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485A -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485A
KR20050012485A KR1020030051464A KR20030051464A KR20050012485A KR 20050012485 A KR20050012485 A KR 20050012485A KR 1020030051464 A KR1020030051464 A KR 1020030051464A KR 20030051464 A KR20030051464 A KR 20030051464A KR 20050012485 A KR20050012485 A KR 2005001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video
surveillance
camera
imag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재
Original Assignee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485A/ko
Publication of KR2005001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장소를 녹화, 원격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놓고, 이러한 영상을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A digital image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 digital video recorder using DivX codec}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된 카메라와 같은 소정의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장소를 원격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카메라등의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놓고, 이러한 영상을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CCTV(Closed Circuit TV) 등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CCTV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소정의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실질적으로 원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를 사용하므로, 소정의 영상을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감시 시스템에 상주하고 있는 인원이 없으면 자기 테이프의 교체 등 전반적인 시스템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에 기초한 CCTV 감시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DVR(Digital Video Recording) 시스템이 안출되었다. 이러한 DVR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하드 디스크 등에 저장하기 때문에 녹화 및 재생시의 촬영된 영상의 화질 변화가 없고, 저장 매체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용하는 비디오 압축 코덱에 따라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의 사이즈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되는 MJPEG이나 엠팩(MPEG)-2 코덱은 화질은 깨끗하나 비디오 사이즈가 굉장히 큰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MJPEG이나 엠팩(MPEG)-2 방식은 DivX 방식에 비해 압축률이 떨어지므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용량이 작거나 장시간의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MJPEG이나 엠펙(MPEG)-2 방식에 비해 DivX방식은 압축률 및 압축대비 비디오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복원시 압축대비 고화질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화상 압축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촬상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영상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수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촬상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영상인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함)에 DivX코덱(CODEC)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프로세서 수단,및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감시 장치와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분리하고, 촬영된 영상을 DivX 코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화질의 보장은 물론 촬영된 영상의 크기 또한 최적화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털 화상감시장치에 표시되는 초기화면의 건물 전체의 층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20을 터치한 경우, 모니터상에 표시된 층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터치된 카메라(30)에서 전송되는 감시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의 F2를 터치한 경우 표시되는 2층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터치된 카메라(40)에서 전송되는 감시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움직임 검출 또는 스케줄링에 의한 녹화와 실시간 고화질 압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털 화상감시장치의 다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각종 공중망과 이용자와 본 발명의 시스템과의 상호접속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들; 상기 감시 카메라들이 접속되고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를 DivX 방식으로 압축하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Digital Video Processor : 이하 DSP 라함)로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를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레이아웃내에서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카메라가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정보를 포함하는 맵 정보, 및 상기 감시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 및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카메라 표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가 외부 입력 버튼을 사용하여 발생한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카메라로 촬영된 감시 영상 프레임을 사용하여 영상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또는 감시 카메라의 주변에 설치되어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움직임 검출부 또는 감지 센서에 의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하며 움직임이 검출될 때만 DivX 방식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와 제어부는, 셋탑 박스의 형태로 하나의 장치에 임베디드된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된 카메라들의 온/오프, 움직임 검출, 기록 시작/종료의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날짜별, 사건별, 및 카메라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시스템을 자가 진단하고 이상시 자동 복구를 지원하는 시스템 감시부; 및 정전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의 안정성을 높이고 시스템을 보호하는 내장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들로 이루어진 감시 카메라부(10), 감지 센서(11), 알람(12), 복수 개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13, Digital Video Recorder: 이하 DVR이라 칭함), 및 관제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관제부(14)는 터치 패널(142)이 장착되는 모니터(144), 제어부(146), 및 하드디스크(148)를 포함한다. 제어부(146)는움직임 검출부(1462), 스케줄러(1464), 및 시스템 감시부(1466)를 포함한다. 또한, DVR(108)은 A/D 변환부(미도시), DivX 인코딩을 처리하는 DSP(미도시)를 구비한다. 하나의 DVR에는 예를 들어 16 대의 감시 카메라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하드디스크(148)에는 감시 카메라부(10)가 설치된 장소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레이아웃내에서 감시 카메라부(10)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감시카메라들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카메라들이 접속된 DVR(13)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맵 정보, 및 상기 감시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된 카메라들의 온/오프, 움직임 검출, 기록 시작/종료의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하드디스크(148)에는 건물 전체의 층별 레이아웃 화면을 저장한다.
먼저,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146)는 상기 하드디스크(148)에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 및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와 건물 전체의 층별 레이아웃 화면을 사용하여 모니터 상에 건물 전체의 층별 레이아웃 화면을 로딩하고,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의 모니터(144)상에는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초기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는 건물 전체의 층별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만일, 운용자가 로비(LOBBY)라고 표시된 부분(20: F1)을 터치하면 도 3a에나타낸 바와 같이 로비 부분의 전체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로비 부분의 전체 레이아웃상에는 설치된 모든 카메라의 위치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상의 특정 영역에는 감시, 녹화, 재생, 설정, 및 팬(PAN)/틸트(TILT) 제어를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DVR의 식별 번호, 감시 카메라의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카메라 설정 부분을 터치하면, 제어부(146)는 팬(Pan)/틸트(Tilt) 제어, 줌(zoom) 제어, 포커스(focus) 제어를 수행하여 최적의 감시 위치에 해당 카메라를 설정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44)상에 표시된 층별 레이아웃을 보면서 터치 패널(142)을 사용하여 층별 레이아웃 화면상의 특정 카메라 표시(30)를 터치하면 감시 화면 표시 명령을 발생한다. 감시 화면 표시 명령은 카메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46)는 감시 화면 표시 명령에 응답하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감시 영상을 모니터(144)로 출력한다. 이로써, 감시 카메라부(10)를 구성하는 감시 카메라들중에서 감시 화면 표시 명령에 포함된 카메라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카메라로 촬영된 감시 영상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44)상에 표시된다. 이때, DVR(13)에 구비된 A/D 변환부(미도시)는 아날로그 형태의 감시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고, Divx 방식의 인코딩을 처리하는 DSP(미도시)를 기반으로 고화질 압축하며, 필요에 따라 압축된 영상을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을 DivX 방식의 디코딩을 처리하는 DSP(미도시)를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저장된 영상을 모니터로 보낸다.
한편, 운용자가 도 2의 초기 화면에서 2층에 해당하는 부분(F2)을 터치하면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 부분의 전체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2층 부분의 전체 레이아웃상에도 역시 설치된 모든 카메라의 위치가 표시되며, 운용자가 특정 카메라 표시(40)를 터치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144)상에 표시된다.
모니터(112)에서의 비디오 출력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NTSC, PAL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고, 비디오 출력 부분은 TV 모니터와 접속되는 경우에는 1 Vp-p의 BNC 잭이나 콤포지트 그리고 S-Video출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VGA 모니터와 접속 되는 경우에는 VGA포트를 이용하여, 루프백(loop-back) 형식의 16 출력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출력시 이 16개 중에서 골라서 출력할 수도 있고 모두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압축의 형식은 MPEG4를 기반으로 하는 DivX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해상도는 640 × 480, 기록 해상도는 640 ×480(RET) 또는 320 × 240이 가능하다. 운영 체제는 임베디드 리눅스에 의한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는 버튼과 원격 제어(GUI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 수는 16 채널 풀 모션 디스플레이의 경우 초당 480 프레임, 기록되는 프레임수는 10 초당 1 프레임에서 초당 120 -> 480 프레임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제부(14) 내부에는, 예를 들어 채널 멀티 플렉서와 같은 모니터 선택부를 구비하면 상기 모니터 선택부로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감시 화면 신호를 어느 모니터로 전송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카메라의 위치를 표시한 건물 도면이 스크린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카메라를 터치함으로써 모든 작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초보자도 각각의 카메라 위치 파악이 용이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되며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영상 제어가 가능하며, 키보드와 마우스가 필요없는 간결한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지털 감시 장치를 사용하여 촬영된 감시 영상은 풀타임 기록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만 녹화하도록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와 관제부(14)내의 제어부(146)에 구비되는 움직임 검출부(1462)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감지 센서(11)는 감시 카메라의 주변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감지 센서(11)는 카메라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시 센서(11)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DVR(108)은 녹화를 개시하고, 경보기(102b)는 알람을 발령한다. 상기 감지 센서(102a)는 상기 감시 카메라로 촬영된 감시 영상 프레임을 사용하여 영상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1462)로 대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감시 영상중의 임의의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는 기초적인 영역 설정을 통한 움직임 감지도 가능하다.
즉, 상기 움직임 검출부(1462) 또는 감지 센서(11)에 의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알람(12)은 경고음을 발생하고, DVR(13)은 녹화를 개시한다. DVR(13)은 상기감시 카메라들(10)이 접속되고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를 소정의 비디오 압축 표준에 따라 압축하여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를 저장한다.
이로써, 침입 자동 검지 및 녹화/알람 발령이 가능하다. 검지 영역의 설정/해제 및 카메라별 독립적 검지 영역 설정은 주제어 컴퓨터 또는 클라이언트 PC에서 간단히 자유롭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가능하지만, 움직임 검출에 따른 기록 모드를 선택하면, 움직임이 검출될 때만 MPEG4 기반의 영상 압축 관련 DivX 압축 방식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저장한다.
이 때, MPEG4(DivX) -> DivX(MPEG4)는 MPEG1 대비 2.5배의 압축율을 가지므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를 사용하여 감시 영상을 녹화하면 압축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에 구비된 DVR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움직임이 검출될 때 또는 기타 스케줄링 정보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에 의하여 감시 영상을 DivX 표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한정된 용량에 우수한 화질을 보장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움직임 검출 또는 스케줄링에 의하여 녹화할 수 있으며, 실시간 고화질 압축이 가능하다. 압축된 영상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DVR에 저장됨으로써 향후 검색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148)와 제어부(146)는, 셋탑 박스의 형태로 하나의 장치에 임베디드되어 프레임당 평균 2k 바이트의 실시간 압축이 가능한 고화질의영상 압축 기능을 하고, 고속 멀티 레코딩이 지원된다. 16 채널 동영상 디스플레이시에는 총 초당 480 프레임의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16 카메라를 NTSC로 사용시 초당 최대 120 --> 480 프레임까지 녹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루 24시간 동안 기록하는 풀 타임 기록을 예로써 설명하면, 하루 24시간 동안 기록하는 경우, 저장 용량은 30 프레임×2 k 바이트/초 ×60 초 ×60 분 ×24 시간 = 5.1 G 바이트 정도가 되므로, 30-->120 기가 바이트의 하드디스크를 사용시 약 24일간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8 대의 카메라를 연결시 초당 4프레임의 녹화를 예로써 설명하면, 하루 5 시간동안 움직임을 감시하여 저장하는 경우, 4 프레임×2 k 바이트/초 ×60 초 ×60 분 ×5 시간 = 1125 M 바이트 정도가 되므로, 30 -> 120 기가 바이트의 하드디스크를 사용시 약 104일간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6)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정보,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사건명, 카메라 위치, 감시 담당자명등과 같은 검색 조건을 감시 영상과 함께 DVR(13)에 기록하도록 상기 DVR(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녹화된 영상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날짜별, 사건별, 카메라 위치별 등의 다양한 검색 조건에 의하여 필요한 녹화 영상만을 즉시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움직임 검출에 의한 녹화는 사건 발생부터 종료까지 유사 동영상 방식으로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여 침입자의 행동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편리한 녹화 영상 검색 기능을 가진다.
한편, 사용자는 설정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에 다양한 위치들에 설치된 카메라들을 온/오프되도록 하고, 감시 영상의 기록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움직임 검출이 될 경우에만 기록할지의 여부등을 설정한다. 설정된 내용은 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된 카메라들의 온/오프, 움직임 검출, 기록 시작/종료의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다양한 예약 녹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스케줄러(1464)를 구비함으로써 DVR(108)에 연결된 기기의 온/오프, 움직임 검출, 타임 랩스 기록(time laps recording)등의 다양한 동작을 미리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자동적으로 카메라의 조명을 온하거나 감시 모드를 변경하는 등의 조작을 운영자의 개입없이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5)는 일예로 다수 개의 DVR을 연결하기 위한 허브(152)와 LAN 인터페이스(15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DVR(13)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하여 인터넷(16)에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스택킹(stacking) 및 네트워킹이 가능하고, 원격지에서 클라이언트 PC를 사용하여 감시 화면을 모니터링, 영상 다운로드, 및 원격지 카메라 제어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다른 예를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장치에 16 대의 감시카메라와 센서, 알람, 및 감시 모니터, 감시 영상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 및 서버 컴퓨터가 연결되고, 터치스크린과 조이스틱 또는 리모콘과 같은 보조 조작 수단을 사용하여 감시 제어를 수행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를 여러 매장에 설치하고 원격 감시 기능을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매장(매장 #1), 제2 매장(매장 #2), 및 제n 매장(매장 #n)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PSTN, xDSL,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 컴퓨터에서 감시 화면을 모니터링, 영상 다운로드, 및 원격지 카메라 제어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써 이더넷(ethernet) 기반의 LAN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통신선으로서는 T1, E1급의 전용선, ADSL, DSL, ISDN, 또는 PSTN의 어느 것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용선은 IP 주소가 고정이고 전송 속도가 빠르므로 최적 상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선로의 유지 비용이 비싸다. ADSL은 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원격지에서 변경되는 서버의 IP 주소를 알아야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모뎀을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화상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DivX(MPEG4) 기반의 영상 압축 기술로 압축된 영상에 적용되고 있는 워터마킹(watermarking) 기법을 사용하면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 내부에 시스템 감시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시스템을 자가 진단하고 이상시 자동 복구를 지원할 수 있고, 배터리(미도시)를 내장하여 정전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므로 사용의 안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종래의 화상 감시 장치는 비디오 테이프에 반복 녹화시 화질이 저하되고, 테이프 교체가 번거로우며, 테이프의 구입 비용 및 보관 관리비가 소요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감시 영상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관리비등의 추가 비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테이프의 반복 사용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가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반영구적으로 고화질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 감시 장치는 화면 분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할 장치가 필요하고, 순차 검색에 따라 검색 소요 시간이 길다는 불편함이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의 DVR에는 디지털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 밝기 조절, 확대/축소등 다양한 화상 처리 기능을 지원하며, 녹화 영상의 노이즈 자동 제거도 가능하며, 오버레이(overlay)등과 같은 운영자의 조작에 의하여 또는 현장 상황에 맞춘 다양한 감시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면 분할 기능을 자체 내장하기 때문에 기능성이 뛰어나고, 순간 검색, 1화면/4화면 검색, 및 파노라마 검색과 같은 다양한 검색 기능이 제공된다는 장점이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와 같은 PC를 기반으로 DVR을 접목시킨 화상 감시 시스템은 윈도우즈™(Windows™)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채택하고 있어, 일반 PC가 불안정한 것과 같은 이유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고, 최대 저장 속도가 640 ×480 화소의 해상도에서 초당 30 프레임 정도까지만 저장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셋탑 박스 형태로 임베디드된 장치가 가지는 효과로써 산업용 제품과 같은 정도의 신뢰도를 가지며, 월등한 안정성과 탁월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관제실의 형태를 단순하고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기존의 CCTV 또는 VCR을 대체하는 디지털 방식의 첨단 영상 보안 장치로써 사용되며, 별도의 주변 장비 없이 DVR 시스템 하나로 영상의 압축, 저장, 복원, 및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설치 시공 및 운용이 간편하며, 유지 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아 경제적이며, 예약 녹화, 동작 감지 녹화, 시스템 기능 자동 복원, 특정 화면 집중 감시, 편리한 순간 검색, 화면 분할 기능등을 마우스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고도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양질의 디지털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전용선, LAN, 또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추가적인 하드웨어에 대한 요구없이 클라이언트 PC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감시 화면의 모니터링, 영상 다운로드, 및 원격지 카메라 제어등과 같은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외부의 버튼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 형태로 임베디드된 장치가 가지는 효과로써 산업용 제품과 같은 정도의 신뢰도를 가지며, 월등한 안정성과 탁월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관제실의 형태를 단순하고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설치 시공 및 운용이 간편하며, 유지 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아 경제적이며, 예약 녹화, 동작 감지 녹화, 시스템 기능 자동 복원, 특정 화면 집중 감시, 편리한 순간 검색, 화면 분할 기능등을 마우스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장치는 고도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양질의 디지털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전용선, LAN, 또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추가적인 하드웨어에 대한 요구없이 클라이언트 PC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감시 화면의 모니터링, 영상 다운로드, 및 원격지 카메라 제어등과 같은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 화상감시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들이 접속되고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를 DivX 방식으로 압축하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로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를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이아웃 정보와,상기 레이아웃내에서 감시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와, 상기 감시 카메라가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정보를 포함하는 맵 정보, 및 상기 감시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 및 감시 카메라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카메라 표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가 외부 입력 버튼을 사용하여 발생한 제어 명령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카메라로 촬영된 감시 영상 프레임을 사용하여 영상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감시 카메라의 주변에 설치되어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움직임 검출부 또는 감지 센서에 의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하며 움직임이 검출될 때에만 DivX 방식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와 제어부는, 셋탑 박스의 형태로 하나의 장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된 카메라들의 온/오프, 움직임 검출, 기록 시작/종료의 동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날짜별, 사건별, 및 카메라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는 시스템을 자가 진단하고 이상시 자동 복구를 지원하는 시스템 감시부와,
    정전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의 안정성을 높이고 시스템을 보호하는 내장 배터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KR1020030051464A 2003-07-25 2003-07-25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KR20050012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464A KR20050012485A (ko) 2003-07-25 2003-07-25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464A KR20050012485A (ko) 2003-07-25 2003-07-25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485A true KR20050012485A (ko) 2005-02-02

Family

ID=3722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464A KR20050012485A (ko) 2003-07-25 2003-07-25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4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27B1 (ko) * 2006-05-17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자가 진단 방법
KR20190120953A (ko) * 2018-04-17 2019-10-25 이도희 지능형 타임랩스 압축영상 생성방법
KR20210100587A (ko) * 2017-05-29 2021-08-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자가진단이 가능한 영상 관리 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27B1 (ko) * 2006-05-17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자가 진단 방법
KR20210100587A (ko) * 2017-05-29 2021-08-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자가진단이 가능한 영상 관리 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KR20190120953A (ko) * 2018-04-17 2019-10-25 이도희 지능형 타임랩스 압축영상 생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594B2 (en) Watchdog device that provides and interrupts power to a network device in response to a lockup error condition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2007006061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감시영상 출력방법
JPH11284987A (ja) 画像監視システム
KR20080030304A (ko) 감시 카메라의 이벤트 검출 촬영시스템
KR20030039069A (ko) 비 PC기반(stand-alone, 독립형) 방식으로 구성하고 음향채널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저장 장치
JP4611042B2 (ja) 映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映像を出力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439042B1 (ko) 원격지 백업기능을 갖는 디브이알 시스템
KR102165276B1 (ko) 통합관제서버 및 설비를 통합관제하는 방법
KR20050012485A (ko) 디지털 인터넷 비데오 익스프레스 코덱을 이용하는 디지털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화상감시장치
US20070070187A1 (en) Television with built-in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KR200301760Y1 (ko) 디지털 화상 감시 장치
CN101523913A (zh) 具有dvr系统的数字显示设备及其方法
KR100547163B1 (ko) 원격감시시스템
KR101030064B1 (ko)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엔브이알과 홈시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0492429Y1 (ko) 통합관제서버
KR20060086506A (ko) 영상정보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4326762A (ja)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
KR20100030691A (ko) 음향감지를 통한 감시 방법 및 시스템
TWM458749U (zh) 監視攝影機整合管理系統
CA2242322C (en) Digital video security system
KR101248788B1 (ko) 감시 시스템에서의 움직임 감지 방법
CN216623451U (zh) 整合型警报设备
KR20140131694A (ko) 방범용 버티컬 프로젝션 시스템
KR101881276B1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