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124A -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 Google Patents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124A
KR20050002124A KR1020030043447A KR20030043447A KR20050002124A KR 20050002124 A KR20050002124 A KR 20050002124A KR 1020030043447 A KR1020030043447 A KR 1020030043447A KR 20030043447 A KR20030043447 A KR 20030043447A KR 20050002124 A KR20050002124 A KR 2005000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microwave oven
door
food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4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124A/ko
Publication of KR2005000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05B6/766Microwave radiation screens for wind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캐비티 내의 조리물 확인이 용이하며 트레이 내에서 조리중에도 조리물의 전체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도어 어셈블리측으로 완만하게 형성된 원호부를 가져 캐비티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호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가 전방과 상방에 각각 형성되는 도어 스크린과, 도어 스크린의 곡면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만곡부를 형성하며 만곡부 전방과 상측면에 투시창이 형성된 도어 커버와, 투시창에는 각각 내열 유리판과 필름이 부착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를 제공한다. 이로써,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의 내측을 다양한 각도에서 투시가 가능하여 조리중에 조리물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리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전자 레인지의 조작 횟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전자 레인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THE MICROWAVE OVEN WITH MULTILATERAL VISIBLE CAVITY}
본 발명은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되는 조리물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도나 열복사에 의한 조리기구와 달리 초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함으로써 조리물중에 함유된 물분자의 병진운동에 따른 유전가열로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 레인지는 초고주파 발진관에 고압전기를 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초고주파에 의해 조리물을 조리한다. 이때, 상기한 초고주파는 조리물을 신속히 가열시킬 수 있는 반면, 조리실 외부로 누출될 경우에는 전자 레인지의 조리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며, 특히 인체에 유해한 초고주파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전자 레인지에서는 도어 몰드를 금속재로 구성하며, 이와 함께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알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한 투시창의 배면에 미세한 관통공이 연속 형성된 금속재의 다공판의 결합시킴으로써 조리실로부터 도어방향으로 방출되는 초고주파를 흡수하여 도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초고주파를 차폐시킨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의 캐비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어 어셈블리는 차폐판(110), 내열 유리판(120), 필름(130) 및 전후면 몰딩재(140,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판(110)은 내측에 다수의 관통공(101)을 연속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관통공(101)을 통해 조리실이 투시되도록 한 것으로, 상하부 및 측면을 반복 절곡시켜 표면을 통해 유도된 전자파를 소멸시키며, 표면으로는 내열 유리판(120) 및 필름(130)이 부착된다.
이와 함께 내열 유리판(120) 및 필름(130)의 부착이 완료된 차폐판(110)의 전후면으로는 마감재 및 기밀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지재의 전면 몰딩재(140)와 후면 몰딩재(150)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 어셈블리에서, 조리물의 상태 확인은 필름(130) 및 차폐판(110)과 내열 유리판(120)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130)과 차폐판(110) 및 내열 유리판(120)은 고주파 차단을 위하여 차폐용 필름(130)을 사용하면서 관통공(10)의 조밀함으로 인하여 가시성이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특히, 전자 레인지가 가동중에는 일반적인 퍼지 시스템에 의해 조리물의 상태를 확인하고는 있지만, 통상적인 사용자들은 조리물의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게 된다. 이때, 가시성이 미약한 필름(130)과 차폐판(110) 및 내열 유리판(120)을 통해 조리물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므로 그 상태 확인이 불분명하고, 나아가 조리물은 캐비티 내측에 위치하므로 불분명한 조리물의 상태 확인 조차도 일부만이 확인 가능한 상태이다.
이는 트레이 내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상태 확인이 불분명하여 전자 레인지의 조작을 빈번하게 하므로 전자 레인지의 조작 수명에도 영향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캐비티 내측의 상태 확인을 인식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목적은 캐비티 내의 조리물 확인이 용이하며 트레이 내에서 조리중에도 조리물의 전체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를 밀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갖춘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일측 형상이 만곡되어 이루어져 조리물의 일부 이상이 안치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주요 구성으로 하며, 특히 상기 도어 어셈블리측으로 완만하게 형성된 원호부를 가져 캐비티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호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가 전방과 상방에 각각 형성되는 도어 스크린과, 도어 스크린의 곡면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만곡부를 형성하며 만곡부 전방과 상측면에 투시창이 형성된 도어 커버와, 투시창에는 각각 내열 유리판과 필름이 부착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자 레인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레인지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레인지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 내측의 시야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어셈블리 12: 도어 플레이트
14: 도어 스크린 15: 곡면부
20: 프레임 22: 캐비티
24: 베이스 플레이트 25: 원호부
30: 도어 커버 32, 34: 투시창
36: 만곡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캐비티 내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를 밀폐하는 도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일측 형상이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원호부가 형성되어 조리물의 일부 이상이 안치되며, 상기 원호부에 놓여지는 조리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 레인지의 프레임 및 도어 어셈블리에 투시창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과 상기 원호부를 밀폐하는 밀폐 수단이 구성가능하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주요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24) 및 캐비티(22)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의 하부를 구성하며 도어 어셈블리(10)측으로 완만하게 형성된 원호부(25)를 가져 상기 캐비티(22)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와, 도어 어셈블리(10)의 도어 플레이트(12)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원호부(25)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15)가 전방과 상방에 각각 형성되는 도어 스크린(14)과, 상기 도어 스크린(14)의 곡면부(15)에 상응하는 형상의 만곡부(36)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36) 전방과 상측면에는 투시창(32, 34)이 개구된 도어 커버(30)와, 상기 만곡부(36)에 개구된 투시창(32, 34)에는 각각 내열 유리판(35) 및/또는 필름(33)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20)은 전자 레인지의 주요 외관으로, 그 내측에는 조리물이 놓여지는 캐비티(22)가 형성되고, 캐비티(22)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4)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전방부는 캐비티(22) 내측에서 조리물을 회전시키는 트레이(28)의 원호 형상에 상응하는 원호부(25)가 상기 프레임(24)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어 어셈블리(10)에서 프레임(20)의 전면을 밀폐하는 몰딩재(11) 및 도어 플레이트(12)가 설치되며, 도어 플레이트(12)의 상부와 측면은 반복 절곡되어전자파의 소멸을 유도하는 쵸크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12)의 전방에는 도어 어셈블리(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30)가 설치되고, 상기 원호부(25)에 상응하는 만곡부(36)가 상기 도어 커버(3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어 투시창(32, 34)이 형성되어 캐비티(22) 내측을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 커버(30)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12) 사이에는 미세한 다공성의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캐비티(22) 내의 고주파를 흡수하여 고주파의 유출을 방지하는 도어 스크린(14)이 설치되는 바, 도어 스크린(14)의 전방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원호부(25) 및 도어 커버(30)의 만곡부(36)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곡면부(15)가 형성되어 캐비티(22) 내측을 확인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0)의 전면으로 돌출된 만곡부(36)의 상부와 전면에 형성된 투시창(32, 34)에는 각각 내열 유리판(35) 및/또는 필름(33)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가 조립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서, 전자 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할 경우, 도어 어셈블리(10)를 개방하여 조리물을 캐비티(22) 내측의 트레이(28)에 안치시켜 도어 어셈블리(10)를 닫는다.
상기 전자 레인지 일측의 콘트롤 패널(5)을 통해 조리 상태가 설정되면, 전자 레인지가 가동되어 조리물이 사용자의 설정 상태에 따라 설정이 진행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가 가동 직전에 조리물(C)이캐비티(22) 내측의 트레이(28)에 안치된 상태는 도어 어셈블리(10)의 도어 커버(30)에 부착된 내열 유리판(35)과 필름(33)에 의해 확인되는데, 특히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32, 34)은 조리물(C)의 상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물(C)이 캐비티(22)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트레이(28) 상부에서 회전되는 조리물(C)의 불안정한 상태인 경우 이를 다시 놓게 하여 캐비티(22) 내측에서 조리물(C)이 엎어지거나 비틀리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캐비티(22)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된 조리물(C)의 상태가 확인되면 전자 레인지가 가동되어 조리가 진행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설정 시간 이전에 수시로 조리물(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어 어셈블리(10)에 형성된 투시창(32, 34)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데, 특히 도어 커버(30)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32)을 통해 조리물(C)의 상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의 가동중에는 전방 시야(A)를 통해서 전면의 투시창(34)으로 조리물(C)의 회전 상태 및 조리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특별히 조리물(C)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방 시야(B)를 통해 상부의 투시창(32)으로 조리물(C)의 조리 상태 전체가 파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레인지의 설정을 불확실한 상태에서 설정한 경우에는 수시로 캐비티(22) 내측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특별히 상기 상방 시야(B)를 통해 상부의 투시창(32)을 이용하면 조리물(C)의 각 방향의 조리 상태가 파악될 수 있으므로, 전자 레인지 자체를 빈번하게 가동 중단하지 않더라도 조리 상태를 최적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레인지에서는 캐비티(22) 내측의 식별을 위하여 도어 어셈블리(10) 상부의 투시창(32)을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하였으며 도면에서도 이와 같은 구성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캐비티의 측면이 만곡되어 원호부가 형성이 가능하며, 이때에는 측면과 측면 상부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조리물을 측면과 측상부에서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트레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부터 변형이 가능하며, 전자 레인지의 캐비티 내측을 다양한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지와 본 설명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는,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의 내측을 다양한 각도에서 투시가 가능하여 조리중에 조리물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리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전자 레인지의 조작 횟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전자 레인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일측이 만곡되어 조리물의 일부 이상이 안치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를 밀폐함과 동시에 전자 레인지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리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투시 부재와,
    상기 투시 부재가 설치되며 전자 렌지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상기 캐비티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전방부가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의 일측면이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원호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를 가진 도어 스크린 및 도어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부재는 상기 원호부를 상측에서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부재는 고주파를 차단하는 차단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7. 조리물이 안치되는 캐비티(22) 및 상기 캐비티(22)를 밀폐하는 도어 어셈블리(10)를 갖춘 전자 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10)측으로 완만하게 형성된 원호부(25)를 가져 상기 캐비티(22)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4)와,
    상기 도어 어셈블리(10)의 도어 플레이트(12)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의 원호부(25)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15)가 전방과 상방에 각각 형성되는 도어 스크린(14)과,
    상기 도어 스크린(14)의 곡면부(15)에 상응하는 형상의 만곡부(36)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36) 전면과 상부에 투시창(32, 34)이 형성된 도어 커버(30)와,
    상기 도어 커버(30)의 상기 투시창(32, 34)에는 각각 내열 유리판(35)과 필름(33)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KR1020030043447A 2003-06-30 2003-06-30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KR20050002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47A KR20050002124A (ko) 2003-06-30 2003-06-30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47A KR20050002124A (ko) 2003-06-30 2003-06-30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124A true KR20050002124A (ko) 2005-01-07

Family

ID=3721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447A KR20050002124A (ko) 2003-06-30 2003-06-30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23A (ko) * 2015-02-26 2016-09-05 조형준 마그네트론을 구비한 고추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23A (ko) * 2015-02-26 2016-09-05 조형준 마그네트론을 구비한 고추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7355A (ko) 도어 필터
KR100233437B1 (ko) 전자렌지의 도어
US6940057B2 (en) Microwave oven
KR100468121B1 (ko) 전자렌지
KR20050002124A (ko) 다각도로 투시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전자 레인지
JP3204677B2 (ja) 電子レンジ
EP3426002B1 (en) Door and cooking appliance with the same
KR100366021B1 (ko) 전자렌지의 도어 조립체
KR101039476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EP3612006B1 (en) Cooking appliance
KR101125562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차폐장치
KR101008610B1 (ko) 전자 레인지용 도어 어셈블리
KR19990018409U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100278453B1 (ko) 전자렌지용도어
KR20050005026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글라스 고정구조
KR100562102B1 (ko)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어셈블리
KR100189129B1 (ko) 전자렌지의 도어와 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의 제조방법
KR100513300B1 (ko) 전자렌지
KR200262394Y1 (ko) 전자렌지
KR100324507B1 (ko) 전자레인지
KR200349861Y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
KR101004485B1 (ko) 조리기기
KR200189548Y1 (ko) 전자렌지
KR20050005027A (ko) 전자레인지의 피씨비기판 고정구조
KR20040063277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