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663A -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663A
KR20050011663A KR1020040012134A KR20040012134A KR20050011663A KR 20050011663 A KR20050011663 A KR 20050011663A KR 1020040012134 A KR1020040012134 A KR 1020040012134A KR 20040012134 A KR20040012134 A KR 20040012134A KR 20050011663 A KR20050011663 A KR 2005001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ervice
information
administr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식스인
오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식스인, 오현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식스인
Priority to KR102004001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663A/ko
Publication of KR2005001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신청자인 관리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직접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인터넷 또는 프로그램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장소에 관계 없이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환경 설정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나 프로그램이 사용되는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달받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제공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전달받은 정보를 서비스가입자(관리자) 별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인터넷 접속하여 제공받고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ERVICE OF THE USER UNIT}
본 발명은 관리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신청자인 관리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직접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인터넷 또는 프로그램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장소에 관계 없이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환경 설정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단말기의 인터넷 또는프로그램 사용내역 정보제공 및 선택적 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확장으로 인터넷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들은 대부분이 개방되어 있어서 누구든지 쉽게 접근 가능하며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급속한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터넷 사용 연령대가 상당히 낮아짐은 물론 누구나 손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현실에 있다.
상기와 같은 현실로 인하여 인터넷으로 인한 많은 폐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집안의 자녀들이 유해한 인터넷 사이트(성인사이트, 자살사이트 등) 및 과도한 게임 사용, 유해 프로그램 사용의 문제부터 기업체의 구성원들이 업무시간에 유해사이트를 접속하는 등의 이유로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 기업의 중요자료 유출 등의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는 없으며, 단지 유해사이트로 분류되어 있는 인터넷 주소 목록을 기본으로 인터넷 서비스업체(ISP 업체) 차원에서 차단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일방적인 차단을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을 뿐이다.
종래의 유해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가입자 단말기 기반에서 유해사이트에 대한 등급 표시가 된 사이트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할 경우 웹 상의 기능을 설정하여 다운로드가 되더라도 웹 상에 화면 표시를 하지 않음으로써 가입자가 유해사이트에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유해사이트를 차단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이용자의 트래픽을 네트워크 상에서 분류하고 차단 서버로 전달하여 유해사이트에 대한 필터링을 함으로써 유해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시키는 방법이 존재한다.
또 다른 유해사이트의 차단 방법으로, 가입자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상에 차단 서버를 두고 차단 서버로부터 정기적으로 가입자 단말기에 차단 목록을 전달하여 가입자 단말기가 원천적으로 유해사이트에 대한 차단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서버 개념을 이용한 것으로, 즉,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중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입자는 차단 서버에 등록하여 차단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프로그램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고 차단 서버로부터 사전에 정해진 유해사이트 목록을 다운로드 받게 되면,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받은 목록을 설치 및 갱신함으로써 가입자가 유해사이트를 접근하고자 할 경우 가입자의 단말기가 알아서 유해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전에 정해진 유해사이트들만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해사이트 목록에서 빠진 유해사이트, 새로 생긴 유해사이트 등을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게임사이트와 같은 경우는 유해사이트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차단하기는 불가능하다. 또한 일방적인 통제 및 차단은 다른 문제(다른 장소에서 음성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단말기에 의하여 특정 인터넷사이트 접속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가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저장되고,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직접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단말기의 인터넷 또는 프로그램 사용내역 정보제공 및 선택적 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절차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단계에 관한 세부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절차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환경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인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나 프로그램이 사용되는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달받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제공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전달받은 정보를 서비스가입자(관리자) 별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인터넷 접속하여 제공받고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모듈과, 인터넷 사용내역을 추출하는 모듈과, 프로그램 사용내역을 추출하는 모듈과,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모듈과, SMS 전송을 요청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는 단말기명과 HDD 고유정보 그리고 MAC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의 서비스서버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자에 의한 가입 및 서비스 신청을 관리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에 대한 환경설정과 관리를 수행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요청한 SMS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다른 본 발명인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서비스 사용을 원하는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서비스 신청을 하는 서비스 신청/가입 단계와; 상기 관리자가 관리 대상 단말기(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고, 사용자단말기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사용자단말기 등록단계와; 상기 단계 완료 후, 사용자가 상기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들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비스관리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설정된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 등록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 로그인을 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자동 설치하여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가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 등록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관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와 인터넷 또는 해당 프로그램 사용내역 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들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가입자인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 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 로그인을 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상기 관리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가 신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단말기가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인 경우에는 관리자가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고, 신규단말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단말기를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을 수행하고, 등록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을 수행한 후에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의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내용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경되는 서비스 내용은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 차단, 사용시간 설정, SMS 서비스 제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경된 서비스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인터넷 접속을 종료한 후에 해당 사용자단말기를 사용자가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를 포함한 사용자단말기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서비스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관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서비스정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정보를 해당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SMS 요청이 포함된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가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서비스제공자 서버는 약정된 메시지를 관리자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와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0)와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00)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단말기(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서비스 신청자인 관리자(학부모, 회사 임원 등)에 의하여 통제, 관리되는 사용자(자녀, 회사원 등)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PC, 노트북, PDA, 스마트 폰 등이 포함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게임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는지를 관리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수행에 의하여 감시된다.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직접 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다.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모듈로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추출 모듈(110)과 인터넷 사용내역 추출 모듈(120)과 프로그램 사용내역 추출 모듈(130)과 사이트/프로그램 차단 관리 모듈(140)과 SMS 전송 요청 모듈(150)로 구성된다.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추출 모듈(110)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하거나 온라인 게임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유정보에는 단말기명, HDD 고유정보, MAC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에서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함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에 해당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인터넷 사용내역 추출 모듈(120)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의 접속일자, 사이트명, URL 등의 사용내역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사용내역 정보들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달되어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프로그램 사용내역 추출 모듈(130)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 등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일자, 프로그램명 등의 사용내역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사용내역 정보들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달되어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사이트/프로그램 차단 관리 모듈(140)은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로그인하여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한 후, 선택적인 서비스 변경(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 차단, 사용시간 제한)을 한 경우에 상기 선택적인 서비스 변경에 따라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전에 정해진 사이트 등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 중에서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되어진 사이트가 차단된다.
SMS 전송 요청 모듈(150)은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로그인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SMS 요청 서비스를 설정한 후에, 상기 특정 사용자단말기(100)가 재사용되는 경우에는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SMS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의하여 유해사이트가 접속된 사실을 관리자가 확인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의 재사용 사실을 관리자가 알고자 하는 경우에 SMS 요청 서비스를 설정하면 상기와 같이 SMS 전송 요청 모듈(150)이 동작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달받아 관리하고,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의 관리, 제공 서비스는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은 가입/서비스 신청 관리 모듈(210)과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및 사용정보 수신 모듈(220)과 사용자단말기 사용정보 환경설정/관리 모듈(230)과 SMS 처리 모듈(240)로 구성된다.
가입/서비스 신청 관리 모듈(210)은 관리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가입을 하고 서비스 신청을 하는 경우, 상기 가입 및 서비스 신청 절차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300)에 상기 서비스를 신청한 관리자를 위한 저장공간을 할당한다.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및 사용정보 수신 모듈(22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와 인터넷 사용내역 및 프로그램 사용내역 등의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입/서비스 신청 관리 모듈(210)에서 할당한 데이터베이스 공간에 저장한다. 즉,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참고하여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단말기 사용정보 환경설정/관리 모듈(230)은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300) 저장되어 있는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가 서비스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는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설정 변경 후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재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해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SMS 처리 모듈(240)은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로그인하여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해 SMS 요청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 동작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가 등록한 특정 사용자단말기(1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SMS 전송 요청 모듈(150)이 동작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SM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전달받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설치되는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SMS 처리 모듈(240)은 사전에 약정된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단말기 PC1이 사용됩니다" 또는 "PC1이 동작됩니다" 등의 특정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사실을 알리는 내용이면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서비스가입자인 관리자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관리자를 위한 저장공간으로써 각 관리자 별로 저장공간을 분류하여 해당 관리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400)는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모든 관리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정보를 제공받고, 특정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의 사용 차단 등의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절차흐름도이다.
즉, 관리자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가입/서비스 신청을 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서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신청을 한다(S100, S110). 상기의 회원 가입과 서비스 신청에 대한 처리는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가입/서비스 신청 관리 모듈(210)에서 수행한다. 상기 가입/서비스 신청 관리 모듈의 동작에 따라 상기 관리자를 위한 저장공간을 데이터베이스(300)에 할당한다. 이와 같이 할당된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은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 신청을 한 관리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단말기(이하, "사용자단말기"라 함)를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한 후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추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서비스제공자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한다.
즉, 관리 대상의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하기 위하여 관리자는 직접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리자로서 로그인을 한다(S200). 상기 로그인에 필요한 관리자 ID와 비밀번호는 상기 관리자가 서비스 신청을 하는 과정에서 인증된 ID와 비밀번호이다. 상기 로그인을 한 관리자는 서비스제공자 서버(2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사용자단말기(100)에 자동설치하여 실행시킨다(S210). 그러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추출 모듈(11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가 추출되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된다(S220).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 고유정보는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및 사용정보 수신 모듈(220)의 동작수행에 따라 관리자를 위하여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관리 대상 사용자단말기로 등록된다(S230). 이와 같이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300) 저장공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등록함에 따라, 이후에 발생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사용정보들은 상기 관리자를 위해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달하여 저장, 등록을 하면, 이후부터 사용자단말기(100)가 사용됨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정보들은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달되어 해당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관리자에 의하여 직접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정보들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고 저장되어 서비스를 위한 관리가 수행된다.
즉,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사용자단말기(100) 내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하거나 온라인 게임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동작수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와 사용내역 정보가 추출되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된다(S300, S310).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정보들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인터넷 사용내역 추출 모듈(120)과 프로그램 사용내역 추출 모듈(130)의 동작수행에 따라 추출되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고,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고유정보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추출 모듈(110)의 동작수행에 따라 추출되어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된다.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그런데,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는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에 저장된다. 즉, 일단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의 고유정보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정보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S320).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한 관리자에게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비교 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없는 경우에는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된 사용내역 정보를 버린다(S340). 상기와 같은 동작은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및 사용정보 수신 모듈(220)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들은 관리자에게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경우에는 상기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의 접속시간, 사이트명 또는 프로그램명 등의 사용정보들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직접등록한 관리자에게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저장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한 관리자에 의하여 확인된다. 즉, 관리자의 최초 서비스 신청 목적이 사용자단말기(100)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고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했는가에 있으므로 관리자는 언제든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어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S400). 상기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일정 시간동안에만 사용할 수 있거나 특정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사실을 SMS에 의하여 관리자에 알릴 수 있다.
도 3은 상기 관리자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확인과 서비스 환경 변경에 관한 절차도이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리자로서 로그인을 해야한다(S410). 이때의 로그인에 관한 ID와 비밀번호는 관리자가 서비스 신청을 하는 과정에서 인증된 ID와 비밀번호이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서는 관리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가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한 단말기가 등록된 단말기가 아닌 신규단말기인지 확인한다(S420). 상기 확인 결과 신규단말기가 아닌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인 경우에는 접속 의도대로 관리자는 확인을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한 단말기가 신규단말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할 것인지를 팝업 창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묻는다. 그러면, 관리자는 상기 접속단말기를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할 것인가를 선택을 하게 된다(S430).
상기 관리자가 접속단말기를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을 수행하고(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함), 등록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접속 의도대로 관리자는 확인을 원하는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환경을 변경한다. 한편, 상기 접속단말기를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관리자는 확인을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S440, S450). 만약, 상기 관리자가 확인을 원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한 후에,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설정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한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할당된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저장공간에 변경된 서비스 내용을 저장한다(S470). 상기 서비스 변경 내용은 특정 사이트 차단 서비스, 사용시간 설정 서비스, SMS 요청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관한 절차도이다.
상기 제2 실시예는 관리자가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변경한 이후에 사용자가 서비스환경이 변경된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먼저, 관리자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한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 내용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그런 후, 관리자가 인터넷 접속을 종료하고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를 포함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가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동작수행에 따라 추출된다. 그리고 이 추출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는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되어 해당 관리자에게 설정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상기의 과정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자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를 통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고 인터넷 접속을 종료한 후에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재사용함에 따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된다(S510).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 추출 모듈(110)의 동작수행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전송된다(S520).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된 고유정보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단말기(100)들의 고유정보들과 비교된다(S530). 상기 비교결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고유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환경 설정에 변경이 있는지 판단한다(S540). 한편, 상기 비교결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고유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단말기(100)를 등록되지 않는 사용자단말기로 판단하여 서비스제공을 종료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환경 설정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사용자단말기 사용정보 환경설정/관리 모듈(230)의 동작수행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한다(S550). 그리고, 변경된 서비스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종전과 동일한 서비스 환경 설정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단말기(100)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인터넷 사용내역 추출모듈(120)과 프로그램 사용내역 추출모듈(130)과 사이트/프로그램 차단 관리모듈(140)의 동작에 따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한다(S560). 즉,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정보를 상기 인터넷 사용내역 추출모듈(120)과 프로그램 사용내역 추출모듈(130)이 추출하여 전송하고, 관리자에 의하여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차단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차단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사이트/프로그램 차단 관리모듈(140)이 추출하여 전송한다.
한편, 관리자에 의하여 SMS 요청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SMS 전송 요청 모듈(150)의 동작수행에 따라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SM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의 SMS 처리 모듈(240)은 약정된 메시지를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단말기(100)를 현재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린다.
상기 S560 단계에 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는 관리자에게 할당된 데이터베이스(3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S580). 한편, 상기 S54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관리자에 의하여 서비스환경 설정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환경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전송하고, 전송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570, S580).
상기와 같이 변경된 서비스 환경 설정에 따라 추출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면,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변경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현재의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서비스 환경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서비스제공자 서버(200)에서 관리자에게 보여주는 확인 창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즉, 관리자가 등록한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의 명칭과 해당 고유번호 등이 표시되고, 각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사용내역 정보(일자/시간, 접속사이트명, URL 등)가 표시된다. 또한,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서비스 내용(차단설정, SMS 요청, 사용시간 설정)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리자는 사용자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설정을 선택하여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가 차단설정을 선택하면, 사용자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더 이상 상기 차단설정된 사이트를 접속할 수 없다. 즉, 관리자가 특정 사용자단말기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V" 모양이 표시되고,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특정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특정 사이트를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V" 모양이 깜빡거리거나 색깔 변경이 이루어지게 하여 정상적으로 차단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관리자가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해서 사용시간설정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설정된 사용시간 내에서만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하여 사용시간을 설정한 경우(도 5에서 PC1에 대하여 2시간 설정)에는, 그 이후에 사용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2시간)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한편, 관리자는 특정 사용자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그 사용사실을 SMS에 의하여 전송받을 수 있고,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K" 또는 "NOK"로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SMS 요청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단말기(100)를 선택하면 "V" 모양이 표시되고, 서비스 변경 후 해당 사용자단말기(100)가 재사용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관리자에게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사실 메시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OK"가 표시되고, 실패한 경우에는 "NOK"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가 접속한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사이트 등에 대하여 관리자가 직접 차단 또는 사용시간 설정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관리자에게 SMS에 의하여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변경 가능하고, 이 변경된 내용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접속된 유해 사이트 또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정보를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차단 설정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유해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차단할 수 없는 유해사이트에 대해서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해사이트 또는 유해 프로그램을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하여 건전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업체 내에서 업무 중 유해사이트 등에 접속함으로 인한 업무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고 회사의 중요한 자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나 프로그램이 사용되는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하여 추출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달받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비스제공자 서버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전달받은 정보를 서비스가입자(관리자) 별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인터넷 접속하여 제공받고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모듈과, 인터넷 사용내역을 추출하는 모듈과, 프로그램 사용내역을 추출하는 모듈과,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을 차단하는 모듈과, SMS 전송을 요청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는 단말기명과 HDD 고유정보 그리고 MAC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의 서비스서버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자에 의한 가입 및 서비스 신청을 관리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에 대한 환경설정과 관리를 수행하는 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요청한 SMS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서비스 사용을 원하는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및 서비스 신청을 하는 서비스 신청/가입 단계와;
    상기 관리자가 관리 대상 단말기(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고, 사용자단말기에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사용자단말기 등록단계와;
    상기 단계 완료 후, 사용자가 상기 등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들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비스관리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설정된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 등록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 로그인을 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자동설치하여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가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 등록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단말기 고유정보와 인터넷 또는 해당 프로그램 사용내역 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들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가입자인 관리자에 의하여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 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 로그인을 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상기 관리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단말기가 신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단말기가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인 경우에는 관리자가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고, 신규단말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단말기를 사용자단말기로 등록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을 수행하고, 등록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 등록과정을 수행한 후에 원하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사용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환경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의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내용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되는 서비스 내용은 특정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 차단, 사용시간 설정, SMS 서비스 제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인터넷 접속을 종료한 후에 해당 사용자단말기를 사용자가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를 포함한 사용자단말기 사용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서비스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정보와 데이터베이스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고유정보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서비스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서비스정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정보를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정보를 해당 관리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SMS 요청이 포함된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가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메시지를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서비스제공자 서버는 약정된 메시지를 관리자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40012134A 2004-02-24 2004-02-24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1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34A KR20050011663A (ko) 2004-02-24 2004-02-24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134A KR20050011663A (ko) 2004-02-24 2004-02-24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663A true KR20050011663A (ko) 2005-01-29

Family

ID=3722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134A KR20050011663A (ko) 2004-02-24 2004-02-24 사용자단말기의 사용내역정보와 선택적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6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21B1 (ko) * 2006-12-04 2010-02-25 임정욱 인터넷 웹 페이지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시스템 및 그 개인 정보 검색 방법
KR102021351B1 (ko) * 2019-02-14 2019-09-16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와 가정에 설치되는 서버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21B1 (ko) * 2006-12-04 2010-02-25 임정욱 인터넷 웹 페이지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시스템 및 그 개인 정보 검색 방법
KR102021351B1 (ko) * 2019-02-14 2019-09-16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와 가정에 설치되는 서버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468B2 (en) Personalization, diagnostics and terminal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in a network
KR100620054B1 (ko) 장치 관리 기술에서의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095634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devices that supports multiple-point transport
EP1953950B1 (en) A method for protecting network service application account, the system, and the apparatus thereof
CN101484888B (zh) 用于监控无线网络访问的方法和设备
JP5019653B2 (ja) 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の配信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38683B2 (en) Router-host logging
US20140344460A1 (en) Brokering network resources
US20020013831A1 (en) System having mobile terminals with wireless access to the internet and method for doing same
US20130281077A1 (en) Service management platform for configuring, monitoring, and managing mobile devices
CA2618753A1 (en) A content filtering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0287660A (zh) 访问权限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710528A (zh) 桌面云虚拟机的访问、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855772B (zh) 跨设备数据存储方法、系统、装置、设备、服务器及介质
CN102857555A (zh) 终端、服务器和软件升级方法
CN105847277A (zh) 用于第三方应用的服务账号共享管理方法及系统
EP2178252A1 (en) Method for sharing community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N113271299B (zh) 一种登录方法和服务器
CN107094088A (zh) 一种蹭网设备识别方法、装置以及系统
JP2002082910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CN110138714A (zh) 访问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306844B1 (ko) 웹브라우징 액션 탐지 및 접근 차단 방법 및 장치
CN109992298B (zh) 审批平台扩充方法、装置、审批平台及可读存储介质
CN103138961B (zh) 服务器控制方法、被控服务器及中心控制服务器
CN110351296B (zh) 一种应用登录方法、装置及其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