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55Y1 - 각도 조절 가능 이젤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 가능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55Y1
KR200498055Y1 KR2020230000997U KR20230000997U KR200498055Y1 KR 200498055 Y1 KR200498055 Y1 KR 200498055Y1 KR 2020230000997 U KR2020230000997 U KR 2020230000997U KR 20230000997 U KR20230000997 U KR 20230000997U KR 200498055 Y1 KR200498055 Y1 KR 20049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groove
support
diame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모
Original Assignee
박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모 filed Critical 박재모
Priority to KR2020230000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8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에 있어서, 복수의 구조체 및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가 상기 본체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조체는 좌측 구조체 및 우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좌측 구조체와 상기 우측 구조체를 고정된 상태로 연결하는 상부 연결대 및 하부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구조체 및 상기 우측 구조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용 홈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 가능 이젤{ADJUSTABLE EASEL}
본 고안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이젤(Easel)은 아티스트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 캔버스를 똑바로 세워서 지지하거나 전시를 하는데 사용하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한편, 이젤은 아티스트의 취향이나 전시의 목적에 맞게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고, 또한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황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한 이젤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나아가, 페인팅 기법이나 재료에 따라 격렬한 작업이 이뤄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아티스트의 격렬한 작업에도 불구하고 캔버스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어느 상황에서든지 캔버스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이젤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래의 종래문헌은 캔버스를 받쳐주는 이젤과 관련된 구조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실용신안공보 20-2000-0001279(2000.01.18.)
본 고안의 일 과제는, 캔버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각도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은, 복수의 구조체 및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가 상기 본체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조체는 좌측 구조체 및 우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좌측 구조체와 상기 우측 구조체를 고정된 상태로 연결하는 상부 연결대 및 하부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구조체 및 상기 우측 구조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용 홈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캔버스를 받치는 부재에 별도의 부재를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캔버스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캔버스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홈의 크기 또는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쉽게 캔버스의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높낮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가이드부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프로세스의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프로세스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중간에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100)은 지지부(110), 본체부(120), 받침부(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20)는 복수의 구조체 및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가 작업을 할 때 캔버스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작품을 전시할 때 작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20)는, 중앙 구조체(121), 우측 구조체(122), 좌측 구조체(123), 상부 연결대(125) 및 하부 연결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대(125) 및 하부 연결대(126)는 상기 우측 구조체(122)와 좌측 구조체(123)를 고정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구조체(123) 및 상기 우측 구조체(122)에는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22a, 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22a, 23a)은 후술할 받침부의 높낮이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22a, 23a)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미리 정해진 간격은 일정한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중앙 구조체(121), 우측 구조체(122), 좌측 구조체(123), 상부 연결대(125) 및 하부 연결대(126)는 기다란 막대 형상(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구조체(121), 우측 구조체(122), 좌측 구조체(123), 상부 연결대(125) 및 하부 연결대(126)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10)는 상술한 본체부(1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10)는 가이드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부(111)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에 기반하여 상기 본체부(12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가이드부(111)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이용하여 본체부(120)가 지면으로부터 원하는 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111)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30)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30)는 상술한 본체부(1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캔버스 또는 작품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0)는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130)는 본체부(120)를 구성하는 중앙 구조체(121), 우측 구조체(122) 및 좌측 구조체(123)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캔버스 또는 작품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받침부(130)는 본체부(120)를 구성하는 중앙 구조체(121), 우측 구조체(122) 및 좌측 구조체(123) 중 적어도 하나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후술할 결합부(140)와의 결합을 통해 캔버스 또는 작품을 받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부(130)는 받침 플레이트(131),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131)는 캔버스 또는 작품을 안정적으로 받치기에 충분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는 받침 플레이트(131)로부터 미리 정해진 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되는 높이는 캔버스 또는 작품이 받침부(13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플레이트(131)는 제1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는 제2 높이만큼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131)의 높이가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은 보다 안정적으로 캔버스 또는 작품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130)를 구성하는 받침 플레이트(131),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는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a)와 같이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의 돌출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돌출 높이는 받침 플레이트(131)의 높이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의 돌출 높이가 결정됨에 따라 캔버스 또는 작품이 받침부(130)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b)와 같이 전면 돌출부(132) 및 후면 돌출부(133)의 돌출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돌출부(132)는 제1 높이만큼 돌출되고, 후면 돌출부(133)는 제2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높이 및 제2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가 제2 높이보다 큰 경우, 아티스트의 작품 활동 중 발생하여 받침부(130) 상으로 부산물들은 보다 용이하게 받침부(130)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높이가 제2 높이보다 작을 경우, 캔버스 또는 작품을 받침부(1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상기 돌출 높이는 받침 플레이트(131)의 높이보다는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c)와 같이 받침부(130)는 전면 돌출부(132)만을 구비할 수 있다. 받침부(130)에 후면 돌출부(133)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전면 돌출부(132)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받침대(130) 상에 쌓이는 먼지, 부산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받침부(13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작품 활동을 하는 경우 지우개 가루 등의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받침부(130)에 전면 돌출부(132) 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받침부(130)를 청소하지 않아도 부산물 등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받침부(130)에 구비되어 있는 전면 돌출부(132)로 인해 캔버스 또는 작품 등은 받침부(130)의 외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받침부(130)에는 본체부(120)에 형성된 높이 조절용 홈(22a, 23a)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131)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131) 상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높낮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지지부(110)와 본체부(120)을 힌지 결합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0)의 상단부는 제1 연결부(151)를 통해 상부 연결대(125)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고, 지지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111)는 제2 연결부(161)를 통해 중앙 구조체(1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젤이 수납 및 설치 동작을 할 때,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61)가 선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부(161)가 지지부(110)의 가이드부(111)와 결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받침부가 본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40)는 상기 받침부(130)가 본체부(1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132)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132)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중앙 구조체(121)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40)는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 중 상기 받침 플레이트(132)와 결합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받침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40)의 회전 동작에 기반하여 받침부(130)는 본체부(120)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본체부(120)가 상기 결합부(140)를 통해 받침부(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이젤을 이동할 때에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부(130)가 본체부(120)에 결합되어 있을 때, 결합부(140)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부(130)와 본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홈은 중앙 구조체(121)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140)는 결합 홈이 상기 중앙 구조체(121)에 맞물리며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0)는 받침부(130)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140) 및 받침부(130)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받침부(130)는 본체부(120)와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131)와 평행일 때는 상기 본체부(120)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131)와 평행이 아닐 때는 상기 본체부(120)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의 (a)와 같이 결합부(140)가 받침 플레이트(131)와 평행인 상태로 결합되어 있을 때는 받침부(130)와 본체부(120)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도 5의 (b)와 같이 결합부(140)가 받침 플레이트(131)와 평행이 아닌 상태로 결합되어 있을 때는 받침부(130)와 본체부(120)는 분리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받침부(13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캔버스 또는 작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받침부(130)가 결합부(140)와의 결합을 통해 중앙 구조체(121) 상에서 위치하는 지점에 따라, 캔버스 또는 작품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젤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가이드부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이드부(111)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복수의 가이드 홈(114)을 포함하는 가이드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114)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11)에 포함된 복수의 가이드 홈(114)은 제1 가이드 홈(14a), 제2 가이드 홈(14b), 제3 가이드 홈(14c) 및 제4 가이드 홈(1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되,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복수의 가이드 홈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경우에 따라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161)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 중 적어도 하나에 결착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61)가 결착되어 있는 가이드 홈의 종류에 따라 본체부(12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을 연결하는 가이드 패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패스의 폭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11)에 포함된 복수의 가이드 홈(114)에는 상부 연장 홈(11a) 및 하부 연장 홈(11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 홈(11a)은 상기 가이드 패스가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장 홈(11b)은 상기 가이드 패스가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으로, 상기 제4 가이드 홈(14d) 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연장 홈(11a)은 상기 가이드 패스가 제1 길이만큼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연장 홈(11b)은 상기 가이드 패스가 제2 길이만큼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길이는 제2 길이보다 길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보다 낮은 각도로 본체부(120)를 기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길이는 제2 길이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이젤이 보다 세워진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의 직경, 상부 연장 홈(11a)의 직경 및 하부 연장 홈(11b)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홈(14a) 내지 제4 가이드 홈(14d)은 제1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 연장 홈(11a)은 제2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부 연장 홈(11b)은 제3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직경 내지 제3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제3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이드 홈은 제1 가이드 홈(15a), 제2 가이드 홈(15b), 제3 가이드 홈(15c) 및 제4 가이드 홈(15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5a)은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15b)은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홈(15a)은 상기 제2 가이드 홈(15b)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가이드 홈(15c)은 제3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4 가이드 홈(15d)은 제4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가이드 홈(15c)은 상기 제4 가이드 홈(15d)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직경은 제4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 홈(15c)은 제4 가이드 홈(15d) 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가이드 홈들은 지지부(110)의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부(110)가 본체부(120)를 받쳐줌으로써 발생하는 하중의 분산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161)가 제4 가이드 홈(15d)에 결착될 때 하중이 가장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제4 가이드 홈(15d)의 직경을 가장 넓게 함으로써 가이드부(111)에 걸리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이드 홈은 제1 그룹의 가이드 홈 및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룹의 가이드 홈은 제1 가이드 홈(16a), 제2 가이드 홈(16b), 제3 가이드 홈(16c) 및 제4 가이드 홈(16d)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은 제5 가이드 홈(17a), 제6 가이드 홈(17b), 제7 가이드 홈(17c) 및 제8 가이드 홈(17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가이드 홈과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의 개수 및 형상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제1 그룹의 가이드 홈과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은 가이드 패스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가이드 홈의 직경은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 홈(16a) 및 제5 가이드 홈(17a)의 직경은 제1 직경일 수 있고, 제2 가이드 홈(16b) 및 제6 가이드 홈(17b)의 직경은 제2 직경일 수 있으며, 제3 가이드 홈(16c) 및 제7 가이드 홈(17c)의 직경은 제3 직경일 수 있고, 제4 가이드 홈(16d) 및 제8 가이드 홈(17d)의 직경은 제4 직경일 수 있다. 이때, 도 8의 (a)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룹의 가이드 홈의 직경과 제2 그룹의 가이드 홈의 직경은 지지부(110)의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111)는 도 8의 (b)와 같은 형태의 복수의 가이드 홈 외에 상부 연장 홈(11a) 및 하부 연장 홈(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젤에 있어서,
    복수의 구조체 및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가 상기 본체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조체는 좌측 구조체 및 우측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좌측 구조체와 상기 우측 구조체를 고정된 상태로 연결하는 상부 연결대 및 하부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구조체 및 상기 우측 구조체에는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복수의 높이 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용 홈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받침 플레이트, 전면 돌출부 및 후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돌출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후면 돌출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제2 길이만큼 돌출되되,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상이하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은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가이드 홈.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가이드 홈, 제3 직경을 가지는 제3 가이드 홈 및 제4 직경을 가지는 제4 가이드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가이드 홈은 상기 제4 가이드 홈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제4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3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크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 연장 홈 및 하부 연장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장 홈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 홈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장 홈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 가능 이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 돌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분리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평행일 때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평행이 아닐 때는 상기 본체부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각도 조절 가능 이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 연결대 및 상기 하부 연결대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중앙 구조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 가능 이젤.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230000997U 2023-05-18 2023-05-18 각도 조절 가능 이젤 KR20049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997U KR200498055Y1 (ko) 2023-05-18 2023-05-18 각도 조절 가능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997U KR200498055Y1 (ko) 2023-05-18 2023-05-18 각도 조절 가능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055Y1 true KR200498055Y1 (ko) 2024-06-05

Family

ID=9146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997U KR200498055Y1 (ko) 2023-05-18 2023-05-18 각도 조절 가능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05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206Y1 (ko) * 2003-07-04 2003-10-08 송천섭 이젤
JP3105390U (ja) * 2004-05-20 2004-10-28 保雄 富坂 イーゼル
KR20090120727A (ko) * 2008-05-20 2009-11-25 김학무 개량 화판지지용 이젤
KR20120008474U (ko) * 2011-06-01 2012-12-11 박준규 개선된 접철 구조를 갖는 이젤
CN112869438A (zh) * 2021-01-13 2021-06-01 尹莹 一种具有多方向伸缩调节的油画绘画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206Y1 (ko) * 2003-07-04 2003-10-08 송천섭 이젤
JP3105390U (ja) * 2004-05-20 2004-10-28 保雄 富坂 イーゼル
KR20090120727A (ko) * 2008-05-20 2009-11-25 김학무 개량 화판지지용 이젤
KR20120008474U (ko) * 2011-06-01 2012-12-11 박준규 개선된 접철 구조를 갖는 이젤
CN112869438A (zh) * 2021-01-13 2021-06-01 尹莹 一种具有多方向伸缩调节的油画绘画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888B2 (en) Table-board-partition
US6666424B2 (en) Portable writing board structure
US20190353297A1 (en) Multi-display stand
WO2019024945A1 (zh) 多功能折叠手推车
US20120031310A1 (en) Ergonomically designed large display multipurpose workstation
US20080210144A1 (en) Table
JP2010524633A (ja) 移動可能な一体化された自立型ワークステーション
US9113709B2 (en) Artist's easel and method
CA2561456A1 (en) Easel with support structure
US20080006749A1 (en) Multi-purpose utility-stand suitable for laptop-PC's
US20210045523A1 (en) Collapsible Measuring and Cutting Craft Table
US20220015536A1 (en) Adjustable table apparatus and method
US20110036276A1 (en) Wire Management Vanity Panel for Folding Table
US20170112277A1 (en) Portable table assembly
KR200498055Y1 (ko) 각도 조절 가능 이젤
US9144330B2 (en) Display device
US20100277043A1 (en) Configurable modular articulating table and credenza assembly
US6530631B2 (en) Mobile workstation storage device
US20210278751A1 (en) Rolling stand base
US20160220026A1 (en) Foldable chair
US10098457B2 (en) Convertible furniture article
KR2017003982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수납 시스템
CN111528658B (zh) 一种展示台
JP4739268B2 (ja) 支持スタンド
KR20160065626A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