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320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05320A KR20050005320A KR1020030044366A KR20030044366A KR20050005320A KR 20050005320 A KR20050005320 A KR 20050005320A KR 1020030044366 A KR1020030044366 A KR 1020030044366A KR 20030044366 A KR20030044366 A KR 20030044366A KR 20050005320 A KR20050005320 A KR 20050005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screen
- cathode ray
- transmittance
- ray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30—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 H01J29/32—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with adjacent dots or lines of different luminescent material, e.g. for colour televi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6—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beam-passing aper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5—Beam passing apertures, e.g. geometrica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외면과,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를 갖는 스크린이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면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스크린 투과율이 54%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널의 중앙 및 주변의 전체면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의 스크린 투과율을 최적화하여 패널의 색순도 저하를 방지하고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전기 신호를 전자빔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전자빔을 형광체 스크린에 방출시켜 광학상으로 화면을 구현하는 장치로, 가격대비 표시 품질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는 표시장치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은 전면 유리인 패널(101)과, 상기 패널(101)과 결합되어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유리인 펀넬(102)과, 상기 패널(101)의 내면에 도포되어 소정의 발광체 역할을 하는 형광체 스크린(113)과,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을 발광시키는 전자빔(105)이 방출되는 전자총(106)과, 상기 펀넬(10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빔(105)을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107)와,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새도우 마스크(108)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108)를 고정/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109)과, 상기 패널(101)측으로부터 상기 펀넬(102)측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 지자계를 차폐하여 자계 영향에 의해 색순도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인너 쉴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은 상기 전자총(106)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전자빔(105)이 상기 편향 요크(107)에 의해 편향되고 상기 새도우 마스크(108)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패널(101) 내면에 형성된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에 랜딩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에 형성되는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빔(105)이 상기 새도우 마스크(108)를 통과하여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을 발광시키게 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113)의 발광된 빛이 상기 패널(101)을 통과하여 화면을 구현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108)의 투과율 및 상기 패널(101)의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113)의 투과율(이하, 스크린 투과율이라고 함)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패널(101)의 글라스 투과율에 의해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빔의 새도우 마스크 투과율은 약 14% ~ 19% 정도이고, 상기 전자빔의 형광체 스크린 투과율은 약 49% ~ 52% 정도이며, 상기 패널 글라스 투과율은 약 70% ~ 80%정도이다. 그리고, 상기한 세 가지의 투과율 모두가 상기 패널의 중앙부에서 패널의 주변부로 갈수록 낮게 나타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패널 각 부위의 투과율 차이에 의해서 상기 패널 전체면의 휘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외면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형 패널이 외면이 거의 무한대인 곡률 반경을 갖는 평면형 패널로 바뀌는 현재의 추세에 따라, 상기 패널의 외면이 편평해지면서 패널의 중앙부의 글라스의 두께(Tc)에 대한 상기 패널의 주변부의 글라스 두께(Td)의 비인 웨지율(wedge ratio)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패널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광투과율의 차이가 커지게 되어 화면의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현상이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휘도의 불균일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광투과율이 높은 글라스를 패널에 적용하여 패널의 주변부의 광투과율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높은 투과율을 갖는 글라스는 화면의 명암에 따른 선명도인 콘트라스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콘트라스트 특성 저하 현상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패널 글라스의 외면에 착색제를 코팅하거나, 착색제가 포함되는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은 코팅 또는 필름의 부착은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에서 부품 및 공정수를 증가시키게 되어 칼라 음극선관의 코스트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휘도 불균일성 및 콘트라스트 특성을 동시에 개선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패널 글라스에 코팅등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패널 글라스 자체를 착색시켜 광투과율이 약 54% 이하인 틴트 글라스를 상기 패널에 적용시키고 있다. 그러나, 하기의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틴트 글라스를 적용한 패널의 경우 상기 패널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투과율이 급격하게 떨어져 중앙부 대비 주변부의 휘도가 저하되어 패널의 백색 균일도(white uniformity)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류 | 글라스 투과율 (%) | ||
중앙부 | 도밍부 | 주변부 | |
클리어 패널 | 79 | 76 | 71 |
틴트화 패널 | 51 | 46 | 35 |
상기의 표 1 은 웨지율이 200%인 틴트 글라스, 그리고 틴트를 적용하지 않은 클리어 글라스가 적용되는 패널의 각 부위의 글라스 투과율을 비교한 것이다. 표 1 에서, 도밍부는 상기 패널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써 전자빔의 충돌에 따른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해 상기 전자빔이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랜딩되는 랜딩 위치가 변화되는 도밍 현상의 영향을 받는 영역이다.
상기 패널의 주변부에서 투과율이 급격히 줄어들어 휘도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동시에 패널의 중량 감소 및 글라스 두께 차이로 인한 열공정 내에서의 파손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패널의 중앙부의 두께(Tc) 대비 주변부의 글라스 두께(Td)의 비인 웨지율을 줄이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즉, 상기 패널의 주변부의 두께를 줄여 상기 패널 주변부의 광투과율을 높임으로써, 상기 패널의 중앙부 및 주변부의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패널의 웨지율을 줄이게 되면 상기 패널의 내면은 더 평평해지게 되는 데, 이 경우 상기 패널의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돔 형상을 하고 있는 새도우 마스크의 곡률이 상기 패널의 내면이 평평해짐에 따라 점점 편평해지면서 그 구조적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상기 새도우 마스크의 내충격 특성 및 하울링 특성이 열화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휘도의 불균일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패널의 웨지율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틴트 글라스가 적용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의 스크린 투과율을 54% 이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패널의 중앙부, 주변부 및 도밍부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 는 칼라 음극선관의 비평면형 패널의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 은 칼라 음극선관의 평면형 패널의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이 도시된 상세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 스크린이 확대되어 도시된 상세도이다.
도 8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휘도 분포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휘도 분포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
1 : 패널 2 : 펀넬
13 : 형광체 스크린 21R : 적색 형광체
21G : 녹색 형광체 21B : 청색 형광체
23 : 블랙층 3 : 패널의 유효면부
C : 패널의 중앙부 E : 패널의 단변 방향 끝단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외면과,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를 갖는 스크린이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면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스크린 투과율은 5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글라스 투과율을 Tgx 라고 하고, 스크린 투과율을 Tsx 라고 할 때, 1.46 ≤ Tsx/Tgx ≤ 1.78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x 라고 하고, 상기 패널의 중앙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c 라고 할 때, 1.34 ≤ PHx/PHc ≤ 1.57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전면 유리인 패널(1)과, 상기 패널(1)과 결합되어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유리인 펀넬(2)과, 상기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되어 소정의 발광체 역할을 하는 형광체 스크린(13)과, 상기 펀넬(2)의 단부에 위치되어 전자빔(5)을 방출시키는 전자총(6)과, 상기 펀넬(2)의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빔(5)을 상기 형광체 스크린(13)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7)와, 상기 패널(1)의 후측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13)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새도우 마스크(8)와, 상기 새도우 마스크(8)를 고정/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9)과, 상기 패널(1)측으로부터 상기 펀넬(2)측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 지자계를 차폐하여 자계 영향에 의해 색순도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인너 쉴드(10)와, 상기 패널(1)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스크 프레임(9)을 상기 패널(1)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11)과, 상기 지지스프링(11)이 고정되는 스프링 서포터(14)와, 상기 패널(1)의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패널(1)의 외주부를 보강하는 보강 밴드(12)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1)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13)이 형성되는 유효면부(3)와, 상기 유효면부(3)의 둘레에서 관축(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펀넬(2)과 결합되는 스커트부(4)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유효면부(3)의 정중앙으로부터 가로 및 세로로 각각 50mm 정도까지의 영역을 패널(1)의 중앙부(C)라고 하고, 상기유효면부(3)의 단변과 장축(X-축)이 만나는 곳으로부터 가로 및 세로로 각각 50mm 떨어진 정도까지의 영역을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라 정의한다.
상기 형광체 스크린(13)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단축(Y-축)과 거의 평행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갖도록 도포되는 블랙층(23)과, 상기 블랙층(23)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도포되는 청색 형광체(21B), 녹색 형광체(21G), 적색 형광체(21R)로 이루어 진다.
여기에서, 상기 형광체들(21B), (21G), (21R) 및 상기 블랙층(23)의 한 묶음의 폭을 스크린 피치(screen pitch)라 하며, 상기 스크린 피치는 상기 패널(1) 유효면부(3)의 중앙에서 주변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패널(1)의 유효면부(3)의 중앙부(C)에서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쪽으로 갈수록 상기 형광체들(21B), (21G), (21R)의 각각의 폭(PH) 및 상기 블랙층(23)의 각각의 폭(BW)이 각각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패널(1)의 중앙부(C) 보다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의 투과율이 낮아, 이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휘도의 불균일성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 위치되는 형광체 스크린(13) 스크린 피치 및 형광체들(21B), (21G), (21R)의 폭(PH)을 크게 형성시켜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휘도의 불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칼라 음극선관의 휘도는 상기 패널(1)의 글라스 투과율, 상기 새도우 마스크(8)의 투과율 및 상기 형광체 스크린(13)의 투과율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이러한 세 가지의 투과율 중 글라스 투과율은 상기 패널(1) 글라스의 두께에 따라다르며, 상기 패널(1)의 설계시 주로 고려되는 것이 방폭 특성이므로, 통상 진공 상태에서의 응력 분포를 고르게 하기 위하여 패널 주변에서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새도우 마스크(8)의 투과율 증대를 위한 설계 시 새도우 마스크(8)의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를 키워주는 것이 최적 인자인데, 이렇게 될 경우 상기 새도우 마스크(8)의 구조적 강도가 열화되며,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빔 사이즈의 확대로 인한 색순도 여유도 특성이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1)이 그 유효면부(3)의 대각 사이즈가 770mm 이상으로 대형화되거나, 상기 패널(1)이 그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이 16:9 로 넓어지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패널(1) 주변의 휘도 저하에 따른 백색 균일도 열화 현상 및 휘도 불균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패널의 스크린 투과율을 조정하여 휘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1)에 광투과율이 54% 이하인 틴트 글라스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패널의 스크린 투과율을 최적화 하여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1)의 스크린 투과율(Ts, screen transmittance)은 상기 청색(21B), 녹색(21G), 적색(21R)의 형광체의 폭(PH) 및 상기 블랙층(23)의 폭(BW)의 상관 관계로부터 결정되며, 이와 같은 스크린 투과율은, 하기의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형광체 스크린(13)에서 청색(21B), 녹색(21G), 적색(21R) 형광체만으로 도포되어 있는 부분의 폭과 상기 블랙층(23)의 폭(BW)의 합, 즉, 스크린 피치에 대한 상기 각 형광체들의 폭의 합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Ts = (PH(B) + PH(G) + PH(R)) / Screen Pitch × 100 (%) (1)
여기에서, Ts는 스크린 투과율이고, PH(B)는 청색 형광체(21B)의 폭이고, PH(G)는 녹색 형광체(21G)의 폭이고, PH(R)는 적색 형광체(21R)의 폭이며, 스크린의 피치는 형광체들의 폭(PH)과 블랙층(23)의 폭(BW)의 합이다.
상기 스크린 투과율식으로 볼 때, 상기 패널(1)의 스크린 투과율(Ts)은 상기 형광체의 폭(PH)및 상기 블랙층(23)의 폭(PH)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형광체(21) 폭(PH)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블랙층(23)의 폭(BW)을 감소시키게 되면 스크린 투과율(Ts)은 증가하게 되고, 상기 형광체(21)의 폭(PH)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블랙층(23)의 폭(BW)을 증가시키게 되면 스크린 투과율(Ts)은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형광체들(21B), (21G), (21R)의 폭(PH)이 결정되어지면 그 위치에 있어서의 스크린 투과율(Ts)이 결정지어지게 된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상기 패널(1) 주변에서의 백색 균일성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패널(1)의 스크린 투과율(Ts)을 종래의 49% ~ 52% 수준에서 벗어나는 54%이상으로 설계하게 되었다. 즉, 상기 패널(1)의 주변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종래 문제시 되었던 패널 주변에서의 휘도 분포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태와 유사하게 나오던 종래의 경우를,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모양으로 바꾸어 전체적인 휘도 균일성 특성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상기 패널(1) 주변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이 54%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널(1) 전체면의 스크린 투과율(Ts)이 54%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1)의 휘도 특성이 향상되어짐에 따라 부수적으로 패널 주변에서의 콘트라스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라스트 특성은 하기의 식과 같이 표현되며, 이로 부터 패널의 휘도 특성이 향상되는 경우에는 콘트라스트 특성도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트라스트 = πBTp / (R + k(Tp)2)L + 1 (2)
여기에서, B는 형광면의 휘도(cd/m2)이고, Tp 는 패널의 투과율 특성이고, k 는 형광막의 임계면 반사율(형광체 자체 특성)이고, R 는 패널 외면의 반사율이고, L은 외광 조도(Lux)이다.
표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정한 패널의 각 위치에서의 형광체 폭(PH), 형광체 스크린 피치, 패널의 글라스 투과율(Tg)을 나타낸 것이다.
패널 위치 | 형광체 폭(PH, ㎛) | 형광체 스크린 피치(㎛) | 패널의 글라스 투과율(Tg, %) |
중앙부(C) | 155 | 768 | 51.2 |
중앙부(C)와단변 방향 끝단부(E)의중간(1/2)지점 | 173 | 848 | 47.0 |
단변 방향 끝단부(E) | 225 | 1204 | 35.1 |
즉, 상기 패널(1)의 휘도 균일성 특성 및 콘트라스트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의 휘도가 상기 중앙부(C)의 휘도의 약 60%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의 형광체 폭(PH)을 225㎛로 설정하였다.
표 3 은 상기 표 2 와 같이 설정한 패널 중앙부(C)와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형광체 폭(PH)에 따른 스크린 투과율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형광체 폭 (PH, ㎛) | PHx / PHc | 스크린 투과율(Ts, %) | |
중앙부(PHc) | 단변 방향 끝단부(PHx) | ||
150 | 215 | 1.43 | 54 |
225 | 1.50 | 56 | |
235 | 1.57 | 59 | |
155 | 215 | 1.39 | 54 |
225 | 1.45 | 56 | |
235 | 1.52 | 59 | |
160 | 215 | 1.34 | 54 |
225 | 1.41 | 56 | |
235 | 1.47 | 59 |
여기에서, 통상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에서 패널 중앙부(C)의 형광체 폭의 형성시의 공정산포가 ±5㎛ 이고,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의 형광체 폭의 형성시 공정산포가 ±10㎛임을 감안한다면, 형광체 폭(PH)의 분포는 중앙부(C)에서는 150 ~ 160㎛ 이고,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는 215㎛ ~ 235㎛가 된다.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x)을 최소 54%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면,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휘도가 패널의 중앙부(C)의 휘도의 60% 이상의 수준을 확보하므로 휘도 균일성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에서, 휘도 균일성의 확보 차원에서는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x)을 최소 54%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지만, 스크린 투과율의 증대는 곧 형광체 폭(PH)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조 공정상의 여유도 부분에 있어서는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패널의 단변 방향 끝단부(E)의 스크린 투과율(Tsx)는 최소 54% 이상을 유지하되, 최대 59%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산포중에서도 가장 최적화 할 수 있는 부분을 세분화 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휘도 향상을 통한 백색 균일도 향상을 위해서는 전체적인 설계치를 중심으로 공정 산포의 상한 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이며, 따라서, 이 경우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적정한 스크린 투과율(Tsx)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6% ≤ Tsx ≤ 59% (3)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 스크린 투과율(Tsx)이 54% ~ 59%의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중앙부(C)에서의 형광체 폭(PHc)에 대한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형광체 폭(PHx)의 비는 1.34 에서 1.57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1.34 ≤ PHx / PHc ≤ 1.57 (4)
그리고, 상기 패널(1)의 중앙부(C)에서의 형광체 폭(PHc)이 155㎛ 이고,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형광체 폭(PHx)가 225㎛ ~ 235㎛ 이며,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x)이 56% ~ 59% 으로 가장 최적의 조건인 경우, 상기 중앙부(C)에서의 형광체 폭(PHc)에 대한 상기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형광체 폭(PHx)의 비의 범위는 1.45 에서 1.52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1.45 ≤ PHx / PHc ≤ 1.52 (5)
한편,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의 글라스 투과율(Tgx)은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35.1% 이다. 그러나, 패널의 제작시 ±2% 수준의 공차를 가지게 되므로 그 공차를 적용하여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x)과 글라스 투과율(Tgx)의 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단변 방향 끝단부(E)스크린 투과율(Tsx, %) | 단변 방향 끝단부(E)글라스 투과율(Tgx, %) | Tsx / Tgx |
54 | 33.1 | 1.63 |
56 | 1.69 | |
59 | 1.78 | |
54 | 35.1 | 1.54 |
56 | 1.60 | |
59 | 1.68 | |
54 | 37.1 | 1.46 |
56 | 1.51 | |
59 | 1.59 |
상기한 표 4 는 패널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글라스 투과율(Tgx)과 스크린 투과율(Tsx)을 나타낸 것이다.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스크린 투과율(Tsx)이 54% 이상 인 경우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글라스 투과율(Tgx)에 대한 스크린 투과율(Tsx)의 비는 하기의 조건과 같이 1.46 에서 1.78 사이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게 된다.
1.46 ≤ Tsx / Tgx ≤ 1.78 (6)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 최적의스크린 투과율(Tsx)이 54% ~ 59% 의 범위이고, 최적의 글라스 투과율(Tgx)이 35.1%에 있는 경우, 상기 패널(1)의 단변 방향 끝단부(E)에서의 글라스 투과율(Tgx)에 대한 스크린 투과율(Tsx)의 비는 하기의 조건과 같이 1.54 에서 1.68 사이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게 된다.
1.54 ≤ Tsx / Tgx ≤ 1.68 (7)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패널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화면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의 개선을 위하여 패널의 주변부의 스크린 투과율을 54%이상으로 유지시켜 패널의 백색 균일성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실질적으로 평면인 외면과,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를 갖는 스크린이 형성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면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스크린 투과율은 5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스크린 투과율을 Tsx 라 할 때,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56% ≤ Tsx ≤ 59%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글라스 투과율을 Tgx 라고 하고, 스크린 투과율을 Tsx 라고 할 때,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1.46 ≤ Tsx/Tgx ≤ 1.78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글라스 투과율을 Tgx 라고 하고, 스크린 투과율을 Tsx 라고 할 때,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1.54 ≤ Tsx/Tgx ≤ 1.68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x 라고 하고, 상기 패널의 중앙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c 라고 할 때,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1.34 ≤ PHx/PHc ≤ 1.57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단변 방향 끝단부 부근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x 라고 하고, 상기 패널의 중앙에서의 형광체의 폭을 PHc 라고 할 때,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1.45 ≤ PHx/PHc ≤ 1.52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중앙부에서의 광투과율은 54%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은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이 16: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패널의 유효화면의 대각 사이즈는 770mm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4366A KR100532068B1 (ko) | 2003-07-01 | 2003-07-01 | 칼라 음극선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4366A KR100532068B1 (ko) | 2003-07-01 | 2003-07-01 | 칼라 음극선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5320A true KR20050005320A (ko) | 2005-01-13 |
KR100532068B1 KR100532068B1 (ko) | 2005-11-30 |
Family
ID=3721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4366A KR100532068B1 (ko) | 2003-07-01 | 2003-07-01 | 칼라 음극선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20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2902B1 (ko) * | 2004-12-14 | 2007-05-02 |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음극선관용 스크린 |
-
2003
- 2003-07-01 KR KR10-2003-0044366A patent/KR1005320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2902B1 (ko) * | 2004-12-14 | 2007-05-02 |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음극선관용 스크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32068B1 (ko) | 2005-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90607A (en) | Shadow mask for color CRT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
KR100241605B1 (ko) | 음극선관용 패널과 패널의 제조방법 | |
KR100532068B1 (ko) | 칼라 음극선관 | |
KR20010109492A (ko) | 칼라 음극선관 | |
KR100605760B1 (ko) | 칼라 음극선관 | |
US6879094B2 (en) | Mask frame for cathode ray tube | |
KR100505097B1 (ko) | 칼라 음극선관 | |
US6972515B2 (en) | Flat type color cathode ray tube | |
US7061171B2 (en) | Color cathode ray tube | |
KR100645793B1 (ko) | 평면형 음극선관 | |
KR100426568B1 (ko) | 평면 브라운관 | |
KR20040107532A (ko) | 음극선관 | |
KR970010035B1 (ko) |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 |
KR100715110B1 (ko) |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 |
KR100426576B1 (ko) | 칼라 음극선관 | |
KR100392846B1 (ko) | 칼라 음극선관 | |
KR100468427B1 (ko) | 칼라 음극선관 | |
KR100418040B1 (ko) | 개선된 브릿지형상의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 |
KR100524861B1 (ko) |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 |
KR100505864B1 (ko) | 색감을 최적화할 수 있는 컬러음극선관 | |
KR20050007725A (ko) | 칼라 음극선관 | |
US20020101150A1 (en) | Color CRT(Cathode Ray Tube) | |
KR20010095889A (ko) | 평면 음극선관 | |
KR20030005917A (ko) | 평면 브라운관 | |
KR20030025456A (ko) |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