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737A -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737A
KR20050010737A KR1020040115832A KR20040115832A KR20050010737A KR 20050010737 A KR20050010737 A KR 20050010737A KR 1020040115832 A KR1020040115832 A KR 1020040115832A KR 20040115832 A KR20040115832 A KR 20040115832A KR 20050010737 A KR20050010737 A KR 2005001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tree
hose
collecting container
in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령
Original Assignee
박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령 filed Critical 박하령
Priority to KR102004011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0737A/ko
Publication of KR2005001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10Tapping of tree-juices, e.g. caoutchouc, gum
    • A01G23/14Tapping-spouts; Receptacles for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10Tapping of tree-juices, e.g. caoutchouc, g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형성하여, 고로쇠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의 수액을 채취할 때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구에 연설된 각각의 수액유도연통호오스의 가장자리를 나무의 절개부에 각각 삽입하여 집수기통에 수액을 유도하여 수집하고,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액배출구에 연설된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통하여 이동호오스에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수액을 이송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로쇠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의 수액을 채취할 때 나무의 일측부를 절개하고,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연결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연결하는 시스템은 각각의 절개부에 설치된 호오스의 한쪽 끝을 개별적으로 이동호오스에 각각 연결하므로 연결부가 많아서 필연적으로 수액의 누수 위험성이 많으며,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각각 포장케이스통에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은 각각의 절개부에 설치된 호오스의 한쪽 끝을 개별적으로 포장케이스통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케이스통의 입구가커야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고 또한,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요인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은 그 작업과정이 복잡하여 경제적인 수익 창출에도 낙후된 시스템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에 연설하여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형성하여, 고로쇠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의 수액을 채취할 때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구에 연설된 각각의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나무의 절개부에 각각 삽입하여 집수기통에 수액을 수집하고,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액배출구에 연설된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통하여 이동호오스에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수액이 이송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을 제공하므로, 포장케이스통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봉쇄하고, 또한,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작업과정을 축소하여 경제적인 수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에 연설된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형성하여, 고로쇠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의 수액을 채취할 때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구에 연설된 각각의 수액유도연통호오스의 가장자리를 나무의 절개부에 각각 삽입하여 집수기통에 수액을 유도하여 수집하고,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액배출구를 통하여 연설된 이송연결관호오스를 이동호오스에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수액을 이송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로쇠 ·단풍나무와 같은 나무의 수액을 채취할 때 나무의 일측부를 절개하고,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연결하는 시스템은 각각의 절개부에 설치된 호오스의 한쪽 끝을 개별적으로 이동호오스에 각각 연결하므로 연결부가 많아서 필연적으로 수액의 누수 위험성이 많으며,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각각 포장케이스통에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은 각각의 절개부에 설치된 호오스의 한쪽 끝을 개별적으로 포장케이스통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케이스통의 입구가 커야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고 또한,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요인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상기 절개부에 호오스의 한쪽 끝을 삽입하고 또 다른 한쪽 끝을 이동호오스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하거나 포장케이스통에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하여 수액을 채취하는 시스템은 그 작업과정이 복잡하여 경제적인 수익 창출에도 낙후된 시스템인 것으로, 수액 누수의 위험성을 축소하고, 이물질이 유입을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요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스템의 공정을 축소하여 경제적으로 원가절감의 효율적인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기통뚜껑을 포함한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형성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집수기시스템에 대한 개략 계통도.
도 2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분리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수액채취용 집수기의 예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수액유도연통호오스.
10-2, 수액유도연통호오스.
10-3, 수액유도연통호오스.
20-1, 유입구.
20-2 유입구.
20-3 유입구.
30, 집수기통뚜껑.
40, 집수기통.
50, 수액배출구.
60, 이송연결관호오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수액이 담겨질 수 있는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다수의 천공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소정길이의 수액유도연통호오스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를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집수기시스템에 대한 개략 계통도.
도 2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의 예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수기통뚜껑(30)을 포함한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50)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50)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의 한쪽 끝은 유입구(20-1, 20-2, 20-3)에 끼움 고정되고, 또 다른 한쪽 끝은 사용시 수액을 채취하고자 하는 나무의 절개부에 삽입되는 것이며, 이송연결관호오스(60)의 한쪽 끝은 수액배출구(50)에 끼움 고정되고, 또 다른 한쪽 끝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장소 즉' 이동호스 또는 포장케이스통에 연결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기통뚜껑(30)을 포함한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연설하되,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의 한쪽 끝과 유입구(20-1, 20-2, 20-3)가 끼움 고정되게 할 수단으로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와 유입구(20-1, 20-2, 20-3)의 어느 한쪽은 수축력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50)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50)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60)를 형성하되, 배출구(50)와 이송연결관호오스(60)의 어느 한쪽은 수축력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시도 에서는 집수기통뚜껑(30)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수, 또는 다수개로 형성하되 집수기통(40)의 상단면보다 소정 돌출되게 천공 형성하고, 수축력이 가능한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의 한쪽 끝을 유입구(20-1, 20-2, 20-3)의 돌출부위에 덮어 씌어서 끼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예시도 에서는 수액배출구(50)를 집수기통(40)의 하단부에 집수기통(40)의 하단면보다 돌출되게 천공 형성하고, 수축력이 가능한 이송연결관호오스(60)의 한쪽 끝을 수액배출구(50)의 돌출부위에 덮어 씌어서 끼움 형성된 것이다.
이때, 돌출되게 천공 형성된 유입구(20-1, 20-2, 20-3)의 직경보다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의 직경을 소정길이 작게 형성하여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삽입하여 끼움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용 상태도로서 수액을 채취하고자 하는 나무의 절개부에 다수의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삽입하여 집수기통(40)에 수액을 유도하고, 상기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액배출구(50)와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60)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장소 즉' 이동호스 또는 포장케이스통에 연결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80은 수액을 채취하고자 하는 나무를 나타낸 것이고,
미설명부호 70은 본 발명의 집수기통(40)을 나무에 고정하는 수단의 벨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액 누수의 위험성을 축소하고, 이물질이 유입을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요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스템의 공정을 축소하여 경제적으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있어서 집수기통뚜껑(30)을 포함한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연설하고, 상기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50)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50)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6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집수기통뚜껑(30)을 포함한 집수기통(40)은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연설하되,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의 한쪽 끝과 유입구(20-1, 20-2, 20-3)가 끼움 고정되게 할 수단으로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와 유입구(20-1, 20-2, 20-3)의 어느 한쪽은 수축력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
  3.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에 있어서 집수기통뚜껑(30)을 포함한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다수의 유입구(20-1, 20-2, 20-3)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20-1, 20-2, 20-3)에 수액유도연통호오스(10-1, 10-2, 10-3)를 연설하고,상기 집수기통(40)의 일측부에 수액배출구(50)를 형성하고, 상기 수액배출구(50)에 연설되는 이송연결관호오스(6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채취용 집수기
KR1020040115832A 2004-12-27 2004-12-27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KR20050010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832A KR20050010737A (ko) 2004-12-27 2004-12-27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832A KR20050010737A (ko) 2004-12-27 2004-12-27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43U Division KR200378589Y1 (ko) 2004-12-27 2004-12-27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737A true KR20050010737A (ko) 2005-01-28

Family

ID=3722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832A KR20050010737A (ko) 2004-12-27 2004-12-27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07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5813B (lt) 2011-02-07 2012-02-27 Vladas VILIMAS Prietaisas medžio sulai surinkti
KR20180061821A (ko) * 2016-11-30 2018-06-08 농업회사법인 한라산고로쇠 주식회사 수액 채취 장치
CN108782125A (zh) * 2018-05-25 2018-11-13 神桦国际生物医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桦树液真空无菌采集方法及采集袋组件
CN108812174A (zh) * 2018-07-18 2018-11-16 河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构树汁液采收器及采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5813B (lt) 2011-02-07 2012-02-27 Vladas VILIMAS Prietaisas medžio sulai surinkti
KR20180061821A (ko) * 2016-11-30 2018-06-08 농업회사법인 한라산고로쇠 주식회사 수액 채취 장치
CN108782125A (zh) * 2018-05-25 2018-11-13 神桦国际生物医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桦树液真空无菌采集方法及采集袋组件
CN108812174A (zh) * 2018-07-18 2018-11-16 河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构树汁液采收器及采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0226866A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portable water from the environmental air
CA2364926A1 (en) Dishwasher pressurized fine filter drai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09378A1 (en) Device for handling blood in extracorporeal blood circulation
AR038586A1 (es) Filtro de cambio rapido y sistema de mensula con sistema de llave y opcion de llave universal
PL1603609T3 (pl) Urządzenie do przetwarzania krwi z selektywną ekstrakcją substancji rozpuszczonych
KR101225045B1 (ko)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고로쇠 수액 채취기구
ITRM20030397A0 (it) Dispositivo di diramazione di alimentazione per un sistema a pressione di fluido.
DE69929296D1 (de) Hochdruckkraftstoffpumpe mit verändlicher Durchflussmenge
EP2014265A3 (en) Urine collection meter with improved drain construction
ATE251919T1 (de) Muttermilchpumpe
KR20050010737A (ko) 수액채취용 집수기시스템
WO2005072789A3 (en) Fluid evacuator system
DE602005008317D1 (de) Pumpanlage
ITRM20000354A0 (it) Dispositivo per il filtraggio di un fluido carico di particelle.
KR200378589Y1 (ko) 수액채취용 집수기 및 그 시스템
RU96113140A (ru) Очис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нутренней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входящее в нее устройство
WO2006034283A3 (en) Suction alleviation system for footwear
DE602004016082D1 (de) Beutelsystem zur Entnahme eines Donorfluids und zur Probenentnahme
DE60028689D1 (de) Laufrad für eine Seitenströmungspumpe
CA2342489A1 (en) Device for sea urchins picking
CN209457923U (zh) 一种排水采气装置
ZA200209108B (en) A device for monitoring fluid flow in a pump outlet.
JP2001115500A (ja) 給水装置
WO2006135760A3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electromagnetic sanitization of water
WO2009068667A3 (en) Collecting container for wound exud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