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953A -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953A
KR20050003953A KR1020030062328A KR20030062328A KR20050003953A KR 20050003953 A KR20050003953 A KR 20050003953A KR 1020030062328 A KR1020030062328 A KR 1020030062328A KR 20030062328 A KR20030062328 A KR 20030062328A KR 20050003953 A KR20050003953 A KR 2005000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sposable syringe
adjacent
edge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쳉 슈이
필립 쉬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필립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필립 쉬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ublication of KR2005000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회용 주사기는 니들 유닛(40)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상부(323) 및 배럴(20)의 통로(21)에서 유지되는 하부(322)를 구비하는 니들 시트(30)를 포함한다. 플런저(50, 70)는, 상기 통로(21)에서 움직이는 스템부(50a, 73), 상기 통로와 밀폐 접촉되어 상기 스템부(50a, 70)에 의해 사용 위치까지 이동되는 맞물림부(60) 및 상기 플런저(50, 70)가 연속적으로 내리 누르는 힘으로 상기 니들 시트(30)의 에지부(33)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60)가 내리 눌려질 때 상기 니들 시트(30)의 그립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니들 시트(30)의 그립부에 의해 고정되는 헤드(50b)를 가지며, 처리를 위해 상기 니들 시트(30)가 상기 통로(21) 내부로 옮겨진다.

Description

일회용 주사기{Disposable syringe}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한 처리와 사용을 위하여 니들 유닛이 사용 후 배럴 내부로 후퇴되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10)는 배럴(11),플런저(12) 및 니들 유닛(13)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11)은 상기 니들 유닛(13)의 니들 허브(131)가 부착되는 개방 목 단부(111) 및 상기 플런저(12)가 상기 배럴(11) 내부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 후방 단부를 가진다. 상기 플런저(12)의 전방 단부(121)는 상기 배럴(11)의 상기 내부 표면에 대해 꼭 맞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격(L)을 통해 상기 배럴(11)의 상기 내부 표면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상기 니들 유닛(13)은 상기 니들 허브(131)로부터 연장되는 니들(132) 및 상기 니들 허브(131)의 외부 에지 주위에 알맞은 개방 단부를 갖는 캡(133)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니들(132)은 상기 캡(133)으로 둘러싸여 진다. 상기 캡(133)은 상기 주사기 어셈블리(10)가 사용될 때 상기 니들 허브(131)로부터 제거되고, 사용 후 다시 끼워져 상기 니들(132)을 보호한다. 그 후, 상기 니들 유닛(13)은 상기 니들(132)을 둘러싸고 있는 상기 캡(133)과 같이 상기 배럴(11)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10)를 사용하고 난 후에 상기 니들 허브(131)에 상기 캡(133)을 다시 끼울 때, 상기 캡(133)의 상기 개방 단부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10)를 취급해야만 하는 의료원 또는 간호원은 상기 니들(132)에 찔리는 위험에 노출된다. 더욱이, 상기 플런저(12)의 상기 전방 단부(131)가 앞으로 움직이는 것이 상기 포인트(P1)에서 끝나기 때문에, 상기 니들(132)에 찔린 상기 직원에게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약품이나 혈액이 상기 개방 목 단부(111)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있으며,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니들 유닛을 가지는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주사기 어셈블리의 사용 시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사용 중인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런저의 헤드가 니들 시트의 그립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하여 주사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런저의 헤드가 니들 시트의 그립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하여 주사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는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일회용 주사기 어셈블리 11:배럴
12:플런저 13:니들 유닛
20:배럴 21:통로
23:핑거 플랜지 30:니들 시트
31:덕트 32:시트 벽
33:하부 에지부 40:니들 유닛
41:니들 42:니들 허브
43:팁 프로텍터 50:플런저
50a:스템부 50b:헤드
51:플랜지 52:작동 단부
53:윙 플레이트 54:연결대
55:스핀들부 60:맞물림부
63:외부면 64:상부 단면
65:하부 단면 70:플런저
73:스템부 111:목 개방 단부
121:전방단 131:니들 허브
132:니들 133:캡
210:관통홀 211:하부 개방 단부
212:상부 개방 단부 213:대직경부
214:소직경부 215:제1 숄더부
216:마찰 키부 217:돌출 링
219:에지 벽 221:내부 배럴 벽면
222:외부 배럴 벽면 223:유지 홈
224:마찰 리브 321:상부 에지부
322:하부 323:상부
324:내부 관상 벽면 325:외부 관상 벽면
326:오목부 327:유지 돌기
328:마찰 키부 329:제2 숄더부
331:상부 에지면 332:하부 에지면
333:외부면 421:마찰 리브
423:슬리브부 431:내부 슬리브 단부
433:마찰 리브 501:외부
502:내부 531:취약부
541:인접부 542:유지 돌기
551:오목 공간 552:갈라진 절반
553:갈라진 절반 554:상단 앵커 에지
555:상단 앵커 에지 731:취약부
741:인접부 742:유지 돌기
2221:슬리브부 L:간격
S:공간 X:축선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 주사기는 상기 축선을 둘러싸며 통로를 한정하는 내부 배럴 벽면을 갖는 배럴을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개방 단부를 갖는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은 상기 하·상부 개방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협력하여 그 사이에서 숄더부를 형성하는 직경이 큰 부위와 소직경부를 포함한다.
관상 니들 시트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에서부터 상기 상부 개방 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통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숄더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에지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에지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에지부, 그리고 상기 하부 에지부와 상기 상부 에지부 사이에 삽입된 시트 벽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벽은 그립부를 형성하는 덕트를 한정하도록 상기 축선을 둘러싸는 내부 관상 벽면 및 외부 관상 벽면을 갖는다. 상기 외부 관상 벽면은 상기 하부 에지부와 인접하는 하부 및 상기 하부와 대응하며 상기 상부 에지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가 상기 통로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상부 에지부가 상기 상부 개방 단부를 향하여 강제로 연장될 때, 상기 하부 에지부는 상기 숄더부에 대해 인접하면서 그 사이에서 발생된 제1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부가 상기 소직경부에 맞물려 유지되는 사용 위치로 옮겨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에지부가 상기 대직경부를 지나 상기 하부 개방 단부 방향으로 상기 제1마찰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때, 상기 니들 시트는 상기 하부와 상기 하부 에지부가 상기 소직경부와 상기 제1 숄더부로부터 각각 멀리 떨어지는 후퇴된 위치로 옮겨진다.
플런저는 상기 통로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내부 및 외부를 구비하는 스템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는 상기 통로의 하부 개방 단부의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통로를 따라 작동 되도록 상기 스템부를 움직이기 위해 작동 단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연장된다. 맞물림부는 상기 제2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에 유지할 수 있게 끼워지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스템부와 같이 움직이도록 상기 대직경부와 밀폐 접촉하고 상기 대직경부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헤드는 상기 내부에서부터 상기 그립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소직경부 방향으로 상기 내부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결과로서 발생된 제3 마찰력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하부 에지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내부에 의해 옮겨지고 상기 하부 에지부에 의해 내리 눌려질 때, 상기 헤드가 상기 관상 니들 시트의 상기 그립부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1 마찰력보다 더 큰 제4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하부 에지부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가 내려 눌려질 정도로 상기 제3 마찰력은 상기 제2 마찰력보다 크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니들 유닛이 사용되는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주사기 어셈블리의 사용시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니들 유닛(40)을 사용하여 주사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가 도시된다. 상기 니들 유닛(40)은 니들 허브(42)와 상기 니들 허브(42)에 안전하게 부착되는 니들(41)을 포함한다. 상기 니들 허브(42)는 그 상부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마찰 리브(421)를 갖는 슬리브부(423)를 가진다. 팁 프로텍터(43)는 상기 니들(41)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부(423)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찰 리브(421)와 맞물리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마찰 리브(433)를 갖는 내부 슬리브 단부(431)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사기는 배럴(20), 관상 니들 시트(30) 및 플런저(50)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20)은 축선(X)을 둘러싸며 통로(21)를 한정하는 내부 배럴 벽면(221)을 가진다. 상기 통로(21)는 상기 축선(X)에 대해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하부 및 상부 개방 단부(211, 212)를 갖는다.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하부 및 상부 개방 단부(211, 212)에 각기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서 함께 제1 숄더부(215)를 형성하는 대직경부(213)와 소직경부(214)를 포함한다. 핑거 플랜지(23)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에서 상기 배럴(20)의 외부 배럴 벽면(222) 상에 배치된다. 상기 소직경부(214)는 상기 제1 숄더부(215)에 인접하는 유지 홈(223) 및 상기 제1 숄더부(215)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 키부(216)와 함께 형성된다. 돌출 링(217)은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에 인접하는 상기 대직경부(213) 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0)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로부터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를 향하여 상기 통로(21) 내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니들 시트(30)는 상기 제1 숄더부(215)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대직경부(213)에 대해 밀폐되게 접촉하는 외부면(333)을 가지는 하부 에지부(33),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상부 에지부(321), 그리고 상기 하부 에지부(33)와 상기 상부 에지부(321)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 벽(32)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벽(32)은 덕트(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축선(X)을 둘러싸는 내부 관상 벽면(324)을 가진다. 상기 덕트(31)의 직경은 상기 하부 에지부(33)로부터 상기 상부 에지부(321)까지 점차 감소한다.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은 그립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인접하는 제2 숄더부(329)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축선(X)에 대해 방사상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오목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벽(32)은 하부 및 상부(322, 323)를 포함하는 외부 관상 벽면(325)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부(322)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인접하고, 그 상부에 형성되는 유지 돌기(327)를 갖는다. 상기 관상 니들 시트(30)가 상기 통로(21)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상부 에지부(321)가 상기 배럴(20)의 상기 상부개방 단부(212)의 밖으로 강제로 연장될 때, 상기 하부(322)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의 상부 에지 면(331)이 상기 배럴(200)의 상기 제1 숄더부(215)에 대하여 접하는 동안 상기 유지 홈(223)에서 상기 유지 돌기(327)의 유지 맞물림의 결과로서 발생된 제1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부(322)가 상기 소직경부(214)에 맞물려 유지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위치로 옮겨진다. 상기 하부(322)는 상기 니들 시트(30)와 상기 배럴(2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직경부(214)의 상기 마찰 키부(216)와 협력하여 키 부재를 형성하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찰 키부(328)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덕트(31)가 상기 니들 허브(42)가 소통되기 위해, 상기 상부(323)는 상기 하부(322)에 대응하고 상기 상부 에지부(32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니들 유닛(40)의 상기 니들 허브(42)에 의해 끼워지기에 적합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50)는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에서 이동 가능한 스템부(50a)를 포함한다. 상기 스템부(50a)는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윙 플레이트(53), 상기 윙 플레이트(53)의 상부 에지에 배치되는 플랜지(51), 그리고 상기 플랜지(5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대(54) 및 유지 돌기(542)를 갖는다. 상기 윙 플레이트(53)는 아래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 한편, 상기 스템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응하는 내부 및 외부(502, 501)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501)는 상기 배럴(20)의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의 밖으로 연장된다. 엄지손가락 받침대인 작동 단부(52)는 상기 통로(21)를 따라 상기 스템부를 이동시켜 동작하도록 상기 외부(501)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플런저(50)는 상기 내부(502)의 상기 유지 돌기(542)로부터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그립부 쪽으로 연장되는 접차 좁아지는 인접부(541)를 갖는 헤드 및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인접부(54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며, 중간의 오목한 공간(551)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공간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두 개의 갈라진 절반(552, 553)들에서 종료되는 스핀들부(5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은 각각 상단 앵커 에지(554, 555)를 갖는다. 되도록, 상기 스핀들부(55)는 상기 인접부(541)에서부터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에 이르기까지 외부 직경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인접부(541)와 상기 유지 돌기(542)는 보다 큰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탄성 재질 같은 것으로 만들어져 변형 가능한 맞물림부(60)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내부(502)의 상기 유지 돌기(542) 전체와 상기 인접부(541)의 일부에 유지되게 끼워진다. 상기 맞물림부(60)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며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하부 에지부(33)와 각각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상부 및 하부 단면(64, 65)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단면(64, 65)의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면(63)을 갖는다. 상기 하부 단면(65)은 공간(S)에 의해 플랜지(51)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외부면(63)은 상기 스템부와 같이 이동하도록 상기 배럴(20)의 대직경부(213)와 밀폐 접촉되어 활주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직경부(213)에 대해 상기 맞물림부(60)의 활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면(63)은 상기 축선(X)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면(63)과 상기 대직경부(213) 사이에 접촉 부분을 감소시킨다.
도 5는 사용 중인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 시에 상기 플런저(50)는 전방으로 눌려져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하부 에지부(33)의 하부 에지면(332)에 대해 상기 맞물림부(60)의 상기 상부 단면(64)이 인접하도록 민다. 상기 스핀들부(55)는 위쪽으로 점차 좁아지며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과 매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로(21) 내의 약물이 상기 니들 유닛(40)을 거쳐 거의 완전히 주사된다.
도 6은 플런저의 헤드가 니들 시트의 그립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후에, 상기 내부(502)와 상기 맞물림부(60) 사이의 상기 제2 마찰력에 대하여 상기 플런저(50)가 제3 힘에 의해 상기 소직경부(214)을 향하여 더 앞쪽으로 움직일 때, 상기 맞물림부(60)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의해 변형되며, 상기 공간(S)이 감소하고, 상기 헤드의 상기 인접부(541)가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오목부(326)에서 상기 제1 숄더부(329)에 대해 인접하기 위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이 상기 상부 에지부(321) 쪽으로 움직일 때, 상기 스핀들부(55)의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은 편향 작동에 대하여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0에 의해 눌려져 서로를 향해 움직인다.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이 상기 상부 에지부(321)를 지나도록 움직이면,상기 상단 앵커 에지(554, 555)는 상기 유지 돌기(327)와 상기 유지 홈(223) 사이의 상기 제1 마찰력보다 더 큰 제4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인접부(541)와 제2 숄더부(329) 사이의 상기 마찰력과 결합되는 마찰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상부 에지부(321)에 맞물린다.
도 7은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 후에는 상기 플런저(50)의 상기 외부(501)는 상기 핑거 플랜지(23)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뒤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사용된 니들 유닛(40)이 결합된 상기 니들 시트(30)는 상기 상부 에지부(321)가 후퇴된 위치까지 옮겨지도록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를 거쳐 상기 통로(21) 내부로 후퇴된다. 상기 플랜지(51)는 상기 돌출 링(217)에 인접할 때, 상기 플런저(50)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상기 맞물림부(60)가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된 니들 유닛(40)은 안전한 처분을 위해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에 둘러싸여진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늘에 의해 우연히 찔리거나 꿰뚫릴 수 있는 가능성이 적어진다.
더욱이, 상기 내부(502)에서의 윙 플레이트(53)는 상기 플랜지(5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취약부(531)를 갖는다. 상기 플런저(50)가 상기 플랜지(51)를 밀어 상기 돌출 링(217)에 인접하도록 후퇴되었을 때, 상기 취약부(531)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용이한 처리를 위해 상기 취약부(531)에서 상기 스템부와 상기 플런저(50)가 쉽게 끊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하여 주사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플런저의 헤드가 니들 시트의 그립부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그 구조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 제1 실시예와 상기 제2 실시예의 차이는 제1 실시예에서의 상기 스핀들부가 불필요한데 있다. 탄성 맞물림부(60)는 상기 유지 돌기(742) 전체와 상기 인접부(741)의 일부에 유지되도록 끼워진다. 상기 맞물림부(60)는 위쪽으로 맞물리기 위해 상기 플런저(70)의 상기 스템부(73)에 의해 옮겨지고,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의해 내리 눌려질 때, 상기 맞물림부(60)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의해 유지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접부(741)는 상기 오목부(326)에서 유지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 시트(30)와 상기 니들 유닛(40)은 안전한 처리를 위해 취약부(731)에서 상기 플런저(70)의 상기 스템부(73)가 끊어질 수 있도록 주사 과정 후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의 내부로 후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하여 주사기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는 후퇴된 상태에서 주사기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그 구조면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관상 니들 시트(30)는 상기 니들(41)과 적당하게 맞물리기 위해 상기 상부(323)에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는 덕트(31)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니들 허브(42)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배럴(20)은 슬리브부(2221)가 형성된 외부 벽면(222)을 갖는다. 상기 슬리브부(2221)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슬리브부(423)를 대체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거기에 형성된 다수의 마찰 리브(224)를 갖는다. 따라서, 내부 슬리브 단부(431)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 리브(433)를 갖는 팁 프로텍터(43)는 상기 니들(41)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부(2221)에 적당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주사기 어셈블리에서는 구성 요소의 수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니들 시트(30)와 상기 니들(41)은 주사 절차 후에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 내부로 끌려 들어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그 구조면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1ml와 같이 주사량이 매우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배럴(20), 상기 니들 시트(30), 상기 니들(41), 상기 플런저(70) 및 상기 변형 가능한 맞물림부(60)의 치수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치수보다 작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니들 유닛을 이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길이 방향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그 구조면에서 각각 상기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유사하다. 상기 실시예들의 차이점은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가 에지 벽(219)을 갖는데 있다. 상기 에지 벽(219)은 상기 배럴(20)의 내부 배럴 벽면(221)의 소직경부(214)로부터 상기 축선(X)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축선(X)을 둘러싸는 관통홀(210)을 한정한다. 상기 니들(41)은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의 바깥쪽으로 상기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지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상기 제6 실시예는 구조면에서 상기 제5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1ml와 같이 주사량이 매우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상기 스핀들부(55)가 점차 가늘어지며 상기 니들 시트(30)의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과 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부(55)가 상기 니들 시트(30)의 내부까지 삽입되므로 상기 통로(21)내의 약물이 상기 니들 유닛(40)을 거쳐 거의 완전히 주사된다.
또한 사용 후에는, 상기 사용된 니들 유닛(40)이 결합된 상기 니들 시트(30)는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를 거쳐 상기 통로(21) 내부로 후퇴된다. 상기 사용된니들 유닛(40)은 안전한 처분을 위해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에 둘러싸여진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늘에 의해 우연히 찔리거나 꿰뚫릴 수 있는 가능성이 적어진다.
더구나, 상기 내부(502)에서의 윙 플레이트(53)는 상기 플랜지(5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취약부(531)를 갖는다. 상기 플런저(50)가 후퇴되었을 때, 상기 취약부(531)는 상기 하부 개방단부(211)의 밖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취약부(531)에서 상기 스템부와 상기 플런저(50)가 쉽게 끊어진다. 따라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축선(X)을 둘러싸며, 상기 축선(X)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개방 단부(212, 211)를 갖는 통로(21)를 한정하는 내부 배럴 벽면(221)을 구비하는 배럴(20) 및
    상기 배럴(20)의 상기 통로(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내부 및 외부(502, 501)를 가지며, 상기 외부(501)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스템부(50a, 73), 그리고 상기 외부(50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통로(21)를 따라 상기 스템부(50a, 73)를 이동하도록 작동되는 작동 단부(52)를 포함하는 플런저(50, 70)를 포함하는 니들 유닛(40)과 함께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배럴(20)의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1)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개방 단부(212, 211)에 각기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서 함께 제1 숄더부(215)를 형성하는 소직경부(214)와 대직경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로부터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에 이르기까지 상기 통로(21)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니들 유닛(40)에 끼워지기에 적합한 관상 니들 시트(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니들 시트(31)는,
    상기 제1 숄더부(215)에 대비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에지부(33)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에지부(321) 및
    상기 하부 및 상부 에지부(33, 321) 사이에 삽입되며, 덕트(31)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축선(X)을 둘러싸고 그립부를 가지는 내부 관상 벽면(321)과,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인접하고, 상기 관상 니들 시트(30)가 상기 통로(21)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에지부(321)가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 방향으로 강제로 연장될 때, 상기 하부 에지부(33)가 상기 제1 숄더부(215)와 인접하는 동안 그 사이에서 발생된 제1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부(322)가 상기 소직경부(214)에 맞물려 유지되는 사용 위치로 상기 하측부(322)가 옮겨지며, 상기 상부 에지부(321)가 상기 대직경부(213)를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찰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때, 상기 하부(322)와 상기 하부 에지부(33)는 각각 상기 소직경부(214)와 상기 제1 숄더부(215)로부터 이격되는 후퇴된 위치로 상기 니들 시트(30)가 옮겨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하부(322)와, 상기 하부(322)에 대응하고 상기 상부 에지부(32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상부(323)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관상 벽면(325)을 갖는 시트 벽(32)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50, 70)는,
    제2 마찰력에 의해 상기 내부(502)에 유지되도록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사용 위치로 상기 스템부(50a, 73)와 같이 이동되도록 상기 대직경부(213)에 밀폐된 상태로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맞물림부(60)와,
    상기 내측부(502)로부터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의 상기 그립부로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직경부(214)를 향한 상기 내부(502)의 연속적인 이동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상기 제2 마찰력보다 큰 제3 마찰력에 의해 상기 맞물림부(60)가 상기 하부 에지부(33)와 맞물리도록 상기 내부(502)로 옮겨지고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의해 내리 눌려질 때, 상기 헤드(50b)를 상기 그립부로 향하도록 움직이고 상기 제1 마찰력보다 큰 제4 마찰력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상기 맞물림부(60)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의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헤드(5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322)가 상기 사용 위치로 옮겨져 상기 제1 마찰력을 발생시킬 때, 상기 하부(322)와 상기 소직경부(214) 중 하나에 유지 홈(2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322)와 상기 소직경부(214) 중 나머지 하나에 유지 돌기(32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인접한 제2 숄더부(329)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의 방향으로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오목부(326)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헤드(50b)는 상기 오목부(326)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숄더부(329)에 대해 인접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인접부(541, 741)를 더 구비하여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니들 시트(3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4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50b)는 상기 축선(X)을 따라 상기 인접부(54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일정 공간을 가지는 두 개의 갈라진 절반(552, 553)에서 종료되는 스핀들부(55)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은 상기 인접부(541)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은, 상기 상부 에지부(321)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은 엇갈린 동작에 대해서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에 의해 눌려지도록,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이 상기 상부 에지부(321)를 넘어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단 앵커 에지(554, 555)가 상기 상부 에지부(3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상단 앵커 에지(554, 555)를 각기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상 벽면(324)의 직경은 상기 하부 에지부(33)에서부터 상기 상부 에지부(321)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고, 상기 스핀들부(55)의 외부 직경은 상기 인접부(541)에서부터 상기 갈라진 절반(552, 553)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60)는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며 각각 상기 하부 에지부(33)에 인접하고 상기 하부 에지부(33)로부터 이격되는 상부 및 하부 단면(64, 65)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단면(64, 6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축선(X)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외부면(63)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지부(33)는 상기 하부(322)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숄더부(215)에 대해 인접하는 상부 에지면(331) 및 상기 맞물림부(60)에 의해 인접하여 내리 눌려지는 하부 에지면(33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214)와 상기 하부(322) 사이에 더 배치되어 그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키 부재(216, 3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213)로부터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직경부(213) 상에 배치되는 돌출 링(217)을 더 구비하며,
    상기 헤드(50b)에 인접한 상기 내부(502)를 둘러싸도록 더 배치되며 상기 돌출 링(217)과 맞물리는 플랜지(5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502)는 상기 플랜지(5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취약부(531, 731)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51)가 상기 돌출링(217)과 맞물리도록 옮겨질 때, 상기 플런저(50, 70)의 스템부(50a, 73)가 상기 취약부(531, 731)에서 꺽여지기 용이하게 상기 취약부(531, 731)는 상기 하부 개방 단부(21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541, 741)는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20)은 원주 방향으로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슬리브부(2221)를 갖는 외부 배럴 벽면(2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상기 니들 유닛(40)의 니들(41)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부(2221)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내부 슬리브 단부(431)를 갖는 팁 프로텍터(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2221)와 상기 내부 슬리브 단부(431) 각각은 그 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 리브(224, 4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는 상기 내부 배럴 벽면(221)의 상기 소직경부(214)로부터 상기 축선(X)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선(X)을 둘러싸며 상기 니들 유닛(40)의 상기 니들(41)이 통과하기에 적합한 관통홀(210)을 한정하는 에지벽(2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322)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323) 및 상기 상부 에지부(321)는 상기 상부 개방 단부(212)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일회용 주사기는 상기 니들 유닛(40)의 니들(41)을 보호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상부(323) 위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슬리브부(423)를 갖는 니들 허브(42) 및 상기 니들(41)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부(423)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내부 슬리브 단부(433)를 갖는 팁 프로텍터(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주사기.
KR1020030062328A 2003-07-01 2003-09-06 일회용 주사기 KR20050003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4087 2003-07-01
KR1020030044087 2003-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53A true KR20050003953A (ko) 2005-01-12

Family

ID=3721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28A KR20050003953A (ko) 2003-07-01 2003-09-06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4738B1 (en) Syringe having safety needle shield
US6592555B1 (en) Syringe device
JP5969396B2 (ja) 通路の有効穴部を狭めるため通路に配置された突出部を備える注射装置
US7846135B2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with needle trap
US7621888B2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US6059756A (en) Safety injection device
RU2476246C2 (ru) Новый безопасный самоблокирующийся, саморазрушающийся шприц
JP5993919B2 (ja) 安全注射器
EP1842570B1 (en) A self destruction disposable syringe
US8814827B2 (en) Retractable syringe
AU730418B1 (en) Safety syringe with a needle sleeve
JP2006116339A (ja) 注射器用自動作動式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NO20111287L (no) Innskyvbar sproyte for engangsbruk
GB2360458A (en) Safety syringe
JP2005516740A (ja) ガラス製安全注射器及びガラス製注射器のための関連安全キット
KR102615193B1 (ko) 자동 주사 장치를 위한 낙하 테스트 특징부를 구비한 강성 바늘 쉴드 분리기
US7097636B2 (en) Needle protection device intended for a carpule and injection device comprising a carpule and this protection device
EP1797921B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US7192418B2 (en) Disposable syringe
US6514229B1 (en) Safety syringe with a needle sleeve
RU27606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глы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заполненного шприца со вставленной иглой и шприц,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50003953A (ko) 일회용 주사기
EP1556109A2 (en) Vacuum auto-retractable safety syringe
JP2008142565A (ja) ポジティブな針保持を具えた1回使用引込み式シリンジ
JP7178102B2 (ja) 安全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