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851A - 휴대용 척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척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851A
KR20050011851A KR1020030050895A KR20030050895A KR20050011851A KR 20050011851 A KR20050011851 A KR 20050011851A KR 1020030050895 A KR1020030050895 A KR 1020030050895A KR 20030050895 A KR20030050895 A KR 20030050895A KR 20050011851 A KR20050011851 A KR 20050011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e
curved portion
human body
brac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섭
Original Assignee
이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섭 filed Critical 이효섭
Priority to KR102003005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851A/ko
Publication of KR2005001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8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걸상 등에 앉을 경우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이미 척추의 변형으로 인하여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 시켜 골반의 비틀림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체의 척추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된 장방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 몸체에 절첩되게 설치되어 이 몸체의 이동됨을 지지하기위한 구동륜들을 구비하여서, 이미 변형된 척추를 정상화 시키거나 올바른 척추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골반의 비틀림이나 요통등을 예방하여 디스크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척추 교정기{Portable Tool for correcting man's Spine }
본 발명은 인체의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걸상 등에 앉을 경우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이미 척추의 변형으로 인하여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 시켜 골반의 비틀림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가장 중요한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 척추가 부드러운 ‘S ’자 형태로 유지되도록 자세를 잡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책걸상에 앉아서 혹은 운전등을 할때와 같이 다양한 일상생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자세를 의식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무거운 것을 잘못 들거나, 생활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어서 어깨가 한쪽으로 처지거나 장시간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업무를 보는 등의 원인에 의해 인체의 근육이나 뼈, 관절들이 정상(제) 위치에서 벗어나 어긋나게 되면 뼈를 둘러싸고 있는 혈관이나 인대, 근육, 신경 등이 부어 순환이 되지 않아 통증을 일으키게 되고 디스크가 한쪽으로 밀려 나오면서 주위 신경을 압박하여 디스크나 척추질환을 유발하게 되는데, 근래에 들어서 문명의 고도화로 인하여 이러한 질병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만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이탈된 연골을 절재하는 수술로 단순히 통증을 완화시킬수 있을뿐, 이는 근본적인 원인을 즉, 변위된 골격등을 원래의 상태로 정상화 시킬 수 는 없기 때문에 재발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인체의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걸상 등에 앉을 경우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이미 척추의 변형으로 인하여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 시켜 골반의 비틀림들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의 올바른 체형유지를 위한 척추 교정기에 있어서, 인체의 등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장방형(長方形)을 이루며 등과의 대면부위에는 척추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된 판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굴곡부의 이면 양측에 내측으로 절첩(折疊)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이동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동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인체에 탈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의 양단에는 그 몸체의 내측으로 절첩할 수 있게 한 손잡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굴곡부의 표면에는 쿠션부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20,130 : 척추 교정기 106 : 삽입홈
101 : 척추 108 : 쿠션부재
102 : 몸체 118 : 구륜
104 : 굴곡부 122 : 손잡이
132 : 고정밴드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인간의 직립문화의 향유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이면서도 그 의존도가 높은 척추를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혹은 그 변형된 것을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인체의 올바른 체형유지를 돕게한 휴대용 척추 교정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100)는 몸체(102)와 이 몸체(102)로부터 일체 돌출 형성된 굴곡부(104) 그리고 상기 몸체(102)의 굴곡부(104)의 이면 양측으로 설치된 구동륜들(118)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상기 몸체(102)은 인체의 등과 대응되는 크기의 면적을 갖는 장방형(長方形)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몸체(102)는 사람이 척추의 교정을 위해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 인체의 등을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기 몸체(102)로부터 인체의 등과 대면되는 부위에는 인체의 척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굴곡지면서 일체 돌출된 굴곡부(104)가 형성되어져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굴곡부(104)는 인체의 척추와 대응되는 ‘S ’ 자형의 괘적을 그리며 형성되어져 있다. 이는 사람의 척추는 부드러운 ‘S ’자형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이러한 자세가 가장 이상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굴곡부(104)는 인체의 등과 상기 몸체(102)가 밀착시에 척추의 추골(椎骨) 즉, 척추를 이루는 뼈마디들과 그 인접된 근육인 연부조직(軟部組織)을 지압하는 기능을 하여 근육들이 지속적인 긴장을 유지하도록 하게 해준다. 이때, 상기 추골로부터 돌출된 부위로서 등에서 만지면 튀어나와 있는 부분인 극돌기가 상기 굴곡부(106)와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서 무리하게 척추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굴곡부(104)의 중심으로는 이 교정용 굴곡부(104)의 길이방향으로 계곡을 형성하듯 연장되게 형성된 삽입홈(106)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104)의 상단으로는 척추와의 접촉시 그 주변 근육에 가해지는 규정치 이상의 힘에 의하여 받게될 충격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갖는 쿠션부재(108)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02)의 굴곡부(104)의 이면 양측으로는 4개의 구동륜들(118)이 접이식으로 즉, 상기 몸체(102)의 저면과 측면으로 자유자재 위치 변화 시킬수 있도록 절첩되게 설치되어져 있다. 물론 그 설치되는 구륜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절첩되게 설치된 상기 구동륜들(118)을 상기 몸체(102)의 저면으로 위치되게 수동으로 또는 스위치(Switch)(도면에 미도시)등으로 조정한 후, 평면의 벽과 등을 지고 서서 그 벽과 등사이에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100)을 위치시키고, 바른자세로 서서 특히, 인체의 척추(101)가 굴곡부(104)에 밀착되게 하여 상하로 앉았다 일어섰다 하면서 움직여 준다. 이때 구동륜들(118)이 더 구비되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운동을 더욱 용이하고 쉽게 반복적으로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구동륜들(118)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이와같은 형태의 운동은 척추(101)와 인접된 연부조직에 지속적인 자극 즉,지압을 하는 효과를 부여하여 근육조직들을 긴장되게 하여서 힘줄의 힘을 강화시켜 줌으로 변위된 골격 예컨데, 골반등을 탄탄하게 잡아주어서 골반의 비틀림 현상을 사전에 방지 혹은 정상화 시켜준다. 아울러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인접 신경조직과 혈액이 원할하게 순환되어 요통과 같은 디스크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척추 교정기(120)는 상기 몸체(102)의 양단에는 그 몸체(102)의 내측으로 절첩할 수 있게 즉, 수동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122)가 더 설치되어져 있는 것만이 상기 일실시예와 상이할뿐 이하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다.
아울러 그 사용상태를 보면 도5에서 처럼, 접혀있던 손잡이(122)를 펴서 균형있게 손으로 잡은 후에, 상체를 전후로 이동하면서 척추 교정기(120)를 밀고 당김에 의해서 몸체(102)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구동륜들(118)이 회전 되면서 인체의 복부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되게 되어 인체의 복근을 발달시킨다. 이처럼 복근의 발달은 복부의 비대화로 인하여 척추의 변형을 가속화 시켜 결국은 내만증이나 후만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더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은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척추 교정기(130)는 탄력있는 고정밴드(132)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만이 상기 제1,2실시예와 상이할 뿐 이하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다. 이러한 고정밴드(132)는 사람이 의자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앉을 경우에 혹은 벽등에 기대어 운동시에 척추 교정기(130)가 쉽게 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에 직접 메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밴드(132)에는 그 양단으로 조이고 풀림이 용이한 벨트식 바클(134a,134b)이 더 설치되어져 있어서 인체와 상기 척추 교정기(130)이 쉽게 탈착되게 해준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밴드(132)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척추 교정기(100,120,130)은 그 구성요소인 몸체(102)의 저면으로는 중량을 최소화 하여 원재료의 절감은 물론,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힘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휴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간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하도록 함이 좋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이미 척추의 변형이 초래되어 이 척추와 다리의 힘줄을 이완시키면서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올바른 척추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서 외전, 전이등으로 초래되는 요통이나 골반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국은 만성적인 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하고 올바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부차적으로는 손잡이와 구동륜들이 설치되어 복부운동을 통한 균형적인 신체성장 및 유지에도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인체의 올바른 체형유지를 위한 척추 교정기에 있어서,
    인체의 등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장방형(長方形)을 이루며 등과의 대면부위에는 척추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된 판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굴곡부의 이면 양측에 내측으로 절첩(折疊)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이동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동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인체에 탈착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단에는 그 몸체의 내측으로 절첩할 수 있게 한 손잡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표면에는 쿠션부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KR1020030050895A 2003-07-24 2003-07-24 휴대용 척추 교정기 KR20050011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895A KR20050011851A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척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895A KR20050011851A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척추 교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98U Division KR200329859Y1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척추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851A true KR20050011851A (ko) 2005-01-31

Family

ID=3722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895A KR20050011851A (ko) 2003-07-24 2003-07-24 휴대용 척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8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92B1 (ko) * 2006-11-21 2008-07-23 서명수 디스크프리기
WO2015190758A1 (ko) * 2014-06-10 2015-12-17 주식회사 티앤아이 척추 지지대
WO2017221175A1 (en) * 2016-06-22 2017-12-28 Mark Alexander Back supporting apparatus, chai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92B1 (ko) * 2006-11-21 2008-07-23 서명수 디스크프리기
WO2015190758A1 (ko) * 2014-06-10 2015-12-17 주식회사 티앤아이 척추 지지대
WO2017221175A1 (en) * 2016-06-22 2017-12-28 Mark Alexander Back supporting apparatus, chai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07B2 (en) Asymmetrical and complexly-curved, passive, device for relieving back and spinal postural mechanical pain
CN106264827B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Weiß et al. Effect of intensive rehabilitation on pain in patients with Scheuermann’s disease
US20080248936A1 (en) Therapeutic Neutral Spine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20040073150A1 (en) Ambulatory trans-lumbar traction system
US20030130696A1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pinal adjustment
US5925003A (en) Adjustable non-powered orthopedic traction device
US20120179201A1 (en) Chiropractic spinal manipulation boards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US55752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spinal cervical curvature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KR200329859Y1 (ko) 휴대용 척추 교정기
KR20050011851A (ko) 휴대용 척추 교정기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KR100435157B1 (ko) 척추 및 골반 교정기
KR20120131671A (ko) 침대형 염부제의료기
US5570703A (en) Contoured therapeutic spinal support
RU2242207C2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профилактор евминова"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и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0465424B1 (ko) 허리의 근육 신장기
Muscolino Lumbopelvic rhythm
US11389363B2 (en) Vibrating massage table
JP2006102256A (ja) 矯正装置
JPH08126718A (ja) 腰下肢運動療法器具
JP2003052486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