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537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537A
KR20050012537A KR1020030051525A KR20030051525A KR20050012537A KR 20050012537 A KR20050012537 A KR 20050012537A KR 1020030051525 A KR1020030051525 A KR 1020030051525A KR 20030051525 A KR20030051525 A KR 20030051525A KR 20050012537 A KR20050012537 A KR 2005001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ting
shortcut
input
phon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279B1 (ko
Inventor
강성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 입력 시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연속 번호를 하나의 특정 번호로 지정하여, 전화번호 입력 시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제전화와 같이 많은 숫자 키를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입력해야 할 연속 번호를 입력한 후 단축번호 등록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 등록 버튼에 의해 단축번호 등록 화면으로 전환되면, 특수키(#, *)와 단축번호로 지정할 숫자 키를 연속해서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입력하여 단축번호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가 등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 입력 중 특수키와 숫자 키로 이루어진 단축번호가 입력되는 즉시 그 단축번호로 등록된 전화번호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PHONE NUMB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 입력 시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연속 번호를 하나의 특정 번호로 지정하여, 전화번호 입력 시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 버튼을 누르면,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 목록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다시 '통화' 버튼을 누르면, 그 전화번호로 호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전화 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에도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전화 번호부 메뉴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통화' 버튼을 누르면 그전화번호로 호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한번도 통화를 하지 않았던 상대에게 전화를 할 경우나, 전화 번호부에 등록할 전화번호를 입력 할 경우에는, 예컨데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자 번호(또는 지역번호), 국 번호, 가입자 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한다.
도1은 전화번호의 입력, 검색 및 삭제 시 그 메뉴 출력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화 번호부' 메뉴를 누르면 도1의 (c)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 검색, 삭제를 위한 부 메뉴가 출력되고,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 메뉴 중에서 '전화번호 입력'을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도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 창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주소, 캐릭터 등을 입력한 다음 '저장'버튼을 눌러 등록을 완료한다. 만약, 단말기에 발신자 확인(CLI : Caller Identifier) 기능이 지원될 경우, 전화 수신과 함께 발신자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저장'버튼을 눌러 전화 번호부에 자동 등록할 수도 있다.
다음,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 메뉴 중에서 '전화번호 검색'을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도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검색 창이 디스플레이 되고,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수신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 주소, 캐릭터 등이 저장된 순서대로 나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를 원하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찾아 '선택'버튼을 눌러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검색 메뉴는 주로 전화번호, 캐릭터와 이름으로 식별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입력 시 일일이 숫자키(0∼9)를눌러 입력하므로 버튼 입력 횟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피씨에서 편집한 전화 번호부를 단말기에 전송할 경우,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입력 방법은, 단축키로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번호를 전부 다 입력할 수밖에 없으며, 전체 전화번호에서 일부만을 단축번호로 지정하여 입력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국제 전화를 자주 하거나, 외국의 특정 도시(같은 국제 번호, 식별 번호)의 여러 번호에 자주 전화를 할 경우, 모든 번호에 대해 단축키를 지정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번호 입력 도중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거는 상대의 마지막 4자리 번호만 다를 경우에 대해서는 쉽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전화번호 입력 시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연속 번호를 하나의 특정 번호로 지정하여, 전화번호 입력 시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제전화와 같이 많은 숫자 키를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입력해야 할 연속 번호를 입력한 후 단축번호 등록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 등록 버튼에 의해 단축번호 등록 화면으로 전환되면, 특수키(#, *)와 단축번호로 지정할 숫자 키를 연속해서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입력하여 단축번호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와;상기 단축번호가 등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 입력 중 특수키와 숫자 키로 이루어진 단축번호가 입력되는 즉시 그 단축번호로 등록된 전화번호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화번호의 입력, 검색 및 삭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축번호에 의해 전화번호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국제전화와 같이 입력할 키가 많은 전화번호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입력해야 할 연속 번호를 특수키를 이용한 하나의 단축번호로 지정하고, 그 단축번호와 직접 키 입력을 조합해서 간편하고 빠르게 전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전화 번호 입력 시 특수키에 의한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그 부분을 단축번호에 지정된 번호로 치환하여 입력한다.
즉, 종래의 단축키 입력방식은 하나의 번호에 전화번호 전체가 등록되고, 그 단축키를 입력하면 '통화'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해당 번호로 전화가 걸리는 동작까지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단축번호 지정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방법은, 기존의 단축키와는 달리 일부 연속된 소정의 번호에 대해서 치환만 이루어지며 계속해서 편집(전화번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축번호 지정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은, 전체 전화번호에 대해서 번호의 시작부분, 중간 부분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여러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특정한 국가에 전화를 많이 걸 경우, '00700-32'와 같이 '국제전화 사업자 번호 + 국가 코드'의 입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이를 특수키(#, *)와 지정번호를 이용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번호로 할당한다(예 : '#1' 또는 '*1' 등).
그러면, 번호 입력 시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이라고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도3의 (b)와 같이 자동으로 '0070032'로 치환되고, 계속해서 지역번호와 국 번호, 개인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면 된다.
두 번째, 상기와 같이 '국제전화 사업자 번호 + 국가 코드'에 한정하지 않고, 외국의 특정 지역에 전화를 많이 걸 경우에는 국번까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00700-32-42'와 같이 '국제전화 사업자 번호 + 국가 코드 + 국 번호'를 통합하여 단축번호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 세 번째로 지역번호나 국번은 다르면서 개인 전화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개인 전화번호를 단축 번호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번이 '707'인 여러 사용자에게 걸 경우, '707'이 '#1'에 할당되어 있다면, '011#1'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011707'로 변환되고, 끝자리가 3456인 여러 사용자에게 걸 경우, '3456'이 '#2'에 할당되어 있다면, '011321#2'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0113213456'으로 변환된다.
즉, 종래의 단축키는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전체를 한 번호에 등록하여 전화 접속까지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능으로, 국제전화와 같이 전화번호가 길다고 해서 모든 전화번호를 단축키로 지정할 수는 없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서와같이 일부 반복되는 번호를 단축번호로 지정함으로써, 긴 전화번호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은, 전화번호 입력 시 반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연속 번호를 하나의 특정 번호로 지정하여, 전화번호 입력 시 간편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국제전화와 같이 많은 숫자 키를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입력해야 할 연속 번호를 입력한 후 단축번호 등록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 등록 버튼에 의해 단축번호 등록 화면으로 전환되면, 특수키(#, *)와 단축번호로 지정할 숫자 키를 연속해서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입력하여 단축번호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가 등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 입력 중 특수키와 숫자 키로 이루어진 단축번호가 입력되는 즉시 그 단축번호로 등록된 전화번호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 중 단축번호가 입력될 경우, 그 단축번호에 대해 소정의 번호로 치환이 이루어진 후, 연속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또 다른 단축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버튼이 입력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편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KR1020030051525A 2003-07-25 2003-07-2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KR10099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25A KR100994279B1 (ko) 2003-07-25 2003-07-2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525A KR100994279B1 (ko) 2003-07-25 2003-07-2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537A true KR20050012537A (ko) 2005-02-02
KR100994279B1 KR100994279B1 (ko) 2010-11-12

Family

ID=3722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525A KR100994279B1 (ko) 2003-07-25 2003-07-2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85B1 (ko) * 2007-04-11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466B1 (ko) * 1996-05-10 1999-07-15 김경덕 전화기의 통신사업자 식별신호 송출 장치
JPH11355448A (ja) 1998-06-09 1999-12-24 Kosaku Tanaka 通信システム
US6542733B1 (en) 1998-10-15 2003-04-01 Open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telephone number dialing lists and dialing capabil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85B1 (ko) * 2007-04-11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279B1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52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장치
US8874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international and local call di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20187815A1 (en) Contact lookup by partial string entry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487229B1 (ko)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EP2031845A2 (en) Telephone apparatus
CN1980271A (zh) 一种快速拨号操作的实现方法
CN101146278A (zh) 界面处理系统及方法
KR20020007852A (ko) 휴대폰의 문자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KR1009942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KR100696095B1 (ko) 전화번호들 선택 개선
KR100360271B1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록 및 검색 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1847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업자 번호 자동 다이얼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2005006049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다이얼링 방법
JP2001257766A (ja) 携帯端末
KR20030037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696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 종류 분류 방법
CN101119564A (zh) 用于便利地编辑电话号码的方法和移动终端
KR20040037388A (ko) 휴대폰에서 착신/발신 빈도수에 따른 전화부의 그룹 관리방법
KR2005009128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및 등록방법
KR200600048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2000276473A (ja) 携帯電話機の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950006179B1 (ko) 팩시밀리 전화번호 리스트 장치 및 제어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