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242A -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242A
KR20050010242A KR20030049261A KR20030049261A KR20050010242A KR 20050010242 A KR20050010242 A KR 20050010242A KR 20030049261 A KR20030049261 A KR 20030049261A KR 20030049261 A KR20030049261 A KR 20030049261A KR 20050010242 A KR20050010242 A KR 2005001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service
signal
informa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4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익
김학준
허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3004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0242A/ko
Publication of KR2005001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242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가입자 단말은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automatic notice service}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로 음성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문자 매체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 출력된 후에, 사용자에 의한 의식적인 일련의 문자 해독 과정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문자 매체에 비하여, 음성 매체는 그러한 과정이 없이도 자연스럽게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의미로, 음성 매체가 문자 매체 보다 사용자에게 친근한 정보 매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정보 서비스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음성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 상의 시스템(특히, VMS)에 접속한 후, 일정한 음성 정보를 취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음성 정보 서비스는 수동적인 사용자에게 음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에 호를 설정한 후, 음성 정보를 전송하더라도, 수신 단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음성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 도중에 교통 정보를 알기를 원하거나, 일정한 작업 중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일정한 조작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종래 음성 정보 서비스가 적용되기 힘든 것이 사실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2003. 2. 7일자로 출원번호 제10-2003-0007899호 "음성 정보 제공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burst voice service)"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출원에는 기존의 음성 호처리 과정을 수정하여, 필요한 경우에 착신호에 대하여 가입자의 수신 응답이 필요없이 가입자 단말의 스피커로 바로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수정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정 없이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음성 정보를 가입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신 전화 번호를 사용한 자동 통화 호 설정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이 음성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설정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생성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통지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 단말이 매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서비스 서버 103 :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105 :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07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09 : 가입자 단말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결합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생성한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타 서비스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 및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긴급 여부,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폐기되며, 상기 음성 정보에 연결된 상기 회신 번호는 다른 음성 정보에 연결되어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은 매너모드로 설정되거나 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자동 연결을 보류한 후, 사용자의 응답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회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은 매너모드로 설정되거나 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휴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회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송함-,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신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가입자 단말에 수신된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에 설정되는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며,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함-,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신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가입자 단말에 수신된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에 설정되는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신 전화 번호를 사용한 자동 통화 호 설정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이 음성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1)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과 연결되고, 신호 통지 시스템인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와 연결된다.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인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는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109)과 결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109)로 음성 정보의 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은 상기 가입자 단말(109)과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ARS(Automatic Response Syste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비스 서버(101)는 가입자가 사전에 알려주도록 요청한 정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정보를 음성 신호로 생성하거나 문자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입자가 자신의 가입자 단말(109)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하여 미리 설정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바탕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01)는 서비스 설정에 상응하는 정보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음성 정보로 가공한 후에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1)는 수신 대상 식별자,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신호 통지 시스템인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대상 식별자는 신호 통지 시스템이 단문 메시지 센터인 경우 가입자 단말 번호 또는 가입자 단말 그룹 번호로 표현되거나, 신호 통지 시스템이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경우 방송 서비스 카테고리 및 전송될 방송 영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01)는 메시지의 긴급성 또는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에 더 포함하여 신호 통지 시스템인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은 상기 서비스 서버(101)로부터 수신된음성 정보 신호를 저장한 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 신호에 상응하는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회신 번호를 서비스 서버(101)로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은 가입자 단말(109)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한 콜백(Callback)을 통해 자동으로 통화 호가 설정되면 미리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109)로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신호 통지 시스템인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 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 중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109)로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에 가입자 단말(109)에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 정보 신호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109)로, 상기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 상기 회신 번호 및/또는 상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타 서비스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는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109)로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는 방송 서비스 카테고리 및 전송될 방송 영역을 포함하는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기지국을 통해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109)로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05)는 상기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지 않고, 운영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특정 지역의 가입자 단말(109)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단말(109)은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회신 번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과 통화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단말(109)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바탕으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으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사전에 상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신청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ARS, SMS, 유무선 인터넷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101)에 접속한 후, 서비스 서버(101)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통지될 음성 정보의 종류, 통지 빈도 등의 설정 항목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설정 항목을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에만 가입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항목(디폴트 설정 항목)을 선택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비스 서버(101)가 상기 설정 항목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음성 정보를 생성한 후,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에 전달한다.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은 해당 음성 정보를 저장한 후, 해당 음성 정보에 유일하게 연결되는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1)로 전송한다. 그 후, 상기 서비스 서버(101)는 수신 대상 식별자, 회신 번호(콜백 번호) 및/또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신호 통지 시스템(105, 107)으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105, 107)은 상기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 회신 번호(콜백 번호) 및/또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109)로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109)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임을 인식한 후,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그 후, 가입자 단말(109)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유일하게 연결된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103)은 가입자 단말(109)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해제시킨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가입시, 지정한 설정 항목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음성 정보를 생성한 후,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한다(단계 201). 즉, 상기 서비스 서버는 설정 항목에 상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시에, 상기 이벤트에 관한 음성 정보를 직접 생성하거나, 일정한 가공의 과정을 거친 후(문자 정보인 경우, 음성 정보로 변환),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정보 를 저장한 후, 상기 음성 정보 신호에 유일하게 상응하는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는 특정 시점에서 단위 음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유효 기간이 만료된 음성 정보를 폐기하고, 폐기된 음성 정보에 할당된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다른 음성 정보에 연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한한 회신 번호(콜백 번호)로도, 항상 음성 정보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부여된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203).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 대상 식별자, 회신 번호, 및/또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한 후,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205). 여기서, 신호 통지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로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음성정보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모든 유형의 시스템을 통칭하며,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센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가입자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긴급성 여부,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는 음성 정보의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효 기간은 상기 음성 정보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는 기간을 표시하며,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은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 회신 번호,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207).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바탕으로,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통지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로 음성호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무엇이든지 무방하며,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상기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방송 서비스 카테고리 및 전송될 방송 영역을 포함하는 수신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로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전송한다.
가입자 단말은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로부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자동으로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209). 상기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의 내부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 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에 전송한다(단계 211). 상기 가입자 단말은 수신한 음성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통합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와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서비스 서버와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신호 전송은 통합 시스템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의 다른 단계는 상기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설정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서비스 설정은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의 종류와 통지 빈도 등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는 자동 응답 서비스(303), 서비스 관리 시스템(305), 무선 인터넷(307) 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정보의 종류와 통지 빈도 등을 서비스 서버(301)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설정은 오프라인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가입 시, 이용할 음성 정보의 종류, 통지 빈도 등의 설정 항목을 직접 지정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301)가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가입자의 설정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생성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생성하거나 문자 정보를 음성 형태로 변환한다(단계 401).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성 정보를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거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성 정보를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403). 그 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음성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음성 정보에 유일하게 연결되는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부여한다(단계 405). 이 후,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이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음성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통보한다(단계 407).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통지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신호 통지 시스템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지 또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지를 판단한다(단계 500). 상기 판단 결과 신호 통지 시스템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표 1에 표현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한다(단계 501).
<표 1>
가입자 단말 번호 또는 가입자 단말 그룹 번호 회신 전화 번호 부가 정보
표 1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 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가입자 단말의 식별자이다. 상기 가입자 단말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점대점(point-to point)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단말 그룹 번호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에 음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가입자 단말이 속한 그룹의 식별자이다. 상기 회신 번호는 상기 가입자 단말이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자동으로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한 특정 시점에 단위 정보에 상응하는 고유 번호이다. 또한, 부가 정보에는 음성 정보의 긴급성, 유효 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신호 통지 시스템이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표 2에 표현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한다(단계 503).
<표 2>
방송 서비스 카테고리 방송 영역 회신 번호 부가 정보
표 2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카테고리는 교통 정보 알림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계한 광고, 홍보, 안내 등 알림 서비스, 동호회 번개 모임 등 그룹 호출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또한, 방송 영역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상기 신호 통지 시스템은 표 3에 표현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505,507,509).
<표 3>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 회신 번호 부가 정보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임을 가입자 단말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신호 통지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단말로 특정 음성 정보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식별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정보 인출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이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 중에서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601). 상기 통화 호 설정 과정은 가입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바탕으로,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음성 정보를 가입자 단말로 송신한다(단계 603). 그 후,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605).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 단말이 매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이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 단말은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한 후, 부가 정보가 "긴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701). 상기 판단 결과, 부가 정보가 "긴급"으로 지정된 경우에, 상기 가입자 단말은 단계 721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단계 703을 실행한다.
단계 721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매너 모드로 설정되었더라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로부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 그 후, 가입자 단말은 상기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723).
단계 703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자동 전화 연결을 보류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은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를 일반 단문 메시지와 함께 메시지 목록에 저장한다(단계 705).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일반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음성호 통지 메시지를 열람한 후, 이에 대한 응답 신호(키입력 신호)를 입력하면(단계 707),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709). 그 후,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단계 711).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음성 통화, 데이터 서비스 등)로 사용 중인 경우에, 가입자 단말은 가입자가 상기 다른 용도로의 사용을종료할 때까지 자동 전화 연결을 보류한다(단계 801).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종료되면, 가입자 단말은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로부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803). 그 후, 가입자 단말은 상기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805).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정보 자동 통지 과정 중 정보 인출 단계에서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을 다른 용도(음성 통화, 데이터 서비스 등)로 사용 중인 경우에는 가입자 단말은 자동 전화 연결을 보류한다(단계 851). 다음으로, 가입자 단말은 신호 통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를 일반 단문 메시지와 함께 메시지 목록에 저장한다(단계 853).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일반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음성호 통지 메시지를 열람한 후, 이에 대한 응답 신호(키입력 신호)를 입력하면(단계 855),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번호(콜백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857). 그 후,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회신 번호(콜백 번호)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단계 859).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정 없이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음성 정보를 가입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교통 정보 알림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LBS)와 연계한 광고, 홍보, 안내 등의 알림 서비스, 동호회 등에서 호출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결합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는 상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를 타 서비스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 및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긴급 여부,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상기 유효 기간이 경과하면 폐기되며, 상기 음성 정보에 연결된 상기 회신 번호는 다른 음성 정보에 연결되어 재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방송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매너모드로 설정되거나 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자동 연결을 보류한 후, 사용자의 응답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회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은 매너모드로 설정되거나 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휴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회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송함-;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1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를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신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가입자 단말에 수신된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에 설정되는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시스템.
  14.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상응하여 부여된 회신 번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함-,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상기 수신자 정보에 상응하는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1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서비스 서버와 결합하며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정보를 회신 번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회신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가입자 단말에 수신된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에 설정되는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상기 가입자 단말에 상응하는 수신자 정보 및 상기 회신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신호 통지 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상기 회신 번호 및 음성호 통지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음성호 통지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회신 번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통화 호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30049261A 2003-07-18 2003-07-18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0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9261A KR20050010242A (ko) 2003-07-18 2003-07-18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9261A KR20050010242A (ko) 2003-07-18 2003-07-18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242A true KR20050010242A (ko) 2005-01-27

Family

ID=3722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9261A KR20050010242A (ko) 2003-07-18 2003-07-18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02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30B1 (ko) * 2006-01-20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방법
KR100711810B1 (ko) * 2005-07-26 2007-04-30 장경남 이벤트 통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10B1 (ko) * 2005-07-26 2007-04-30 장경남 이벤트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698330B1 (ko) * 2006-01-20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방법
US9002409B2 (en) 2006-01-20 2015-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US200300864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the status of other mobile terminals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US6650891B1 (en) SMS-supported method for online/offline detection of user groups in mobile wireless networks
KR20050010242A (ko) 음성 정보 자동 통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507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유해 정보 송수신 차단 방법
KR2001007945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메시지 전달방법
KR100643639B1 (ko) 메시지 콜을 이용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02B1 (ko) 립싱크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9436A (ko) 통신용 단말기의 통화중 문자 메시지 작성 및 전송 방법
KR100619905B1 (ko) 피티티 서비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2916A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179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실시간 음성메시지 수신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761515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KR20050091247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과,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서비스시스템 및그 방법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KR20030036982A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메일 도착 알람 서비스 방법
JP200128268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メール自動配信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KR20010047397A (ko) 전자 우편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40104103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02693A (ko) 특정 웹 유알엘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통화 음성데이터저장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