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65Y1 -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65Y1
KR200497965Y1 KR2020230000793U KR20230000793U KR200497965Y1 KR 200497965 Y1 KR200497965 Y1 KR 200497965Y1 KR 2020230000793 U KR2020230000793 U KR 2020230000793U KR 20230000793 U KR20230000793 U KR 20230000793U KR 200497965 Y1 KR200497965 Y1 KR 200497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outer skin
present
fabric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7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대
Original Assignee
김장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대 filed Critical 김장대
Priority to KR202023000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65Y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전체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멍이나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 충전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 내부에서 충전재가 한 곳으로 뭉치는 문제를 방지하여 다운 의류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안감 및 겉감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외피부와, 충전재와,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접합부와, 상기 외피부, 충전재, 접합부를 포함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This design strengthens the overall structure by composing down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to improve durability, minimizes the loss of filling material when holes or leaks occur, and minimizes the loss of filler material inside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It relates to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a filler that improves the thermal insulation of down clothing 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filler clumping together in one place, comprising an outer skin part that includes a lining and an outer fabric and forms an internal space, a filler, and a first It includes a joint including a joint member and a second joint member, and a unit including the outer skin, a filler, and a joint.

Description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본 고안은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에 사용되는 원단에 있어서, 원단을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전체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멍이나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 충전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원단 내부에서 충전재가 한 곳으로 뭉치는 문제를 방지하여 원단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durability by strengthening the overall structure by composing the fabric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for fabrics used in down clothing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and minimizes loss of filler when holes or leaks occur. It relates to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 that improves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fabric 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filler clumping in one place inside the fabric.

다운 및 패딩 의류는 오리털 점퍼로 통칭되는 방한복의 일종으로 안감과 겉감 사이에 통기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오리나 거위의 가슴털인 다운이 채워지게 된다.Down and padded clothing, commonly known as duck down jumpers, is a type of winter clothing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lining and the outer material is filled with down, which is the chest hair of ducks or geese with excellent breathability and thermal insulation.

일반적인 다운 및 패딩 의류는 안감과 겉감의 사이에 충전된 다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옷의 아래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횡방향으로 봉제하고, 그 봉제선 사이의 분할 공간에 다운이 충전된다.General down and padded clothing are sewn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down filled between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from drifting to the bottom of the clothing over time, and the divided space between the seams is filled with down. .

그러나, 이 경우 안감과 겉감이 적접 봉제되기 때문에 봉제사가 관통된 봉제구멍을 통해 다운이 외부로 쉽게 누출될 뿐만 아니라, 봉제구멍을 통해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배출되어 의류의 보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because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are directly sewn, not only does the down easily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wing hole through which the sewing thread penetrates, but also the cold air from the outside flows in through the sewing hole and the warm air inside is discharged, causing damage to the cloth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mal insulation was deteriorated.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0479428호가 있다.Prior art related to this includes domestically registered patent No. 0479428.

그런데, 국내등록특허 0479428호의 경우, 안감과 겉감 사이에 부직포 재질의 원단테이프를 개재시켜 봉제한 상태에서 봉제선 부위에 열을 가해 봉제구멍을 밀폐하므로, 봉제선 부위의 안감과 겉감 사이가 완전히 접합되어 봉제선 부위의 보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0479428, a non-woven fabric tape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and the sewing hole is sealed by applying heat to the seam area, so that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at the seam area are completely joined, thereby sealing the seam li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area was greatly reduced.

또한, 안감과 겉감으로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바늘 및 봉제사가 관통된 봉제구멍을 통해 다운의 누출이 심각하고, 안감과 겉감 사이에 부직포 재질의 원단테이프 적용시 신축성 소재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elastic materials are used for the lining and outer fabric, down leakage is serious through sewing holes through which needles and sewing threads penetrate, and when non-woven fabric tape is applied between the lining and outer fabric, the function of the elastic material is greatly reduced. There was this.

한편, 원단구조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091호에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이 기재되어 있다. Meanwhile, as a technology for the fabric structure, a fabric bonding structure and fabric processed products including the same are describ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43091.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멍이나 누출 등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충전재의 누출을 최소화하며, 원단 내부에서 충전재가 한 곳으로 뭉치는 문제를 방지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의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esign is to improve durability by strengthening the overall structure, minimize leakage of filling material when problems such as holes or leaks occur, and prevent the problem of filling material clumping together in one place inside the fabric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for down clothing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a filler that can be easily repaired and replaced,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reducing costs.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체형과 사이즈에 맞게 원단구조를 조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착용감을 제공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의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for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containing filling that provides an optimized fit for each individual by combining fabric structures to suit various body types and size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산과 유통 단계에서 적재, 운반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by facilitating loading, transportation, and processing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심미적으로 입체감이 있는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that can form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into an aesthetically three-dimensional design.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안감 및 겉감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외피부와, 충전재와,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접합부와, 상기 외피부, 충전재, 접합부를 포함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ning and the outer skin, an outer skin forming an internal space, a filler, a first joining member, and a second joining member. It includes a joint including a member, and a unit including the outer skin, a filler, and the joint.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전체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구멍이나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 충전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제품 내부에서 충전재가 한 곳으로 뭉치는 문제를 방지하여 제품의 보온성을 향상시킨다.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overall structure by composing down clothes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improving durability and minimizing the loss of the filler when a hole or leak occurs. It improves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product by preventing the filling material from clumping together in one place inside the produc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제품의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making it easy to repair and replace the product,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reducing costs.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다양한 체형과 사이즈에 맞게 원단구조를 조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착용감의 제품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down clothing and miscellaneous goods such as bags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and provides a product with an optimized fit for the individual by combining the fabric structure to suit various body types and sizes. .

또한, 본 고안의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복수개의 작은 단위로 구성하여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 적재, 운반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by configuring down clothes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into a plurality of small units, making it easy to load, transport and process them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

또한, 본 고안의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유닛을 연결하여 하나의 제품을 이루는 것으로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심미적으로 입체감이 있는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one produc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and can form an aesthetically three-dimensional design for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You can.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충전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부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l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development of the outer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outer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 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t this time, note that in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indicated by identical symbols whenever possible.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locat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충전재(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부(100)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이며, 도 7 내지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부(100)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showing,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5 is a developed view of the outer skin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s 7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skin 100.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300)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는 안감(120) 및 겉감(110)을 포함하며 내부공간(200)을 형성하는 외피부(100)와, 충전재(300)와, 제1접합부재(410) 및 제2접합부재(420)를 포함하는 접합부(400)와, 상기 외피부(100), 충전재(300), 접합부(400)를 포함하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12,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including the fill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ing 120 and an outer fabric 110 and forms an outer space 200. A joint portion 400 including skin 100, a filler 300, a first joint member 410, and a second joint member 420, and the outer skin portion 100, the filler 300, and the joint portio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containing 400).

유닛은 복수개가 결합하여 하나의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이루는 구성단위이다. 상기 유닛은 외피부(100), 충전재(300), 접합부(400)를 포함하며, 복수개가 연결되어 결합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원단을 구성할 수 있다. A unit is a unit that combines multiple units to form one miscellaneous item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The unit includes an outer skin 100, a filler 300, and a joint 400, and a plurality of them can be connected and combined to form a single fabric for forming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닛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경우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유닛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경우 충전재(300)가 한 곳에 뭉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가 유연한 움직임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의 디자인, 기능 및 제작 효율성을 고려하여 크기가 결정된다. Meanwhil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unit becomes too small, productivity may decrease, and if the size of the unit becomes too large, problems may arise where the filler 300 is lumped in one place or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may not move smoothly. Problems may arise.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un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function, and manufacturing efficiency of down clothing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외피부(100)는 상기 충전재(30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200)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안감(120) 및 겉감(110)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120) 및 겉감(110)은 결합하여 상기 충전재(30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20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겉감(110)은 유닛으로 구성된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에 있어서 외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상기 안감(120)은 내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The outer skin 100 forms an internal space 200 that can accommodate the filler 3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includes a lining 120 and an outer fabric 110, and the lining 120 and the outer fabric 110 are combined to accommodate the filler 300. Forms an internal space 200. Meanwhile, the outer fabric 110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down clothing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composed of units, and the lining 120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충전재(300)는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의 보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내부 충전물이다. 상기 충전재(300)는 상기 외피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200)에 수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재(300)는 오리털, 거위털, 인공 충전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ller 300 is an internal filler that serves to increase the warmth of down clothing and bags and other miscellaneous goods. The fill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200 formed by the outer skin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ck down, goose down, artificial filler, etc. may be used as the filler 300.

접합부(400)는 상기 외피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한 유닛과 다른 한 유닛을 연결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400)는 제1접합부재(410) 및 제2접합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합부재(410)는 상기 안감(12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부재(420)는 상기 겉감(1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합부재(410) 및 제2접합부재(420)는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200)을 폐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겉감(110)은 상기 겉감(110)으로부터 연장된 제1접합부재(410)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제1접합부재(410)가 결합하여 유닛의 외측면에 형상을 이루며 내부공간(20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내부공간(200)으로 충전재(300)가 수용된다. 이후, 상기 겉감(110)으로부터 연장된 제1접합부재(410)와 상기 안감(120)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2접합부재(420)가 서로 대응하는 부분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간(200)을 폐쇄하여 유닛을 이룬다. The joint 400 extends from the outer skin 100 and connects one unit to another un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400 includes a first joint member 410 and a second joint member 420. The first joining member 410 extends from the lining 120,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420 extends from the outer fabric 110. Additionally, the first joining member 410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420 are combined to close the internal space 200. 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abric 110 is formed by combining corresponding first bonding members 410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bonding member 410 extending from the outer fabric 110 to form a unit. It forms a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and forms an internal space 200. Thereafter, the filling material 3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200. Thereafter, the first joining member 410 extending from the outer fabric 110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420 extending from the lining 120 are joined to corresponding parts to close the internal space 200. form a unit.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한 유닛의 접합부(400)는 다른 유닛의 접합부(400)와 완전히 포개지도록 접합하여 유닛의 밑면과 다른 유닛의 밑면이 간극이 없이 밀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접합부(400)로 인해 유닛과 유닛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의 보온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portion 400 of one unit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joint portion 400 of another unit, so that the bottom of the unit and the bottom of the other unit can be connected in close contact without a gap. This configura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a gap between the units due to the joint portion 400.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400)가 서로 접합되는 방식은 봉제, 고주파 융착, 레이저 접합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400)는 재봉을 통해서 접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닛은 재봉선(50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method of joining the joints 400 to each other are possible, such as sewing, high-frequency fusion, and laser bonding.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s 400 are sewn. It is joined through. Accordingly, a sewing line 500 may be formed in th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상기 충전재(300)를 수용하였을 때 다각형의 기둥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기 외피부(100) 및 상기 외피부(100)가 이루는 내부공간(200)은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이루어 상기 내부공간(200)에 충전재(300)를 완전히 충전하였을 때 유닛이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닛의 형상은 외피부(100) 및 내부공간(200)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체적으로 형상을 이루는 충전재(300)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충전재(300)의 형상에 의해 유닛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to 1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when receiving the filler 300. 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and the inner space 200 formed by the outer skin portion 1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and a filler 300 is added to the inner space 200. ) When fully charged, the unit is formed into a polygonal column shape.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unit is determined by the outer skin 100 and the internal space 200,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300 that forms its own shape is not used. This configuration is to prevent the shape of the unit from being deformed by the shape of the filler 300.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입체형상을 이루기 위해 접히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입체형상을 이루기 위해 접히는 부분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힘선(600)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have a folded portion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 fold line 600 may be formed to guide the folded portion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한편, 도 5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재(300)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피부(100)는 상기 충전재(300)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공간(200)에 충전재(300)를 수용하였을 때 다각형의 기둥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제척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재(300)는 자체적으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외피부(100)는 상기 충전재(3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겉감(110)에서 유닛의 상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안감(120)에서 유닛의 저면에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겉감(110)에서 유닛에 옆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복수개의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충전재(300) 및 외피부(100)에 의해 형성된 유닛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밑면으로 하는 다면체 혹은 입체도형의 형상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정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생산한 유닛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to 11,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300 is formed in a polygonal pillar shape. The outer skin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column shape when the fill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200 corresponding to the filler 300. To put it more broad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300 forms its own shape, and the outer skin 1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ller 300.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outer fabric 1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ortion of the lining 12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unit.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outer fabric 110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tangles of the same shape.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unit formed by the filler 300 and the outer skin 100 can be a polyhedron or three-dimensional shape with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s, squares, pentagons, and diamonds as the bottom, and the preferre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embodiment, the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gular polygonal column.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production of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of various designs with units produc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100)는 각 옆면이 접하는 모서리가 결합하여 입체형상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부(100)가 입체도형의 형상을 이루었을 때 서로 접하며 연결되지 않은 각 면의 모서리는 봉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100)에 형성되는 봉제선(50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외피부(100)에서 각 면의 모서리가 결합되는 방식은 봉제 이외에도 고주파 융착, 레이저 접합 등 다양한 방식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is formed in a polygonal pillar shape, and the edges of each side of the outer skin portion 100 are join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More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pillar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12, and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When the shape is formed, the edges of each side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not connected can be joined by sewing. At this time, the seam line 500 formed 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is as shown in FIGS. 1 and 9. Meanwhile, the edges of each side of the outer skin 100 can be join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high-frequency fusion and laser bonding, in addition to sewing.

한편, 도 5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피부(100)는 입체도형의 전개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부(100)는 겉감(110), 안감(120), 제1연결부재(410), 제2연결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겉감(110)은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의 옆면과 상기 옆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연결부재(410)가 형성되며, 상기 안감(120)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감(120)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연결부재(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겉감(110)은 각 옆면이 이웃한 옆면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밑면이 개방된 입체도형의 형상을 이룬다. 이후, 제1연결부재(410) 및 제2연결부재(420)가 결합하여 상기 겉감(110) 및 안감(120)이 연결되어 상기 외피부(100)는 입체도형의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겉감(110)의 각 옆면이 결합하는 방식은 봉제, 고주파 융착, 레이저 접합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피부(100)의 각 옆면은 서로 봉제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부(10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에 봉제선(500)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and 1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the developed shape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and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include an outer fabric 110, It includes a lining 120, a first connecting member 410,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420, and the outer fabric 110 has a polygonal upper surface, rectangular side surfaces extending from each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 first connecting member 410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lining 12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420 can be formed by extending from each side of the lining 120. Each side of the outer fabric 110 is joined to the edge of an adjacent sid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re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20 are combined to connect the outer fabric 110 and the lining 120, so that the outer skin portion 100 forms a three-dimensional shape. Meanwhile, various methods are possible for joining each side of the outer skin 110, such as sewing, high-frequency fusion, and laser bonding.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ide of the outer skin 100 is sewn and joined to each other. . Accordingly, the outer skin portion 100 may have seam lines 500 formed at the corners of each side as shown in FIGS. 1 and 9 .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생산의 용이성을 위해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연결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size and shape by connecting units to form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for ease of produ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o construct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400)는 상기 외피부(100)가 충전재(300)를 수용하였을 때 상기 외피부(100)의 한 밑면의 각 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각 밑변에 접합부(400)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생성되는 유닛에 있어서, 유닛의 각 접합부(400)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유닛을 견고하게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며, 유닛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생산의 용이성을 위해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연결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다양한 형상의 유닛을 사용하여 다운 의류 및 가방 등 잡화류를 구성하는 경우 각 유닛의 접합부(400)의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portion 400 is formed to be located on each side of one bottom of the outer skin portion 100 when the outer skin portion 100 accommodates the filler 300. To be more specific,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unit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a joint portion 400 is created at each bottom of the unit.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units to be firmly connected by making the length of each joint 400 of the units the same in units produced with the same size and shape, and facilitates the connection of the units.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size and shape by connecting units to form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for ease of produ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o construct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nits of various shapes are used to construct miscellaneous goods such as down clothing and bag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joint portion 400 of each unit is the same.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의 형태는 다각형의 기둥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입체형상이 가능하며, 상기 외피부(100) 및 충전재(300)는 다양한 형태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의 밑면은 정삼각형, 정사각형과 같은 형태의 유닛을 서로 결합하였을 때 이격된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도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can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in addition to a polygonal column shape, and the outer skin 100 and the filler 300 can be form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unit is preferably shaped to prevent spaced areas from occurring when units in the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or squar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높이가 밑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의 높이는 8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유닛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unit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om.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unit is 8 cm or less. This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ensure that the unit maintains its shape stably without being shake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 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0 : 외피부
110 : 겉감
120 : 안감
200 : 내부공간
300 : 충전재
400 : 접합부
410 : 제1접합부재
420 : 제2접합부재
500 : 재봉선
600 : 접힘선
100: outer skin
110: Outer fabric
120: Lining
200: Internal space
300: Filler
400: junction
410: First joining member
420: Second joining member
500: Sewing line
600: fold line

Claims (7)

복수개의 유닛을 결합하여 하나의 원단을 구성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외피부, 충전재,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는 상기 충전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충전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외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한 유닛과 다른 한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유닛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는 안감 및 겉감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 및 겉감은 결합하여 상기 충전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접합부는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합부재는 상기 안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겉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는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외피부는 상기 충전재를 수용하였을 때 다각형의 기둥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외피부가 충전재를 수용하였을 때 상기 외피부의 한 밑면의 각 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각 옆면이 접하는 모서리가 결합하여 입체형상을 이루며,
상기 겉감에서 유닛 옆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복수개의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
I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units to form one fabric,
The unit includes an outer skin, filler material, and joints,
The outer skin form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ling material,
The filling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The join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uter skin,
The junction connects one unit to another unit,
Th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llers that are connected and combined,
The outer skin includes a lining and an outer material,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ling material,
The joint includes a first joint member and a second joint member,
The first join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ining,
The second join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fabric,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are combined to close the internal space,
The outer skin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when receiving the filler,
The joint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on each side of one bottom of the outer skin when the outer skin receives the filler,
The outer ski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The outer skin forms a three-dimensional shape by combining the edges of each s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a filler, where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unit in the outer fabri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tangles of the same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개의 유닛을 결합하여 하나의 원단을 구성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외피부, 충전재,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는 상기 충전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충전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외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한 유닛과 다른 한 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유닛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는 안감 및 겉감을 포함하며,
상기 안감 및 겉감은 결합하여 상기 충전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접합부는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합부재는 상기 안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겉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접합부재 및 제2접합부재는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충전재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상기 충전재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충전재를 수용하였을 때 다각형의 기둥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외피부가 충전재를 수용하였을 때 상기 외피부의 한 밑면의 각 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각 옆면이 접하는 모서리가 결합하여 입체형상을 이루며,
상기 겉감에서 유닛 옆면에 대응하는 부분은 복수개의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
In the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units to form one fabric,
The unit includes an outer skin, filler material, and joints,
The outer skin form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ling material,
The filling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The join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uter skin,
The junction connects one unit to another unit,
Th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llers that are connected and combined,
The outer skin includes a lining and an outer material,
The lining and the outer fabric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lling material,
The joint includes a first joint member and a second joint member,
The first join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ining,
The second join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fabric,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are combined to close the internal space,
The fill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The outer ski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when the filler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filler,
The joint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on each side of one bottom of the outer skin when the outer skin receives the filler,
The outer ski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The outer skin forms a three-dimensional shape by combining the edges of each side,
A protruding three-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a filler, where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unit in the outer fabri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tangles of the same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30000793U 2023-04-20 2023-04-20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KR2004979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793U KR200497965Y1 (en) 2023-04-20 2023-04-20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793U KR200497965Y1 (en) 2023-04-20 2023-04-20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65Y1 true KR200497965Y1 (en) 2024-04-29

Family

ID=9086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793U KR200497965Y1 (en) 2023-04-20 2023-04-20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65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714A (en) * 1981-08-31 1984-07-17 Lin Jinn P Multi-function cushion and its assemblies
KR20090007110U (en) * 2009-06-20 2009-07-13 곽병두 process of manufacture of embossing n\mattress
KR200453620Y1 (en) * 2010-04-16 2011-05-16 권효민 Functional bedding parts and bedding mattress using the same
KR101743091B1 (en) * 2015-10-20 2017-06-02 주식회사 영원무역 Bonding structure of fabric and processed fabric goods having the same
US20200345149A1 (en) * 2018-06-26 2020-11-0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Pocketed Spring Comfort Layer Having At Least One Foam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714A (en) * 1981-08-31 1984-07-17 Lin Jinn P Multi-function cushion and its assemblies
KR20090007110U (en) * 2009-06-20 2009-07-13 곽병두 process of manufacture of embossing n\mattress
KR200453620Y1 (en) * 2010-04-16 2011-05-16 권효민 Functional bedding parts and bedding mattress using the same
KR101743091B1 (en) * 2015-10-20 2017-06-02 주식회사 영원무역 Bonding structure of fabric and processed fabric goods having the same
US20200345149A1 (en) * 2018-06-26 2020-11-05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Pocketed Spring Comfort Layer Having At Least One Foam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923B1 (en) Pillow having cross-flow mesh inserts
EP3205222B1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for a garment
JP2017523831A (en) Adhesive manufacturing method for clothing and other fabric products
ES2235148T3 (en) PROCEDURE TO SEAL THE UNION BETWEEN A ZIPPER AND A CLOTH WITH A LINING.
US10512340B2 (en) Pocketed spring assembly comprising strings of springs with tabs
KR200497965Y1 (en) Three dimensional fabric structure containing fillers
KR101911881B1 (en) Bag of structure improvement type
US20050017459A1 (en) Dryer seal
KR20170046038A (en) Bonding structure of fabric and processed fabric goods having the same
KR101814984B1 (en) Insulated fiberfill
KR101453346B1 (en) Down jacket having seam sealing tape and sewing method of down jacket using the same
US6681785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tent
US20130340172A1 (en) Faux gusseted pillow shell
KR101560163B1 (en) Grid type down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077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wn product using air curtain
JP6491905B2 (en) Buffer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00763A1 (en) Cold protection material,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cold protection wear
JPS6212094B2 (en)
US20150044400A1 (en) Insulating method and product
JPWO2018100763A1 (en) Cold protection material, cold protec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protection clothing
JP3051850U (en) Outer edge reinforcement structure of bag-shaped heat insulating member
KR20160144954A (en) Method for Sewing Down Clothing and Down Clothing Producing by the Same
KR20190104918A (en) Container bag having units including corner space portion
KR20190140562A (en) Container bag having pair unit
KR101970482B1 (en) Down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