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690A -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690A
KR20050006690A KR1020030046608A KR20030046608A KR20050006690A KR 20050006690 A KR20050006690 A KR 20050006690A KR 1020030046608 A KR1020030046608 A KR 1020030046608A KR 20030046608 A KR20030046608 A KR 20030046608A KR 20050006690 A KR20050006690 A KR 2005000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opening
camera lens
clos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하종원
Original Assignee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102003004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6690A/ko
Publication of KR2005000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6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노출용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플레이트; 및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개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구동 스프링을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를 자동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 또한, 소형, 경량화되어 가는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카메라 렌즈를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시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남용을 방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타인의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AMERA LEN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메라 렌즈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영상 기기에 주로 탑재되어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가 점차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수용하는 경향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탑재되고 있다.
카메라 렌즈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상용화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촬영이 용이하여 일부 사용자들의 무분별한 촬영 등 오남용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런 도덕적인 문제점 이외에도, 카메라 렌즈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촬영되는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분별한 촬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등에 의한 카메라 렌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노출용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플레이트;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개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구동 스프링을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가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01 : 하우징
211 : 카메라 렌즈 213 : 개구
215 : 가요성 인쇄회로 202 : 도어 플레이트
221 : 제1 고정핀 223 : 제2 고정핀
225 : 제1 구동 스프링 227 : 제2 구동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0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1)는 상단부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사이드 힌지 암(111)을 구비하고, 상기 폴더(102)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센터 힌지 암(125)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폴더(102)는 상기 본체(101)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A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102)는 상기 본체(101)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101)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폴더(102)에는 카메라 렌즈(211; 도 2에 도시됨)가 내장되고, 상면(102a)에는 보조 표시장치(121)와 상기 카메라 렌즈(211)의 노출용 창(123)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 구체적으로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참조번호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 장치가 카메라 렌즈(211)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적용된 예를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 다양한 형태의 영상 기기에 적용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카메라 렌즈(211)가 수용된 하우징(201)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201)과 단말기(100)의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카메라 렌즈(211)와 상기 단말기(100)의 노출용 창 (123)사이에 위치된 노출용 개구(213;도 4에 도시됨)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노출용 개구(213)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하우징(201)의 노출용 개구(213)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플레이트(202)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 스프링(225, 227)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221, 223) 및 구동 스프링(225, 227)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21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는 상기 노출용 개구(213)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20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는 그 일단부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는 상기 구동 스프링(225, 227)이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1)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핀(221, 223)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가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핀(221)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가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가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 고정핀(223)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가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양측에는 각각 구동 스프링(225, 227)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 스프링(225, 227)은 형상기억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 일단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01) 상에 지지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와 각각의 상기 구동 스프링(225, 227)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215)를 통해 전원 회로(미도시)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211)의 도어 개폐장치는 카메라 렌즈(211)의 노출용 개구(213)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링(225)에 음(-)극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에 그라운드(G)를 인가함으로써,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제1 구동 스프링(225)은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노출용 개구(213)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 스프링(225)의 복원력이 여전히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1 고정핀(221)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는 적절한 위치에 정지되어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노출용 개구(213)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타측에 설치된 제2 구동 스프링(227)에 양(+)극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에 그라운드(G)를 인가함으로써,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제2 구동 스프링(227)은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노출용 개구(213)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구동 스프링(227)의 복원력이 여전히 작용하더라도, 상기 노출용 개구(213)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제2 고정핀(227)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는 적절한 위치에 정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구동 스프링(225, 227)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 400)는 각각 상기 구동 스프링이 판 스프링(325, 327) 또는 토션 스프링(425)이 적용된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으로 판 스프링(325, 327)이 적용된 경우, 일단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201)에 지지되어 인가받는 전압 또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그 곡률 등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를 회동시키는 구조가 될 것이다. 판 스프링(325, 327)이 구동 스프링으로 적용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어 플레이트(202)의 양측에 판 스프링(325, 32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으로 토션 스프링(425)이 적용된 경우, 회전력이 축적되는 코일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회동축 상에 결합되고, 코일의 일단에서 연장된 제1 자유단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에 지지되고, 코일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2 자유단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01)에 지지된다. 이때, 선행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토션 스프링(425)은 한 쌍이 각각 상기 도어 플레이트(202)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를 자동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 또한, 소형, 경량화되어 가는 휴대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카메라 렌즈를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시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남용을 방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타인의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카메라 렌즈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노출용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플레이트;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개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형상기억 합금 재질의 구동 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지지된 코일 형상이며, 인가받은 전압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지지된 굴곡진 형상이며, 인가받은 전압에 따라 그 곡률이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접지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의 구동 스프링은 음극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노출용 개구를 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접지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의 구동 스프링은 양극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노출용 개구를 개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이 회동축 상에 결합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코일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2 자유단을 구비하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은 인가받은 전압의 극성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용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고정핀과,
    상기 노출용 개구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2 고정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030046608A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50006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08A KR20050006690A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608A KR20050006690A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208U Division KR200330380Y1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690A true KR20050006690A (ko) 2005-01-17

Family

ID=3722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608A KR20050006690A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66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20B1 (ko) * 2005-12-19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Dvd 캠코더의 하우징 개폐장치
KR100964542B1 (ko) * 2009-01-30 2010-06-21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CN103226280A (zh) * 2012-01-31 2013-07-3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视频头防污保护装置
EP4093014A1 (en) * 2021-05-20 2022-11-23 Acer Incorporated Image captur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20B1 (ko) * 2005-12-19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Dvd 캠코더의 하우징 개폐장치
KR100964542B1 (ko) * 2009-01-30 2010-06-21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CN103226280A (zh) * 2012-01-31 2013-07-3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视频头防污保护装置
EP4093014A1 (en) * 2021-05-20 2022-11-23 Acer Incorporated Image capturing device
US11703742B2 (en) 2021-05-20 2023-07-18 Acer Incorporated Image capt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2038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camera
EP1805903B1 (en) Camera rotat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20050195322A1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CN111580322A (zh) 光圈切换装置及其照相装置、电子设备
US7422380B2 (en) Camera door opening/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4246023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20090086088A1 (en)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06690A (ko)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9015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330380Y1 (ko) 카메라 렌즈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6861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회전 장치
CN101356738A (zh) 小型摄像机用保护装置
KR100649734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200601080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커버 자동 개폐 장치
KR20070111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20034294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80052936A (ko)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624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커버장치
KR100614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467650B1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갖는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06209066A (ja) 撮像装置
KR100467654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05001123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 장치
EP3944015B1 (en) Lens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