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575A -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 Google Patents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575A
KR20050004575A KR1020030044814A KR20030044814A KR20050004575A KR 20050004575 A KR20050004575 A KR 20050004575A KR 1020030044814 A KR1020030044814 A KR 1020030044814A KR 20030044814 A KR20030044814 A KR 20030044814A KR 20050004575 A KR20050004575 A KR 20050004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body
finger
connection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3004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575A/ko
Publication of KR2005000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핸드폰 걸이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줄이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에 의하여 연결토록 하고, 이러한 링이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링의 유동이 자유로우면서도 빠지지 않고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핸드폰 걸이줄은 단지 손목이나 손에 걸쳐지도록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밴드나 와이어 형태로만 되어 있는 것으로, 휴대를 위하여는 걸이줄을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잡아서 파지되어지도록 함으로 핸드폰을 휴대한 상태에서 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폰을 별도의 보관수단을 사용하여 보관토록 함으로 사용이나 휴대 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걸이줄이 링에 의하여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형성하면서도 링의 유동이나 유동시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핸드폰 줄

Description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A cellular phone accessory scring having a fixed ring}
본 발명은 핸드폰 걸이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줄에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되어지게 링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링체가 손가락에서의 유동이 용이하면서도 손가락에 통증의 유발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핸드폰 걸이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100)의 몸체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구멍(400)에 끼워지면서 연결되어지도록 가느다란 연결끈(200)과 상기의 가느다란 연결끈(200)과 손목에 걸쳐지도록 되는 밴드(300)를 연결하는 연결체(500)로 조립 구성되어져 사용 시에는 통상 밴드(300)가 단지 손목이나 손에 감싸여지게 걸쳐질 수 있도록 그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어 잠시의 부주의로 손이나 손목에서 쉽게 빠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물건을 집거나 들기 위하여는 핸드폰을 휴대한 상태에서는 불가능하여 이럴 경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링체를 이용한 걸이줄이 실용신안등록 제2002년 4월 25일자 출원되어 등록제282392호로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은 그 구성이 코일형태로 권취되어지는 링체(10)에 연결줄(30)의 연결을 위한 고정링(60)을 용접 등에 의하여 형성하여야 하고, 또한 이러한 고정링(60)에 연결줄(30)이 연결토록 하기 위하여는 연결줄(30)에 별도의 걸이체(4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줄(30)의 후단에도 핸드폰의 걸이구멍(400)에 끼워걸기 위한 가느다란 연결끈(200)의 연결을 위한 연결체(500)를 별도의 고정링(60a)을 통하여 연결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게 됨으로 조립에 곤란성이있다는 것과 링체(10)가 코일형태로 권취되어져 있어 링체(10)의 유동에 따라 코일형태가 손가락을 조이게 될 수 있어 이에 의한 손가락에 통증 유발은 물론 휴대폰을 휴대할 경우에 핸드폰의 덜렁거림에 의하여 고정링(60)과 걸이체(40)의 유동이 자연스럽지 못하게 됨으로 실질적인 실용화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링체를 사용하고 상기 링체의 일측부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오목부에 일정한 폭을 갖는 연결밴드를 걸쳐 바로 하방으로 리벳으로 고정토록 하여 연결밴드의 유동이 빡빡하면서도 자유롭게 하고 동시에 오목부를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의 내측으로는 턱이지게 형성하여 연결밴드의 유동이 링체를 중심으로 정확한 좌우진폭에 의하도록 하여 연결밴드가 손가락과의 마찰을 최대한으로 제거하였고, 또한 링체가 손가락에 끼워져 손가락이 밀착되어지는 링체의 내측면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까지 연장되게 만곡면을 형성하여 링체의 유동과 전후 유동에 의하여도 만곡면에 의하여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토록 하면서 이러한 만곡면에 의하여 손가락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링체가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링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4A는 링체의 좌우유동에 의한 만곡면의 기울어짐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종래 핸드폰 걸이줄이 사용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링체를 이용한 걸이줄의 형태를 제시한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링체 1a: 외측면
2: 오목부 3: 연결밴드
4: 턱 5: 만곡면
6: 홈 7: 장식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도록 하였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링체(1)를 사용하고, 상기 링체(1)의 일측부에는 오목부(2)를 형성하여 오목부(2)에 일정한 폭을 갖는 연결밴드(3)를 접어지게 걸쳐 연결밴드(3)의 유동이 자유롭게 하고 동시에 오목부(2)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1)의 내측으로는 연결밴드(3)의 두께만큼 턱(4)이 지게 형성하여 링체(1)가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밴드(3)의 진폭 유동에 의하여도 연결밴드(3)가 손가락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제거하였고, 또한 링체(1)의 손가락이 밀착되어지는 내측면으로는 내측면에서 링체(1)의 외측면(1a)으로 연장되게 만곡면(5)을 형성하여 핸드폰의 진폭 유동시에 링체(1)의 유동에 의하여도 상기의 만곡면(5)에 의하여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토록 하면서 이러한 만곡면(5)에 의하여 링체가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토록 상기한 만곡면(5)은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체(1)의 외측면(1a)의 상면에는 홈(7)을 형성하여 상기 홈(7)에 각종 장식물(6)을 삽입토록 하면서도 장식물(6)이 외측면(1a)보다 돌출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링체(1)의 장식효과는 물론 사용시 장식물(6)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4)이진 오목부(2)에 일정한 폭을 갖는 연결밴드(3)를 걸쳐지도록 형성한 후 오목부(2)에 걸쳐진 연결밴드(3)의 바로 하단을 리벳(8)으로 고정토록 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3)가 오목부(2)에서 어느 정도의 빡빡하게 고정되어지는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밴드(3)가 오목부(2)에서의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도 오목부(2)에서는 좌우 진폭유동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연결밴드(3)의 하단은 연결끈(9)이 끼워지도록 구멍(3a)이 천공되어져 구멍(3a)에 끼워진 연결끈(9)에 매듭(10)을 형성토록 한 후 연결끈(9)을 연결체(500)에 관통되어진 관통구멍(501)에 끼워지게 한 후 당김으로서 연결체(500)에 연결밴드(3)와 연결끈(9)이 내입토록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연결체(500)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토록 하면 연결밴드(3)와 연결끈(9)이 긴밀하게 결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체(5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되어진 상태에서 절첩되어지게 하여 가압토록 함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링체(1)를 손가락에 끼우면 연결밴드(3)가 링체(10)의 턱(4)이진 오목부(2)에만 걸쳐져 있기 때문에 연결밴드(3)의 유동시에도 손가락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또한 링체(10)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만곡면(5)에 의하여 링체(10)의 유동시에도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되면서 동시에 이러한 만곡면(5)이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됨으로 손가락에서 링체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각은 링체가 손가락의 굵기보다 그 내경을 약간크게 해야지만 링체의 넣다 뺌이 용이하기 때문이고, 이러한 헐거로움은 만곡면(5)의 경사에 의하여 링체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드폰 줄은 하나의 링체를 사용하면서 연결밴드를 링체의 오목부에 걸쳐지도록 하여 손가락의 마찰을 최대한으로 줄여 손가락의 손상방지와 이러한 링체의 만곡면은 링체의 유동시 손가락의 통증 방지와 동시에링체의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연결끈과 연결체로 연결되어지는 링체를 이용한 통상의 핸드폰 걸이줄에 있어서, 링체를 하나의 링체를 사용하고 상기 링체의 내측면으로는 외측면까지 연장되게 만곡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만곡면이 형성되는 링체의 일측부에는 연결밴드의 폭만큼 오목부를 형성하여 오목부에 연결밴드를 걸쳐 그 바로 하방으로는 리벳으로 고정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체로 핸드폰이 휴대토록 되는 핸드폰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연결밴드의 두께만큼 턱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체로 핸드폰이 휴대토록 되는 핸드폰 줄.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외측면에는 돌출되지 않토록 장식물(33)이 형성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체로 핸드폰이 휴대토록 되는 핸드폰 줄.
KR1020030044814A 2003-07-03 2003-07-03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KR20050004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814A KR20050004575A (ko) 2003-07-03 2003-07-03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814A KR20050004575A (ko) 2003-07-03 2003-07-03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575A true KR20050004575A (ko) 2005-01-12

Family

ID=3721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814A KR20050004575A (ko) 2003-07-03 2003-07-03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5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1544S1 (en) Communication device
USD481124S1 (en) Endoscope
USD456081S1 (en) Wrist support with strap
USD473992S1 (en) Utility winch
USD450614S1 (en) Body jewelry with elastomeric band
WO2005115103A3 (en) Specialized strap system
USD440273S1 (en) Expandable police baton with bulbous end cap
USD430261S (en) Clip for attaching lures to a fishing line
USD441073S1 (en) Fluid applicator with cap
USD440654S1 (en) Fluid applicator with cap
KR100548787B1 (ko)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KR20050004575A (ko)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USD466422S1 (en) Combination snap hook and compass
USD447430S1 (en) Meat thermometer tongs
USD478982S1 (en) Actuator strap cap
USD486605S1 (en) Hair clip
USD483524S1 (en) Hair clip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USD456490S1 (en) Hose nozzle with knurled design
USD468259S1 (en) Inner sleeve for holding batteries for a flashlight
USD470806S1 (en) Automobile visor and clip
USD503249S1 (en) Animal leash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USD466795S1 (en) Utility cl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