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027A -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 Google Patents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027A
KR20050009027A KR1020030048274A KR20030048274A KR20050009027A KR 20050009027 A KR20050009027 A KR 20050009027A KR 1020030048274 A KR1020030048274 A KR 1020030048274A KR 20030048274 A KR20030048274 A KR 20030048274A KR 20050009027 A KR20050009027 A KR 2005000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rminal
terminals
noise
acti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054B1 (ko
Inventor
서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to KR10-2003-004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0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reversal of direct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04M1/74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H04M1/745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for voltages surges on th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화선로와 실내 기기를 접속하는 전화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화선로와 접속되되 활성선과 중성선을 갖는 복수의 제 1 단자; 상기 제 1 단자에서 연장된 활성선 및 중성선을 통해 연결되되, 실내 기기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제 1 단자를 통해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차단하는 서지차단수단;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접속되어 상기 서지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차단수단; 및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에 직렬 접속되어 제 2 단자를 통해 노이즈차단수단으로 역류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통신선로를 통해 유입되는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전압과 노이즈를 제거하여 통신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통신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TELEPHONE CONNECTOR WITH SAFETY CIRCUIT}
본 발명은 전화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벽체에 매설되는 전화접속구나 멀티 전화접속구의 전화선접속단자와 기기접속단자 사이에 서지전압과 노이즈를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통화 중 통화선로를 통해 유입되는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전압과 노이즈를 제거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전화선은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통신망의 사용이 확대되고, 다수의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랜(LAN)의 사용이 범용화 됨으로써 하나의 회선을 이용하여 전화, 팩스, 컴퓨터 모뎀 등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단일 전화접속구나 멀티 전화접속구를 통해 전화기, 팩스, 컴퓨터 모뎀 등의 통신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나, 과도전류 또는 낙뢰 등으로 인한 순간적인 서지전압과 노이즈 등이 전화선로(통신선로)를 통해 전화나 팩스, 컴퓨터 등에 유입될 경우 이를 제거하지 못함으로서 전화, 팩스, 컴퓨터 모뎀 등의 통신품질이 저하되거나 기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벽체에 매설되는 전화접속구나 멀티 전화접속구의 전화선접속단자와 기기접속단자 사이에 서지와 노이즈 및 역류를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통신 중 통신선로를 통해 유입되는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전압과 노이즈를 제거하여 통신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통신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접속구의 보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화접속구의 보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화접속구 11: 서지차단수단
13: 노이즈차단수단 15: 역류방지수단
TA1,TN1: 제 1 단자 TA2,TN2: 제 2 단자
A: 활성선 N: 중성선
VA1∼VA3: 배리스터(Varis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외부 전화선로와 실내 기기를 접속하는 전화접속구(1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화선로와 접속되되 활성선(A)과 중성선(N)을 갖는 복수의 제 1 단자(TA1, TN1); 상기 제 1 단자(TA1, TN1)에서 연장된 활성선(A) 및 중성선(N)을 통해 연결되되, 실내 기기와 접속되는복수의 제 2 단자(TA2, TN2); 상기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제 1 단자(TA1, TN1)를 통해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차단하는 서지차단수단(11); 상기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접속되어 상기 서지차단수단(11)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차단수단(13); 및 상기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에 직렬 접속되어 제 2 단자(TA2, TN2)를 통해 노이즈차단수단(13)으로 역류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접속구의 보호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제 1 단자(TA1, TN1), 제 2 단자(TA2, TN2), 서지차단수단(11), 노이즈차단수단(13), 역류방지수단(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전화접속구(10)는 주로 실내의 벽체에 설치되며, 전화국과 연결된 외부 전화선로를 실내의 전화기(1)나 통신모뎀을 상호 접속하는 단자(TA2, TN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 단자(TA1, TN1)는 외부 전화선로와 접속되되 활성선(A)과 중성선(N)이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제 2 단자(TA2, TN2)는 실내로 노출되어 제 1 단자(TA1, TN1)에서 연장된 활성선(A) 및 중성선(N)이 연결되되 실내의 전화기 또는 통신모뎀을 포함하는 통신기기(1)가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서지차단수단(11)은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제 1 단자(TA1, TN1)를 통해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노이즈차단수단(13)은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접속되어 상기 서지차단수단(11)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역류방지수단(15)은 제 1 단자(TA1, TN1) 및 제 2 단자(TA2, TN2)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A)에 직렬 접속되어 제 2 단자(TA2, TN2)를 통해 노이즈차단수단(13)으로 역류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화접속구의 보호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서지차단수단(11), 노이즈차단수단(13) 및 역류방지수단(15)을 도시하였다.
상기 서지차단수단(11)은, 상기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제 1 배리스터(VA1) 및 제 2 배리스터(VA2)를 직렬로 접속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배리스터(VA1, VA2)의 공통접점을 접지전압에 연결하고, 상기 활성선(A)과 중성선(N) 사이에 접속하되 제 1 및 제 2 배리스터(VA1, VA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3 배리스터(VA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이즈차단수단(13)은, 상기 제 1 단자(TA1, TN1)와 제 2 단자(TA2, TN2)의 활성선(A)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인덕터(L1)와, 상기 제 1 단자(TA1, TN1)와 제 2 단자(TA2, TN2)의 중성선(N)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2 인덕터(L2), 및 상기 제 1 인덕터(L1)의 출력단과 제 2 인덕터(L2)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커패시터(C1)로 구성된 LC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역류방지수단(15)은, 상기 제 1 인덕터(L1)의 출력단과 제 2 단자(TA2) 사이의 활성선(A)에 직렬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D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서지차단수단(11)은 배리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약 10㎄까지의 서지전류를 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보다 더 큰 서지전류는 일반적으로 통신회선 등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통신회선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과도 이상전류를 충전시킬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제 1 단자(TA1, TN1)에 연결된 외부 전화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활성선(A)과 중성선(N)을 통해 제 2 단자(TA2, TN2)에 연결된 전화기 또는 통신기기(1)로 전송되며, 상기 제 2 단자(TA2, TN2)에 연결된 전화기 또는 통신기기(1)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는 활성선(A)과 중성선(N)을 통해 제 1 단자(TA1, TN1)에 접속되는 외부 전화선로를 통해 전송된다.
이때, 외부 전화선로를 통해 제 1 단자(TA1, TN1)의 활성선(A)과 중성선(N)을 통해 서지, 노이즈 등과 같은 이상 전압이 유입되면 제 1 및 제 2 배리스터(VA1, VA2)에서 전류흐름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일정전압 이상의 서지전압 또는 전류를 대량 흡수하여 접지로 흘러 보내고, 제 1 및 제 2 배리스터(VA1, VA2)에서 미처 흡수되지 못한 서지는 제 3 배리스터(VA3)에 의해 흡수된다.
아울러, 상기 외부 전화선로를 통해 제 1 내지 제 3 배리스터(VA1∼VA3)를 통과한 신호 중 일정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는 노이즈차단수단(13)인 로우패스필터의 커패시터(C1)를 통해 제거된 후 제 2 단자(TA2, TN2)로 인가됨으로써, 제2 단자(TA2, TN2)에 접속된 전화기 또는 통신기기에는 서지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전혀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 2 단자(TA2, TN2)의 활성선(A) 측에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를 설치함에 따라 전화기 또는 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제 2 단자(TA2, TN2)를 통해 노이즈차단수단(13)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화 및 통신라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의 벽체에 매설되는 전화접속구나 멀티 전화접속구의 전화선접속단자와 기기접속단자 사이에 서지와 노이즈 및 역류를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통신 중 통신선로를 통해 유입되는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전압과 노이즈를 제거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상전압으로 인한 기기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외부 전화선로와 실내 기기를 접속하는 전화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화선로와 접속되되 활성선과 중성선을 갖는 복수의 제 1 단자;
    상기 제 1 단자에서 연장된 활성선 및 중성선을 통해 연결되되, 실내 기기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제 1 단자를 통해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차단하는 서지차단수단;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사이에 연결된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직렬 및 병렬 접속되어 상기 서지차단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차단수단; 및
    상기 활성선에 직렬 접속되어 제 2 단자를 통해 노이즈차단수단으로 역류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지차단수단은,
    상기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제 1 배리스터 및 제 2 배리스터를 직렬로 접속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배리스터의 공통접점을 접지하고, 상기 활성선과 중성선 사이에 접속하되 제 1 및 제 2 배리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3 배리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차단수단은,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활성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인덕터와,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중성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2 인덕터, 및 상기 제 1 인덕터의 출력단과 제 2 인덕터의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로 구성된 LC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제 1 인덕터의 출력단과 제 2 단자의 활성선에 직렬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KR10-2003-0048274A 2003-07-15 2003-07-15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KR10053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274A KR100534054B1 (ko) 2003-07-15 2003-07-15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274A KR100534054B1 (ko) 2003-07-15 2003-07-15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027A true KR20050009027A (ko) 2005-01-24
KR100534054B1 KR100534054B1 (ko) 2005-12-07

Family

ID=3722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274A KR100534054B1 (ko) 2003-07-15 2003-07-15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0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062A1 (en) * 2005-11-29 2007-06-07 Dastek Co., Ltd. Apparatus for protecting surge and over voltage
KR100846626B1 (ko) * 2006-08-24 2008-07-16 주식회사 에스원 과전압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장치
KR100900912B1 (ko) * 2007-06-11 2009-06-03 조경준 이중화 낙뢰 국선용 보안장치
KR101065795B1 (ko) * 2009-07-24 2011-09-21 한국전기연구원 싸이리스터를 이용한 전원용 서지보호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062A1 (en) * 2005-11-29 2007-06-07 Dastek Co., Ltd. Apparatus for protecting surge and over voltage
KR100846626B1 (ko) * 2006-08-24 2008-07-16 주식회사 에스원 과전압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장치
KR100900912B1 (ko) * 2007-06-11 2009-06-03 조경준 이중화 낙뢰 국선용 보안장치
KR101065795B1 (ko) * 2009-07-24 2011-09-21 한국전기연구원 싸이리스터를 이용한 전원용 서지보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054B1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8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al containment over telephone service lines
KR20040042851A (ko) 서지 보호 장치
US6882514B2 (en) Overcurrent and overvoltage protectio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a tip and ring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66808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nd balancing the capacitance of overvoltage protector in high frequency transmissions
US20070086137A1 (en) Linear low capacitance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KR100534054B1 (ko) 보호회로가 내장된 전화접속구
US6472992B1 (en) Alarm filter circuit
DE60236174D1 (de) Frequenzselektive transientenspannungsschutzeinrichtung
KR100534058B1 (ko) 정보통신기기의 전원 커넥터
KR100830197B1 (ko) 낙뢰보호모듈이 구비된 통신기기용 어댑터형 전원공급장치
EP0827316A2 (en) A device for protecting a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JP2654172B2 (ja) 雷防護回路
KR100505855B1 (ko) 다구 전화선 접속단자가 구비된 멀티 탭
US7058173B2 (en) Multi-stage isolation barrier circuitry and method for connection of a telephony device to a telephone line
KR200375235Y1 (ko) 엑스디에스엘 모뎀의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KR19990021001A (ko) 통신단말기의 서지전압 보호장치
KR100403929B1 (ko) 외장형 서지필터 장치
KR200317482Y1 (ko) 낙뢰방지회로 및 낙뢰방지회로가 구성된 필터장치
US6160887A (en) Telephone loop-current regulator
KR20060044052A (ko) 엑스디에스엘 모뎀의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JP2000106252A (ja) 雷保護機能付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100451798B1 (ko) 위해 전압 방지 회로를 갖춘 교환기 가입자 회로
KR200256254Y1 (ko) 한국통신 전용 멀티어댑터
KR200254379Y1 (ko) 전원 플러그형 써지 보호기
Shirasu et al. A CMOS SLIC with an automatic balancing hyb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