycolic acid, 1, 6-hexanediamine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 |
US20050163822A1 (en) | Biodegradable bio-absorbable material for clinical pract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AU2014237773B2 (en) | Polylactone polymers prepared from monol and diol polymerization initiators possessing two or more carboxylic acid groups | |
Kurokawa et al. | Surface properties and enzymatic degradation of end-capped poly (L-lactide) | |
Chen et al. | Hydrolytic degradation of polyester–polyether block copolymer based on polycaprolactone/poly (ethylene glycol)/polylactide | |
JP3301505B2 (ja) | ポリ乳酸共重合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