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573A -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573A
KR20050012573A KR1020030051570A KR20030051570A KR20050012573A KR 20050012573 A KR20050012573 A KR 20050012573A KR 1020030051570 A KR1020030051570 A KR 1020030051570A KR 20030051570 A KR20030051570 A KR 20030051570A KR 20050012573 A KR20050012573 A KR 20050012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 code
bluetoot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573A/ko
Publication of KR2005001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채널 연결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간에 협의된 액세스 코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액세스 코드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따라서, 통화채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도록 설정하므로, 조회 과정에서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만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므로, 신속하게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장치의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채널 연결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통신 및 컴퓨터 산업에서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링크 등이 실제로 가능해졌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최근 개발 추세에 따라 점차 소형 및 휴대성을 강조하는 장치간의 통신 및 사무 기기간의 복잡한 연결 케이블의 제거를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 전문적인 코드 즉, '블루투스(Bluetooth)'가 정의되었다.
상기 블루투스는 좁은 범위 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PC, 휴대폰을 비롯한 이동 통신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주는 규격으로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준다. 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기술인 블루투스 모듈이 휴대폰과 랩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및 조이스틱 등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단말기들은 조회(inquiry) 과정과 연결(connection) 과정을 통해 서로 간에 통화 채널이 연결된다. 여기서, 조회 과정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전파의 통달거리(일반적으로 반경 10미터) 내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얻어내는 과정이고, 연결 과정은 조회 과정에서 얻어진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반경 내에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복수의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들은 블루투스 표준에서 정의된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된다.
그러나,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단말기 사용자들이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기억하기도 어렵다. 블루투스 표준에서는 각 단말기마다 고유의 이름을 지정해서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지만 이는 연결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모르는 조회 상태에서 특정 단말기와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려면 조회 과정에서 수집된 어드레스를 통해 모든 단말기들과 연결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말기들의 이름 등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와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복수의 단말기들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통화채널 연결을 원하는 특정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단말기들과 모두 연결을 시도해야 하므로, 통화채널 연결을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당한 통화채널 연결시간이 소요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 사용자들의 불만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기기간의 통화채널 연결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루투스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화 채널 연결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IAC에 대한 특정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100-2,100-3,100-4,100-5,100-6 : 제1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
200 : 호스트
202 : 블루투스 모듈
308 : HCI 펌웨어
310 : 링크 매니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간에 협의된 액세스 코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액세스 코드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에 따르면, 통화채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도록 설정하므로, 조회 과정에서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만 어드레스를 입력받으므로, 신속하게 통화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루투스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100-3,100-4,100-5,100-6)를 포함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범위는 반경 10m 내외이다.
여기서, 제1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1, 100-2, 100-3, 100-4, 100-5, 10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의 주체를 호스트(200)라 하고 이의 요구를 수용하여 블루투스 표준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를 블루투스 모듈(202)이라 한다. 호스트(200)와 블루투스 모듈(202)간은 HCI(Host Control Interface)라고 하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고 이에 준하는 패킷을 주고받음으로써 제어 명령과 이의 결과 및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간다.
HCI 패킷을 실제로 전달하는 것으로는 널리 알려진 RS232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 인터페이스 등이 활용될 수 있다. HCI 패킷은 커맨드(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data)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들 중 커맨드 패킷은 블루투스 모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60여 개의 명령어를 제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200)에는 기타 다른 고계층 드라이버(300), 블루투스 HCI 드라이버(302), 물리적 버스 즉, RS232, USB, PC Card 등의 물리적 버스 드라이버(304)가 구비되며, 블루투스 모듈(202)에는 HCI 펌웨어(firmware)(308), 링크 매니저 펌웨어(Link Manage Firmware)(310) 및 기저대역 제어부(312)가 구비된다. 호스트 제어부의 송신 계층은 물리적 버스 드라이버(304)와 물리적 버스 펌웨어(30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블루투스 시스템은 통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주변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알아내기 위해 조회(inquiry)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회 과정은 호스트가 HCI 명령어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모듈에게 조회 절차를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회를 수행하지 않는 블루투스 단말기는 다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조회 과정에 대한 동작 상황이 허락하는 한 자신의 어드레스를 알려주며 이를 조회 스캔(inquiry scan)이라 한다. 조회 과정에서 수집된 주변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통신을 원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선택 및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이외에도 다양한 HCI 명령과 블루투스 모듈의 어드레스를 이용해 상대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는 조회 과정의 단축을 위한 특정 인쿼리 액세스 코드(Inquiry Access Code ; 이하, IAC라 칭함)를 갖는다. 이때, 특정 IAC는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 사용자들간의 협의에 의해 설정된 동일한 IAC이다.
상기 IAC는 근거리 통신시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읽어 오는 조회 과정에서 사용되는 액세스 코드이다. 블루투스 표준안 ver1.1에 명기되어 있는 IAC의 범위는 0x9e8b00 내지 0x9e8b3f로 총 64개이고, GIAC는 0x9e8b33으로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단말기들은 제3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3,100-4,100-5,100-6)와 같이 GIAC를 사용한다.
상기 특정 IAC를 사용하는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의 연결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화 채널 연결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IAC에 대한 특정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는 사용자들간에 협의된 특정 IAC를 설정한다(S400,S402). 여기서,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 사용자들은 두 단말기간의 통화 연결시 조회 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한 특정 IAC를 협의하고, 협의된 특정 IAC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에 입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표준안에 3바이트의 IAC로 명기되어 있는 각 IAC에 상응하는 특정신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특정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안에 명기되어 있는 3바이트의 IAC 중 16진수로 표기되어 있는 하위 2비트를 10진수의 형태로 0부터 62까지를 순차적으로 부여한 신호이다. 즉, 0x9e8b00은 '0', 0x9e8b01은 '1', ...,0x9e8b32는 '32', 0x9e8b34는 '33',...,0x9e8b3f는 '62'의 특정신호로 정의된다. 이때, 0x9e8b33은 GIAC이므로, IAC 범위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 사용자들이 특정 IAC를 0x9e8b34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 사용자는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에 '33'을 입력한다.
이때,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는 내부의 HCI 펌웨어(308)의 표준 명령어에 의해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33'이라는 특정신호에 상응하는 특정 IAC를 설정한다. 즉,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는 HCI 펌웨어(308)의 'Write_Current_IAC_LAP' 명령어에 의해 특정신호에 상응하는 특정IAC를 설정한다.
이어, 특정 IAC가 설정된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와의 통신채널 연결을 위한 조회 과정을 수행한다(S404). 여기서, 조회 과정은 통상적으로 10초 정도 수행된다.
즉, 조회 과정을 수행하는 모듈에서 조회의 시작은 일정한 간격(interval)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조회를 하라는 명령을 호스트(200)가 보낸다. 이 명령에 의해 HCI 펌웨어(308) 및 링크 매니저(310)가 기저 대역측을 제어하기 위해 레지스터에 값을 설정하고, 기저 대역측에서는 조회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된다. 이때, HCI 펌웨어(308)는 표준 명령어 중 'Read_Number_Of_Supported_IAC' 명령어 및 'Read_Current_IAC_LAP' 명령어를 이용한다.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와의 근거리 통신 반경 범위 내에 있고, 조회 과정을 수행 중이지 않으며, 조회 과정에 대한 동작 상황이 허락하는 제2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2,100-3,100-4,100-5,100-6) 중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만이 자신의 어드레스를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S406).
즉,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만이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와 동일한 특정 IAC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의 조회 과정에 응답하여 자신의 어드레스를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조회 과정에서 얻어진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원하는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와의 통신채널 연결을 수행하고(S408), 통신채널이 연결된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S410).
한편, 특정 IAC가 아닌 GIAC가 설정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채널 연결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6)와 통화채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채널 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근거리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얻기 위한 조회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는 GIAC를 가지므로,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와 제4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4,100-5,100-6)로부터 어드레스를 읽어 오기 위한 조회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의 조회 과정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1,100-2)와 제4 내지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4,100-5,100-6)는 자신들의 어드레스를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로 전송하는 조회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제3 블루투스 단말기(100-3)는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블루투스 단말기들로부터 어드레스를 수집했으나, 어떤 어드레스가 연결을 해야 하는 제6 블루투스 단말기(100-6) 인지를 알지 못하므로, 최악의 경우 5회의 연결 설정을 시도해야 한다.
그러므로, 통화채널 연결 설정을 위하여 특정 IAC를 설정한 경우, 연결을 원하는 해당 블루투스 단말기의 어드레스만을 획득하므로, 조회 과정을 단축시킬 수있고, 획득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한번의 통화채널 연결 동작을 통해 통화 채널을 연결할 수 있어, 통화채널 연결 설정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시스템의 통신 제어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IAC 설정을 위한 특정신호를 입력받는다(S600). 여기서, 특정신호는 블루투스 표준안에 명기되어 있는 3바이트의 IAC 중 16진수로 표기되어 있는 하위 2비트를 십진수의 형태로 0 부터 62까지를 순서대로 부여한 신호이다. 즉, 0x9e8b00은 '0', 0x9e8b01은 '1', ...,0x9e8b32는 '32', 0x9e8b34는 '33',...,0x9e8b3f는 '62'의 특정신호로 정의된다.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신호에 상응하는 특정 IAC를 설정한다(S602). 한편,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 사용자와 사전에 협의된 다른 블루투스 단말기 즉, 본 발명에서는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도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와 동일한 IAC를 설정한다.
이어,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사용자로부터 일정의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604).
상기 단계(S604)에서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요청신호에 따른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한 조회 과정을 수행한다(S606). 여기서,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의 근거리 무선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블루투스 단말기 중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와 동일한 IAC를 갖는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만 조회 스캔 동작을 통해 자신의 어드레스를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로 전송한다.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는 조회 과정을 통해 동일한 IAC를 갖는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로부터 어드레스를 수신하고(S608), 수신된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와 통화채널을 연결한다(S610). 이때, 통화 채널이 연결된 제1 블루투스 단말기(100-1)와 제2 블루투스 단말기(100-2)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은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단말기간에 사전 협의된 동일 IAC를 갖도록 설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회 과정에서 통화채널 연결을 원하는 단말기 즉, 동일한 IAC를 갖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만 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수신된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화채널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단말기로부터만 어드레스를 수집하므로, 통신반경 내에 있는 다른 단말기들의 어드레스 수집을 행하지 않으므로, 조회 과정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채널 연결을 위한 어드레스에 의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통화채널 연결이 필요 없는 어드레스에 의한 통화채널 연결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연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회 과정 및 연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사용자들에게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들간에 협의된 액세스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액세스 코드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갖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코드는 인쿼리 액세스 코드(Inquiry Access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쿼리 액세스 코드는 3바이트로 구성되며, 0x9e8b33을 제외한 0x9e8b00 내지 0x9e8b3f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코드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쿼리 액세스 코드에 상응하는 특정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신호는 상기 3바이트의 인쿼리 액세스 코드에서 16진수 형태로 표현된 하위 2비트를 10진수 형태로 0부터 순차적으로 62까지를 부여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KR1020030051570A 2003-07-25 2003-07-25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KR20050012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70A KR20050012573A (ko) 2003-07-25 2003-07-25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70A KR20050012573A (ko) 2003-07-25 2003-07-25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573A true KR20050012573A (ko) 2005-02-02

Family

ID=3722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570A KR20050012573A (ko) 2003-07-25 2003-07-25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5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9B1 (ko) * 2007-11-15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관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59B1 (ko) * 2007-11-15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관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127B1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US8005952B2 (en) Method for intelligently selecting wireless access point
US72156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airing
KR100735382B1 (ko) 블루투스 기기의 보안 통신 방법 및 장치
US85206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bluetooth-enabled devices to a personal computer
US70432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virtual serial communications port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in a Bluetooth communications network
CN1992551B (zh) 通信设备和电功率控制方法
EP38931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EP1209877A1 (en) Communication unit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9438718B2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WO2002045382A2 (en) Service record for an application running on a wireless device
JP3612050B2 (ja) 無線通信機器及びこれを適用した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の通信方法
KR20050001056A (ko) 유무선 데이터 인터페이스방법 및 장치
KR10064056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기록매체
US20090213824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acket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6754469B1 (en) Method for reducing temporal connections among bluetooth devices
US7448074B2 (en) Method for using user data in a bluetooth device without user interface
KR101199384B1 (ko)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방법
KR20130124049A (ko) 음성 인식을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 연결 가능한 차량용 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050012573A (ko)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방법
KR20080022296A (ko) 블루투스 단말기에서의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KR100480649B1 (ko) 블루투스 서비스 시스템
KR100533745B1 (ko) 이동식 메모리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정보 이동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30233480A1 (en) Apparatus for integrat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JP3001425B2 (ja) 携帯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装置および携帯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