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516A -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516A
KR20050005516A KR10-2004-7019391A KR20047019391A KR20050005516A KR 20050005516 A KR20050005516 A KR 20050005516A KR 20047019391 A KR20047019391 A KR 20047019391A KR 20050005516 A KR20050005516 A KR 20050005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ing service
service system
message
sending
s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640B1 (ko
Inventor
사비넨텝포
와르스타빌레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Reliability checks, e.g. acknowledgments or fault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08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parameters of servers, e.g. available memory or work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the content of a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9Random or heuristic server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4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non-centralised forwarding system, e.g. chain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15Access to distributed or replicated servers, e.g. using bro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의 인터벤더 및 인트라벤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메시지들 및 주고받기(handshaking) 메시지들을 정확하게 루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국면에서, 특정 메시징 시스템(840)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는 타깃 단말기(820)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시스템(840)으로 주고받기 메시지들(813)을 루트하는 것에 사용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에 들어가는 메시지 트랜잭션 아이디는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913)를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940)으로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부하 균형 스위치(934)에 의해 분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060)에 있는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1040, 105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vendor and intervendor messaging systems}
현대 통신 시대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들의 엄청난 확장을 가져왔다. 컴퓨터 네트워크들, 텔레비전 네트워크들 및 전화 네트워크들은 전례없는 기술적 팽창을 경험하고 있고, 고객의 수요에 의해 자극되고 있다. 무선 및 이동 네트워킹 기술들은 관련된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켜 왔고, 보다 더한 유연성 및 정보 전송의 즉시성을 제공한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네트워킹 기술들은 계속해서 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게 한다. 인터넷과 같은 지방, 지역 및 전세계 네트워크들의 확산은 사용자들에게 광대한 정보의 바다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킹 기술들은 확장되어 무선 및 이동 기술들을 더 많이 포함하게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메시징 정보는 데스크탑 시스템들, 무선 시스템들, 이동 시스템들 등등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는 이제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들(PDAs), 랩탑 컴퓨터들 등등과 같은 이동 무선 장치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는 이동 장치들 및 이메일 서버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장치들로 그리고 무선 장치들로부터 인터넷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그와 같은 기술의 하나로서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이 있는데, 이것은 무선 네트워크 플랫폼들과 함께 인터넷 및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합한다. 일반적으로, WAP는 인터넷 표준들 및 무선 서비스들에 대한 표준들 모두의 특징들 및 기능을 설명하는 일련의 프로토콜들이다. 이것은 무선 네트워크 표준들에 독립적이고, 공개 표준으로서 디자인되었다. WAP는 유선 인터넷 패러다임 및 무선 영역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이로 인해, 무선 장치 사용자들은 플랫폼들을 가로지르며 인터넷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한다.
종종 2G 무선 서비스라 불리는 두 번째 세대 무선 서비스는 회선-교환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현재 무선 서비스이다.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및 개인용 통신 서비스들(PCS)과 같은 2G 시스템들은 첫 번째 세대 이동 기술들에 비해 보다 넓은 영역의 서비스와 보다 향상된 품질의 디지털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3G 또는 세 번째 세대는 단말기들 및 네트워크 사이에서 새로운 패킷-기반의 송신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용량, 속도 및 효율면에서의 향상이 예상되는 일련의 디지털 기술들을 가리킨다. 3G 장치들 및 네트워크들의 사용자들은 주문형 비디오, 비디오 회의, 빠른 WEB 액세스 및 파일 전송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에 접근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들 사이 및 이동 무선 단말기들과 인터넷-연결 장치들 사이의 멀티미디어 메시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때로는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둘 이상의 메시징 시스템들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하다. 둘 이상의 메시징 시스템들은 한 벤더의 메시징 시스템들 또는 여러 벤더들의 메시징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WAP 포럼 및 3rd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알려진 것과 같은 현재 이동 통신 표준들은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을 지원하는 옵션을 결여하고 있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메시징 시스템들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표준화된 접근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통신업계에서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보다 새로워진 표준화 솔루션들에 따르지 않는 레가시(legacy) 이동 단말기들을 지원할 수 있는 그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단점 및 그 외 단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종래 기술에 부가적인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인트라벤더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메시징 시스템에 존재하는 구성상의 다양한 요소들에 관하여 도시한다.
도 2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관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구현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두 개의 이동 단말기들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메시지 트랜잭션(transaction) 동안 목표 단말기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사이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부하 균형(load balancing)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복수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6b는 복수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주고받기(handshaking) 메시지들을 발송하는데 있어 충돌(conflict)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일정한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주고받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주고받는 메시지들의 루팅(routing)을 결정하는 부하 균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메시지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메시지가 검색 없이 보내질 때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모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로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여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주고받기 메시지들으 연속적으로 루팅하여 주고받기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복수 개의 메시징 시스템들이 작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한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저장된다.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handshaking) 메시지들은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첫 번째 이동 단말기 및 두 번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첫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한다.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첫 번째 및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들에 연결되고,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첫 번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되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와 관련하여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수단,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한층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구현예는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발신자 단말기와 타깃 단말기 간의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여러 가지 구현예들에 관한 다음의 설명에서는, 여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였고, 본 발명이 실행되는 여러 가지 구현예들이 예시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른 구현예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구조적 및 기능적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들 사이 및 무선과 유선 통신 장치들 사이의 메시징은 서로 다른 수많은 네트워크 유형들, 통신 프로토콜들 및 통신 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1은,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 강화된 메시징 서비스(E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메시징 서비스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메시징 구조를 예시한다.
메시징 서비스의 기본적인 기능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메시지 저장, 통지를 지원하고, 메시징 서비스의 오퍼레이션들을 진행시킨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0)은 메시징 서버/중계(121) 및 관련된 메시징 저장 장치(123)를 포함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네트워크(135)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들(15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135)는 3rd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표준화된 것과 같은 발전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통합할 수 있고, 이전 기술들에 비해 네트워크 용량에 관한 상당한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때 고도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무선 장치들(154)뿐만 아니라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들(PDA's)(152), 멀티미디어 이동 전화기들(151), 휴대용 또는 랩탑 컴퓨터들(153)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들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진, 텍스트,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같은 여러 포맷들로 메시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0)은, 필요하다면, 서로 다른 메시징 시스템들로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것과, 들어오고 나가는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핸들링하는 것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0)은 인터넷(125)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다른 유사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110) 또는 이메일 서버들(140) 또는 그 외 다른 서버들(yet other servers: YOS)(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에 관한 이러한 레벨은 이동 무선 장치들과 인터넷 연결 장치들 사이에서 송신되는 다양한 메시징 포맷들을 허용한다.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가 타깃 단말기에 메시지를 송신할 때 시작된다. 이러한 이벤트는 발신자로부터 타깃 단말기로의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관련된 다양한 장치들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련의 데이터 및 주고받기 통신들에 있어 최초의 이벤트이다. 발신자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는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일정 시간 후에, 타깃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거나 타깃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메시지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들과 메시지 서버사이에서 루트(route)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장치는 양립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메시지들은 이동 서비스 개선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록시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들과 메시지 서버 사이에서 루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AP 무선 프록시와 같은 프록시 장치는 통신 사적 비밀 관련 사항들을 다루는 데 사용되거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이 이동 장치로 정보를 비동기 방식으로 보낼 수 있게 하는 푸쉬(push) 기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번역 장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무선 장치들의 통신 프로토콜들들 사이에 양립가능성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시스템은 WA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들과 메시지 서버 사이의 프로토콜 상호 연동(interworking)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메시징 릴레이/서버(250)와 무선 메시징 단말기(210) 사이의 전송 경로의 예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무선 단말기(210)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230)을 통하여 메시징 서버/릴레이(250)에 연결된다. WAP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에 무선 장치들을 링크하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게이트웨이(230)는 무선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을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것과 양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이동 네트워크(220)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WAP 세션 프로토콜(WSP)(260) 및/또는 WAP 푸쉬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WAP 게이트웨이(230)로 전송될 수 있다. WAP 게이트웨이(23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HTTP 포맷(270)을 사용하여 인터넷(240)을 통하여 메시징 릴레이/서버(25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a는 두 개의 이동 단말기들(310, 320)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무선 단말기들(310, 320)은 무선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으로 함께 연결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은 하나 이상의 메시징 서버들(342, 344)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 저장 장치들(34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것을 포함하는 수많은 통신 경로들을 통하여 상기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도 3b에서 도시된 예에서, 메시지 트랜잭션에 포함된 장치들은 발신자 단말기(310), 타깃 단말기(320)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단말기들(310, 320)은 WAP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프록시 장치(350)로 무선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연결된다. WAP 무선 프록시(350)는 인터넷(360)을 통하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으로 연결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메시징 서버들(342, 344)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 저장 장치들(34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는 무선 네트워크(330)를 통하여 발신자 단말기(310)로부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으로 전송된다. 메시지는 타깃 단말기(320)의 위치확인이 될 때까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타깃 단말기(320)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에 의해 위치 확인이 될 때,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은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타깃 단말기(320)로 통지를 보낸다.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깃 단말기(320)는 즉각적인 또는 지연된메시지 검색을 요구할 것이다. 메시지 검색의 시작은 타깃 단말기(320)에 의해 타깃 사용자(도시되지 않음)가 검색을 요구하도록 촉구하여 달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타깃 단말기(320)가 자동으로 검색을 촉구할 수도 있다. 메시지 검색 요구는 타깃 단말기(320)로부터 메시징 서비스 센터(340)로 송신된다. 메시지 검색 요구를 받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40)은 타깃 단말기(320)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 4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과 타깃 단말기(410) 사이의 메시지 트랜잭션 흐름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다 상세하기 예시한다. 메시지 트랜잭션 흐름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과 타깃 단말기(410) 사이에서의 일련의 데이터 및 주고받기(handshaking)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메시지 트랜잭션 흐름은 메시지(440)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을 통하여 타깃 단말기(410)로 지시된 발신자 단말기(430)에 의해 송신될 때 시작된다. 메시지(440)는, 예를 들어, WSP/HTTP 포스트(POST) 포맷을 사용하여 타깃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으로 보내질 것이다. 메시지(440)는 일정 시간 주기 동안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에 저장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이 타깃 단말기(410)의 위치를 확인한 때,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은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것을 타깃 단말기(410)에 알리는 통지 메시지(442)를 타깃 단말기(410)로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410)는 타깃 단말기(410)가 통지 메시지(442)를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 긍정 응답(444)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으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통지 메시지(442)에 응답한다. 타깃 단말기(410)는 발신자 단말기(43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즉시 검색하거나, 일정 시간 주기 동안의 지연 후에 상기 메시지 검색할 것이다.
타깃 단말기(41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으로 메시지 검색 요구(446)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검색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타깃 단말기(410)는 WSP/HTTP GET 포맷을 사용하여 메시지 검색 요구(446)를 송신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은 타깃 단말기(410)로 메시지(448)를 전달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검색 요구(446)에 응답한다. 타깃 단말기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420)으로 지시된 전달 회신(450)에서 메시지의 전달(448)을 회신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메시지 전달이 완성되었음을(460) 발신자 단말기(430)에 알릴 것이다.
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메시징 서비스는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기능하는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사이에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수적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사이의 메시징 트래픽의 분산은 메시징 서비스의 필요 응답 시간 또는 용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는 메시징 시스템 리던던시(redundancy)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센터들은 서로 다른 지역적 위치에 존재할 것이고, 예를 들어,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메시징 서비스들을 유지하는 중복된(redundant) 시스템을 제공할 것이다. 더욱이, 두 개의 벤더(vendor)들의 메시징 시스템들은 동일한 네트워크 공간 범위 내에서 거침없이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로 메시징 트래픽을 분산하는 것은 부하-균형(load-balancing) 스위치를 사용하여 달성될 것이다. 부하-균형 스위치는 각각의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및 용량들에 관한 정보와 함께 프로그램될 것이다. 부하-균형 스위치는 여러 가지 부하-균형 고려 사항들을 기반으로 하여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메시징 트래픽을 송신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하-균형 스위치는 가입자 ID, 전화 번호 및 장치 유형을 포함하는 장치 필요 조건들과 이동 단말기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여 메시징을 분산시킨다. 또한 부하 균형은, 스위치에 연결된 여러 가지 메시징 시스템들의 용량들 또는 응답 시간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의 성능상의 차이점을 기반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장치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WAP 게이트웨이와 같은 번역 장치를 사용하거나, WAP 무선 프록시를 사용하여 부하 균형 스위치에 연결될 것이다. 임의의 WAP 무선 프록시와 부하 균형 스위치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이 도 5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발신자 단말기(510) 및 타깃 단말기(520)는 무선 네트워크(530)을 통하여 WAP 무선 프록시(540)에 연결된다. WAP 무선 프록시(540)는 부하 균형 스위치(550)에 연결된다.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580) 범위 내에서 작동하는 두 개의 메시징 시스템들(560, 570)은 인터넷 커넥션(555)을 통하여 스위치(550)에 연결된다. 비록 이러한 예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580)에 있는 두 개의 메시징 시스템들을 도시하고 있을지라도, 메시징 시스템들의 수는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각각의 메시징 시스템(560, 570)은 하나 이상의 메시징 릴레이/서버들(562, 564, 572, 574) 및 관련된 메시지 저장 장치들(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것이다.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들에서 부하 균형을 사용하는 것은 특정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하 균형은 메시지 트랜잭션 흐름에 부가적인 네트워크 요소를 끼워 넣는다. 멀티미디어 메시징과 같은 일정한 메시징 시스템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WAP 및 3GPP와 같은 여러 표준 그룹들에 의해 정해진 프로토콜들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하나 이상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의 필요 조건들을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들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들과 연결된 메시지 전달의 주고받기 프로토콜에서의 충돌(conflicts)을 도시하는데, 이것은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두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6a를 살펴보면, 메시지 포스팅 및 검색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메시지 트랜잭션은 무선 장치들(610, 620)과 단독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660) 내에서 작동하는 두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640, 650) 사이에 놓인 부하-균형 스위치(634)를 이용하여 도시된다. 시스템은 임의의 무선 프록시(632)를 포함하나, 이것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부하-균형 스위치(634)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660)에 있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640, 650)로 메시징 트래픽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예에서, 발신자 단말기(610)와 타깃 단말기(620) 모두는 이동 전화기들로서 도시된다. 다른 구성에서, 메시징 단말기들(610, 620)은 수많은 여러 메시징 장치 유형들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들로 연결될 것이다.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610)가 타깃 단말기(620)로 향하는 메시지(611)를 송신할 때 개시된다. 메시지(611)는, 예를 들어, WSP/HTTP POST 명령을 통하여 송신된다. WSP/HTTP POST 메시지(611)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가상 주소를 사용하여 메시지(611)가 지정된 위치를 식별한다. 도 6의 예에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의 가상 주소는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URI)http://mmsc.operator.net.에 의해 제공된다. URIhttp://mmsc.operator.net.에 의해 제공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두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즉, 시스템-1 640 및 시스템-2 650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도시된 예에서, 발신자 단말기(610)로부터의 메시지(61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하-균형 스위치(634)로 송신된다. 메시지(611)는 스위치(634)로부터,http://mmsc.operator.net.에 의해 식별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660)에 있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640, 650) 중 하나로 발송된다.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기준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660)에 있는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640, 650)의 용량들 또는 응답 시간들을 기반으로 하거나, 그렇지 않는다면 어떤 바람직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여 메시지들이 배포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부하-균형 스위치(634)는 시스템-1(640)으로 메시지(611)를 발송한다.
메시지(611)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 전달된 후에,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은 타깃 단말기(620)로 통지 메시지(612)를 보내는 것에 의해 메시지(611)에 응답한다. 통지 메시지(612)는 메시지(611)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타깃 단말기(620)에 알린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부터 타깃 단말기(620)로의 통지 메시지(612)는 메시지(611)에 대한 메시지 확인뿐만 아니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의 위치도 제공하는 URI를 제공한다. 특히,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은 통지 메시지에서 URIhttp://mmsc.operator.net/system1/messageid.를 제공한다. 따라서, 타깃 단말기(620)는,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인,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부터 통지 메시지(612)를 수신하는 즉시, 타깃 단말기(620)는 통지 회신 메시지(613)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통지 회신(613)은 부하-균형 스위치(634)를 통하여 타깃 단말기(620)에 의해 송신된다.
상기 메시지가 위치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 통지 회신(613)을 송신하는 것은 스위치(634)에 있어서 문제점을 일으킨다. 현재 3GPP 및/또는 WAP 포럼 표준(3G TS23.140, WAP-206 MMS 클라이언트 트랜잭션들, WAP-209 MMS 캡슐화)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가 위치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특정 URI는 통지 회신(613)에 포함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특정 URI의 부재로 인해, 이 경우에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인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613)을 자동으로 발송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현재의 프로토콜 하에서는, 스위치(634)가 경로(614)를 따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 통지 회신(613)을 송신할 것인지, 경로(615)를 따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650)로 통지 회신(613)을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유사한 상황이,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시지 검색과 관련한 주고받기 프로토콜에서 발생한다. 타깃 단말기(620)는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징 서비스시스템-1(640)로 향하는 메시지 검색 요구(621)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검색을 개시한다. 타깃 단말기(620)는, 예를 들어, WSP/HTTP GET 요구를 사용하여 메시지 검색 요구(621)를 송신할 것이다. 메시지 검색을 개시할 때, 타깃 단말기(620)는, 도 6a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것처럼,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640)으로부터의 통지 메시지(612)에 제공되어 있는 특정 URI를 메시지 검색 요구(621) 내에 포함시킬 것이다. 도 6b의 예에서, 타깃 단말기(620)로부터의 메시지 검색 요구(621)는 URIhttp://mmsc.operator.net/system1/을 포함시키는데, 이것은 상기 메시지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부터 검색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메시지 검색 요구(621)는 타깃 단말기(620)로부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으로 송신된다. 메시지 검색 요구(621)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은 타깃 단말기(620)로 메시지(62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620)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부터 메시지(622)를 수신할 때, 타깃 단말기(620)는 전달 회신(623)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전달 회신(623)은 메시지(622)가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그러나, 현재 3GPP 및/또는 WAP 포럼 표준(3G TS23.140, WAP-206 MMS 클라이언트 트랜잭션들, WAP-209 MMS 캡슐화)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를 전달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특정 URI는 전달 회신에 포함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특정 URI의 부재로 인해, 이 경우에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인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을 자동으로 발송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6b에서 도시된 상황에 있어, 현재의 프로토콜 하에서는, 스위치(634)가경로(624)를 따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640)로 전달 회신 메시지(623)를 송신할 것인지, 경로(625)를 따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650)로 전달 회신 메시지(623)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현재 WAP 및 3GPP 표준 하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의 URI를 사용하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위치의 아이디는, 상기에서 논의된 전달 회신 및 통지 회신 메시지들과 같은 소정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에 포함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은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되어야 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결정함에 있어 부하-균형 스위치에서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점 및 기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7의 흐름도에서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용어로서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가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개시된다(710). 메시지는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메시징 시스템상에 저장된다(720). 메시징 시스템들은 메시징 시스템들 사이에 메시지들을 분산시키는 부하 균형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될 것이다.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타깃 단말기 사이를 오가는 수많은 데이터 및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고받기 메시지들은 타깃 단말기로부터 메시지가 저장된 특정 메시징 시스템으로 송신되는데(730), 이것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가 저장된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URI를 포함하는 것은 타깃 단말기로부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된 회신 메시지들을 위하여 요구된다. 이 방법에 의하여 회신 메시지들은 메시지가 저장된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정확하게 발송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도 8a에서 도시된다. 발신자 단말기(810)로부터 타깃 단말기(820)로 향하는 메시지(811)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임의적으로 저장된다. 도 8a의 예에서, 메시지(811)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에 저장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은 두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840, 850)을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860) 내에 위치한다. 비록 단지 두 개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840, 850)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860)에 도시된다고 할 지라도,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이 포함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이 메시지(811)를 수신한 후에,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은 타깃 단말기(820)로 향하는 통지 메시지(81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82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로 통지 회신(813)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통지 회신(813)은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특정 URI에 붙여진다. 도 8a의 예에서 통지 회신(813)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의 URI http://mnsc.operator.net/system1/.을 포함시킨다. 통지 회신(813)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의 특정 URI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스위치(834)는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통지 회신(813)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 있어 메시지 검색은,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타깃 단말기(82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로 메시지 검색 요구(821)를 발송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검색을 요청한다. 메시지 검색 요구(821)에 응답하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은 메시지(822)를 타깃 단말기(820)로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82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로 전달 회신(823)을 보낸다. 전달 회신(823)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의 URI를 포함한다. 도 8b의 예에서, 전달 회신(823)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840)에 대한 URI 위치인 URI http://mmsc.operator.net/system1/을 포함시킨다. 전달 회신(823)에 URI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치는 현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823)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의 한 국면에서는 상기 포함시키는 것이, 예를 들어, 3GPP 및/또는 WAP 포럼 규격들(3G TS23.140, WAP-206 MMS 클라이언트 트랜잭션들, WAP-209 MMS 캡슐화)과 같은 메시징 표준들에 필요하고, 타깃 단말기로부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응답들을 전달할 때 메시지 통지에서 사용된 URI 부분이 사용될 것이라는 필요 조건을 요구한다. 이러한 필요 조건에서는 통지 회신 및 전달 회신과 같은 회신 메시지들은 상기 회신 메시지들이 정확하게 발송될 수 있도록 상기 메시지들이 송신된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URI를 포함할 것이라는 점을 보장한다.
이러한 구현예의 또 다른 국면은 상기에서 참조된 표준들에 의해 요구되는 통지 메시지에 새로운 정보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국면에 따르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의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응답들(Responses-To)" 이라고 명명된 새로운 정보 구성요소는 모든 회신 메시지들에 대한 리턴 위치를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한다. 타깃 단말기로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보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지 회신 및 전달 회신을 포함하는 회신 메시지들에 대한 리턴 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회신 메시지들에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URI를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는, 여러 현존 표준들에 있어서의 변경을 의도하고 있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표준들의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현재의 표준들이 수정되는지에 상관없이, 이하에서 논의되는 구현예들은 표준 변경를 반영하지 않는 레가시 장치들을 사용하는데 있어 유익할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부하 균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아이디를 검사할 것인데, 이러한 트랜잭션 아이디는 타깃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회신 메시지들에 대한 적절한 발송을 결정하기 위하여 회신 메시지들에 포함된다. 도 9a를 살펴보면,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클라이언트(910)가 타깃 단말기(920)로 향하는 메시지(911)를 발송할 때 개시된다. 메시지(911)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에 저장하기 위하여 부하 균형 스위치(934)에 의해 발송된다.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은 타깃 단말기(920)로 통지 메시지(912)를 송신한다. 현재 통신 프로토콜들 하에서, 데이터 패킷을 특정 메시지 트랜잭션과 연관시키는데 사용되는 통지 메시지(912)는 트랜잭션 식별자 또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한다.
타깃 단말기(920)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지 회신(913)을 스위치(934)를 통하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로 송신한다. 스위치(934)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검사하고, 트랜잭션 아이디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인, 통지 회신이 발송되어야 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추론해 낸다.
본 구현예에 따른 메시지 검색은 도 9b에서 도시된다. 메시지 검색은 타깃 단말기(920)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로 향하는 메시지 검색 요구를 송신할 때 개시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은 타깃 단말기(920)로 메시지(922)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타깃 단말기(92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로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전달 회신(923)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회신한다. 스위치(934)는 타깃 단말기(920)로부터 전달 회신(923)에 있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고,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940)인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전달 회신(923)을 발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회신 메시지들을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한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개념적으로 도시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1010)가 타깃 단말기(1020)로 향하는 메시지(1011)를 발송할 때 개시된다. 메시지(1011)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에 저장하기 위하여 스위치(1034)에 의해 발송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은 타깃 단말기(1020)로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101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1020)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지 회신(1013)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통지 메시지(1012)에 응답한다. 스위치(1034)는,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인,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랜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1013)을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는 통지 회신(1013)을 수신하고,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1(1040)인, 통지 회신(1013)이 송신된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결정한다. 그 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로 통지 회신(1014)을 송신한다.
메시지 검색은 도 10b에서 도시된다. 메시지 검색은 타깃 단말기(1020)가 메시지 검색을 요구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로 메시지 검색 요구(1021)를 송신할 때 개시된다. 메시지 검색 요구(1021)를 수신하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은 타깃 단말기(1020)로 메시지(1022)를 송신한다.
메시지(1022)를 수신하면, 타깃 단말기(1020)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전달 회신(1023)을 송신한다. 스위치(1034)는,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인,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랜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1024)을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는 전달 회신(1023)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고,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040)로 전달 회신(1025)을 재송신한다(redirect).
메시지 검색 요구를 요청하는 대신에, 타깃 단말기는 메시지가 검색 없이 보내지도록 요구할 수 있다. 발송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 트랜잭션을 핸들링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1110)가 타깃 단말기(1120)으로 메시지(1111)를 발송할 때 개시된다. 메시지(1111)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140)에 저장하기 위하여 스위치(1134)에 의해 발송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140)은 타깃 단말기(1120)로 트랜잭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지 메시지(111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1120)는 검색 요구 없는 포워딩(forwarding)을 송신(1113)하는 것에 의해 통지 메시지(1112)에 응답한다. 스위치(1134)는,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050)인 랜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검색 요구 없는 포워드(1113)를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150)는,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140)인 것으로서, 상기 포워딩 요구가 송신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프록시 커넥션을 생성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15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140)로 상기 포워딩 요구(1114)를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140)은 포워딩 회신(1115)에 의해 포워딩 메시지 요청(1114)에 동기식으로 응답한다. 포워딩 회신(1115)은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150)을 통하여, 스위치(1134)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타깃 단말기(1120)로 발송된다.
도 9a, 9b, 10a, 10b, 11a 및 11b에 관련하여 논의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회신 메시지에 대한 적절한 발송을 결정하기 위하여 회신 메시지에 포함된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것에 따른다.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부하 균형 스위치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회신에 관한 적절한 발송을 결정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의 구현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이 트랜잭션 아이디의 분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에 해당한다. 일정한 상황에서는, 부하 균형 스위치 및/또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은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회신에 대한 적절한 발송을 결정할 수 없을 것이다.
이어지는 본 발명의 구현예는 상기 회신이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도달할 때까지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로 회신을 송신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도 12a 및 도 12b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구현예에서, 회신은 상기 회신을 수신한 첫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그 외 모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로 브로드캐스트된다. 도 13a 및 도 13b와 관련하여 도시된 구현예에서, 회신을 수신한 첫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두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회신을 발송한다. 상기 두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세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회신을 발송하는 등, 이는 상기 회신이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도시된 구현예에서, 회신 메시지는 상기 회신을 수신한 첫 번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메시징서비스 시스템들로 브로드캐스트된다. 발신자 단말기(1210)는 메시지(1211)를 타깃 단말기(1220)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한다. 메시지(1211)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에 저장하기 위하여 부하 균형 스위치(1234)에 의해 발송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은 타깃 단말기(1220)로 통지 메시지(121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1220)는 통지 회신(1213)을 송신한다. 스위치(1234)는 랜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1213)을 발송한다. 도 12a의 예에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250)는 상기 랜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선택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250)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260)에 있는 그 외 모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40, 1270)으로 통지 호신을 브로드캐스트한다. 특히,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25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로 통지 회신(1216)을 발송하고, 또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270)으로 통지 회신(1217)을 발송한다.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40, 1250, 1270)은 통지 회신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지 회신을 분석한다.
도 1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검색은 타깃 단말기(1220)가 저자오딘 메시지의 검색을 요구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로 메시지 검색 요구(1221)를 송신할 때 개시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은 타깃 단말기(1220)로 메시지(1222)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메시지(1222)를 수신하면, 타깃 단말기(1220)는 전달 회신(1223)을 송신한다.
전달 회신 메시지(1223)가 스위치(1234)에서 도착할 때, 스위치(1234)는 상기 회신이 송신된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결정할 수 없다. 스위치(1234)는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회신(1223)을 송신한다. 도 12b의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250)이 선택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50)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260)에 있는 다른 모든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40, 1270)으로 상기 회신을 발송한다. 특히,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25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240)로 상기 회신(1224)을 발송하고, 또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270)으로 회신(1225)을 발송한다.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240, 1250, 1270)은 전달 회신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한층 더 나아간 구현예는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시된다. 메시지 트랜잭션은 발신자 단말기(1310)가 메시지(1311)를 타깃 단말기(1320)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개시된다. 메시지(1311)는 스위치(1334)에 의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에 저장을 위하여 발송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은 타깃 단말기(1320)로 메시지 통지(1312)를 송신한다.
타깃 단말기(1320)는 통지 회신(1313)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통지 메시지(1312)에 응답한다. 통지 회신(1313)이 스위치(1334)에 도달할 때, 스위치(1334)는 통지 회신이 송신된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결정할 수 없다. 스위치(1334)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1313)을 송신한다. 도 13의 예에서, 통지 회신(1313)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으로 먼저 발송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은 통지 회신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으로 보내고자 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지 회신을 분석한다. 만일 통지 회신(1313)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으로 송신된 것이 아니라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로 통지 회신을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는 통지 회신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으로 보내고자 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지 회신을 분석한다. 만일 아니라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로 통지 회신(1318)을 발송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전달 회신은 전달 회신이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도달할 때까지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연속하여 발송된다(routed). 도 13b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타깃 단말기(1320)는, 메시지가 저장된 곳으로서, 본 예에서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메시지 전달 요구(1321)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전달을 요구할 것이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은 타깃 단말기(1320)로 메시지(1322)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응답한다.
타깃 단말기(1320)는 전달 회신(1323)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1322)를 수신을 회신한다. 전달 회신(1323)이 스위치(1334)에 도달할 때, 스위치(1334)는 전달 호신(1323)이 송신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결정할 수 없다. 스위치(1334)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1360)에 있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1323)을 발송한다. 도 13b의 예에서, 스위치(1334)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으로전달 회신(1323)을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은 전달 회신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3(1370)으로 송신된 것이 아닌 것을 결정하고, 전달 회신(1329)을 옆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즉,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로 발송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는 전달 회신(1329)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으로 송신된 것이 아닌 것을 결정한다.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2(1350)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1340)로 전달 회신(1328)을 발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달 회신은 전달 회신이 적절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경들 및 선택적인 형태로 수정 가능한 반면,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도면에서 예시적인 방식으로 보여진 것이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 구현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모든 변경들, 등가물들 및 선택적인 사항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49)

  1.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발신자 단말기와 타깃 단말기 사이의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handshaking)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와 타깃 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징 시스템상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부하 균형 변수들에 따라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하 균형 변수들에 따라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의 응답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메시지를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하 균형 변수들에 따라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의 저장 용량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메시지를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통지 회신(notification acknowledgement)을, 메시지 통지가 상기 타깃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회신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지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하여 상기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의 통지 메시지에,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의 통지 메시지에,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구성요소에서 구체화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전달 회신을, 메시지가 상기 타깃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회신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의 통지 메시지에,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회신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의 통지 메시지에,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보 구성요소에서 구체화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타깃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단계는,
    부하 균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무작위로 선택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회신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통지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전달 회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포워딩(forwarding) 요구를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포워딩 요구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타깃 단말기로 응답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특정 메시징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될 때까지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연속적으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첫 번째 이동 단말기 및 두 번째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첫 번째 및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들에 연결되고,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첫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고,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첫 번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되는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와 관련하여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송신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과 상기 이동 단말기들 사이에서 메시지들 및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에 연결된 부하-균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통지가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정보 구성요소를,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정보 구성요소에서 구체화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지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가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메시지 위치 식별자를,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구체화하는 정보 구성요소를,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정보 구성요소에서 구체화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달 회신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은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균형 스위치는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하여,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된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균형 스위치는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하고,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균형 스위치는 상기 두 번째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무작위로 선택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될 때까지, 상기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다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1.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4.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트랜잭션 아이디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5.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부하-균형 스위치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6.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트랜잭션 아이디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위하여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7.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8. 제4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를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이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송될 때까지, 각각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연속적으로 발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시스템.
  49. 여러 메시징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있는, 발신자 단말기와 타깃 단말기 간의 메시징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단말기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메시지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여러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들을 가지는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서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상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메시지 트랜잭션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주고받기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KR1020047019391A 2002-05-31 2003-05-21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665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61,323 2002-05-31
US10/161,323 US7116995B2 (en) 2002-05-31 2002-05-31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vendor and intervendor messaging systems
PCT/IB2003/002118 WO2003103154A2 (en) 2002-05-31 2003-05-21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vendor and intervendor messag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516A true KR20050005516A (ko) 2005-01-13
KR100665640B1 KR100665640B1 (ko) 2007-01-09

Family

ID=2958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391A KR100665640B1 (ko) 2002-05-31 2003-05-21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16995B2 (ko)
EP (1) EP1532820B1 (ko)
KR (1) KR100665640B1 (ko)
CN (1) CN100536440C (ko)
AU (1) AU2003228034A1 (ko)
WO (1) WO20031031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484B2 (en) * 2002-08-08 2010-10-1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ll-HTTP multimedia messaging
US6999566B1 (en) * 2002-08-29 2006-02-1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nding voicemail deletion and status notification
US20040203956A1 (en) * 2002-12-31 2004-10-14 Ioannis Tsampali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messaging
US7623892B2 (en) * 2003-04-02 2009-11-24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person to switch use of computing devices
AU2003276341A1 (en) * 2003-09-15 2005-04-11 France Telecom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ultimedia message
KR20050046897A (ko) * 2003-11-14 2005-05-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데이터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US7653001B2 (en) * 2004-04-09 2010-01-26 At&T Mobility Ii Llc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7849135B2 (en) * 2004-04-09 2010-12-07 At&T Mobility Ii Llc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7295833B2 (en) * 2004-04-09 2007-11-13 At&T Mobility Ii Llc Spam control for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7415284B2 (en) * 2004-09-02 2008-08-19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essage server in a push-to-talk network
JP4645164B2 (ja) * 2004-11-12 2011-03-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型プラグアンドプレイに対応したネットワーク装置の制御
DE102005015385A1 (de) * 2005-04-04 2006-11-0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Umleiten mindestens einer Multimedianachricht in einem Mobilfunk-Kommunikationsnetzwerk, Multimedianachricht-Relaiseinrichtungen, Zentral-Mobilfunk-Servereinheit und Mobilfunk-Kommunikationsendgerät-Speicherelement
US20070004438A1 (en) * 2005-07-01 2007-01-04 Alec Brusilovsky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PTT (push-to-talk) communications between legacy PSTN, cellular and wireless 3G terminals
KR101115955B1 (ko) * 2006-07-26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실시간 재생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WO2008054194A1 (en) * 2006-11-03 2008-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conditionally routing a call made to a fixed telephone number
CN100502572C (zh) * 2006-11-30 2009-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增大多媒体消息业务系统容量的方法及系统
CN101001214A (zh) 2006-12-31 2007-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讯网络中传递并增强消息的系统和方法
US8897211B2 (en) * 2007-06-29 2014-11-25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specific support for multimedia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US20090037539A1 (en) * 2007-08-02 2009-0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Message Interworking
JP5088234B2 (ja) * 2008-05-23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紐付け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20681B (zh) * 2008-09-18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管理平台下处理多渠道请求订购的方法和装置
US8700072B2 (en) 2008-12-23 2014-04-15 At&T Mobility Ii Llc Scalable message fidelity
CN101674548B (zh) 2009-10-21 2014-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投递报告的分配方法及系统
WO2012128738A1 (en) 2010-12-23 2012-09-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lphanumeric address mapping for non-homogeneous short message networks
US8682289B2 (en) 2011-02-14 2014-03-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Prepaid short message services revenue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US6295449B1 (en) 1992-01-27 2001-09-25 @Track Communications, Inc. Data messag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feature request
US5839075A (en) * 1995-08-21 1998-11-17 Ericss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locating a cellular communications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a cellular terminal and a telephone base station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US5822700A (en) * 1996-04-18 1998-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Flow control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6366609B1 (en) 1996-07-29 2002-04-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for reliable exchange of modem handshaking information over a cellular radio carrier
FI103546B (fi) * 1996-09-16 1999-07-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palvelu matkaviestinverkossa
US5918181A (en) 1996-10-15 1999-06-29 Tatung Tele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of wireless terminals in a nanocellular digital cordless terminal network coupled to a local exchange
US6018657A (en) * 1997-05-05 2000-01-25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 message using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5974449A (en) * 1997-05-09 1999-10-26 Carmel Connec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between disparate messaging platforms
FI108982B (fi) * 1998-06-15 2002-04-30 Nokia Corp Sanomapalvelu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263362B1 (en) * 1998-09-01 2001-07-17 Bigfix, Inc. Inspector for computed relevance messaging
US6317831B1 (en) * 1998-09-21 2001-11-13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cure connection over a one-way data path
US20020013852A1 (en) * 2000-03-03 2002-01-31 Craig Janik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management, and interactivity for thin client devices
US6795711B1 (en) * 1999-10-07 2004-09-21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edia message content adaptation
FI112427B (fi) * 1999-11-05 2003-11-28 Nokia Corp Menetelmä langattoman päätelaitteen ominaisuuksien määrittämiseksi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ssa,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 ja multimediapäätelaite
FI111780B (fi) * 1999-12-23 2003-09-15 Nokia Corp Sanomanvälityspalvelu
FI112151B (fi) * 1999-12-23 2003-10-31 Nokia Corp Sanoman välitys
FI113231B (fi) * 2000-01-17 2004-03-15 Nokia Corp Menetelmä sanomien sisältämän informaation esittämiseksi multimediapäätelaitteessa, multimediasanomien välitysjärjestelmä ja multimediapäätelaite
FI113606B (fi) * 2000-05-03 2004-05-14 Nokia Corp Menetelmä sanomien välit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 ja päätelaite
FI20001294A (fi) * 2000-05-30 2001-12-01 Nokia Networks Oy Vastauksen laskutta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678524B1 (en) * 2000-05-31 2004-0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rer sele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both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bearers
ATE266291T1 (de) * 2000-06-16 2004-05-15 Nokia Corp Nachrichtendienstsystem und in einem derartigen system durchgeführtes verfahren
FI111899B (fi) * 2000-06-16 2003-09-30 Nokia Corp Menetelmä laskutuksen kohdentamiseksi sanomien välitysjärjestelmässä, välitysjärjestelmä, palvelin ja päätelaite
TW512640B (en) * 2000-08-25 2002-12-01 Phone Inc W Mobile opinion polling system and method
FI114364B (fi) * 2000-11-22 2004-09-30 Nokia Corp Datan siirto
US6947738B2 (en) * 2001-01-1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routing system and method
US20020111855A1 (en) * 2001-01-23 2002-08-15 Hammerstad Diane R. Delivery of time significant advertising
US6778498B2 (en) * 2001-03-20 2004-08-17 Mci, Inc. Virtual private network (VPN)-awar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edge router
TW550961B (en) * 2001-05-03 2003-09-01 Far Eastone Telecomm Co Ltd Mobile phone Internet access utilizing short message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95811A1 (en) * 2001-06-07 2003-10-16 Hayes Marc F. Customer messaging service
US7480705B2 (en) * 2001-07-24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HTTP load balancing method and apparatus
US7062533B2 (en) * 2001-09-20 2006-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ecifying monitored user participation in messaging sessions
US20030104827A1 (en) * 2001-11-30 2003-06-05 Brian Moran Rerouting/reformating wireless messages for cross connectivity between service provi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59018B2 (en) 2013-01-22
WO2003103154A3 (en) 2004-05-21
AU2003228034A8 (en) 2003-12-19
EP1532820A2 (en) 2005-05-25
AU2003228034A1 (en) 2003-12-19
US7116995B2 (en) 2006-10-03
CN100536440C (zh) 2009-09-02
KR100665640B1 (ko) 2007-01-09
CN1656828A (zh) 2005-08-17
US20070066281A1 (en) 2007-03-22
EP1532820B1 (en) 2012-05-30
US20030224809A1 (en) 2003-12-04
EP1532820A4 (en) 2009-04-08
WO2003103154A2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640B1 (ko) 인트라벤더 및 인터벤더메시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EP1322126B1 (en) Mobile network message to email redirection
US7773550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EP1401176B1 (en) Connection detection of a device through a relay device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o that device
US8885648B2 (en) Redirection of message from mobile station based on identity of mobile station
CN101588547B (zh) 一种电信网络的业务转移方法、系统及设备
JP2008022584A (ja) ワイヤレス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163953A (ja) Mmsメッセージとsms/emsメッセージとの間のインターオペラビ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交換方法
US20030126263A1 (en) Multimedia load balancing architecture
EP2480009B1 (en)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nd domain name server
US7136925B1 (en) System for processing wireless connections using connection handles
US20040078439A1 (en) Messaging method
US200501817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to mobile termin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user selectable attainability status
EP1550333B1 (en) Selecting a data transfer method
US796566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ing service messages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ng different message structures
IL186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KR100409052B1 (ko) 무선 명함 데이터의 관계형 통합관리 시스템
US9641646B1 (en)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 for IP networks
KR20040029244A (ko)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47903B1 (ko) 웹 서비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7153A (ko) 번호 이동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00554A (ko) 이동 통신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 이관 시스템 및 그 이관방법
KR100783265B1 (ko) 무선 통신망에서 통화 발신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제공하는 시스템
US8320896B1 (en) Unified communication access system
EP1883192A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ed message delivery over a plurality of transport mediu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