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084A -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084A
KR20050004084A KR1020040051334A KR20040051334A KR20050004084A KR 20050004084 A KR20050004084 A KR 20050004084A KR 1020040051334 A KR1020040051334 A KR 1020040051334A KR 20040051334 A KR20040051334 A KR 20040051334A KR 20050004084 A KR20050004084 A KR 2005000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hant
advertisement
server
coupon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홍제
Original Assignee
서홍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홍제 filed Critical 서홍제
Publication of KR2005000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할인마케팅을 통한 전략적 제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온, 오프라인 제휴사 혹은 가맹점(20)(이하 가맹점)은 각각의 할인쿠폰 및 적립포인트를 대통합하고, 주관사는 통합할인쿠폰의 발행과 적립포인트의 상호교류 및 정산, 그리고 가맹점(20)에 대한 온, 오프라인상의 광고를 모두 인터넷 기반 위에서 통합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인터넷상의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구축으로 귀결된다.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은 인쇄편집관리시스템(s600)을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하고, 가맹점 및 회원가입모듈(s200, s500)들과 가맹점 오프라인광고, 이벤트광고 등 가맹점 온, 오프라인광고를 통합 관리하는 가맹점광고발주관리모듈(s300), 오프라인상의 통합할인쿠폰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 기타 원격인쇄솔루션(400-a),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 위조방지솔루션(400-c), 바코드솔루션(400-d), 결재시스템솔루션(400-e)등을 모두 포함하면서, 웹서버(10-1), 메일서버(10-2), SMS서버(10-3), DB서버(10-4)가 종합적으로 합쳐진 서버시스템(10)을 인터넷상에서 운용하는 종합적인 마케팅사이트(s100)를 개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특히 1) 가맹점이 발행시점에 액면발행금액 및 액면발행금액에 대한 정액(정률)의 수수료를 서비스 주관사(이하 '주관사')에 납부한 후 쿠폰을 유통시키게 하고, 고객에게서 되돌아온 쿠폰(고객에 미지급된 쿠폰금액 포함)은 그 액면금액만큼 주관사에서 환급해 주는 유통형태의 위조방지화된 새로운 온, 오프라인 통합할인쿠폰을 인터넷상에서 수주, 발행, 관리하는 방법(s400)과, 이러한 통합쿠폰이 온, 오프라인상의 적립포인트들과 함께 공유되고 교환, 정산될 수 있는 방법, 2) 광고면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을 서버 내에 저장해 놓고, 전국을 대지역, 중지역, 소지역 등으로 분할한 뒤 가맹점 혹은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광고면의 크기와 선택지역에서의 광고발행부수를 연동시켜 결재가 이루어지게 하며, 광고주는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 틀 내에서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광고를 발주하고 교정까지 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오프라인 광고 수주 및 교정 관리 방법(s300-1) 3) 광고 수주 단계에서 이미 유용한 광고를 선별, 소비자에게는 광고 자체가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면서, 광고주에게는 실시간 광고효과 및 원하는 지역, 원하는 소비자수에의 광고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까지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소위 소비자 유인, 재고관리 등의 목적으로 주로 대형매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깜짝세일 기법을 응용한 문자서비스 선별광고 기법(s300-2)등 크게 이 세 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이에 파생된 몇가지 방식들을 함께 결합, 시스템화하여 인터넷상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종합마케팅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꾀한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 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Internet strategic comprehensive marketing business system which weld unification discount marketing, on-off line advertisement and management for membership shop and membership, together}
2002년 기준 전국 총 사업체수 313만 여개 중 대기업, 중소제조, 농, 임, 어업 등을 제외한 각종 지역밀착 영세업체들의 수는 총 200만 개를 넘어서고 있다.
마케팅서비스사업이란 소비자에게 가장 편리하고 자주 이용되는 업소가 그 가맹점대상이란 점에서 대기업체 및 기타 대형업체보다는 특히 소비자 최지근거리 내에 있는 이들 지역밀착 영세업체들이 결국 그 주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통 이들 지역밀착 영세업체들의 마케팅방법은 그 비용부담능력이나 여건, 그리고 그 본질적 오프라인성격 등으로 말미암아 기존 온라인마케팅시스템을 접목시키기엔 많은 어려운 점들이 존재하여 왔다.
종래의 적립식 마케팅서비스 경우, 적립시스템 자체의 문제점과 홍보서비스 범주의 온라인 한정성, 서비스체계의 미흡함 등으로 사실상 전 업종, 업체에 대한 공통분모적 서비스는 되지 못하여 왔고, 특히 200만 영세사업자 시장에 대해서는 오히려 온라인기술과의 불균형성만 드러내는 역할마저 있었다.
본 발명은 결국 이들 영세사업자의 특수성 부분까지 온라인에서 포괄, 적용함으로서 비로소 전 업종, 업체에 대한 공통분모적 서비스가 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우선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부문별로 열거해 본다.
* 영세업체의 마케팅적 특성
가. 생계형 사업성: 비용에 민감; 새 서비스 참여에 보수적 경향, 친숙한 서비스 선호
나. 본질적 오프라인성: 소수지역주민 대상 영업, 선호광고매체론 지역분할이 가능한 전단, 지역책자 등
다. 할인쿠폰마케팅 선호 : 개별사업자별 발행 위주, 소비자 호응 일부 긍정적
라. 대형업체에의 상대적 취약성 보유
1) 체계적 마케팅 전략 부재
2) one stop shopping 편리성 부재
3) 상품회전율 불리로 재고관리 취약, 제품신선도 저하
4) 매입단가의 차이로 가격경쟁력 취약
가. 할인서비스체계 부분
현재 시장내에서 이루어지는 할인마케팅 수단이란 크게 할인쿠폰과 적립서비스라는 두 가지 수단 정도로 압축된다. 이 중 할인쿠폰은 상대적으로 작은 영세사업자 시장에서 주로 채택하는 수단이요, 적립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중대규모 업체나 온라인 등에서 주로 적용하는 수단이다. 물론 이 둘 간에 본질적 차이는 없으나, 현재로서는 각각 오프라인전용과 온라인전용이라는 차이점쯤으로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통칭해서 할인쿠폰이라 부른다.
할인쿠폰을 통합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은 물론 말할 나위가 없다.
마케팅적 측면에서 가장 직접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가격 인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고, 그건 의미에서 크거나 작거나 관계없이 모든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이 할인쿠폰마케팅이라 볼 때, 다만 그것이 개별 업체별로이루어지는 것 보단 공동마케팅 일환으로 수많은 할인쿠폰들이 하나로 뭉쳐질 때 본질적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할인쿠폰을 통합시키려는 노력은 이전부터 많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할인쿠폰이란 본래부터 통합목적에서 출발되었지만 순수 오프라인상에서는 그 관리 등 유지비용이 지나치게 커, 단지 관행상 오늘날 개별쿠폰형태로 굳어진 것에 불과하므로, 사실상 새로운 통합의 의미는 의외로 적고, 그 본질적 의미를 비로소 되찾게 한다는 의미로서 평가받을 수 있을 만하다. 그러나 온라인시대로 접어들어서 과거와는 또 다른 새로운 방법에서의 통합노력들이 역시 많이 기울여져 왔어도 결과적으론 하나같이 실패로 귀결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이 작업 자체가 본래부터 만만치 않은 상당히 어려운 성질이었음이 다소간 시사되고 있다. 가령, 오프라인상에서의 포인트 공유 방법으로 제시됐던, '포인트 모음판'으로 대표되는 등록번호 2003752510000의 예는, 이를 원용한 모 대기업의 실서비스 결과, 대기업이란 막강한 영향력과 마케팅 능력에 비해서도 그다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나마 최근엔 그 명맥마저 점점 사라져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 또한 그 실례라 할 것이다.
기존 방식들이 실패했던 원인은 결국 가맹점 입장, 특히 영세사업자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단편적 입장에서 기인된 것이다. 그것은 방식, 비용, 홍보서비스면 모두 그러하다.
할인마케팅부문에 있어서의 최대 원인은, 제시된 방식들 모두가 공통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시스템적 요구 내지 귀찮은 방법론적으로만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할인쿠폰의 존재목적에 따른 구현원리 및 방식에 대한 구체적 고려 없이 비교적 단순하게 접근하였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본래 할인쿠폰이란 백화점 등 대형업체에 대항하는 영세사업자용 통합마케팅 수단으로 비롯된 것으로 본래부터 영세사업자용이란 점에서 두 가지 대원칙이 저절로 성립된다. 첫 번째는 간편해야 한다는 점, 두 번째는 비용부담 측면이다.
소비자와 영세사업자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매일 접하다시피 하는 소비자와 영세사업자간에 번잡한 시스템을 동반하는 마케팅이란 오히려 역효과일 뿐만 아니라 굳이 그 비용조차 감당할 능력도 없는 곳이 태반이란 점이다. 할인쿠폰이든 적립포인트든, 하여간 통합을 해서 그 마케팅효과를 높이면 좋겠지만 본질적으로 그 통합 작업 자체는 영세사업자를 겨냥한 것이고, 따라서 적립서비스가 별도의 시스템을 소용으로 하는 한 그 목적과는 거리가 멀기에, 결국 전체 시장을 통합하는 방법까지는 될 수는 없다.
따라서 각종 할인쿠폰의 대통합은 필요하지만, 적어도 특히, 영세사업자부문에 있어서의 그것은 소비자나 가맹점에 추가비용부담을 요구하거나 별도의 귀찮은 시스템을 요하지 않는 형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경제수준이 극도로 높은 서구사회에서도 그런 점은 동일하다. 결국 소요되는 비용이 부담을 느끼게 만들거나 연결시스템이 번잡하면 외면될 수밖에 없다. 현실공간에서 움직이며 살아가는 우리 인간의 삶 자체는 본질적으로 오프라인적이고, 영세사업자는 바로 그러한 우리 인간의 활동반경, 생활반경 가장 가까운 곳에서 터전을 잡고 살아가는, 똑같은 오프라인적 존재이다. 따라서 적어도 할인쿠폰통합에관한 한 순전히 온라인 가상수단에 모든 것을 맡길 수는 없고, 영세사업자에 대한 오프라인적 구성은 불가피하다는 점은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기존의 적립포인트시장이 영세사업자시장을 흡수하지 못하는 한계를 벌써 보이고 있는 점은 일면 당연한 결과이다. 현재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모 대기업관련 주관사조차 그 산하 가맹점은 2004년 1월 현재 4만개에 불과하다. 얼핏 많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거의 전 국민 1/2 이상을 회원으로 거느리고, 대기업으로서의 역량과 대기업으로서의 프리미엄, 산하 수많은 계열회사 영업점 및 주요 대형 프랜차이즈 영업점까지 가맹점으로 모두 포함시키는 영향력 하에서도, 그리고 독점권까지 행사해서까지도 겨우 1% 정도 마케시아를 차지한 데 그친 것은 오히려 당연히 실패라고 규정지워야 마땅하다.
한편 가상공간인 온라인상에선 당연히 같은 가상쿠폰인 포인트제도가 유리하고 또한 불가피하다.
또한 현실 오프라인 시장 내에서도 적립포인트제도를 선호하는 업종 및 업체들도 당연히 존재한다. 따라서 할인마케팅 대통합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기왕의 적립포인트까지도 모두 통합할 수 있으려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각각 그 특성에 따라 구별 서비스하되, 서로가 일정 부분에서 만나 교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주는 형태가 그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론 발행 및 정산비용, 기타 관리비용 등 수수료 문제가 있다.
온라인 가맹점은 우선 별개로 하더라도, 수수료체계에 있어서 기존의 예는, 적립서비스업체마다 서로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이야기할 순 없으나, 오프라인가맹점에 대해서는 보통 고객이 적립금을 사용할 때 그 금액의 3~10%정도를 수수료로 징수하는 것을 가장 많이 채용하고 있다. 산술적으로 계산한다면 대단히 저렴하여 나무랄 데 없고, 더우기 후불이라 적립금 매출 수혜가 발생하는 가맹점에서 그 수수료를 징수하므로 대단히 합리적이기까지 하다. 이는 말할 필요도 없이 온라인의 최대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형이기 때문에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야말로 온라인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 앞에서 이야기된 대로, 이는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이 큰 장애물이다. 즉, 필수시스템 자체가 하나의 수수료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단지 명목상의 수수료만을 가지고 단순 비교될 수 없는 부분이 기존의 적립 서비스의 단점이라 할 것이다. 시스템 비용을 높이 징수해버리면 실제론 오프라인보다 더 많은 비용도 지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수시스템비용까지 계산 넣었을 때, 이의 수수료체계는 너무 다양하여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오히려 기존 개별 쿠폰 발행시의 통상제작비용과 비교할 때 보다 정확한 비교치가 산출될 것이다.
보통 기존 오프라인에서의 할인쿠폰 개별제작비용은, 자석형, 종이인쇄형 등 그 제작방법에 따라 상이하겠으나, 일반적으로 보통 매출 1만 원당 4~50원내외에서 결정하는 경향이 짙다. 이는 곧, 매출당 0.4~0.5%를 차지하는 금액임을 말한다. 앞의 적립서비스가 통상 매출당 0.03~0.1인 점에 비하면, 상당히 많은 것 같지만, 기존의 적립서비스는 할인율이 거의 1%에 불과하고 오프라인 쪽에서는 실 할인율이 5~10%라는 점을 감안하면, 적립서비스가 그 정도 할인율이 된다면 결국 오프라인과 그다지 큰 차이가 없어지는 것과 같다(오히려 수수료가 10%일 경우 더 비싸질 경우도 생긴다).
따라서 기존의 온라인 방법인 적립서비스는 비용적으로도 그다지 유리하지 않아왔다는 결론이 된다.
한편, 할인쿠폰을 통합한다는 것, 적립포인트를 통합한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는 결코 마케팅효과가 획기적으로 높아지지는 않는다. 그 이상으로 중요한 부분이 실제로 통합할인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곳, 통합적립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곳, 그 유통되는 곳을 효과적으로 알려주는 일이다. 기존의 적립서비스는 이 점을 간과하였기에 또한 영세사업자의 외면을 초래한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할인쿠폰통합노력 그 자체는 결국 영세사업자들을 위해서 존재하는 노력이다. 또한, 그것이 충실할 때, 영세사업자와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는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길이 된다.
똑같은 원리에서, 가맹점을 소비자에게 알리는 것 역시 마케팅주관사로서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하나의 책무라고 생각할 때, 홍보서비스 또한 영세사업자의 특수성에 맞추어 제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성격인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적립서비스는 거의 영세사업자와는 맞지 않는 온라인정보페이지 1페이지 정도 제공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추가 설명된다.
기존의 오프라인 할인쿠폰을 보면 거의 오프라인상 인쇄에만 의존해 왔다.
초기 통합할인쿠폰이 실패했던 원인은 바로 오프라인상의 인쇄에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도 그러하지만 통합할인쿠폰을 오프라인상 인쇄에 의존해서는 많은 난관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통합할인쿠폰이 가져야 될 조건으로 가장 필수적인 것이 위조방지측면과 단위당 발행비용 측면이나, 이 비용은 유통기한 부여 문제까지 고려할 때, 지금의 기술로도 엄청난 고가이다. 게다가 제 2의 화폐 기능에 따른 보관 및 배송, 회수 등에서의 과다한 관리비용과 사후정산비용 등도 고려할 때 도저히 통합서비스가 불가능한 수준의 비용이 지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행히 오늘날, 온라인과 IT기술의 발달로 이런 딜레마들이 부분적 혹은 완벽하게 해결 가능하게 되었다. 이미 사무용 프린터 중에서도 기존 인쇄기에 못지않은 고성능 제품도 나와 있고, 위조문제 역시 아직은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watermark나 watercode 등의 기술, 보다 완벽한 기술인 2차원바코드기술까지 프린터에서 구현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한 원격 발행까지 가능하여졌다.
이러한 모든 기술들이 이제 비용문제를 해결하게 하여 줄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통합을 위해서는 비용의 기준점이 될 수 있는 선의 파악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 상기하였듯이 보통 기존 영세사업자는 쿠폰발행비용으로 매출당 0.4~0.5% 정도는 지출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것이 통합쿠폰의 발행수수료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건은 이러한 개발된 기술로 이 선을 맞출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한편, 기존 적립서비스에는 세부적으로도 추가적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것은 기존의 적립서비스 가맹점 통상 할인율이 현실 시장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질 할인율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현실 시장내에는 5~10%정도의 저마진 업종부터 7~80%에 이르는 고마진 업종에 이르기까지 온갖 종류의 업체가 있고, 같은 업종 내에서도 집집이 마진구조도 다르므로, 적용하는 할인기준 역시 서로 상이하다.
그러나 기존의 적립서비스 예를 보면, 대기업은 그렇다 하더라도, 영세사업자조차 1~3%의 할인율에 그치는, 사실상 의도적으로 획일적인 할인율을 책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통상 동종업계 자체서비스에서 제시하는 실제 현실 할인율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할인마케팅은 할인 자체가 메리트가 되어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영세사업자 측면에서만 보자면 이는 결코 그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소정 기간동안의 적립분을 한꺼번에 모아 송금하는 후불정산체계상에서의 부담 때문인 것으로 우선 생각된다. 일단 영세사업자 입장에선 한꺼번에 목돈을 모아 결재하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보다 결정적으로, 그 적립분조차 일단 한번 나가 버리면 오로지 고객에게서 사용되지 않으면 돌아올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도 비롯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소비자가 사용해 주기만 하염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는 불합리함이 그 최대 원인이 되었으리라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모든 적립포인트에 유효기간이 없어 온 관행에서 생긴 문제점이다.
적립포인트통합이란 의미 자체가 이미 포인트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개별업체포인트를 통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보면, 어차피 개별 사업체는 유효기간 없음이 당연할 지라도, 그렇다고 해서 이를 통합한 주관사 역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할인쿠폰이든 적립포인트든 고객의 재구매를 조건으로 제공하는 사후할인 형태이다. 따라서 고객이 재구매하지 않는다면 할인 역시 없는 즉, 당해 업체에 귀속되는 일종의 사유재산격이다. 자체서비스를 하면 나가지 않을 돈도 통합서비스에 참여하는 순간 무조건 나가야 한다. 가맹점에 있어서는 소비자가 사용하지 않는 포인트는 당연히 돌아와야 함에도 이미 원치도 않은 낙전이 되고 만 것이다.
따라서 낙전도 예상되는데 굳이 많은 할인율을 제시해 돈을 묶어둘 필요가 없다고 가맹점이 생각하게 되는 것은 이미 당연한 귀결이다.
통합이라는 그 좋은 의미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 모든 가맹점이 낮은 할인율을 제시하게 되고, 따라서 소비자도 큰 메리트도 느끼지 못하며, 이어서 당연히 마케팅 효과도 없어지는 악순환이 생겨나게 되었다.
결국은 소비자가 내내 할인을 받고 사용하려 해도 연회비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을 때, 소비자는 점차 등을 돌리고, 결국 통합서비스는 실패로 끝나게 되고 말 것이다. 그땐 아무런 마케팅 효과도 없이 전체 가맹점만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꼴이다.
자체서비스를 하면 나가지 않을 돈이 통합서비스에 참여하면 무조건 나가야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무조건 나가야 한다면 최소한 주기적으로는 미사용 포인트를 환급해 주어야 하는 것이 당연히 원리에 맞다.
따라서 그 장치는 반드시 있어야 함에도 지금까지의 통합서비스는 그러한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아 왔다.
이는 바로 통합포인트에 유효기간을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적립포인트란 자체가 가상의 형체이기 때문에 추적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소비자 역시 표면에 유통기한이 적혀 있는 것도 아니라서 일일이 맞춰 사용할 수도 없어 훨씬 불편하기도 하다.
관리도 어렵고, 소비자 불편도 예상된다 하더라도, 처음부터 포인트 자체에 유통기한이 부여되어 있음과 일정 기간 안에 사용되지 않는 적립금은 해당 가맹점으로 확실히 환급됨을 회원에게 고지한다면, 오히려 고객을 더 자극, 포인트 유통 흐름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통합서비스는 가맹점 낙전 방지가 그 하나의 핵심요소이다. 통합서비스에 포함되는 할인율 자체가 시장 할인율을 고스란히 수용할 때, 오히려 소비자는 그 커진 경제적 혜택으로, 이에 수반되는 약간의 불편쯤은 결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쿠폰의 유래, 현실적 필요성, 소용정도 등에서 그 모든 본래의 의미가 영세사업자를 향하고 있는 이상, 할인쿠폰통합의 노력은 적어도 영세사업자 입장에서 지속이 되어야 하고, 결코 영세사업자를 배척하거나 외면하는 결과가 초래되어서는 안 된다. 즉, 할인쿠폰통합노력 그 자체는 결국 영세사업자들을 위해서 존재하는 노력이다. 그것이 충실할 때, 궁극적으로는 영세사업자와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는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길이 되는 것이다.
게다가 그 통합도 기존 그대로를 통합하기를 노력하여야 하고, 도리어 통합으로 인해 기존의 정신이나 바람직한 면들을 훼손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모처럼의 통합효과가 크게 반감되고, 그 훼손 정도가 심각할 경우 오히려 통합하지 않은 결과만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통합방법들은 그러한 결과로 나타나 시장에서 실패를 하고 결국 사장되는 전철을 밟아 왔던 것이다.
2) 홍보전략부분 - 온, 오프라인광고
마케팅서비스 사업이란 가맹점에게는 판촉, 소비자에게는 혜택의 의미로 각각 다가가게 만드는 PFB (platform business) 기능을 하는 사업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을 보면 소비자에 대한 혜택만이 있을 뿐 정작 그 소비자가 가맹점과 연결되는 모델은 불확실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대부분 할인서비스라는 소비자중심전략만 내걸었을 뿐 정작 소비자를 개별 가맹점으로 직접 연결시켜 줄 고리가 되는 즉, 개별 가맹점 홍보 전략이 거의 부재해 온 측면을 말하고, 이 부분이 통합이라는 의도에서 비롯되는 마케팅효과를 오히려 반감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예컨대 기존의 적립카드서비스업체 대부분에서의 가맹점 혜택이라곤 사실상 단순한 온라인광고페이지 1줄 내지 1쪽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단순 온라인광고란 소비자와 영세사업자 모두에게 그다지 도움 되지 않는, 상호간 배치되는 성분까지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단순온라인광고는 타겟이 없는 무경계성이 그 본질이어서 지역밀착형이 대부분인 영세사업자에게서의 온라인광고는 타겟지역 소비자에 대한 일부 보조적 역할만 할 뿐, 타겟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서비스참여가 매출로 직결되게 하는 것은 오프라인적 방법에 의한 지속적 재광고이다.
게다가 소비자 역시 주변 가맹점을 찾기 위해 온라인에 일일이 접속해 보아야 하는 불편마저 있다. 가령 소비자로서는 손에 들거나 차량에 비치하고 다닐 수 있는 간편한 가맹점일람수첩에 비해 온라인검색은 여전히 공간적, 시간적 큰 번잡함이다.
따라서 다른 이유는 차치하고라도 특히 이 온라인광고에만 의존한 기존 홍보 전략적 단순함이 결국 아직도 온라인기반 마케팅이 그 주류마케팅방법으로 편입되지 못하게 한 원인이 되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이 아무리 발전할지언정 사람은 현실세계에서 움직이는 본질적 오프라인 존재이기 때문에 오프라인광고의 중요성은 결코 감퇴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온라인마케팅이 영세사업자시장과 소비자 모두를 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대책 즉 온,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홍보, 풍부한 정보제공을 위한 추가 전략들이 필요하다. 가맹점에게는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전략, 특히, 영세사업자 타겟 홍보 전략까지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고, 소비자에게는 광고 그 자체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없도록 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항상 가맹점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다방면으로 그 정보를 제공하려는 신중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단, 가맹점 대부분이 영세사업자임을 감안, 모든 서비스마다 그 징구비용 상한선까지 함께 고려하고 조화시킴은 잊어서는 안 된다.
하기하는 것은 기존의 적립서비스 등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발명이므로 그 비교대상을 주로 기존 관련분야의 관행적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고 있다.
기존 국지적인 오프라인광고매체의 예로는 영세업체의 특성상 특별히 지역분할배포가 가능한 전단 혹은 생활정보책자 등이 많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발주, 교정, 수금 등의 과정이 모두 인쇄소 혹은 기획사 영업사원의 방문에 의존, 제작과정에서의 단계적 경비가 과다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 잘못에 기인한 실수 가능성 상승, 실수시 책임소재 불명확 및 분쟁 과다 발생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짚어보면,
첫째, 별도 기획사에 디자인과 기획을 의뢰했을 경우 우선 기획비용이 과다하고,(물론 중간 영업사원의 인건비까지 부담하여야 하며)
둘째, 본인이 직접 디자인할 경우, 이미지 등을 구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강의 작업까지 끝낸 후 인쇄는 어차피 맡겨야 하므로 비전문적 일에 너무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며,
셋째, 단계 단계별로 작업 진행 진척도를 알 수 없는 문제도 있었고,
넷째, 계약 자체와 요구사항들이 주로 구두로 이루어지므로 상호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많이 발생, 작업 완료 후에도 분쟁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다.
그러나 한편, 그러면서도 이들 매체는 지역분할배포가 가능한 즉, 타겟홍보가 가능한 최대 장점을 가지고 있어, 특히 책자 형태는 소비자에게도 간편한 정보획득수단이 될 수 있으면서 대기업체도 선호 가능한 거의 유일한 <오프라인상 개별 가맹점을 위한 통합홍보수단>이라고 보여 진다. 단, 상기한 문제점들과 그 비용적 측면, 특히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문제점들까지 모두 해결하려면 상당한 수준의 발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령 가장 중요한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모든 문제들이 온라인 기술로 해결되었다는 전제하에서라면 비용 등 나머지 문제들은 저절로 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인쇄과정은 차치하고라도 나머지 전 과정에 대해서는 온라인 기술 구현 자체로 이미 충분한 개선이 되기 때문이다. 예로 총 제작비용이 100원인 책자가 있다면 이에서의 중간 마진은 재료비용 등 인쇄비용을 제외한 통상 50원 이상 정도이고, 이는 보통 중간 영업사원 개인에 대한 인건비 형태로 지급된다. 따라서 온라인 기술 이용으로 이 불요한 인건비만 줄여도 기본적으로 영세 가맹점에 충분히 저렴한 비용으로 오프라인홍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고 실수나 분쟁의 가능성까지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점이다.
다만 방법론에 있어서가 문제가 되는 것은, 소정의 웹 기반 원고형태로 발주하든가 웹 기반 편집tool을 통해 웹상에서 가맹점 스스로 편집 및 교정까지 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은 차치하고라도, 이의 기초 전제로서, 우선 각기 가맹점마다 서로 다른 홍보전략 중 공유 핵심부분 파악, 이에 가맹점별 홍보전략과 가맹점별 서로 다른, 때로는 수시로 변하기조차 하는 타겟 구역까지 모두 수용 가능한 기준개념 설정 및 온라인 계량화, 영세사업자의 비용 부담능력과 통상의 오프라인광고관행까지 고려한 기타 세부전략의 온라인화 등등, 이 모두를 종합하는 사전작업 역시도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책자를 온라인상에서 가맹점 스스로 발주와 교정까지 가능하게 함에 있어 이러한 원리와 다양한 방안들까지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 외, 기존 실시 예를 찾기 어려워 비교는 불가능한 상태이며, 이에 따른 바람직한 발명 예는 아래 본 발명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서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문자메세지를 통한 광고방법의 예로서, 기존의 문자메세지 광고라면 보통 스팸메일의 대명사로 통할 정도로까지 그 폐해가 극심하여 온 점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어느 사업에서나 적정재고의 유지관리는 필수적 요소이다. 특히 음식의 경우, 그 신선도가 떨어지면 맛 또한 감퇴한다는 점에서 더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할인매장이나 백화점의 경우 수시로 깜짝세일을 하는 이유는, 그날그날의 재고를 유지하고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해 영세사업자들은 그 장치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또한, 대형업체에 비해 크게 불리한 점이었다. 우선 방문 소비자가 적기 때문에 방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순간순간 전단지를 배포해서 알릴 수도 없는 현실이었다. 그래서 재고가 발생하면 하는 대로 그럭저럭 장사를 하다 보니 저절로 손님은 더 줄게 되고, 결국 사업을 접는 원인으로 작용해 왔다.
본 발명에서의 문자메세지 광고는 이러한 기존 대형매장에서만 흔히 이루어지던 '깜짝세일'을 이벤트광고로 구현한 것이 그 골자로, 아직은 실시 예가 없는 신규발명이다.
또한, 이는 굳이 깜짝세일뿐만 아니라 여타 수시 기념이벤트나 경품행사 등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고, 웹사이트와 연동되어 홈페이상의 가맹점이벤트코너에 자동등록되며, 온라인광고의 예와 마찬가지로 지역분할개념을 이용, 일종의 온라인상 타겟광고방법 중의 하나로도 기능하게 된다.
이의 바람직한 발명 예 역시 아래에서 서술한다.
종합해보면 온라인마케팅서비스 사업이란 일종의 Platform Business이므로, 그 안에는 가맹점과 소비자를 잇는 많은 도구나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그 최대의 고객은 결국 전국 200만 이상에 이르는 영세사업자들이다.
이에 반해 영세사업자는 그 영세성과 입지적 여건에 의한 마케팅 방법이 특수한 경향을 보여온 결과 이를 온라인에서 구현할 방법이 까다로워 온라인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주변인으로 남아 있는 상태다. 그러나 이 시장은 본질적으로 소비자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시장이므로 언젠가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시장이다. 그러므로 이들을 대상으로한 마케팅서비스는 특히 이들의 애로사항을 채울 수 있는가 하는 데 그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 할 것이다.
영세사업자에게 가장 선호되는 판촉수단은 할인쿠폰이며, 가장 중요한 홍보 수단은 오프라인홍보이다. 그리고 대형업체에 가장 취약한 부분은 결국 깜짝세일 존재유무이다. 가격경쟁력 취약성은 구조적 문제로 어떻게 할 수 없는 문제이나, 대형업체에 대한 나머지 취약부분, 가령 마케팅전략부재는 공동마케팅서비스에의 참여로서 상쇄되고, 원스톱 쇼핑 불가능 문제는 오프라인 공동 홍보 효과로서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형태가 존재하느냐가 진짜 PFB 모델로서 마케팅서비스로 기능할 수 있느냐 하는 잣대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적립서비스사업은 그러하지 못해 왔다. 기반이 된 적립서비스 자체가 문제가 많았고, 일면, 그 서비스 자체도 가맹점사업의 주 대상인 영세사업자를 오히려 배척하는 결과를 가져 왔다. 마케팅서비스란 영역 자체가 상대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는 본연의 목적과도 부합되지 않으며, 또한 소비자와 가장 밀접한 사업자군을 그 대상에서 배척했다는 점에서 이미 큰 오류를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 기술의 단점 및 불합리성들을 극복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적립서비스마케팅의 한계에서 벗어나 영세사업자시장 고유한 특수성에 맞는 통합쿠폰서비스방법, 고유한 특수성에 맞는 온, 오프라인 광고방법들을 함께 발명, 온, 오프라인 제휴사 혹은 가맹점(20)(이하 가맹점)은 각각의 할인쿠폰 및 적립포인트를 대통합하고, 주관사는 통합할인쿠폰의 발행과 적립포인트의 상호교류 및 정산, 가맹점(20)에 대한 각종 온, 오프라인상의 광고 등을 모두 인터넷 기반 위에서 통합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그 1차 목적으로 삼는 바, 궁극적으론 이를 통해 초유의 강력한 마케팅 커뮤니티를 형성, 가맹점, 소비자, 주관사 모두가 만족하는, 진정한 PFB기능의 마케팅서비스를 펼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첫째, 가맹점이 발행시점에 액면발행금액 및 액면발행금액에 대한 정액(정률)의 수수료를 주관사에 납부한 후 쿠폰을 유통시키게 하고, 고객에게서 되돌아온 쿠폰(고객에게 미지급된 쿠폰금액 포함)은 그 액면금액만큼 주관사에서 환급해 주는 유통형태의 위조방지화 된 새로운 오프라인 통합할인쿠폰을 인터넷상에서 수주, 발행, 관리하는 방법(s400)과 이러한 통합쿠폰이 온, 오프라인상의 적립포인트들과 함께 공유되고 교환, 정산될 수 있는 방법,
둘째, 광고면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을 서버 내에 저장해 놓고, 전국을 대지역, 중지역, 소지역 등으로 분할한 뒤 가맹점 혹은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광고면의 크기와 선택지역에서의 광고발행부수를 연동시켜 결재가 이루어지게 하며, 광고주는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 틀 내에서 직접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광고를 발주하고 교정까지 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오프라인 광고 수주 및 교정 관리 방법(s200-2)
셋째, 광고 수주 단계에서 이미 유용한 광고를 선별, 소비자에게는 광고 자체가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면서, 광고주에게는 실시간 광고효과 및 원하는 지역, 원하는 소비자수에의 광고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까지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소위 소비자 유인, 재고관리 등의 목적으로 주로 대형매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깜짝세일 기법을 응용한 문자서비스 선별광고 기법(s300-2) 등, 네 가지 핵심 methods를 중심으로 하여, 이에 파생된 몇 가지 방식들을 함께 결합, 시스템화하여, 인쇄편집관리시스템(s600)을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하고, 가맹점 및 회원가입모듈(s200, s500)들과 가맹점 오프라인광고, 이벤트광고등 가맹점 온, 오프라인광고를 통합 관리하는 가맹점광고발주관리모듈(s300), 오프라인상의 통합할인쿠폰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 기타 원격인쇄솔루션(400-a),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 위조방지솔루션(400-c), 바코드솔루션(400-d), 결재시스템솔루션(400-e) 등을 모두 포함하면서, 웹서버(10-1), 메일서버(10-2), SMS서버(10-3), DB서버(10-4)가 종합적으로 합쳐진 서버시스템(10)을 인터넷상에서 운용하는 종합적인 마케팅사이트(s100)를 개설함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주관사 사이트내의 시스템 구성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되는 기초 용어 설명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와 지점, 가맹점, 소비자간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가입관리모듈에 의한 가맹점 가입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분할 예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목표중지역 등록 절차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에 의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통합할인쿠폰발주흐름도
도 3a-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a에 있어서 쿠폰 발행금액 신청 예도
도 3a-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웹상에서의 쿠폰검색 결과 예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할인쿠폰 지점원격발행 및 배송 개념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할인쿠폰의 디자인 예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업체 포장지에 인쇄된 통합할인쿠폰 예도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인쇄용 쿠폰디자인 예도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의 통합할인쿠폰 발행/유통/정산 개념도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적립겸용가맹점의 통합할인쿠폰 발행 또는 포인트 적립/유통/정산 개념도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의 통합할인쿠폰 발행 또는 포인트 적립/유통/정산 개념도
도 3i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상의 통합할인쿠폰 사용 및 회수 흐름도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온, 오프라인상의 포인트 적립/사용 개념도
도 3k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 소비자 프린터로의 쿠폰원격발행 개략도
도 3k-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k에 있어서 쿠폰 발행금액 신청 예도
도 3l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 및 포인트 상호 전환 절차/사용 개략도
도 3m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 및 포인트 상호 전환 예시도
도 3n은 본 발명에 따른 홈페이지상 전환가능포인트 안내 및 신청 예시도
도 3n-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n의 신청에 의한 결과페이지 예시도
도 3o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 및 포인트의 발행/회수/전환/에 관한 종합 데이터베이스 예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의한 오프라인광고발주흐름도
도 4a-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책자 web form 제작 절차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web form 예도 a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web form 예도 b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오프라인광고 기초디자인 예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위치지정광고 예도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오프라인 광고 table 예도 a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오프라인 광고 table 예도 b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사전 시안디자인 또는 완성된 web form 예도 a
도 4i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있어서의 사전 시안디자인 또는 완성된 web form 예도 b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광고발주관리모듈에 의한 이벤트 광고 및 홈페이지등록 흐름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또는 등록된 가맹점이벤트의 홈페이지 시현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가입관리모듈에 의한 회원가입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서버시스템 20: 가맹점 30: 회원
10-1: 웹서버 10-2: 메일서버 10-3: sms서버 10-4: db서버
s100: 홈페이지 s200: 가맹점가입관리모듈
s300: 가맹점광고발주관리모듈 s300-1: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
s300-2: 이벤트광고발주관리모듈 s400: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
s500: 회원가입관리모듈 s600: 인쇄편집관리시스템
400-a: 원격인쇄솔루션 400-b: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
400-c: 위조방지솔루션 400-d: 바코드솔루션
400-e: 결재시스템솔루션
40: 지점 단말기 50: 지점 프린터
40-1: 가맹점 단말기 40-2; 소비자단말기
50-1: 소비자프린터 60: 바코드판독기
70: 포인트적립단말기 80: 온라인쿠폰겸용가맹점 서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이야기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우선 모든 온, 오프라인 가맹점의 쿠폰 및 포인트들을 통합, 가맹점 각각의 할인서비스들을 한 업체 것처럼 사용하게 함으로써 가맹점 측면에서는 고객유인 극대화, 신규고객 창출, 반복 구매 유도, 브랜드 파워 향상 등에 의한 매출증대를 꾀하며, 고객 측면에서는 모든 할인서비스 통합효과에 의한 실질적 할인혜택 증대, 제 2의 화폐가치로서의 현금호환성 증대, 경제적 권익 증대 등 효과를 부여하는 한편, 이러한 효과들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주관사에서는 각종 온, 오프라인매체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가맹점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바, 궁극적으론 이를 통해 초유의 강력한 마케팅 커뮤니티를 형성, 가맹점, 소비자, 주관사 모두가 만족하는, 진정한 PFB기능의 마케팅서비스를 펼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c는 본 발명에서 공통되는 기초 용어설명도로서,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국을 대략 1만세대 정도씩 분할한 가장 작은 단위를 소지역으로 하고, 소지역을4~5개를 합친 지역을 중지역(경북 안동시 전역 상당)으로 하고, 중지역이 4~5개 합친 지역을 대지역으로 하며, 대지역을 4~5개 합친 지역을 광역지역이라 하고, 그 이상은 대광역지역이라 이름지으며, 회원(30)은 가입 정회원과 비가입 일반소비자회원으로 나누고, 가맹점(20)은 또한 각각 채택하는 시스템 형식에 따라 쿠폰겸용가맹점과 쿠폰단독가맹점, 적립겸용가맹점으로 나누는 바, 서버(10)에는 일반소비자회원을 제외한 이 모두 각각에 코드를 부여하여 회원과 가맹점, 가맹점과 제공서비스간에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될 수 있게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웹관리자에 의한 검색, 변경도 가능하도록 되어져 있다.
정회원(30)가입은 도 17에서 보듯이 주관사 웹사이트(s100)를 통하여 통상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이벤트광고수신에 동의하면 수신 받을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가입비만 결재하면 완료되고, 이에 주관사에서는 회원(30)에게 정회원카드를 우송한다. (단, 이 정회원카드는 회원의 고유번호가 내장되어 있어 회원구별증명의 역할과 포인트 카드 겸용으로 사용된다)
도 1c에서 보듯이 정회원으로 가입되면 가맹점 구매시 일반소비자회원 대비 추가할인혜택을 부여하고, 온, 오프라인상의 적립식 가맹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인근 가맹점의 수시할인(이벤트)정보를 문자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고, 생활권역 및 광역권 가맹점정보가 정기적으로 제공되므로 일반소비자회원에 비해 우선 경제적 이득이 훨씬 크다.
이에 비해 일반소비자회원은 가맹점 구매시 할인쿠폰은 제공받을 수 있으나, 통상 그 금액은 정회원에 비해 작고, 회원정보가 없으므로 적립식 가맹점 이용과휴대전화 문자서비스를 통한 가맹점 이벤트정보 제공 서비스 역시 받을 수 없으며, 생활 중지역내 가맹점이 활성화되어야만 오프라인상을 통해 가맹점정보가 제공되므로 가맹점 정보획득 수단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일반소비자 역시 회원이라 칭하는 이유는 가맹점 자체가 대부분 지역소비자 모두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이상 굳이 소비자를 분리시켜 마케팅을 펼칠 이유가 없고, 단지 정회원으로 가입한 소비자는 모든 가맹점에 대한 단골고객의 의미이기 때문에 우대혜택으로서 추가 경제적 이득을 제공한다는 취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회원가입은 모든 소비자에게 있어서의 필수는 아니며, 단지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만, 회원 가입시 경제적 혜택이 부가됨으로써 사실상 자연스럽게 회원 가입을 유도하게 된다. 하기에서의 일반소비자회원은 줄여서 단순히 소비자 또는 비회원으로 일컬어진다.
도 1b 또한 본 발명의 대표도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에 대한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가맹점과 회원(소비자)은 각각 웹사이트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데 이하 각 모듈의 개략적인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맹점가입관리모듈(s200)은 가맹점 가입과 해지, 각종정보변경사항 등의 개인정보자료와 마일리지 자료, 가맹점의 각종광고발주내역과 수행결과내역, 그 이미지, 가맹점별 쿠폰(포인트) 발주, 발행, 회수내역, 오프라인광고 발주시 필요한 잔여광고단위 등등 가맹점 각각에 관련되어 있는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고,
가맹점광고발주관리모듈(s300)은 가맹점의 온-오프라인 광고발주와 수정과정을 관할하면서 이에 필요한 자료들과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며, 이는 다시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s300-1), 이벤트광고발주관리모듈(s300-2)로 나누어진 뒤, 여기서 오프라인광고는 가맹점 오프라인 홍보용으로 제작되는 전단 또는 책자형광고 등을 말하며, 이벤트광고란 깜짝세일 등의 가맹점 이벤트광고용 문자메세지광고를 말한다.
또한, 홈페이지(s100)는 전체 시스템접속을 위한 관문 역할을 하면서, 회원과 가맹점가입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각종 가맹점 온라인광고를 제공하며, 가맹점 이벤트가 등록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주관사 소개와 시스템 및 통합할인쿠폰 사용법 및 포인트 전환법 등 각종 안내를 위한 공간, 기타 필요한 사항을 위한 도구 및 공간을 제공하며,
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은 통합할인쿠폰의 발주와 발행을 관할하고,
회원가입관리모듈(s500)은 회원의 가입과 해지, 개인정보자료 등, 회원 각각에 특화된 자료들을 관리하며,
메일서버(10-2)는 회원(30) 및 가맹점(20)에게 필요한 경우 이메일을 보내거나 이벤트광고시 휴대전화를 갖고 있지 않은 회원(30)들에 대한 단문메일광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고,
SMS서버(10-3)는 회원 및 가맹점에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또는 각종 의뢰사항에 대한 진행과정 통보시에 사용되며,
인쇄편집관리시스템(s600)은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s300-1)에 의해 발주된 광고안을 넘겨받아 편집 / 분판출력 저장에 관련되는 시스템이다.
기타, 원격인쇄솔루션(400-a)은 쿠폰을 지점 또는 회원 가정내 프린터로 원격발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솔루션이고,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은 온라인가맹점과 서버를 연결하여 포인트적립 및 통합할인쿠폰발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솔루션이며, 위조방지솔루션(400-c)은 쿠폰의 위조방지를 위한 watermark, watercode, 2차원바코드 인쇄 등에 관계되는 솔루션이고, 바코드솔루션(400-d)은 쿠폰 및 회원카드 등의 바코드 관리, 포인트적립, 감산 등과 관계되는 종합솔루션이며, 결재시스템솔루션(400-e)은 회원(30)과 가맹점(20)의 가입비 결재와 광고비 결재, 통합할인쿠폰 액면금액 및 수수료결재 등을 위해 사용된다.
이 각각의 모듈 및 시스템들과 연결되는 중추인 서버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서버(10-4), 웹서버(10-1), SMS서버(10-3), 메일서버(10-2)로 총합 구성된다.
이하 각 부문별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1. 통합할인쿠폰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상의 가맹점을 포인트적립식을 선호하는 적립식 가맹점과 할인쿠폰을 선호하는 쿠폰가맹점으로 크게 나누었을 때, 이중 포인트적립식 가맹점은 할인쿠폰사용도 가능하므로 오프라인상의 적립겸용가맹점이라 부르고, 기타 가맹점은 쿠폰단독가맹점이라고 부르며, 또한, 온라인상의 가맹점서버(80)에는 주관사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이 설치되어 할인쿠폰 원격발행도 가능하므로 통칭해서 온라인상의 쿠폰겸용가맹점이라 부르고 있다.
이때, 주관사 산하에는 각 지역별로 지점 또는 중개소(이하 지점)가 설치되고, 지점 단말기(40)와 서버(10)는 서로 전용망 또는 VPN(가상사설망)으로 연결되어 가맹점 관리 및 고객관리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서버(10)와 지점, 각 가맹점 및 소비자가 상호 연결 구성되는 블록 개념도는 도 1d와 같다.
도 1d를 참조하면 서버는 소비자와 각 가맹점, 지점들과 상호간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중 소비자쪽은 소비자 프린터(50-1)와도 연결되어 있고, 지점과는 바코드 판독기(60), 할인쿠폰 인쇄용 프린터(50), 포인트적립용 단말기(70)와도 연결되어 있으며, 오프라인 적립겸용가맹점과는 바코드판독기(60) 및 포인트적립용 단말기(70)와도 연결되어 있고, 온라인상의 쿠폰겸용가맹점과는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으로 웹상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쿠폰단독가맹점은 단순히 가맹점 단말기(40-1)로 연결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연결된 하위 단말기는 서버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관련 모듈에 의한 프로그램화 또는 관련 시스템솔루션이 각각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화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오프라인 통합할인쿠폰은 도 3c의 형상 예에서 보는 것처럼 외견상 쿠폰액면에 할인금액이 적혀 있고, 일련번호, 유통기한이 적혀 있으며, 워터마크 등 위조방지장치와 발행점명, 발행점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고, 온라인상에서 주문되어 주관사 지점이나 소비자 가정 프린터로 직접 원격 발행되며, 온, 오프라인상의 적립포인트와 상호 전환사용이 가능하고, 발행시 발행금액을 선입금하고 유통시킨다는 점이 그 발행 및 사용상 특색이다.
쿠폰 액면에 적혀 있는 금액은 이를 소지한 소비자가 가맹점 구매시, 유통기한 내라면 즉시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을 말하므로 통합할인쿠폰은 그 자체로 현금과 같은 효과가 있다.
쿠폰을 제공받는데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회원 가입이 필요하진 않으나,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면 회원가입 후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립포인트는 기존 온, 오프라인에서 흔히 회원고객에게 제공되는 소위 보너스 포인트, 마일리지, 보상포인트 등과 동일한 개념으로 회원에게만 제공된다는 것과 회원카드 및 적립단말기가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회원 포인트적립 및 사용 데이타베이스가 구축된다는 점이 같다.
단, 쿠폰처럼 유효기간이 부여되어 관리된다는 것과, 가맹점 가입시 포인트발행한도액을 정해 선입금 후 발행된다는 점, 상기한 바와 같이 쿠폰과 상호전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그 특색이다. 회원에게 제공된 적립포인트는 제공일자와 제공 가맹점명 등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되고, 유효기한 종료 후에도 회원고객에게서 미사용된 포인트는 발행가맹점으로 반환되어진다. 이는 쿠폰으로 전환하여도 동일하게 관리되기 때문에 전환쿠폰 미회수시에도 물론 당연히 포인트 제공 가맹점으로 반환되어진다.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3a는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에 의한 오프라인 통합할인쿠폰 발주 간략 흐름도로서, 통합할인쿠폰 발주를 위해 가맹점(20)이 주관사 웹사이트(s100)에 접속, 가맹점 로그인을 하는 단계와;(s1) 가맹점이 통합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로 접속하여;(s2) 발행할 통합할인쿠폰의 액면금액과 발행 매수를 주문하는 단계와;(s3) 통합할인쿠폰의 액면금액과 발행 매수에 따른 총 금액과 수수료를 결재하는 단계와;(s4) 사전에 정해진 금액별 기본 이미지 위에 일련번호,유통기한, 가맹점상호, 전화번호, 위조방지장치, 바코드가 추가되어 쿠폰이 생성되는 단계와;(s5) 원격인쇄솔루션을 거쳐 지점 프린터에서 원격 인쇄되는 단계;(s6)로 발행이 완료되고, 발행금액, 일련번호 등을 서버(10)에 저장하는 단계와;(s7) 신청한 통합할인쿠폰이 발행되었음을 가맹점주에게 문자서비스로 통보하는 단계와;(s8) 배송사원에 의해 통합할인쿠폰을 가맹점(20)에 전달하는 단계 ;(s9)를 거쳐, 발주 및 db화, 발행 및 배송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에서의 위조방지솔루션(400-c)과 원격인쇄솔루션(400-a), 바코드솔루션(400-d), 결재시스템솔루션(400-e)들은 상기한 목적에 알맞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화 되어 있다.
s4단계까지의 과정과 같이 가맹점에서는 홈페이지내 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을 통해 발행받고자 하는 쿠폰 액면금액과 매수를 선택하고, 신청하고자 하는 할인쿠폰 액면금액 총액과 소정의 발행수수료를 결재하면 쿠폰을 발행받아 유통시킬 수 있다.
상기 s3단계에서 서버에서 제시되는 쿠폰신청페이지의 예도는 도 3a-1과 같고 가맹점은 원하는 액면금액을 선택, 매수를 기재하여 서버로 반환한다.
s4단계에서 발행된 쿠폰액면금액 총액은 포인트발행용 선입금금액과 함께 서버내 결재시스템(400-e)을 통해 제휴은행의 전용관리계좌로 자동 입금, 관리되며, 이는 차후 소비자 사용에 의한 발행금액 회수시, 회수가맹점들에 각각 회수금액만큼 정산, 송금되는 별도 보관금이다. 따라서 유통기한 종료 후에도 고객에게서 회수되지 않은 통합할인쿠폰은 액면금액 그대로 해당 가맹점에 반환되어진다. 또한 이때, 쿠폰발행액면금액과 수수료는 각각 전용계좌로 자동분산 예치되게 되며, 수수료는 주관사로 귀속된다. 서버와 결재시스템(400-e)은 상호간 연동되어 수수료와 쿠폰발행액면금액을 구별, 각각 지정된 전용계좌로 입금되도록 데이타베이스화되어 있다.
상기 통합할인쿠폰은 도 3c에서 예시된 형상은 1000원, 5000원이지만, 통상 500원, 1000원, 5000원, 10000원의 4종류로 발행되게 되며, 특수한 경우 가맹점별 별도 협약에 따라 금액 자체는 더욱 다양화되어질 수 있다. 또한 통합할인쿠폰은 포인트로 전환되어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쿠폰 형태는 주로 종이에 인쇄된 형태를 띨 수도 있겠지만, 전환포인트 형태를 띨 수도 있으며, 쿠폰을 직접 판촉대상 상품에 부착시킬 수도 있게 함으로써 외견상 스티커형태를 띨 수도 있고, 도 3d와 같이 제조업체 등에서는 주관사와의 별도 협약과 일련번호 관리하에 직접 포장지상에 별도의 소정 규격에 의한 쿠폰을 인쇄함으로써 포장지 자체 또는 이를 오려낸 쿠폰형상이 통합할인쿠폰으로 될 수도 있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통합할인쿠폰이 액면금액을 달리 하는 이유는 각 가맹점(20)이 가맹점 특색 및 판매되는 상품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소규모상점은 500원, 1000원 짜리 쿠폰을 주로 발행하고, 보다 구매금액이 큰 가구점이나 가전제품 판매점, 기타 대형상점들은 5000원, 10000원 짜리 쿠폰을 주로 발행하는 식으로, 사용될 쿠폰 역시 가맹점 필요에 따라 각각 스스로 선택 발행,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s4단계에서의 발행수수료는 쿠폰발행비 및 정산관리비용이 포함된 것으로서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액면금액의 보통 3~10%로서, 1000원 권 이하는 10%, 5000원 권 이상은 3~5%정도이다. 이는 현재 오프라인에서 중소사업자들이 제작하는 통상 할인쿠폰제작비용 1만원당 4~50원과 동일하거나 저렴한 수준이다. 1000원 권 이하에 보다 많은 수수료가 부가되는 이유는 A4용지 1장 기준으로 발행비는 1000원 권이나 5000원 권이나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상기 일실시예로 A4 용지 기준으로 한 장의 용지 위에 인쇄되는 쿠폰은 12장(5000원 권 이상)에서 20장(1000원 권 이하) 정도이다. 따라서 A4용지 1장 기준으론 약 1000원에서 3600원 정도까지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상기 수수료의 예로, 고객에게 매출의 5%에 해당하는 통합할인쿠폰을 제공하는 가맹점을 예로 들면, 이 가맹점이 부담하게 될 총 금액은 할인금액까지 포함해서, 매출 100만원당 지급할인액 5만원 + 발행수수료 5000원~1500원, 총 55000원에서 51500원 정도까지가 된다. 이는 500원 권이 주로 제공되는 영세사업자에겐 5000원이 되고, 10000원 권이 주로 제공되는 대형사업자에겐 1500원이 되는 셈이다. 이만 보면 일견 영세사업자가 불리한 것 같으나, A4용지 1장 기준으로 본다면 오히려 가장 싸게 공급받게 되므로 오히려 이득이다(1000원<->3600원). 게다가 기존 오프라인 제작비용과 거의 같으므로 불만 역시 없으리라 본다.
상기에서 쿠폰생성이미지는 실제로는 사전에 정해진 기본이미지 일부 영역 위에 일련번호 등의 변수가 입력되고, 위조방지용 워터코드나 워터마크, (2차원)바코드 등 새로운 이미지가 추가되어 최종 생성된다.
이때 기본 이미지는 금액별로 전체 크기와 액면금액이 지정되어 있고, 약간의 배경 이미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일련번호, 유통기한, 발행가맹점명, 전화번호 등 고정문구가 들어가 있는 상태이고, 새로 생성되는 변수마다 소정의 위치와 글자크기, 폰트, 글자색상 등이 각 금액별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위조방지 이미지가 추가되는 위치와 크기, 바코드를 포함한 채용되는 위조방지장치 종류 역시 각각 지정되어 있다.
상기 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은 사전에 이런 변수를 지정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지정된 방식으로 자동으로 수행하게끔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이미지는 그 이미지별로 서버내 소정의 경로로 지정되어 있고, 가맹점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서버는 금액별로 지정된 소정의 경로에서 각각 그에 맞는 기본이미지 파일을 불러와 금액별로 다른 변수들을 입력하여 쿠폰을 생성시킨 후 인쇄하게 된다.
이 기본 이미지는 각각의 금액별로도 다르고, 특히 도 3e와 같은, 온라인상에서 직접 소비자프린터(50-1)로 전송되는 쿠폰은 같은 금액이라도 상기와는 별도로 그 기본이미지와, 폰트 등 중요 변수, 위조방지 이미지가 추가되는 위치와 크기 등을 반드시 다르게 지정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웹관리자에 의한 만약의 실수 가능성도 차단하며, 근본적으로 쿠폰 차이가 육안으로도 쉽게 구별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또한 덧붙일 것은 소비자프린터(50-1)로 온라인전송, 발행되는 쿠폰은 5000원 권 이상에 한정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상기 s5단계 위조방지인쇄 외에도, 본 발명과 서버내에는 추가적 위조방지대책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은 우선 서버(10)내에는 일련번호 입력으로 조회(도 3a-2)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웹에서 수시 확인도 가능하며, 일반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운 특수종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5000원 이상 고액권의 경우 반드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바코드판독기가 설치된 가맹점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상기 도 3c에서 예시된 바로, 1000원 권 이하 할인쿠폰과 5000원 권 이상 할인쿠폰의 다른 점은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중간 단위의 금액도 가맹점업체와의 별도 협약에 따라 있을 수 있지만, 온라인상에서 발행되진 않고, 목적에 따라 별도 제작되게 되므로, 다른 위조방지방법과 바코드가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 가맹점들에 고시함으로서 통용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통합할인쿠폰은 소액권은 바코드판독기가 없는 가맹점에서도 사용가능하지만, 5000원 이상 고액권은 바코드판독기가 구비된 가맹점에서만 사용가능한 이원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는 설명된 바와 같이 지역기반의 대부분 영세상점들은 지역소비자와 워낙 긴밀한 관계에 있어 별도 시스템을 통하는 마케팅방법은 오히려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용까지 부담되게 생각하며, 기본적으로 5000원 이상 고액 할인쿠폰은 거의 발행하지 않는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소액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역소비자에게 훨씬 가까운 소규모상점에서 주로 사용되고, 위조 실익도 약하여 굳이 바코드판독기(60)가 아닌 광학watermark 정도로도 소정의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곤 보지만, 보완적으로 유통기한은 고액권에 비해 항상 짧게 부여한다.(바람직한 실시 예는 한달 정도가 될 것이다)
반면 고액권의 경우는 이를 발행할 가맹점이 주로 중대규모로 이미 시스템 감당 여력도 있고, 위조실익까지 존재하며, 그 발행과 사용에 제한을 두는 자체가 공감과 신뢰감을 더 부여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바코드판독기(60)가 설치된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에는 웹관리자에 의해 유통기한이 각 금액별로 사전에 설정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이 설정된 유통기한을 서버에서 할인쿠폰 기본이미지 위 소정의 자리에 입력,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바코드판독용 단말기(60) 내에는 서버와 연결된 가맹점 코드번호가 부여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서버 내에는 각 단말기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쿠폰 회수시 바코드를 통한 쿠폰 일련번호 대조로 쉽게 위, 변조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바코드를 읽혀 할인혜택을 부여하면, 가맹점별 회수 쿠폰금액이 적산되어, 가맹점별 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맹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역시 구축되어 있고, 한번 사용되어 회수된 쿠폰은 재사용을 못하게 함으로써 서버에 기록된 회수가맹점과 실 회수가맹점이 다른 경우 또한 위조의 가능성이 있는 쿠폰으로 판정이 가능하므로 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액권의 위조방지방법은 위조방지 인쇄 외, 3가지 방법이 추가되어 있다. 첫째로 바코드판독기(60)가 구비된 가맹점에서만 사용가능, 둘째, 이미지가동시에 얻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고액권은 온라인에서 소비자 프린터(50-1)로 직접 원격 발행될 수 있는 대신, 소액권은 온라인상으로 원격 발행되지 않는다, 셋째, 소비자에게로 원격 발행되는 쿠폰이미지 디지인과 정상 고액권 이미지는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르게 함으로써 회수가맹점에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온, 오프라인 안전장치가 있기에, 오히려 소액권 대신 고액권을 온라인상에서 직접 소비자 프린터(50-1)로 원격 발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렇게 보았을 때, 상기 도 3c 및 도 3e의 쿠폰 형상에서의 바코드는 2차원 바코드일수도 있지만 일반 바코드 역시 채택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소액권은 아직 광학 위조 방지장치가 불완전하여 컴퓨터전문가가 굳이 하려들면 위조는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상 유통기한 자체가 없는 화폐도 1000원 권은 거의 위조 사례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면, 웹에서 검색 가능하고, 유통까지 짧은 기간 안에 끝나므로 위조 실익이 없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소액권은 지점프린터로만 인쇄되므로, 인쇄종이를 일반용지가 아닌 특수용지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위조방지대책도 삽입할 수 있는 등, 고액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택적 유연성이 풍부하다.
여기에서 고액권은 바코드 관리로 그 유통이 1회로 한정되지만 소액권은 바코드식 관리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회수한 가맹점이 또 다른 가맹점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 후 사용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본래 그 주 유통되는 사용처가 영세사업자 시장이라, 유통이 1회에 그친다면, 누적될 경우 이 또한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당연히 용인된다. 따라서 수수료는 더욱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그 유통기한상 많아야 2~3회 유통으로 거의 대부분이 회수되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유통기한을 짧게 한다는 것은 위조실익을 없애는 동시에 또한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빨리 사용하게 함으로써 보다 매출증대에 도움을 주는 장치이기도 한 2중의 효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위조방지 조치들은, 가맹점 이용 소비자란 어차피 지역주민으로서 익히 잘 알고 있는 사이들이고, 또한 위조시 형사처벌대상도 될 수 있으므로 그 실사례는 받지 않을 것이나, 방비책은 필히 강구되어 있어야 하는 성질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통합할인쿠폰의 위조방지대책은 이러한 일련번호, 유통기한 설정, 웹에서의 조회, 위조방지 인쇄, 바코드 인쇄, 사용상 제한, 특수용지 인쇄 등이 모두 포함되며 기타 수시 디자인변경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합할인쿠폰에의 유통기한 설정은 위조 가능성을 방지하고, 일반 화폐의 성격과도 구별시키면서, 쿠폰의 회전율을 높여 가맹점에 매출증대 효과를 주고자 함도 있으나 유통기한 뒤에도 회수되지 않은 쿠폰 낙전금액을 파악, 환급해 주는 목적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포인트 낙전 파악부분과 함께 아래에서 종합적으로 한다.
상기 s7단계에 있어서, 서버(10)에는 발행된 쿠폰에 대한 금액, 일련번호,발행가맹점명, 발행일, 유통기한, 바코드번호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가맹점별 자료로 관리 저장되어 웹에서 확인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위조방지를 위해, 일련번호 입력에 의한 도 3a-2의 예처럼 웹상에서 검색 및 화인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일련번호 입력으로 이미지까지 보여 지도록 프로그램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o는 서버에서 구축된 이러한 종합데이터베이스의 예도이다. 서버는 회원별, 가맹점별 개인정보와 결재정보, 회원의 포인트 변동내역, 가맹점별 쿠폰 및 포인트 발행에 대한 각종 정보와 회수 정보, 회원이 전환한 내역까지 소상하게 기록하고 관리하며, 각종 쿠폰이나 포인트 발행, 전환 등 각 서버 산하 관련시스템 및 모듈에서의 변동사항을 도 3o를 통해 보여주고, 또한 웹관리자가 단말기를 통해 쿠폰 회수내역, 정산 등 서버에 저장할 내역이 있을 경우 역시 도 3o 데이터베이스 양식에 기재함으로서 서버에 자동 저장될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있다.
상기 s6단계와 s9단계, 발행쿠폰 인쇄 및 배송에 있어서 이때, 주관사 산하에는 각 지역별로 지점이 설치되고, 지점 단말기(40)와 서버(10)는 서로 전용망 또는 VPN으로 연결되며, 지점 단말기 하위에는 쿠폰 인쇄용 프린터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통합할인쿠폰 주관사는 지역별 지점을 활용하므로, 실시간 발행과 더불어 배송시간 단축도 기할 수 있으며, 유실 방지, 기타 가맹점관리에도 일조하는 일거다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주관사 산하 각 지점은 관할하는 지역에서 회수된 쿠폰들을 모아 본사로 송달하는 임무도 맡게 되는데, 이러한 원격발행 및 배송, 회수과정은 도 3b에서보는 바와 같다.
상기 s8단계에서 가맹점에 통보하는 문자메세지의 예는 '(가맹점명)님, (접수일자)신청쿠폰, (액면금액)권 (발행매수)장, 정상발행. 배송 확인요망. (주관사명)'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SMS로 발송되는 가맹점 통보용 문자서비스 문안내용은 그 목적에 따라 고정문구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각각 경로파일이 지정되어 있어, 괄호안의 변수에 발주가맹점 정보와 신청한 간략내용이 삽입되어, 지정한 단계에서 SMS서버(10-3)에 의해 자동으로 발송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도 3i는 이와 같은 방법에서 발행된 통합할인쿠폰이 오프라인 상에서 유통 및 회수되어 정산되는 종합 절차도로서, 회원(30)이 가맹점(20)에서 구매하는 단계와;(s1) 약속된 기준에 따른 통합할인쿠폰을 수령하는 단계와;(s2) 소액권이면 회원(30)이 동 혹은 타 가맹점(20)에서 구매 후 통합할인쿠폰을 제시하는 단계와;(s3-1) 고액권이면 바코드판독기가 설치된 가맹점에서 구매 후 통합할인쿠폰을 제시하는 단계와;(s3-2) 소액 쿠폰이면 가맹점이 육안 및 웹사이트(s100)를 통해 서버(10)에 접속, 일련번호 입력으로 위조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s4-1) 고액 쿠폰이면 바코드판독기로 그 진위 여부를 판독하는 단계와;(s4-2) 고객에게 제시된 액면금액만큼 할인혜택을 부여하는 단계;(s5) 로서 쿠폰 제공 및 사용이 종료되고, 가맹점(20)이 회수한 통합할인쿠폰을 주관사에 접수하는 단계와;(s6) 회수된 쿠폰을 위조여부 재확인과정을 거치는 단계와;(s7) 정상쿠폰이면 회수일시, 회수가맹점 등의 자료를 서버(10)에 저장하는 단계와;(s8) 제휴은행을 통해 동 액면금액만큼 가맹점(20)에 송금하는 단계 ;(s9) 로서 회수 및 정산과정도 종료된다.
상기 s7단계에서의 위조여부 재확인과정은 만약의 경우에 대비한 것으로서 우선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의 합치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으로도 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소액권의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도 일정한 기간동안은 보관하게 되는데 이는 나중 위조된 쿠폰이 회수될 시 그에 대한 증빙자료와 상호대조를 통한 위조여부를 추가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s8단계에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은, 이미 서버(10)에는 도 3o와 같이 회수정보도 기록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므로 도 3o의 관련 항에 웹관리자가 회수내역을 기재함으로서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합할인쿠폰이 발행되고 유통되며 정산되는 상기 과정을, 단순히 오프라인 쿠폰단독가맹점밖에 없다고 가정하여, 하나의 실시 예를 들어 보면,
소비자회원K(30)는 가맹점(20)A(의류판매점)에서 물건을 구매한 뒤, 고액통합할인쿠폰 a를 받았고, 다른 가맹점(20)D(슈퍼)에서는 소액통합할인쿠폰 d를 받아 가지고 있다.
이후, 가맹점(20)B(피자집)에서 피자를 먹고 계산시에 가맹점(20)B가 바코드판독기가 설치된 가맹점이어서 통합할인쿠폰 a를 현금처럼 사용, 결재하였고, 그 구매보상으로 또한 가맹점B(피자집)의 소액통합할인쿠폰 b도 받게 되었다.
이를 가지고 또 가맹점 C에 가져가면 먼저 있던 소액권 b와 d로 또다시 할인받고, C에서 주는 쿠폰 c 역시 받게 된다.
이에 재미를 느낀 소비자회원K(30)는 다시 이 통합할인쿠폰 c를 활용하기 위해 같은 가맹점 또는 다른 가맹점을 찾게 되고, 만약 E를 찾아가면 e를 받게 되며,D를 찾아가도 또 d를 받게 되어 있어, 이는 지속적으로 순환되게 된다.
또한, 소비자회원K에게서 현금을 대신하여 통합할인쿠폰 a를 받은 가맹점(20)B는 또한 유통기한까지 고객에게 미지급된 할인쿠폰 f를 보유하고 있어, 여러 고객에게서 각각 여러 장의 통합할인쿠폰 a, b, c, d, ... x 등을 회수한 뒤, 유통기한까지 고객에게 미지급된 할인쿠폰 f와 함께 지점을 통해 주관사에 접수하면, 주관사는 가맹점(20)B에 통합할인쿠폰 a, b, c, d, ... x 등의 액면금액과 미지급 f 액면금액 전액을 제휴은행을 통해 송금한다. 제휴은행에는 쿠폰 발행시에 액면금액 전액이 입금되어 보관되고 있으므로 회수된 쿠폰, 심지어 고객에게 미지급된 잔여쿠폰금액까지 환급해 줄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타점 통합할인쿠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한 가맹점이 다시 자점쿠폰을 고객에게 주는 것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제공하지 않는 가맹점도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 회원(30)의 가맹점(20)에서의 최초 구매가 연쇄적으로 여타 가맹점(20)으로 구매가 연결되게 되어, 가맹점(20) 전체의 영업활동이 활발해지는 효과가 주어지고 회원의 이익도 극대화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소액 할인쿠폰을 주로 사용하는 영세상점의 경우 가맹점이나 소비자가 별도의 시스템을 통과하지 않는 기존 그대로의 간편한 쿠폰 유통방법이 채용되게 될 수 있다.
게다가 쿠폰에 유통기한이 기재되어 있고, 서버에는 상기 도 3o의 데이타베이스처럼 발행정보와 회수정보가 종합적으로 기록, 저장 관리되고 있으므로, 유통기한 종료후에도 미회수된 가맹점별 쿠폰이 있으면 수시로 환급정산을 해줄 수 있는 이점도 발생, 종전보다 가맹점이 안심하고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쿠폰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결과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회수되었다면 그만큼 전체 가맹점 매출이 상승되었음을 의미하고, 회수되지 않아도 자기에게로 환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기존 개별발행시나 마찬가지로 큰 손해 없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기존 시장 자율적 할인기준에 의한 쿠폰제공이 그대로 통합쿠폰으로도 연결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상기의 예는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대상을 쿠폰단독가맹점으로 단순화 시켰을 뿐, 현실적으로는 포인트적립 부분까지 포함하므로 설명하자면 조금 더 복잡해진다.
도 3j는 온, 오프라인상의 포인트 적립 및 사용 개념도로써, 회원카드를 소지한 회원이 온, 오프라인상의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와; 상기단계에서 발생된 포인트가 카드에 적립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와; 회원이 가맹점에서 재구매하는 단계와;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재하는 단계와; 회원카드에서 이용포인트만큼 감산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바 이는 종전의 방식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지게 된다.
오프라인상의 적립겸용가맹점에는 도 1d와 같이 회원카드를 판독하여 회원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적립 포인트를 서버에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70)가 구비되어 있고, 온라인상의 쿠폰겸용가맹점에는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이 설치되어 있으며, 서버(10)내에는 상기 단말기 또는 서버(80)와 연결되어 회원 개인별 포인트 적립 및 적립된 포인트로서 현금대신 결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회원의 포인트 적립 및 포인트 이용에 대응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회원이 온, 오프라인상의 가맹점을 통해 상품을 구입하면, 그 상품에 대해 가맹점에서 정한 소정의 적립포인트가 회원 개인별 계좌에 적산되며, 차후 회원이 동, 혹은 또다른 가맹점에서 재구매하면 적립된 포인트만큼 현금 대신 결재할 수 있게 된다.
회원에게 적립되는 포인트는 이미 가맹점에 의해 사전 입금되어 있기 때문에 차후 동 혹은 다른 가맹점에서 회원이 적립된 금액을 사용하더라도, 제휴은행을 통해 회원이 포인트를 사용한 가맹점에 그 사용된 포인트만큼 송금함으로써 정산이 완료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바 모두는 기존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만 하던 종전의 적립포인트를 이제 통합할인쿠폰과 상호 전환하여 온,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함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 전환에 관련되어서 하기 도 3l 설명에서 상세하게 재개된다.
그 이전에,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온, 오프라인상의 모든 가맹점을 쿠폰단독가맹점과,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 오프라인 적립겸용가맹점으로 나누어 각각 그 의미를 정의한 바 있다. 이에 오프라인상의 쿠폰단독가맹점은 통합할인쿠폰을 도 3f와 같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오프라인상의 적립겸용가맹점은 도3g와 같이 쿠폰과 포인트적립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상에서의 쿠폰겸용가맹점은 도 3h와 같이 쿠폰 및 포인트적립을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를다시 도 3l과 같이 그 서로서로가 교통될 수 있는 장치를 함께 마련, 서로가 교환,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 오프라인상의 쿠폰단독가맹점에서는 도 3f처럼, 원하는 할인쿠폰에 대해 주관사 홈페이지(s100)내 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에서 발행받아 소비자가 쿠폰을 요구하면 쿠폰을 제공하는 발행단계와; 상기 쿠폰 발행시점에 쿠폰발행금액과 수수료가 주관사 결재시스템(400-e)을 거쳐 제휴은행으로 자동 입금되는 쿠폰발행시점 입금단계와; 상기 통합할인쿠폰을 소비자가 수령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하거나, 포인트로 바꾼 뒤, 쿠폰겸용가맹점에서 사용하는 통합할인쿠폰 유통단계와;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된 통합할인쿠폰을 회수하여 주관사에 접수함으로써 회수 가맹점에 제휴은행을 통해 액면금액을 송금하는 통합할인쿠폰 정산단계; 로 그 활용 및 정산이 이루어지고,
오프라인상의 적립겸용가맹점에서는 도 3g처럼, 적립겸용가맹점으로 가입하기 위해 소정의 포인트적립 총액한도를 정하고 이 금액을 한도금으로 예치하는 포인트적립금액 사전입금단계 및 원하는 쿠폰 발행시 쿠폰발행금액과 수수료가 주관사 결재시스템(400-e)을 거쳐 제휴은행으로 자동 입금되는 쿠폰발행시점 입금단계와; 서버에서 포인트 적립한도를 부여해 주고, 원하는 할인쿠폰에 대해 주관사 홈페이지(s100)내 할인쿠폰발주관리모듈(s400)에서 발행받아, 소비자가 포인트 적립을 원하면 부여된 한도내에서 포인트 적립해 주고, 쿠폰을 요구하면 쿠폰을 제공하는, 발행단계와; 상기 소비자는 포인트나 쿠폰을 각각 사용 가능한 가맹점에, 때로는 상호 전환해서도 사용할 수도 있는, 유통단계와; 상기 소비자에게서 회수한 포인트 및 쿠폰을 주관사에 접수함으로써 회수 가맹점에 제휴은행을 통해 해당 포인트 및 액면금액을 송금하는, 정산단계; 로 그 활용 및 정산이 이루어지며,
온라인상의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는 도 3h처럼, 쿠폰겸용가맹점으로 가입하기 위해 소정의 쿠폰 및 포인트 통합 발행총한도금과 예정쿠폰발행수수료 금액을 각각 예치하는, 사전입금단계와; 서버에서 포인트 발행총한도를 부여해 주고, 발행한도내에서 회원이 온라인 가맹점에서 구매하고 포인트 적립을 원하면 부여된 한도내에서 포인트 적립해 주고, 쿠폰 발행을 요구하면, 주관사 서버에서 직접, 소비자 가정 프린터로 할인쿠폰을 전송, 발행하는, 발행단계와; 상기 소비자는 포인트나 쿠폰을 각각 사용 가능한 가맹점에, 때로는 전환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유통단계와; 상기 소비자에게서 회수한 포인트를 주관사에 접수함으로써 회수 가맹점에 제휴은행을 통해 해당 포인트 금액을 송금하는, 정산단계; 로 그 활용 및 정산이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의 통합할인쿠폰 또는 적립포인트를 소비자 및 회원에게 제공하기에 앞서, 각 가맹점은 가맹점 가입시 또는 수시로 가맹점 스스로 쿠폰 또는 적립포인트 제공기준을 지정하며, 주관사는 이 지정된 제공기준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각종 온, 오프라인 광고에 게재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적립겸용가맹점이 포인트발행한도를 정해 선입금하고, 쿠폰발행은 발행시마다 해당금액과 수수료를 입금하는 이유는 포인트적립금액은 쿠폰처럼 발행시점 즉시, 즉시 입금받기 어렵기 때문이고,
또한, 상기에서의 쿠폰겸용가맹점이 포인트 및 쿠폰 발행총한도를 정하고,대략의 예정쿠폰발행수수료를 포함해 선입금하는 이유는, 오프라인과 달리 회원에게의 쿠폰 발행 때마다 일일이 가맹점에서 해당 금액과 수수료를 입금받기가 어려운 까닭이다.
상기 적립겸용가맹점과 쿠폰겸용가맹점에서 쿠폰발행금액과 달리 포인트 발행금액에 대한 수수료가 부가되지 않는 이유는 포인트 발행금액에 대하여는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사용수수료로서 매달 부과 내지는 가입비에 합산 청구하는 실시 예를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적립겸용가맹점에서의 포인트발행 총한도금액과 쿠폰겸용가맹점에서의 포인트 및 쿠폰발행 총한도금액은 발행한도금 전용계좌로 이체되고, 발행시마다 가맹점별로 정산되고 유지, 관리되며, 당해 가맹점이 쿠폰 또는 포인트 회수시 총한도금액을 넘는 금액만을 송금함으로서 상기 보관금은 항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하며, 단, 이때 이 보관금은 가맹점 가입 해지시 환급하게 된다.
또한 예정쿠폰발행수수료는 가맹점 명의로 된 별도의 수수료계좌를 개설하고 쿠폰 발행시마다 상기 계좌에서 인출되는 실시 예를 보이게 될 수도 있고, 또는 선입금한 뒤, 정산하는 실시예를 보일 수도 있다.
상기 쿠폰겸용가맹점에는 주관사 서버(10)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이 설치되어 있어, 도 3k에서 보듯이 구매고객이 할인쿠폰발행을 원하면 서버에서 직접 구매고객 프린터로 전송, 발행하게 되지만, 다만 위조방지목적으로 5000원 이상 금액으로 제한하게 되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할인쿠폰을 발행받을 고객은 동 쿠폰겸용가맹점에서의 회원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주관사의 회원일 필요는 없고, 포인트를 적립받을 고객은 주관사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
도 3k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 소비자 프린터로의 쿠폰원격발행 개략도로서,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와;(s1) 구매대금을 결재하는 단계와;(s2) 구매상품에 대해 적립될 포인트가 5000점 이상이면 쿠폰과 포인트 적립 중 선택하는 단계와;(s3-1) 구매상품에 대해 적립될 포인트가 5000점 이하이거나 포인트적립을 선택했을 경우 정회원인지 파악하는 단계와;(s3-2) 정회원이면 회원계좌에 포인트를 적립하고 비회원이면 회원가입을 거쳐 계좌에 포인트를 적립하고 완료되는 단계와;(s3-3) s3-1에서 쿠폰을 선택했다면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을 거쳐(s4-1) 서버로 접속되는 단계와;(s5) 서버에서 소비자 단말기(40-2)에 연결된 프린터(50-1)를 판독하여 위조방지솔루션(400-c)이 지원하는 프린터인지 판독하는 단계와;(s6) 지원하지 않는 프린터이면 s3-3단계로 반환되고, 지원되는 프린터이면 원하는 쿠폰금액을 선택하는 단계와;(s7) 사전에 정해진 전환쿠폰전용 금액별 기본이미지 위에 일련번호, 유통기한, 가맹점상호, 전화번호, 위조방지장치, 바코드를 지정된 방식으로 추가하여 쿠폰을 생성하는 단계와;(s8) 잔여포인트를 안내하고 일반소비자회원이면 정회원가입을 거친 후 회원계좌에 적립하는 단계와;(s9) 쿠폰을 회원의 프린터(50-1)로 전송, 인쇄하여 발행이 완료되는 단계;(s10)로 모든 절차가 완료된다.
상기 s3-1단계에서의 기준으로서의 5000점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있다.
상기에서의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은 이러한 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되어 있고, 상기 서버(10)에는 쿠폰을 원격발행하게 함에 있어서 대상자의 프린터가 위조방지솔루션(400-d)에서 요구되는 위조방지인쇄가 가능한 프린터인지 판독하는 프린터판독모듈(400-b)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 위조방지솔루션에 포함되어 패캐지로 지원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s6단계에서 소비자가 접속하여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고자 하였을 때, 서버(10)는 소비자의 프린터가 위조방지인쇄가 가능한 프린터인지 판독하고, 지원되지 않는 프린터이면, 지점으로 방문하여 전환하라는 안내를 보내고 이전 단계로 반환하고 종료한다. 소비자의 프린터가 지원되지 않는 프린터이면 소비자는 상기 s3-2단계로 돌아가 포인트를 적립하고 종료한다.
상기에서 지원가능한 프린터로 판독되면, 소비자는 가능한 포인트 범위내에서 발행받을 쿠폰금액을, 서버(10)에서 제시되는 도 3k-1의 신청페이지에 5000원과 10000원 권별로 각각 발급받을 매수를 선택, 기재하고, 서버는 도 3e와 같은, 소비자프린터(50-1) 발행전용이미지를 불러와, 지정된 방식으로 변수를 입력하고 쿠폰을 생성후 회원의 프린터로 전송, 인쇄하며, 이를 도 3a의 s7단계에서의 예에 따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절차에서 고객에게 제공된 쿠폰에 대한 발행수수료는 상기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 부담하게 되며, 서버(10)에서는 상기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이 개설한 수수료 계좌에서 해당 금액을 인출, 또는 선입금 되어 있으면 정산후 통보한다.
상기 s9단계에서 고객이 쿠폰을 발행받고 남은 포인트는 비회원이면 소정의 회원가입절차를 거친 후 적립하게 된다. 이때, 서버는 회원가입을 원하는 고객에게 회원가입모듈(s500)에 따른 소정의 회원가입페이지를 출력, 제공한다.
이때 이렇게 발행받은 쿠폰은 반드시 바코드판독기가 설치된 가맹점에서만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하 도 3l 이하를 참조하여 쿠폰과 포인트를 상호 전환하는 설명이 상세히 재개된다.
쿠폰과 포인트를 상호 전환하기 위해서는 고객은 회원가입이 되어 있어야 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0)에는 각 회원의 포인트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회원이 포인트를 적립받은 가맹점명과 포인트 액수, 그리고, 그 제공일자 등이 저장 관리되고 있으며,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했을 경우 역시 포인트로 전환한 내역이 저장 관리되어 있어, 회원이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거나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포인트와 오프라인 포인트는 상호 호환되며, 소비자프린터로 발행된 쿠폰과 지점 프린터로 발행된 쿠폰 역시 상호 호환된다.
다만, 전환원칙이 있어, 한 번 전환된 쿠폰 또는 포인트는 다시 재전환할 수 없고, 도 3m에서 보는 것처럼 전환일을 기점으로 새로운 유효기한을 부여하며, 부여되는 유효기간은 해당시점의 포인트에 부여되는 일반유효기간, 동일금액 쿠폰에부여되는 일반유효기간과 동일하고,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경우 반드시 선입 선출 방식으로 전환된다는 원칙 등이다.
이는 전환이 목적이긴 하나 전환이 자주 되면 유통기한 부여 의미가 사라지게 되므로, 1회에 한하여, 새로운 유통기한을 부여하여 전환해 주는 것이고, 포인트가 전환될 땐 가장 유효기한이 짧은 것을 전환해 주는 것이 회원에게 가장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정해진 원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쿠폰은 제출한 쿠폰 액면금액 전액을 포인트로 전환하여야 하나, 포인트는 각각 5000포인트와 10000포인트 단위로 쿠폰 전환할 수 있음은 상기했던 여러 원리로 보아 자명하다 여길 수 있을 것이다.
쿠폰 및 포인트가 상호 전환하는 예는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예와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예가 각각 차이가 있어, 먼저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예는 도 3l에서 보듯이, 회원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또는 지점(중개소)으로 방문하는 단계와;(s1) 회원이 쿠폰으로 전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지점관리자이면 지점관리자로그인하는 단계와;(s2) 회원이면 단말기에 연결된 프린터를 판독하고, 지점관리자는 쿠폰으로 전환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s3) 회원이면 본인인증 서명을 받고, 지점관리자면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s4) 서버에서 회원데이타페이지와 신청서를 출력하는 단계와;(s5) 데이터페이지를 참조하여 쿠폰발행금액을 선택하는 단계와;(s6) 서버에서 쿠폰을 생성;(s7)하고 포인트를 감산하는 단계와;(s8)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9)하고 회원 프린터 또는 지점 프린터로 발행하는 단계와;(s10) 발행된 쿠폰을 사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S11)함으로서 종료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예는, 통합할인쿠폰을 수령하는 단계와;(s1)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와;(s2)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점으로 방문하는 단계와;(s3) 지점관리자가 지점관리자로그인을 하는 단계와;(s4) 지점관리자가 포인트로 전환 메뉴를 선택;(s5) 하고, 쿠폰일련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s6) 위조확인단계와;(s7)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s8) 서버에서 포인트화되는 단계와;(s9)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s10) 쿠폰을 주관사로 송달하는 단계와;(s11) 회원이 발생된 포인트로 온,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s12)함으로서 종료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예에 있어서 회원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직접 진행할 수도 있고, 지점을 방문하여 대행을 시킬 수도 있다. 다만,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예는 반드시 지점을 통하여서 한다는 점은 바로 쿠폰 회수필요성 때문임을 이미 짐작하고 남음이 있을 것이다.
상기 s2단계에서의 프린터판독은 도 3k의 s6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40-2)에 연결된 프린터(50-1)가 위조방지솔루션(400-c)에서 지원하지 않는 프린터라면 회원은 접속을 종료하고 지점에서 쿠폰으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s4단계에서의 공인 인증서가 요구되는 이유는 쿠폰은 소지자에게 혜택이 부여되기 때문에 타인의 비밀번호를 도용하여 포인트를 쿠폰으로 발행받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s4단계 이후는 공인인증서가 발급된 회원에 한해서 진행이 가능하므로, 이때 서버는 회원의 단말기(40-2)를 검색후 공인인증서를 소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진행하며, 공인인증서가 발급되지 않은 회원에 대하여 공인 인증서를 발급한 후 진행한다.
그러나 지점에서는 전용망 또는 VPN으로 연결된 지점단말기(40)에서의 지점관리자 로그인을 통해 직접 서버에 등록된 해당지점프린터(50)로 쿠폰이 전송되므로 인증과정은 생략되고 쿠폰전환메뉴를 선택후 회원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의 회원정보 입력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 정도이다.
회원이 직접 홈페이지에서 진행하는 경우이면 이미 회원정보가 확인되어 있으므로 재차 회원정보 입력과정은 필요없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회원의 포인트정보를 불러와 접속된 단말기로 출력, 제공하여 신청을 받게 되는데 이는 쿠폰으로 전환 가능한 해당 회원의 포인트를 상세히 안내하고 신청도 가능한 웹상의 페이지로서 그 예는 도 3n과 같다.
도 3n을 보면, 상단에는 총 포인트 점수와 전환가능점수가 기재되어 있고, 좌측에는 우선순위가 있으며, 순위별로 가맹점에 따른 포인트제공액수, 제공날짜와 유효기간, 전환가능여부, 전환 불가능 사유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이를 보고 회원은 자기가 신청할 수 있는 한도금액을 알 수 있고 하단의 신청 페이지에 원하는 금액에 대한 매수를 기재하고 확인을 클릭함으로써 신청이 완료된다. 이때, 회원은 5000원 권과 10000원 권으로만 신청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회원이 상기와 같이 확인을 클릭하여 서버에 반환하면 서버는 이 신청서에따라 우선순위에 따라 회원이 신청한 금액을 포함하는 해당 순위까지 선택하여 결과물을 보여주게 되는데 그 예도가 도 3n-2이다.
상기 도 3n-2에서 이때 회원이 수정을 클릭하면 도 3n-1 페이지로 반환되고 취소를 클릭하면 <취소하시겠습니까?>를 출력하여 확인을 선택하면 종료되어 홈페이지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게 되며, 취소를 클릭하면 다시 도 3n-2로 반환되어 대기하게 된다.
상기에서 확인을 클릭하면 도 3k의 s8단계에서와 같은 절차에 따라 쿠폰으로 생성후 회원의 프린터로 전송, 인쇄하며, 회원의 계좌에서 전환된 포인트만큼 감산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지점에서 지점관리자가 대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s7단계에서의 쿠폰 생성은 도 3a의 s5단계의 예에 따라 쿠폰이 발행된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또한, 상기 도 3n-2에서 선택된 가맹점의 포인트는 쿠폰으로 전환되었음이 가맹점별 자료로 저장되고, 도 3o의 표2에 기재되어 있던 해당 포인트 관련사항이 표1로 옮겨지고, 관리되기 시작하며, 표에는 없지만 비고란에 '전환된 쿠폰'이라고 기재되어 외부적으로도 알 수 있게 표기되어지며 그 기본적인 기록들은 표2의 쿠폰전환 부분에 기록되어지고 이 부분을 클릭했을 경우 표1로 이동, 해당 전환된 쿠폰에 관한 사항이 표1 양식에 의거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3n-1과 도 3n-2의 F가맹점처럼 포인트여분이 남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의 경우 A, D, E가맹점은 해당 포인트가 전량 쿠폰으로 전환되었으므로 새로운 전환쿠폰에 부여된 유효기간내에 회원이 쿠폰을 사용하면 해당 포인트를 전량 사용한 것과 같은 의미가 되고, F가맹점은 2200포인트만 사용한 것으로 정산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F가맹점의 2200점은 쿠폰으로 전환된 날 쿠폰을 발행한 것으로 하여 표1로 옮겨지고, 비고란에 전환된 쿠폰이라 기재되며, 이는 쿠폰에 준하여 관리되게 되나, 여분 800점은 표2 쿠폰전환부분의 잔여포인트란에 기록되어져 포인트로 계속 관리되게 된다. 따라서, 회원이 어느 한 쪽을 유효기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않았다면 사용하지 않은 쪽의 금액을 환급해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 발행하는데 있어서 수수료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도 3k, 온라인 쿠폰겸용가맹점에서의 예에서와 달리, 이때의 수수료는 회원이 부담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소정의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이유는 쿠폰을 최초 발행할 시는 가맹점에서 부담하였지만, 회원의 필요에 의해 쿠폰으로 전환 발행한다면 이는 회원이 그 발행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 3o의 표2상의 쿠폰으로 전환부분 양식에 있는 전환수수료란는 이러한 목적에서 활용되고 여기에 기재된 액수는 회원의 포인트계좌에서 인출, 최종적으로는 회원의 전환 최우선순위에 있는 소정의 포인트를 수수료로 차감하고, 해당 가맹점 보관금에서 인출된 금액을 말하게 된다. 이는 그 수수료만큼 회원이 사용, 회수된 것이라 간주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3n 및 도 3n-1의 H가맹점의 포인트는 이러한 사유로서 비고란에 기재된 것이다.
이는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여서 즉, 쿠폰을 포인트로전환하는 것은 큰 비용이 들진 않는 것이나, 반드시 대행을 요한다는 점에서, 포인트전환시 소정의 대행비 형태로 일정 포인트를 차감, 계좌에 지급하며, 수수료는 상기와 같이 표1의 포인트로의 전환부분 전환수수료란에 기재되고, 해당 쿠폰발행 가맹점 보관금에서 인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는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또한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는 이와 달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되도록 구축되어 있다.
다음은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예로서,
쿠폰을 포인트로 전환하는 업무는, 쿠폰 회수 목적상, 지점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소비자는 사전에 홈페이지에 접속, 회원가입을 선행하여야 한다.
회원이 전환을 원하는 쿠폰을 소지하고 지점으로 방문, 전환신청하면, 지점관리자는 상기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하는 예와 같이 지점관리자 로그인 후, 포인트로의 전환 메뉴를 선택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쿠폰일련번호를 입력하고 서버로 반환한다.
이때, 서버는 반환된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발행된 쿠폰이면 도 3a-2와 같은 해당쿠폰 정보를 보여주고, 소액권이면 확인을 기다리고, 고액권이면 바코드판독기로 스캔하라 지시하고 대기한다.
회원이 전환하려는 쿠폰이 소액권이면 지점관리자는 서버가 출력한 정보에 따라 쿠폰을 육안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확인을 클릭하고 이에 서버는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출력한다. 이때의 창은 회원의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입력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지점관리자가 회원이 제시하는 주민증록증 등을 참조하여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입력을 하면, 서버는 이미 전환대상 쿠폰에 대한 상세 정보를 다 관리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해 입력된 회원의 계좌에 소정의 수수료를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포인트로 전환하여 자동적립한 뒤, 저장하고, 결과를 도 3o 표 1 및 2상에 출력함으로서 전환이 완료되게 된다. 이후 지점관리자는 쿠폰을 주관사로 송달하고, 회원이 계좌에 적립된 포인트를 온, 오프라인가맹점에서 사용함으로서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또한, 회원이 전환하려는 쿠폰이 고액권이면 지점관리자는 구비된 바코드판독기(60)를 통해 스캔하고, 서버에선 해당 쿠폰 정보를 판독하여 정상쿠폰으로 판명되면 상기와 같은 간략회원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출력한다. 이 후의 과정은 동일하다.
상기의 경우 도 3o의 표2상에는 해당 쿠폰발행 가맹점이 상기 전환날짜에 전환 수수료만큼 빠진 금액을 포인트로 발행한 것으로 기재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전환된 포인트를 만약 회원이 사용하지 못하고 낙전이 되었을 경우에도, 회원은 이미 쿠폰을 제공받은 금액중, 수수료만큼은 사용하였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낙전 환급시에도 가맹점에 포인트로 전환된 부분만큼만 환급해 주게 된다.
포인트를 쿠폰으로 전환할 때와는 달리 상기 예가 이러한 형태를 보일 수 있는 이유는 쿠폰에 제공가맹점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는 점과, 쿠폰 액면금액 전액이 포인트로 전환된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비해 포인트는, 정보가 서버내에 있고,가맹점마다 각각 포인트 점수 제한 없이 고객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지점관리자나 회원이나 반드시 서버내에서 포인트정보를 참조하여 전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합해서 보자면, 본 발명은 우선 거의 인쇄에만 의존해온 오프라인상의 기존 단순 개별할인쿠폰을, 기존처럼 업체별 특성에 알맞은 쿠폰을 스스로 선택 발행할 수도 있고, 일반 쿠폰과 다름없이 간편하게 유통될 수 있으며, 원격발행으로 배송시간까지 절약되고, 각종 위조방지장치까지 갖추어 위조까지 불가능한 쿠폰으로 하여 온라인에서 저렴하게 발행함으로써, 1차로 모든 영세사업자 개별할인쿠폰을 통합하고, 2차로 기존 온, 오프라인 중대형업체들의 개별 적립포인트들과도 합쳐 상호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하고, 부가적으로 기존 간과했던 미지급 또는 미회수된 쿠폰 및 포인트들까지 추적, 환급해 줄 수 있게도 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오프라인 할인쿠폰의 경우, 별도 시스템을 통과하지 않는 기존 그대로의 저렴하고 간편한 유통방법으로 통합되어질 수 있고, 온, 오프라인의 적립포인트들도 기존 그대로의 형태로 통합되어지면서 상호전환 사용까지 가능하며, 미회수 쿠폰 및 포인트 환급으로 기존 실질 할인율 그대로가 통합으로 연결될 수 있어, 명실공히 모든 할인마케팅수단들 기존 형태 그대로가 고스란히 통합되는 결과, 이에 어떠한 업종, 업체라도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리성과 환금성, 마케팅효과성까지 최대한까지 증대되므로, 결과적으론 가맹점 판촉효과는 최대한으로 발휘되고 소비자 경제적 이익도 최대한 커지게 되는 가맹점, 소비자 모두가 획기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2. 가맹점가입
도 2a는 가맹점가입관리모듈(s200)의 가맹점가입흐름도로서, 서버(10)에는 개별가맹점들을 위해 상기 쿠폰 및 포인트발행과 회수 정산에 관련된 모든 개별자료와, 하기하는 광고진행시 발생되는 모든 자료들까지 한 곳에 모아 쉽게 확인하고 수정도 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페이지를 웹사이트상에 제공하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필요시 이를 통해 직접 해당 시스템과 연결될 수도 있게 하는, 주관사와 가맹점간, 인터넷상의 유용한 의사소통통로로 삼게 된다.
가맹점(20)으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보듯이, 홈페이지(s100)에 접속하여 가맹점가입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s1) 가맹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s2) 목표중지역을 하나 이상 선택하는 단계와;, 이때 선택불가이면 그 사유를 선택하는 단계와;(s3) 쿠폰단독가맹점, 쿠폰겸용가맹점, 적립겸용가맹점 중 채택하고 싶은 가맹점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s4) 결재시스템(400-e)으로 연결되어 가입비를 결재하는 단계와;(s5) 오프라인광고단위를 제공하는 단계와;(s6)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s7)를 거쳐 가입 완료된다.
상기에서 서버(10)는 가맹점 업종을 크게 온라인전용가맹점과 오프라인가맹점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각종 세부업종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 해두고 있다. 이 업종분류는 일반적으로 다른 웹사이트에서의 업종분류와 같은 방식이다.
상기 s2단계에서 신청가맹점은 자신에게 해당하는 세부 업종을 찾아 선택, 입력하며, 선택된 업종분류는 각종 오프라인 홍보매체내 가맹점정보란에 게재되는 기준이 되게 된다.
서버에는 도 2b와 같이 전국을 각 지역별로 분할하여 테이타베이스화 해두고있는데, 이는 오프라인광고를 위해서이다. 최종 소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최소단위 지역은 하나의 보여주기 위한 목록일 뿐, 데이터베이스적으로 의미를 지니지는 않는다.
상기 s3단계에서의 목표중지역이란 가맹점별로 주관사에서 기본제공되는 오프라인홍보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중지역을 말하며, 이는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개가 선택될 수도 있으나, 1개는 기본으로 주어지고, 2개 이상은 일반 기본가입비 외에 추가 선택 중지역 개수에 따라 소정의 가입비가 추가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또한 상기 s4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서도 각각에 대한 소정의 가입비(시스템 사용료)가 추가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이 세 가지를 합친 총가입비가 상기 s7단계에서의 결재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2단계에서의 신청점 정보입력시 홈페이지주소를 물어보게 되어 있는데 홈페이지 주소를 기재한 신청점에 대하여는 상기 s4단계에서 홈페이지에 쿠폰발행기능과 포인트적립기능을 추가할지 물어, 승낙한 신청점에 대하여는 쿠폰단독가맹점과 쿠폰겸용가맹점, 적립겸용가맹점과 쿠폰겸용가맹점 두 가지 모두도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선택한 각각의 소정 금액이 또한 더해져 결재에 반영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검색도 가능하게 하여 차후 웹관리자 또는 클라이언트시스템솔루션(400-b) 담당자에 의한 현장방문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s3단계의 절차는 도 2c와 같은 절차로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청점이 3단계로 진행하여 왔을 때, 서버는 ①의 형식으로 된 시도지역 선택창을 웹페이지에 출력하게 되며, 신청점이 시도지역을 클릭하면 ②와 같이 창이 확대되어 전국 시도 지역구분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맨 하단에는 선택불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선택불가부분은 신청점 업종특성상 온라인전용 업체이거나 관광지 등, 배후주택 지역이 없는 업체가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신청점이 선택불가를 선택했을 경우 서버는 상기와 같은 2가지 사유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고, 이를 저장하고, 검색기능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웹관리자에 의한 추후확인후 정당한 가맹점이면 s6단계에서 말하는 광고단위를 추가제공하기 위해서이다.
①항에서 ③항까지 동일한 선택단계를 거치면 ④의 창에서는 신청점은 자기가 타겟으로 하는 소지역이 포함된 중지역을 이리저리 찾아보고 선택할 수 있고, 타겟지역으로 삼는 지역을 찾아 ⑤와 같이 선택을 클릭하면, 서버는 ⑥, ⑦이 합쳐진 메시지창을 웹상에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⑦확인을 하면 서버는 ⑧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⑨와 같이 목표중지역을 추가하지 물어봐 ⑩확인을 클릭하면 ⑪①로 다시 돌아가 같은 과정을 거치고, 취소를 클릭하면 등록을 종료한다.
s6단계에서의 광고단위라 함은 오프라인홍보에 사용되는 계량개념으로서, 오프라인 홍보책자 1만부(1개 소지역)*전면광고를 1단위로 하여 광고면 크기와 발행부수를 서로 연계시켜, 가맹점별로 다양한 오프라인홍보 행태에 대해 계량하고 비용정산을 할 수 있게 하는 온라인적 개념이다. 이는 서버에서 자동 부여되지만, 웹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도 제공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게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맹점에겐 오프라인홍보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s3단계에서 동일한 중지역을 선택한 가맹점들을 소비자에게 업종별로 분류,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업종별 전화번호부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며, 개별광고는, 이 전화번호부에 상기에서 제공되는 광고단위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가맹점으로 가입 결정되면 서버는 s6단계에서 소정의 기본광고단위를 지급하고, 주관사에서 제작하는 각종 오프라인홍보책자에 광고를 게재할 때 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별광고도 실시할 수 있게 하고, 기본제공단위 소진시부터는 소정의 결재기준에 의한 충전후 개별광고를 재개하게 되는 방법인 것이다.
주관사는 홈페이지상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광고크기별 소요광고단위를 게시해 두고 있으며, 위치 지정광고 등, 특별한 경우, 그 예외 규정도 두어 가맹점 가입시 참고로 삼게 하고 있다.
상기 단계에서 제공되는 광고단위는 원하는 전국 어느 지역에서라도 사용가능하다.
이 광고단위에 대해서는 오프라인 광고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재개된다.
3. 오프라인광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20)의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s300-1)에 의한 오프라인광고발주 흐름도로서, 가맹점(20)으로서 오프라인광고를 원하는 가맹점은
홈페이지(s100)에 접속하여 가맹점 로그인을 하는 단계와;(s1) 가명점이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s300-1)에 접속하는 단계와;(s2) 가맹점이 사용가능한 광고잔량단위를 보여주는 단계와;(s3) 광고게재를 원하는 중지역 및 소지역들을 각각 선택하는 단계와;(s4) 광고위치를 지정할지 비지정할지 선택하고 위치지정광고이면 s6단계로 진행하고 위치비지정광고이면 s10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s5) 위치지정광고이면 가맹점이 선택 가능한 위치지정광고 샘플들을 보여 주는 단계와;(s6) 위치지정광고이면 광고샘플과 소요되는 각각의 광고단위를 보고 원하는 광고를 가맹점이 선택하는 단계와;(s7) 위치지정광고이면 선택한 광고와 원하는 소지역선택 수에 따른 광고잔량단위 초과 여부를 재확인하고, 결재시스템(400-e)으로 연결되어 초과된 단위 이상의 금액을 결재 후 충전한 뒤, 광고단위가 정산되는 단계와;(s8) 위치지정광고이면 해당 위치 디자인으로서 사전에 정해진 디자인중 원하는 디자인을 가맹점이 선택 후 s17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s9) 위치비지정광고이면 사전에 작성된 위치비지정광고 샘플시안을 보여주고 각각의 광고 크기 및 소요되는 각각의 광고단위를 보고 원하는 크기를 가맹점이 선택하는 단계와;(s10) 가맹점이 선택한 크기의 광고와 원하는 소지역선택 수에 따른 광고잔량단위 초과 여부를 재확인하고, 결재시스템(400-e)으로 연결되어 초과된 단위 이상의 금액을 결재하고 단위충전 및 광고단위가 정산되는 단계와;(s11) 기존 오프라인광고 발주 전력이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와;(s12) 최초광고이면 선택한 크기에 맞는 디자인을 보여주고 원하는 디자인을 가맹점이 선택한 뒤 s17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s13) 최초광고는 아니나 기존 광고 중에는 같은 크기를 발주했던 전력이 없으면 또한 s13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s14) 가맹점이 선택한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과거 이미지가 있으면 호출하는 단계와;(s15) 기존광고 그대로 할지, 수정할지 선택하고 수정이면 s13단계로 진행하고 수정이 없으면 s24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s16) 위치지정광고와 위치비지정광고에 맞추어 선택한 디자인에 따른 원고형 인터페이스와 사진이미지 등을 제공하는 단계와;(s17) 제공된 이미지 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주어진 인터페이스에 따라 광고원고를 작성하며, 가맹점 고유 이미지 선택시 파일첨부하여 저장하는 단계와;(s18) 웹관리자가 발주사항을 검토한 뒤 인쇄편집관리시스템(s600)에서의 편집디자인 작업으로 시안을 작성후 pdf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s19) 변환한 pdf파일을 서버로 이송,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웹상의 가맹점개별페이지와 링크시키는 단계와;(s20) 웹관리자가 시안이 완료되었음과 수정만료일을 문자서비스로 가맹점에 통보하는 단계와;(s21) 가맹점이 접속후 웹상의 개별 페이지에서 작성된 시안을 확인하는 단계와:(s22) 가맹점이 수정을 원하면 s17단계로 feed back되고, 수정이 없으면 s24단계로 진행되는 단계와;(s23) 인쇄편집관리시스템(s600)에서의 편집디자인 작업으로 위치지정광고이면 가맹점이 선택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위치비지정광고이면 웹관리자가 임의의 위치에 입력시키는 단계와;(s24) pdf파일로 변환후 서버로 저장하고 게시하는 단계와;(s25) 게시된 광고안 web form에 대한 가맹점 최종확인;(s26)을 거쳐 광고발주가 완료되는 단계;(s26)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가맹점은 웹상에서 pdf파일을 보기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먼저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맹점은 소지역별로 광고크기가 다르거나, 또는 위치지정광고와 비지정광고 선택을 달리 했을 경우 해당 소지역별로 각각 별도 발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계들에 앞서 도 4a-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웹관리자는 서버에 도 4h, 도 4i 예와 같은, 사전에 그 구성에 관한 기획안에 의거 시안 작업을 하고, 이 시안에 의거 도 4b와 도 4c와 같이 세부적으로 각종 정보 및 안내페이지의 디자인과 text, 배경디자인, 광고페이지에 삽입될 광고들의 크기들을 확정하고 배치하며, 이에 따라 각 광고면이 들어갈 곳에는 각각 그 크기에 맞는 공란 광고table들을 할당하고, 공란 외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디자인과 text를 작성, 각 페이지들을 각 소지역별로 분류, 서버에 저장해둔 뒤, 도 4h, 도 4i 샘플들을 pdf파일로 변환 저장, 이 각각을 상기 21단계에서의 예와 같이 web상의 form(이때의 책자폼이란 하나의 웹상의 책자형식 자체를 보이는 예가 아니라 페이지별로 샘플형태로 보여주는 것으로도 족하다)형태로서 가맹점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하며, 이를 하나의 샘플파일로 관리, 저장한다.
또한 광고 table 각 크기마다 샘플 시안을 마련하고, 각각마다 소요광고단위를 확정하여 게시하여 가맹점이 선택 가능케 하고, 가맹점이 광고발주단계에서부터 대략의 광고형태를 짐작할 수 있게 하며, 원고 작성시 부여되는 가맹점용 인터페이스도 각각의 디자인에 따라 달리 제공하도록 사전에 정해져 있다.
또한, 각각의 광고table 크기마다 각 크기에 어울리는 기초디자인을 몇 가지씩 정해 원고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참조가 가능하도록 하고도 있다.
그리고 위치지정광고와 비지정광고에 있어서, 도 12와 같이 대면빈도가 높은 가령, 표지면의 소정 위치, 표지 뒷면, 각종 목차페이지 등의 요소자리에 설치된 광고면은 위치지정광고로서 별도코드를 부여하고, 별도 기준 단위가 소요되도록 하며, 가맹점 선택시 pdf파일로 되어 있는 위치지정광고 table이 탑재되어 있는 시안들을 샘플로 보여주고, 샘플별로 소요되는 광고단위도 함께 보여주어 그 중에서 원하는 샘플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게 하며, 기타는 위치비지정광고(run of paper)로서, 이에 대해서는 주관사 편집디자이너가 시안작업시 정한 소정의 배열원칙에 따라 임의의 광고table에 직접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 후 가맹점이 발주를 위해 접속하면, 샘플파일을 보고 대강의 모양과 디자인을 생각하여 원하는 광고크기를 선택하고, 그 크기의 디자인중 하나를 골라 도 와 같은 소정의 인터페이스에 광고원고를 작성하듯이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하면, 웹관리자가 관리자 모드로 접속, 확인하고 이를 편집디자이너로 넘기게 된다. 발주된 광고 원고에 의해 디자이너가 수작업 편집한 뒤, 이를 우선 편집 컴퓨터내에 저장한 후, 이를 pdf파일로 변환하여 서버내 해당 가맹점 개별공간으로 이송 후 가맹점에 통보한다. 가맹점이 개별가맹점공간으로 들어와 확인한 뒤 수정사항이 없으면 확인을 클릭하고, 이에 확인된 pdf파일은 웹관리자로부터 편집디자이너 손으로 넘어와 편집디자이너는 해당 pdf파일에 해당하는 편집컴퓨터내 저장된 디자인파일을 찾아(또는 그 pdf파일을 변환하여) 위치지정광고는 web form에서 가맹점이 지정한 해당 위치에, 비지정광고는 배열원칙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이제는 해당광고가 포함된 전체페이지를 pdf파일로 변환 후 서버내 web form파일 저장 공간으로 이송, 가맹점의 최종확인에 대비한다. 또한 수정을 원하여 수정을 클릭하면, 다시 오프라인광고발주시스템으로 이동, 해당 광고시안과 그에 관계된 원고내용이 함께 보여지면서 한켠에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를 작성 후 확인을 클릭하면 서버내에 저장되고 이후 웹관리자로부터 편집디자이너까지의 작업과정은 전과 같다. 이렇게 하나하나의 광고들이 접수됨에 따라 동일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웹form상의 공란광고 table들이 사라져 감에 따라 web form도 완성되어, 전체 광고책자 내용 역시 사전에 가맹점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계 단계에서의 모든 발주내용과 그에 의한 편집디자인들은 최종안이 나오기 전까지 모두 서버내에 저장되고, 최종안이 확정되어 책자로 발행되고 실수의 유무와 그 책임소재가 판별되는 일정 기간이 흐른 후 최종안을 제외한 나머지는 삭제, 남겨진 최종 안은 해당 가맹점의 다음번 발주를 위한 자료 및 검색에 대비된다.
이러한 web form들은 각 소지역별로 별도로 관리되므로, 가맹점이 동일한 안을 여러 소지역에 발주하거나, 소지역마다 광고크기를 달리 발주하거나, 소지역별로 위치지정광고와 비지정광고 선택을 다양화함에 관계없이 편집디자이너에 의해 각 소지역별로 해당 발주에 맞추어 작업을 하고 각 소지역별 웹form 속에 위치시킴으로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편집디자이너가 사용하는 편집컴퓨터상의 디자인form을 pdf 파일로 변환하므로 항상 web form과 편집컴퓨터의 form은 동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web form의 존재가 있으므로 가맹점은 책자가 이루어져 나가는 진행과정과 최종적인 책자의 형태를 사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혹시나 있을지 모를 최종적 오류까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pdf파일 자체가 벡터이미지로서 pdf reader 프로그램 자체에서 확대 축소기능을 제공하므로 가맹점은 원하는 이미지를 깨지거나, 흔들림 없이 볼 수 있는 이점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web form을 완성시켜 나가다 발주가 완전히 끝나고도 남는 공란이 있는 경우 편집디자이너가 그 부분을 정보페이지 또는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채워 전체 form을 완성시킨다.
이렇게 완성된 각 페이지 페이지를 통하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자 형태가 온전히 이루어지며, 발행일정에 따라 분판출력 후 인쇄에 넘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15단계에서의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예로는 마크, 상호 로고, 사진이미지, 전화번호, 내용(메뉴, 혹은 서비스내용 문안), 할인쿠폰(적립포인트)지급기준, 바코드판독기설치여부, 특기사항, 작업시 담당자에 대한 요망사항 등등을 들 수 있으나 광고table 크기에 따라, 그리고 디자인에 따라 변동이 될 수 있다.
기타 인터페이스(interface)에의 입력내용을 워드 치듯 하게하고, 메뉴와 메뉴에 따른 물품의 사진이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서버(10)에서 지정된 개수 한도 내에서 이미지를 선택, 광고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이때, 온라인기본형광고와 달리 이미지 중복방지와 광고의 차별성을 기하기 위해 동일 중지역에서의 발주시 한 가맹점이 이미 선택한 이미지는 다른 가맹점의 발주 때 선택불가 되게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공되는 이미지 외, 가맹점만의 독특한 고유이미지 삽입을 원할 경우 파일을 첨부하게 하거나, 인터넷상에 있으면 관련 웹사이트 주소입력 후 사진지정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아니면 사진을 주관사로 소정의 기일 안에 송부함으로써 발주가 완료되게 됨은 온라인 기본정보형 광고의 예와 같다. 또한, 이에서의 가맹점 인터페이스 입력도 일종의 광고원고와 같은 성격으로서 이를 기반으로 소정의 기초 디자인 기획의도 내에서 다시 전체적 구성을 기획하는 것은 주관사 편집디자인 작업팀에서 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요구사항이 있으면 가맹점은 담당자에 대한 요망사항란에 기재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 또한 온라인 광고의 예와 같다.
18단계에서 통보되는 문자메세지의 예는 '(가맹점명)님, 광고시안완료, 수정마감일(월 일), 확인요망. (주관사명)'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지역별로 오프라인 가맹점 홍보를 연간 수 회 실시하되, 매체의 종류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집행될 수도 있으며, 이에 앞서 주관사는 각 매체의 발행목적과 특성에 맞추어 각 매체별 가맹점 공통홍보기준을 사전에 마련하되 소정의 공통홍보기준 그 이상의 홍보를 원하는 가맹점은 제공되는 광고단위를 사용하여 광고할 수 있게 허용함으로써 진체적으론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가령 책자의 경우 주관사는 해당 중지역을 목표중지역으로 선택한 모든 가맹점에 대해 줄광고(이 줄광고는 상기에서 설명한 일종의 주관사 정보페이지의 하나이다)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가맹점은 소지역별로 각각 자신의 홍보전략과 타겟에 맞추어, 자신의 광고단위를 이용, 스스로 광고를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맹점별 개별 홍보는 타켓 광고적 구실을 하고, 줄광고는 소비자 생활권역내의 모든 가맹점에 대한 일람표적 역할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가맹점 측면에서는 유동, 잠재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서 가령, 같은 중지역내에서 발간되는 가맹점 홍보책자도 소지역별로는 각각 다른 형태로 발간될 수 있고, 모든 지역에서 1년에 수번에 걸쳐 가맹점 홍보책자가 간행된다고 할 때, 가맹점은 각기 제공받는 소정의 광고단위를 이용, 그 기준 내에서 자신이 자신을 홍보하고 싶은 지역에 스스로의 전략에 따른 오프라인 홍보를 신축성 있게 구사할 수 있으며, 추가로 더 많은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그에 따른 홍보비용 부담을 지는 것을 골자로 한, 가맹점에는 타겟고객에 대한 광고 및 유동, 잠재고객확보의 효과까지 거둠과 동시에 고객으로서는 가맹점 정보에 대한 상세함까지 얻을 수 있게 되는, 합리적이고도 다목적 운용체계방안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주관사가 제작하는 오프라인책자의 형태, 크기에 따라 광고 크기도 달라질 수 있고, 디자인도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광고단위도 변경될 수 있다. 서버에는 이렇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책자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새로운 파일 경로를 부여하여, 기존 책자 형태에서 웹페이지 상에 보여지던 샘플이미지 자리에 새로이 제작된 이미지들을 위치시킴으로써, 홈페이지상에서 가맹점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핵심은 우선 외부적으론 전국을 소지역, 중지역, 대지역, 광역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코드화 시킴과, 기본적으론 중지역별로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홍보서비스는 소지역별로까지 세분화하여 제공한다는 홍보전략제공원칙 설정, 그리고 모든 가맹점 홍보행태에 대한 계량화를 가능하게 한 이른바 '광고단위'란 개념을 개발하였다는 것이고, 내부적으로 웹상에서의 발주와 교정방법등에 있어서, 원고형 인터페이스개념, 위치지정광고개념, 광고table개념, web form을 통한 web book 완성개념 등을 통해 웹상에서 책자가 형성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개발하였다는 것으로, 이 모두를 합쳐 가맹점 오프라인 홍보전략 제공방안에 접목시킴으로써, 결국 각기 가맹점마다 서로 다른 홍보전략과 가맹점별 서로 다른, 때로는 수시로 변하기조차 하는 타겟 구역 등 통상의 오프라인광고관행까지 모두 수용 가능하게 하고, 인쇄 전 단계까지의 모든 과정이 온라인상에서, 앞에서 말한 영업사원 혹은 지점의 존재가 필요없이 가맹점과 주관사의 기획실 간에 직접 이루어짐으로써, 실수의 가능성도 줄고, 진행과정 단계별로 자료가 저장되어 책임소재의 명확성까지 기할 수 있으며, 인건비와 경비의 절약으로 영세사업자의 비용부담까지 아울러 줄어들 수 있게 된 점이라 할 수 있다.
5. 문자서비스광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광고발주관리모듈(s300-2)에 의한 이벤트 등록 및 광고발주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서의 이벤트 등록은 웹사이트 내에 소정의 가맹점이벤트 코너를 개설, 의뢰된 이벤트광고는 자동 등록되게 하고, 광고 의뢰는 하지 않고 웹사이트내 단순 등록만을 원하는 이벤트 역시 광고의 예와 같은 이벤트판정을 거치는 등록요건을 갖춤으로써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소비자 대상으로 부수적 홍보효과를 얻도록 한 외, 이 역시 도 5b과 같이 소비자가 접속하면 서버 내의 가맹점이벤트 경로파일 중 우선 광고의뢰가 된 파일들을 불러와 웹사이트에 시현시키고 로그인후에는 소비자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가맹점이벤트 경로파일을 불러와 해당 지역내의 이벤트광고파일과 단순이벤트 등록파일을함께 시현시킴으로서 타겟광고까지 가능한 이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상의 또 다른 광고형태로 기능한다. 이에 따른 발주 및 등록절차는,
1 단계로 주관사 웹사이트(s100)에 접속, 가맹점로그인을 하는 단계와;
2 단계로 이벤트광고발주관리모듈(s300-2)로 접속하는 단계와;
3 단계는 광고와 웹사이트내 단순 등록을 선택하는 단계와;
4 단계는 이벤트 내용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가격이벤트와 상품제공형이벤트, 혼합형이벤트를 선택하는 단계와;
5 단계는 선택한 이벤트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6 단계는 소정의 이벤트 판정 기준에 의해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7 단계는 인터페이스입력에 따른 전송문안 예와 등록문안 예를 보여주며 확인하는 단계와;
8 단계는 광고의 경우 80byte 이하인지 이상인지 판정하는 단계와, 80byte이상이면 릴레이 전송과 추가결재가 필요하다고 안내하고 수정을 물어보는 단계와; 수정을 요구하면 5단계로 feed back 되는 단계와;
9 단계는 광고할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등록의뢰의 경우는 등록할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거쳐 17단계로 이송되는 단계와;
10단계에서는 원하는 광고지역과 광고회원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11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신청한 광고지역에서의 이벤트광고수신 가능한 회원수를 검색하는 단계와;
회원 수가 부족하면 추가 선택을 권유하는 단계와;
12단계에서는 회원 수가 부족할 경우 광고지역을 추가하는 단계와;
13 단계에서는 선택한 지역내 거주하는 정회원(30) 중 휴대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휴대전화문자서비스가 가능한 회원(30)수 및 휴대전화가 없어 단문메일로만 문자서비스가 가능한 회원(30)수를 각각 통보하는 단계와;
14 단계로 통보된 범위내에서 각각의 방법으로 광고할 회원(30)수를 각각 선택하는 단계와;
15 단계로 선택한 회원(30)수에 각각의 광고단가를 곱한 금액을 결재하는 단계와;
16 단계로 가맹점이 선택한 각각의 회원(30)수에 맞는 정회원(30)을 소트(sort)하는 단계와;
17 단계로 소트(sort)된 정회원(30)의 휴대전화와 메일주소로 문자서비스메일을 발송하는 단계와;
18 단계로 서버(10)내의 가맹점 기본자료에 접수일자, 광고내용, 광고회원 수, 결재금액, 수행결과를 저장하고,
19 단계로 광고 수행결과를 가맹점에 문자서비스로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 ;로 광고수행을 종료하고,
20 단계로 지역코드에 따른 경로파일을 지정하는 단계와;
21 단계로 경로파일을 서버에 저장하고, 웹사이트(s100)에 이벤트등록을 하는 단계;로 웹사이트 등록과정 역시 완료된다.
상기 5단계에서 타 가맹점에 의한 음해성 또는 영업방해성 광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맹점명 인터페이스는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로그인된 가맹점정보를 활용하고 아래와 같은 ( )에 입력을 요구하는 인터페이스를 각 이벤트마다 제공한다.
가격할인형 interface의 예
전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전품목 ( ⓒ )% 할인, ( ⓓ )한정, 문의( ⓔ전화)
일부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 (ⓒ메뉴명), 기존 ( ⓓ금액 )원에서 ( ⓔ금액 )원으로 할인, ( ⓕ )한정, 문의( ⓖ전화 )
상품제공형 interface의 예
전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 구매시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
일부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 (ⓒ메뉴명) 구매시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
혼합형 interface의 예
전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 구매시 ( ⓒ )% 할인하고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
일부품목 행사시 : ( ⓐ )기념, ( ⓑ기간 ), (ⓒ메뉴명)구매시 기존( ⓒ금액 )원에서 ( ⓔ금액 )원으로 할인, (ⓕ제공상품명) 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
상기에서의 이벤트판정 기준은 가격이벤트 중,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접수불가,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을 땐 접수불가, ⓓ와 ⓔ를 비교하여, 같거나 ⓓ가 작아도 접수 불가로 판정하고, 상품제공형이벤트는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접수불가,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을 때 접수불가, 혼합형 인터페이스는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무조건 접수불가, ⓒ와 ⓔ는 둘 다 미기재시 접수불가, 둘 중 하나라도 기재되면 접수가능,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무조건 접수불가, ⓓ와ⓔ, 둘 다 기재되지 않으면서 ⓕ인터페이스가 채워졌을 땐 접수가능, ⓓ나 ⓔ 둘 중 하나가 채워지고 ⓕ인터페이스가 채워졌을 땐 접수불가, ⓓ와 ⓔ, 둘 다 기재되고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았을 경우는 ⓓ와 ⓔ를 비교하여 ⓓ와 ⓔ가 같거나 ⓔ보다 ⓓ가 작을 경우 접수불가로 판정한다.
상기 5단계에서 가격이벤트시 정회원(30)에게 발송되는 문자메세지의 예는 '(가맹점명), ( )기념 (이벤트기간) (메뉴명) (얼마)에서 (얼마)로 할인판매, ( )한, 문의(가맹점전화번호)'로 표현되고,
상품제공형이벤트시는 '(가맹점명), ( )기념 (이벤트기간), (메뉴명)구매시 (사은품명)증정, ( )한, 문의(가맹점전화번호)'로 되며,
혼합형 인터페이스는 '(가맹점명), ( )기념 (이벤트기간) (메뉴명) (얼마)에서 (얼마)로 할인판매하고 (제공상품명)증정, ( )한, 문의(전화번호) 등으로 표현된다.
또한 상기 16 단계에서 문자메세지 내용의 예는 '(가맹점명)님께서 (접수일자)에 접수하신 이벤트광고는 요청하신대로 처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관사명)'으로 한다.
한편, 인터페이스에서의 가격 비교시 기존 메뉴 가격을 아예 틀리게 적으면 어떻게 하는가의 의구심이 생길 수 있으나, 광고가 발송되는 대상이 바로 지역주민이면서 본 발명에 충성도까지 높은 이른바 정회원이므로 실제로 그렇게 할 가맹점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설령 그렇게 하여도 회원에 의해 먼저 주관사로 항의성신고가 집중될 것이 분명하여 사실상 무시해도 좋은 면으로 생각된다.
아래는 가맹점(20)이 본 발명에서의 이벤트광고를 활용하는 예이다.
가맹점(20)B는 치킨점을 경영하고 있는데 금일은 휴일이고 하여 장사가 잘 될 것으로 믿고 닭을 많이 확보해 두었다. 그런데 생각보단 장사가 덜 되어 저녁쯤 되니 닭이 아무래도 20마리쯤은 남게 생겼다. 과거라면 냉장고에 보관해서 내일 또 팔았겠지만, 음식이라 신선도가 떨어질 우려도 있고 더구나 내일은 평일이어서 장사까지 덜 되는 날이다. 그래서 주관사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광고지역을 선택하고, 저녁8시부터 10시까지(이벤트 기간) 20마리 한정(제한사항)으로 기존 10000원(기존 가격)에 파는 치킨을 8000원(할인가격)에 판다고, 회원 100명(광고인원수)에게만 광고해 달라고 의뢰하고, 광고비용으로 100명에 해당되는 소정의 저렴한 금액(2~3000원 정도)만 결재한다. 그러면 즉시 선택한 지역 회원 100명에게로 문자메세지로 그 정보가 발송되고, 이에 소비자는 보다 저렴한 치킨을 먹게 되면서 가맹점은 늘 신선한 음식만 제공하게 되는 상호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의 문자메세지 광고는 그동안의 스팸성 광고에서 벗어나 오로지 소비자에게 유용할 만한 광고만 처음부터 발송될 수 있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상기 예처럼 기존 대형매장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이른바 '깜짝세일'에 대응하는 일반적 가격 할인행사는 물론, 기타 각종 기념행사나 사은품 증정행사 등 특별이벤트까지 모두 구현 가능하므로, 영세사업자들이 기존 겪던 많은 현장애로사항들이 저렴한 비용으로도 쉽게 해결될 수 있고, 덧붙여, 서버(10)에 입력된 개인신상정보에 따라 여성회원이나 남성회원만 한정하거나, 나이에 따른 어느 연령 대에만 속하는 회원에게만 광고하는 등 활용하기에 따라 광고효과를 높이는 다양한 예도 존재하는 유익한 광고유형이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종합해보면, 이렇게 통합할인마케팅과 각종 온, 오프라인광고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주관사 서버(10)는 회원(30)과 가맹점(20)이 인터넷을 통해 각각 상호이득을 취하게 하는 하나의 PFB적인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구성하는 바, 가맹점은 통합할인쿠폰 및 포인트에 의한 매출증대효과 및 이를 뒷받침해주고 극대화시키는 각종 온, 오프라인 타겟성 광고장치에 따른 광고효과 극대화, 광고비절감효과까지 누리며, 소비자는 통합할인마케팅에 따른 직접적 할인증대효과와, 온라인에서부터 오프라인에 이르는, 기존 대비 한결 체계화되고 풍부해진 특화 할인정보들까지 자연스럽게 제공받음으로써, 간접적으로도 또한 보다 향상된 경제적 이득과 편리성을 얻게 되며, 이에 주관사 역시 가맹점에게서 가맹점 가입비, 초과광고비, 통합할인쿠폰 발행 수수료, 이벤트광고비, 기타 온라인광고비 등을 제공받으므로, 결국 가맹점과 회원, 주관사, 3자 모두가 인터넷을 매개로 하여 상호 이득을 취하는, 이른바 PFB 전자상거래형태를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서술한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과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통합포인트 및 통합할인쿠폰 발행과 상호전환, 각종 온, 오프라인광고들이 모두 인터넷상에서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가맹점 마케팅효과 및 경비절감효과, 소비자 경제적 실익 증대효과가 주어지는 내부적 효과 외, 특히, 사회적 이점으로 가맹점당 연간 마케팅비로 월 10만원씩, 연간 120만원만 잡아도 연간 3조원에 달하는 신규 온라인 마케팅시장이 창출되는 효과도 있으며, 재래시장의 경우, 재래시장 상가 중 일부가 가맹점으로 가입된다 해도 결과적으론 유동인구 증가로 가맹점은 물론 전체 시장의 활성화까지 가능하여, 재래시장 현대화계획이라는 하드웨어적 활성화 방안에 이은 소프트웨어적 활성화방안도 될 수 있는 이점도 발생가능하다.
또한, 포인트와 쿠폰이 유통되는 양만큼 소비지출 확대효과와 재생산 유발효과도 있어 일종의 사회적 투자승수 효과도 발생하며, 활성화시 포인트 및 쿠폰입출현황을 통해 자영업자 실매출규모의 간접파악이 가능하므로, 소매금융기반조성에도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Claims (36)

  1. 회원사 및 가맹점은 각각의 할인쿠폰과 포인트들을 통합하고, 주관사는 통합할인쿠폰 및 포인트 발행과 정산, 가맹점에 대한 온, 오프라인상의 광고를 모두 인터넷 기반 위에서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을 통합의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
    표면에 할인금액이 표기되고, 일련번호 등으로 관리되며 위조방지인쇄가 되어 온라인상에서 발행되는 통합할인쿠폰과;
    가맹점 혹은 회원사가 발행시점에 액면발행금액 및 액면발행금액에 대한 정액(정률)의 수수료를 주관사에 납부한 후 쿠폰을 유통시키게 하고, 고객에게서 되돌아온 쿠폰(고객에 미지급된 쿠폰금액 포함)은 그 액면금액만큼 주관사에서 환급해 주는 유통형태의 통합할인쿠폰을 인터넷상에서 수주, 발행, 관리하는 방법과;
    이러한 쿠폰이 포인트와 상호전환되어 사용되는 방법과;
    쿠폰과 포인트에 유효기간을 부여하여 미도래된 포인트, 쿠폰금액을 발행가맹점에 환급하는 방법과;
    회원을 정회원과 일반소비자회원으로 나누고, 전국을 각 지역별로 분할하여 이를 기초로 소비자에게 혜택을 부여하고 가맹점에 대한 오프라인 홍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오프라인광고에서 광고면의 크기와 광고발행부수를 연동시켜 결재가 이루어지게 하는 광고단위 부여 방법 및 그 운용방법과;
    광고면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을 서버 내에 저장해 놓고, 가맹점은 정형화된 기초 디자인 틀 내에서 직접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광고를 발주하고 교정하며, 책자 제작 진행과정까지 인터넷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오프라인 광고수주 및 교정 관리 방법과;
    광고 수주 단계에서 유용한 광고를 선별, 소비자에게는 광고 자체가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면서, 가맹점에게는 실시간 광고효과 및 원하는 지역, 원하는 소비자수에의 광고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까지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소위 소비자 유인, 재고관리 등의 목적으로 주로 대형매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깜짝세일 기법을 응용한 문자서비스 선별광고 기법과;
    웹사이트내에 가맹점 이벤트코너를 개설해두고 소비자가 웹사이트에 단순 접속했을 경우에는 서버 내의 가맹점이벤트 경로파일 중 아무파일(혹은 광고의뢰가 된 파일)을 무작위로 불러와 웹사이트에 시현시키고 로그인후에는 소비자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가맹점이벤트 경고파일을 불러와 시현시킴으로서 타겟광고까지 가능한 이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상의 또 다른 광고형태로 기능하는 가맹점이벤트 정보 맞춤 제공방식;
    을 포함하며, 결재시스템과 인쇄편집관리시스템을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하고, 상기 방법에 대한 모듈들과 기타 가맹점광고발주관리모듈, 가맹점가입관리모듈, 회원가입관리모듈등을 모두 합쳐, 웹서버, 메일서버, SMS서버, DB서버가 종합적으로 합쳐진 서버시스템을 인터넷상에서 개설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의 통합할인쿠폰은
    발행에 있어서, 주문자가 웹사이트에 접속, 발행받고자 하는 쿠폰 총 액면금액과 소정의 수수료를 결재하면, 서버에서 소정의 쿠폰디자인 위에 소정의 규칙에 따른 일련번호, 유통기한, 발행가맹점명과 전화번호, 바코드 등을 부여하고, 동 쿠폰발행내역이 DB에 저장되며, 위조방지인쇄단계를 거쳐 온라인 원격 발행되는 것으로 발행과정이 종료되고,
    유통에 있어서, 고객이 가맹점에서의 구매후 약속된 통합할인쿠폰을 수령하고, 동 혹은 타 가맹점에서 재구매 후 동 할인쿠폰을 제시하면, 가맹점은 위조여부를 확인하고 액면금액만큼 할인혜택을 부여하며, 동 통합할인쿠폰을 가맹점이 주관사에 접수하면 주관사는 동 액면금액만큼 가맹점에 송금하는 단계를 거쳐 유통과정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 상기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의 통합할인쿠폰은
    종이에 인쇄되어 온라인에서 위조방지인쇄단계를 거쳐 발행되거나, 제조업체와의 별도 협약에 의해, 소정의 기준에 의한 제품포장지에 직접 인쇄되거나, 온라인업체와의 별도 협약에 의해, 주관사 서버와 연결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종이에 인쇄되는 디자인과 동일한 내지는 온라인으로 인쇄되는 특유한 디자인으로 소비자 프린터(50-1)로 직접 전송, 발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통합할인쿠폰은
    각 회원사나 가맹점 등에 설치되며, 상기 통합할인쿠폰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 위조여부를 판독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며 각 가맹점별 회수 쿠폰금액이 적산되어, 가맹점별 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맹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5. 상기 제 1항과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별도의 가맹점 코드번호가 부여된 일반 시중에서 사용되는 POS 단말기이거나 컴퓨터 본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바코드 판독기(60), 가맹점용으로 보급되는 바코드판독 전용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단말기에는 서버와 연결된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6. 상기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의 통합할인쿠폰은
    액면금액이 적혀져 있는 소정의 쿠폰디자인 위에, 발행일로부터 자동 기산, 설정되는 유통기한 및 일련번호부여, 위조방지인쇄 등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및 웹에서 확인 가능한 쿠폰위조여부 확인 데이터베이스가 함께 구축된 서버를통해 쿠폰내역이 웹에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7. 상기 1항과 2항에 있어서의 통합할인쿠폰은
    통합할인쿠폰 발행시의 가맹점별 일련번호와 회수된 쿠폰일련번호를 대조, 유통기한 종료 후에도 미회수된 가맹점별 쿠폰을 파악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8. 상기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의 통합할인쿠폰은
    온,오프라인상의 적립포인트와도 상호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9. 상기 제1항에 있어서의 적립포인트는 유효기간이 부여되어 발행받은 소비자가 유효기간내 사용하지 않으면 발행가맹점으로 환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10. 상기 1항에 있어서,
    가맹점 가입 희망자가 웹관리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개인정보기입절차를 거친 후,
    오프라인홍보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지역으로서의 목표중지역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일반가맹점으로의 가입 희망 가맹점은 서버내 db화되어 있는 일반가맹점 해당지역과 주소지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목표중지역에서의 가입가능 가맹점형태를 목표중지역마다 서버에서 확인시켜주고 가입형태(일반가맹점, 준가맹점, 정가맹점, 특별가맹점)가 중지역별로 자동 결정되는 단계와;
    정가맹점, 특별가맹점일 경우 목표중지역마다 소정의 오프라인광고용 광고단위를 제공하는 단계와;
    결재시스템로 연결되어 각각의 가입 형태에 따른 가입비를 결재하는 단계 ;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가입관리모듈을 인터넷상에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11. 상기 1항과 10항에 있어서,
    전국을 지역단위로 분할하되, 각각 소정의 세대수로 분할한 가장 작은 단위를 소지역으로 하고, 소지역 수 개를 합친 지역을 중지역으로 하며, 중지역 수 개 합친 지역을 대지역으로 하고, 대지역 수 개 합친 지역을 광역지역이라 하여 이 모두 각각에 코드를 부여, 관리하며, 가맹점 종류를 배후주택 중지역 유무에 따라 관광지 등 배후주택지역이 없는 지역에 소재한 가맹점을 일반가맹점이라 정의하고, 배후주택지역이 있는 중지역을 목표중지역 대상으로 하는 가맹점 희망자를 구분하여, 희망하는 목표중지역내에 소정의 수효이하가 존재하는 곳이 대상이면, 준가맹점이라 하고, 소정의 수효이상이 존재하는 곳이 대상이면 정가맹점 또는 특별가맹점이라 하며, 이 중 특별가맹점은 하나의 중지역내에 정가맹점 수효가 소정의 개수 이상으로 많아져 추가적 홍보 또는 별도의 마케팅서비스사 제공되는 정가맹점의 또 다른 형태라고 정의하여, 목표중지역 상황과 가맹점 수효에 의해 가맹점 가입형태가 서버내에서 자동 결정되도록 데이타베이스화된 가맹점가입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인터넷상에서 개설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1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광고책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책자에 관해 사전에 기획된 광고 기본디자인들을 웹상에서 공개함에 있어, 크기가 일정한 내지는 서로 다른 광고가 삽입될 면이 제외된 나머지 여백은 웹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디자인되어 있는 form이 웹상에 공개되어 있으며, 각 광고크기별 기본디자인이 웹관리자에 의해 수십 종 디자인되어 있어 주문자가 원하는 크기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고, form상에서 보이는 각각의 광고면에 대해 주문자가 위치를 지정 하거나 비지정할 수 있으며, 선택한 광고 크기와 위치에 따라 발행부수가 연동되어 결재가 이루어지며, 주문자에게 선택 가능한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선택한 크기 및 디자인에 따라 정해지는 원고형 인터페이스를 제공, 입력하게 하며, 웹관리자가 편집디자인 작업으로 광고시안을 완성하고 파일을 pdf파일로 변환, 웹상에서 인쇄 가능한 상태로 서버내 가맹점 개별공간에 저장하고 주문자에게 통보하면, 주문자가 의뢰했던 내용과 광고시안이보여져 주문자가 확인할 수 있고, 교정내용이 있으면 웹관리자가 작성한 광고시안을 보면서 재입력한 후 동일한 과정을 거치고, 수정사항이 없으면, 위치지정광고는 가맹점이 선택한 해당 위치에 위치시키고, 비지정광고 역시 주관사에서 임의로 결정한 광고table에 위치시켜 완성된 폼을 웹상에 올려놓고 가맹점의 최종확인이 끝남으로써 광고발주와 교정이 모두 끝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광고발주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을 인터넷상에서 개설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13. 상기 제1항과 12항에 있어서,
    웹관리자가 시안작업을 하고, 시안에 의거 샘플 web form을 작성,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주문자(가맹점)가 웹관리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샘플 web form을 보고 광고크기를 선택하고, 원하는 발행지역을 선택한 뒤, 서버로부터 각종 이미지들과 원고형 인터페이스를 전송받는 단계와;
    주문자(가맹점)가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원고형 인터페이스를 작성하고 다시 웹관리자의 서버에 전송하고, 주문 및 결재하는 단계와;
    웹관리자가 주문된 원고형 인터페이스를 보고 디자인작업하여 저장한 뒤, 이를 pdf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주문자(가맹점)에게 전화, 또는 문자메세지로 통보하고 주문자(가맹점)의 교정을 기다리는 단계와;
    주문자(가맹점)가 웹관리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기주문원고와 작업된 이미지를 보고, 새로운 원고형인터페이스에 필요사항을 작성, 교정하고, 다시 웹관리자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웹관리자가 교정원고를 보고 재디자인작업하여 저장한 뒤, 이를 pdf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주문자(가맹점)에게 전화, 또는 문자메세지로 통보하고 주문자(가맹점)의 교정 또는 확인을 기다리는 단계와;
    교정이 있으면 다시 feed back되고, 확인이 되면 웹관리자가 web form에 위치시켜 디자인작업하고, 이를 다시 pdf파일로 변환,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가맹점)가 인터넷상으로 주문한 광고안의 제작과정을 인터넷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14. 상기 제 1항과 12항. 13항에 있어서
    제작되는 web form은 웹관리자가 시안작업을 한 뒤, 작업된 시안에 의거 작성되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상기 제 1항과 12항. 13항에 있어서
    오프라인 인쇄매체를 위해 부여되는 가맹점용 인터페이스도 각각의 기초디자인에 따라 달라지게 함으로서 가맹점이 광고발주단계에서부터 대략의 광고형태를 짐작할 수 있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광고비결재는 주로 광고단위를 충전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광고단위 충전과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제공된 광고단위를 서버내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오프라인 인쇄매체에서의 광고크기에 따라 기초광고디자인을 달리 디자인하며, 디자인 종류도 몇 가지씩 정해 가맹점이 선택 가능케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서버내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오프라인 광고에서의 광고면의 크기와 디자인의 다양성, 기타 소정의 기준에 따라 모든 광고면 및 기획정보에 코드번호를 부여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광고위치를 지정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스템
  20. 상기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상기 pdf파일은 반드시 pdf파일일 필요는 없고, 주문자(가맹점)가 인터넷상으로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있는 파일형태이면 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스템
  21. 상기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광고 교정시 가맹점이 의뢰했던 내용과 주관사에서 작성된 시안이 함께 보여질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스템
  22.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주문자(가맹점)의 모든 발주내용과 그에 의한 편집디자인들은 최종안이 나오기 전까지 모두 서버내에 저장되고, 최종안이 확정되어 책자로 발행되고 실수의 유무와 그 책임소재가 판별되는 일정 기간이 흐른 후 최종안을 제외한 나머지는 삭제, 남겨진 최종안은 해당 가맹점의 다음번 발주를 위한 자료 및 검색에 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시스템.
  23. 제 1항과 12항에 있어서
    웹관리자가 주문된 광고안을 최종안이 나올 때마다 최종디자인안을 web form에 위치시켜, 이를 다시 pdf파일로 변환,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주문자(가맹점)가 수시로 전체 광고책자의 제작과정을 인터넷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광고시스템.
  2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주문자가 문자서비스 광고를 하기를 원함에 있어서,
    웹사이트내 이벤트광고발주시스템에 접속하여 광고로 할지, 웹사이트 가맹점이벤트 코너에 단순 등록을 할지 선택하는 단계와; 이벤트 내용에 있어서 가격이벤트와 상품제공형이벤트, 혼합형이벤트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이벤트에 맞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단계와; 소정의 이벤트 판정 기준에 의해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광고지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지역내 거주하는 회원 중 휴대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휴대전화문자서비스가 가능한 회원수 및 휴대전화가 없어 단문메일로만 문자서비스가 가능한 회원수를 각각 통보하는 단계와; 통보된 범위내에서 광고될 회원수를 각각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회원수에 각각의 광고단가를 곱한 금액을 결재하는 단계와; 가맹점이 선택한 각각의 회원수에 맞는 회원을 소트(sort)하는 단계와; 소트(sort)된 회원의 휴대전화와 메일주소로 문자서비스광고를 발송하는 단계로 광고 수행을 종료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또한 웹사이트내 소정의 광고코너에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광고발주시스템을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하는 서버시스템을 인터넷상에서 개설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25.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광고 내용에 있어서 가격이벤트와 상품제공형이벤트, 혼합형이벤트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이벤트에 맞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단계와; 소정의광고접수 판정 기준에 의해 접수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광고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지역내 광고가 가능한 회원수를 통보하는 단계와; 통보된 범위내에서 광고될 회원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회원수에 각각의 광고단가를 곱한 금액을 결재하는 단계와; 가맹점이 선택한 각각의 회원수에 맞는 회원을 소트(sort)하는 단계와; 소트(sort)된 회원의 휴대전화나 메일 주소로 문자서비스광고를 발송하는 단계로 광고 수행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서비스 광고방법
  26.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휴대전화 또는 이메일을 이용한 문자서비스광고에 있어, 광고유형을 제공서비스에 따라 가격할인형, 상품제공형, 혼합형으로 나누고, 광고 품목에 따라 전품목과 일부품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목적에 맞는 사전 인터페이스를 주문자에게 부여해 주고, 인터페이스의 내용이 각각의 목적에 맞을 경우에만 광고 수주를 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27.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휴대전화 또는 이메일을 이용한 문자서비스광고에 있어서, 광고유형을 제공서비스에 따라 가격할인형, 상품제공형, 혼합형으로 나누고, 광고 품목에 따라 전품목과 일부품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목적에 맞는 사전 인터페이스를 주문자에게 부여해 주고, 인터페이스의 내용이 각각의 목적에 맞을 경우에만 광고 수주를 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28.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문자서비스광고를 수주함에 있어서 각 문구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도식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29.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접수가능으로 판정된 내용은 웹사이트내 소저의 코너에 등록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0.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터페이스는
    가격할인형 interface는 전품목 행사시는 ( ⓐ )기념, ( ⓑ기간), 전품목 ( ⓒ )% 할인, ( ⓓ )한정, 문의( ⓒ전화 )로 하고, 일부품목 행사시는 ( ⓐ )기념, ( ⓑ기간 ), (ⓒ메뉴명), 기존 ( ⓓ금액 )원에서 ( ⓔ금액 )원으로 할인, ( ⓕ )한정, 문의( ⓖ전화 )로 하며, 상품제공형 interface는 전품목 행사시는 ( ⓐ )기념,( ⓑ기간 ), 구매시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로 하고, 일부품목 행사시는 ( ⓐ )기념, ( ⓑ기간 ), (ⓒ메뉴명) 구매시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로 하며, 혼합형 interface는 전품목 행사시는 ( ⓐ )기념, ( ⓑ기간 ), 구매시 ( ⓒ )% 할인하고 (ⓓ제공상품명)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로 하고, 일부품목 행사시는 ( ⓐ )기념, ( ⓑ 기간 ), (ⓒ메뉴명)구매시 기존( ⓓ금액 )원에서 ( ⓔ금액 )원으로 할인, (ⓕ제공상품명) 증정, ( ⓖ )한정, 문의( ⓗ전화 ) 로 하여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1. 상기 제 1항과 24항 및 30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그 각각의 인터페이스가 비슷하며, 그 목적이 동일한 것이면 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2. 상기 제 1항과 24항 및 30항에 있어서,
    문자서비스광고 의뢰 유형을 가격할인형과 상품제공형, 혼합형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전품목행사시와 일부품목 행사시로 각각 나누어 그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데이터베이스화함에 이벤트여부의 판정기준까지 적용함에 있어서, 가격이벤트 중,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접수불가,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을 땐 접수불가, ⓓ와 ⓔ를 비교하여, 같기나 ⓓ가 작아도 접수 불가로 판정하고, 상품제공형이벤트는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접수불가,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을 때 접수불가, 혼합형 인터페이스는 전품목일시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무조건 접수불가, ⓒ와 ⓔ는 둘 다 미기재시 접수불가, 둘 중 하나라도 기재되면 접수가능, 일부품목행사일 경우,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으면 무조건 접수불가, ⓓ와ⓔ, 둘 다 기재되지 않으면서 ⓕ인터페이스가 채워졌을 땐 접수가능, ⓓ나 ⓔ 둘 중 하나가 채워지고 ⓕ인터페이스가 채워졌을 땐 접수불가, ⓓ와 ⓔ, 둘 다 기재되고 ⓕ인터페이스가 채워지지 않았을 경우는 ⓓ와 ⓔ를 비교하여 ⓓ와 ⓔ가 같거나 ⓔ보다 ⓓ가 작을 경우 접수불가로 판정하게끔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3. 상기 제 1항과 24항, 30항에 있어서,
    상기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그 각각의 인터페이스가 비슷하며, 그 목적이 동일한 것이면 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4. 상기 제 1항과 24항 및 30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광고접수가능판정을 받은 문자서비스광고를 소비자에게 전송함에있어서, 콤마로 구분되는 괄호 내에 글자가 들어있는 안과 바깥 문구만으로 조합, 광고의뢰한 가맹점에 시안예가 보여지도록 하며, 승인시 그 문안대로 소비자에게 전송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5.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지역별로 광고가 가능한 회원수를 보여주고 주문자가 직접 광고될 회원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서비스 광고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36. 상기 제 1항과 24항에 있어서,
    사전에 주문자가 선택한 지역코드에 따른 각각의 광고파일들을 지역별로 경로파일을 지정하여 서버내에 저장해두고, 불특정인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버 내의 광고경로파일 중 특정파일을 불러와 웹사이트에 시현시키고 로그인후에는 회원이 선택한 지역 또는 거주지 지역코드와 일치되는 파일을 불러와 웹사이트에서 시현시킬 수 있게 하는 온라인상의 타겟광고방법 및 이를 시현시키도록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략적 종합 마케팅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51334A 2003-07-02 2004-07-01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 KR20050004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4731 2003-07-02
KR1020030044731 2003-07-02
KR1020040041093 2004-06-04
KR20040041093 2004-06-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639A Division KR20050004147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통합용 할인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40A Division KR20050004148A (ko) 2003-07-02 2004-07-30 깜짝세일 이벤트 기법까지 포함하는 단문문자메시지를이용한 선별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38A Division KR20050004146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지역단위 광고책자 제작 및 광고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084A true KR20050004084A (ko) 2005-01-12

Family

ID=3721899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334A KR20050004084A (ko) 2003-07-02 2004-07-01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
KR1020040060640A KR20050004148A (ko) 2003-07-02 2004-07-30 깜짝세일 이벤트 기법까지 포함하는 단문문자메시지를이용한 선별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39A KR20050004147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통합용 할인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38A KR20050004146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지역단위 광고책자 제작 및 광고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640A KR20050004148A (ko) 2003-07-02 2004-07-30 깜짝세일 이벤트 기법까지 포함하는 단문문자메시지를이용한 선별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39A KR20050004147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통합용 할인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0060638A KR20050004146A (ko) 2003-07-02 2004-07-30 온라인기반에서의 지역단위 광고책자 제작 및 광고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500040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0B1 (ko) 2007-03-28 2008-09-04 전창익 마일리지 수표를 이용한 거래 방법과 시스템
WO2013191357A1 (ko) 2012-06-20 2013-12-27 주식회사 홍인플러스 포인트 보상 서비스에 의한 고객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한 타깃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312B1 (ko) * 2013-03-25 2014-07-08 (주)크리올 원격 프린팅 시스템
KR101710446B1 (ko) * 2016-01-06 2017-02-27 손동환 모바일 광고 서비스 통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81B1 (ko) * 2005-06-07 2008-02-13 (주)온가이드 온라인상에서의 쿠폰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63874B1 (ko) * 2013-08-20 2014-02-18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쿠폰 표준업무 프로세스 기반으로 하는 통합 쿠폰 관리시스템
CN110288388A (zh) * 2019-06-14 2019-09-27 达疆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通过优惠券力度动态调整的o2o运营系统
KR102218651B1 (ko) * 2020-10-23 2021-02-22 권동하 지리정보 기반의 고객 맞춤형 생활 관리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24782B1 (ko) * 2020-10-28 2021-03-08 주식회사 에이엠아이시스템즈 지역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0B1 (ko) 2007-03-28 2008-09-04 전창익 마일리지 수표를 이용한 거래 방법과 시스템
WO2013191357A1 (ko) 2012-06-20 2013-12-27 주식회사 홍인플러스 포인트 보상 서비스에 의한 고객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한 타깃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312B1 (ko) * 2013-03-25 2014-07-08 (주)크리올 원격 프린팅 시스템
KR101710446B1 (ko) * 2016-01-06 2017-02-27 손동환 모바일 광고 서비스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148A (ko) 2005-01-12
KR20050004146A (ko) 2005-01-12
KR20050004147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0358C (zh) 网络系统、广告信息接收刊登处理方法及其记录媒体
US8818850B2 (en) Method and process for registration, creation and management of campaigns and advertisements in a network system
US20090259547A1 (en) Affiliate and cross promo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20052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equity from the purchase of goods & services incorpo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of goods & services leveraged by portfolio held investments
US20100169170A1 (en) Merchant offer program
US20060004626A1 (en) Targeted marketing for subscriptions
US20080201230A1 (en) Internet-based method of and system for equity ownership optimization within a financial and retail marketplace
US20040193485A1 (en) Small business/retailer/merchant loyalty program
US20070233570A1 (en) Rewards scheme
US20130275201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universal consumer card redemption system with single button redemption
WO2006121541A1 (en) Automated rebate system and method
CN107862564A (zh) 一种全民创业电商平台
Steinfield et al. Pillars of virtual enterprise: leveraging physical assets in the new economy
KR20050004084A (ko) 인터넷 기반 할인통합마케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전략적 종합 마케팅 시스템
JP200134451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529103A (ja) 支払いモードに基づいて差を付けたインセンティブ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る処理
US20120136699A1 (en) On-Line System of Coupon Placement and Redemption
JP2002032681A (ja) 業務方法並びに業務運営管理装置
KR10047373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적 거래방법
KR20090121773A (ko) 다중 할인/혜택 제공 신용카드를 매개로 한 판매 프로모션방법
KR20010007689A (ko) 통합 포인트 마케팅을 통한 전략적 제휴 시스템
KR20070052638A (ko) 상품 선전 시스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2659542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권 발행 및 사용 시스템
JP2007515004A (ja) 小売マーケティング方法
KR200435960Y1 (ko) 온라인기반에서의 통합용 할인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