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54Y1 -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 Google Patents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54Y1
KR200497954Y1 KR2020220000418U KR20220000418U KR200497954Y1 KR 200497954 Y1 KR200497954 Y1 KR 200497954Y1 KR 2020220000418 U KR2020220000418 U KR 2020220000418U KR 20220000418 U KR20220000418 U KR 20220000418U KR 200497954 Y1 KR200497954 Y1 KR 200497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and string
cross bar
string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81U (ko
Inventor
강민찬
Original Assignee
강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찬 filed Critical 강민찬
Priority to KR2020220000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5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두께의 스텐판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몸체로서,
양쪽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접어서 형성된 측부(111,112)와,
양 측부(111,11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대(121,122,123)와,
양 측부(111,112)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바깥쪽 가장자리(171,172)는 둥글게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131,1132)와,
날개(131,1132)의 안쪽(가로대 쪽)에는 안쪽가장자리(173,174)가 하방으로 소정각도 꺾여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136,137)와,
날개(131)와 가로대(121) 사이, 가로대(121)와 가로대(122) 사이, 가로대(122)와 가로대(123) 사이 및 가로대(123)와 날개(132)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납작한 밴드끈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 밴드끈구멍(161,162,163,164)과,
밴드끈은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여 묶을 물건을 두른 다음, 밴드끈의 한쪽 끝부분(141)은 가로대(121)과 가로대(122)의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1)과 스토퍼(136)사이 밴드끈구멍(161)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고정부(151)에 의해 밴드끈에 끝부분(141)이 고정되며, 또한 밴드끈의 반대쪽 끝부분(142)은 가로대(122)와 가로대 123) 사이의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3)과 스토퍼(137) 사이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당겨서 물건을 조여서 묶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Band buckle structure}
본 고안은 납작한 밴드를 체결하여 양쪽으로 당겨서 조임하는 밴드끈 버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 두께의 스텐판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몸체로서,
양쪽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접어서 형성된 측부(111,112)와,
양 측부(111,11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대(121,122,123)와,
양 측부(111,112)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바깥쪽 가장자리(171,172)는 둥글게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131,1132)와,
날개(131,1132)의 안쪽(가로대 쪽)에는 안쪽가장자리(173,174)가 하방으로 소정각도 꺾여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136,137)와,
날개(131)와 가로대(121) 사이, 가로대(121)와 가로대(122) 사이, 가로대(122)와 가로대(123) 사이 및 가로대(123)와 날개(132)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납작한 밴드끈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 밴드끈구멍(161,162,163,164)과,
밴드끈은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여 묶을 물건을 두른 다음, 밴드끈의 한쪽 끝부분(141)은 가로대(121)과 가로대(122)의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1)과 스토퍼(136)사이 밴드끈구멍(161)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고정부(151)에 의해 밴드끈에 끝부분(141)이 고정되며, 또한 밴드끈의 반대쪽 끝부분(142)은 가로대(122)와 가로대 123) 사이의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3)과 스토퍼(137) 사이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당겨서 물건을 조여서 묶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는 한쪽으로만 밴드끈을 당겨서 물건을 묶기 때문에 풀리기 쉬울 뿐 아니라 묶은 끈을 잡고 들고 가다보면 끈이 헐렁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283245호에 끈의 한쪽 끝을 당겨 조임하는 버클 끈 조리개가 공지되어 있다.
본 고안은 밴드끈을 양쪽으로 당겨서 조임하는 버클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단한 조임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쪽 끝을 고정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들고하면 물건이 그 무게에 의해 더욱 단단하게 조임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밴드끈을 양쪽으로 체결하여 양 끝을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조임하도록 형성된 스텐판재로 형성된 밴드끈 조임용 버클구조를 제공함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두께의 스텐판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몸체로서,
양쪽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접어서 형성된 측부(111,112)와,
양 측부(111,11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대(121,122,123)와,
양 측부(111,112)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바깥쪽 가장자리(171,172)는 둥글게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131,1132)와,
날개(131,1132)의 안쪽(가로대 쪽)에는 안쪽가장자리(173,174)가 하방으로 소정각도 꺾여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136,137)와,
날개(131)와 가로대(121) 사이, 가로대(121)와 가로대(122) 사이, 가로대(122)와 가로대(123) 사이 및 가로대(123)와 날개(132)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납작한 밴드끈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 밴드끈구멍(161,162,163,164)과,
밴드끈은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여 묶을 물건을 두른 다음, 밴드끈의 한쪽 끝부분(141)은 가로대(121)과 가로대(122)의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1)과 스토퍼(136)사이 밴드끈구멍(161)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고정부(151)에 의해 밴드끈에 끝부분(141)이 고정되며, 또한 밴드끈의 반대쪽 끝부분(142)은 가로대(122)와 가로대 123) 사이의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3)과 스토퍼(137) 사이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당겨서 물건을 조여서 묶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납작한 밴드끈을 양쪽으로 체결으로 밴드끈 양 끝은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조임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을 제공하며, 종래 한쪽으로 만 당겨서 체결하는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강한 조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버클은 소정 두께의 스텐판재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납작한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고 한 쪽 밴드끈 끝부분(141)은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밴드끈구멍(161)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끝부분이 밴드끈이 고정되어 손잡이부(145)를 형성하며, 다른쪽 밴드끈 끝부분(142)은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물건을 묶을 때 밴드끈의 양쪽 끝부분(141,142)를 양 날개 끝 방향으로 당겨서 조임함으로써 간편하게 물건을 조임할 수 있고, 조임 후 밴드끈은 물건과의 조임에 의한 밀착과 스토퍼의 걸림작용에 의해 밴드끈이 고정되는 효과가 있으며 손잡이부(145)를 잡고 물건을 들게되면 조임이 강화되어 더욱 강하게 밀착 걸림되어 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밴드끈을 풀고자 할 때는 밴드끈 끝부분을 잡고 버클의 끝부분을 들어올려주면 밴드끈이 후진하면서 간편하게 풀리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버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버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버클끈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버클끈을 사용하여 1단계 조임을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손잡이부를 당겨 2단계 조임을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얇은 스텐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 개의 스토퍼가 있는 날개와 3개의 구멍으로 형성된 것으로 끈의 한쪽만 잡아당겨 고정하는 것일 뿐 하니라 조임 후 묶은 버클끈을 잡고 들게 되면 풀리거나 헐렁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2는 본 고안이 버클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종래기술과 같이 스텐판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소정 두께의 스텐판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몸체로서, 양쪽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접어서 형성된 측부(111,112)와;
양 측부(111,11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대(121,122,123)와;
양 측부(111,112)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바깥쪽 가장자리(171,172)는 둥글게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안쪽가장자리(173,174)는 하방(묶을 때 물건 쪽을 하방으로 함)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밴드끈을 조임하여 놓을 때 조임이 유지되도록 정지 역할을 하는 스토퍼(136,137)가 형성된 날개(131,132)와;
날개(131)와 가로대(121) 사이, 가로대(121)와 가로대(122) 사이, 가로대(122)와 가로대(123) 사이 및 가로대(123)와 날개(132)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납작한 밴드끈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밴드끈구멍(161,162,163,164);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고 한 쪽 밴드끈 끝부분(141)은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밴드끈구멍(161)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며, 다른쪽 밴드끈 끝부분(142)은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물건을 묶을 때 밴드끈의 양쪽 끝부분(141,142)를 양 날개 끝 방향으로 당겨서 조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건(책 더미)을 둘러서 밴드끈 양쪽을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조임한 다음 놓으면 조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목적과 용도로 통상의 기술범주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00:버클 111,112:측부 121,122,123:가로대 131,132:날개 136,137:스토퍼 140:끈 141,142:끝부분 145:손잡이부 151:고정부 161,162,163,164:밴드끈구멍 171,172:바깥쪽 가장자리 173,174;안쪽가장자리

Claims (1)

  1. 소정 두께의 스텐판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버클몸체로서,

    양쪽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접어서 형성된 측부(111,112)와,

    양 측부(111,11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대(121,122,123)와,

    양 측부(111,112)의 끝부분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바깥쪽 가장자리(171,172)는 둥글게 외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131,1132)와,

    날개(131,1132)의 안쪽(가로대 쪽)에는 안쪽가장자리(173,174)가 하방으로 소정각도 꺾여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136,137)와,

    날개(131)와 가로대(121) 사이, 가로대(121)와 가로대(122) 사이, 가로대(122)와 가로대(123) 사이 및 가로대(123)와 날개(132)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되고 납작한 밴드끈이 통과하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 밴드끈구멍(161,162,163,164)과,

    밴드끈은 하나의 밴드끈을 사용하여 묶을 물건을 두른 다음, 밴드끈의 한쪽 끝부분(141)은 가로대(121)과 가로대(122)의 밴드끈구멍(162)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1)과 스토퍼(136)사이 밴드끈구멍(161)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고정부(151)에 의해 밴드끈에 끝부분(141)이 고정되며, 또한 밴드끈의 반대쪽 끝부분(142)은 가로대(122)와 가로대 123) 사이의 밴드끈구멍(163)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다음 가로대(123)과 스토퍼(137) 사이 밴드끈구멍(164)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당겨서 물건을 조여서 묶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KR2020220000418U 2022-02-13 2022-02-13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KR200497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18U KR200497954Y1 (ko) 2022-02-13 2022-02-13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18U KR200497954Y1 (ko) 2022-02-13 2022-02-13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81U KR20230001681U (ko) 2023-08-22
KR200497954Y1 true KR200497954Y1 (ko) 2024-04-24

Family

ID=8779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18U KR200497954Y1 (ko) 2022-02-13 2022-02-13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5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5792A1 (en) * 2006-12-29 2008-07-03 Tzong In Yeh Strap fastening assembly
CN213247237U (zh) * 2020-08-31 2021-05-25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系绳扣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61Y1 (ko) * 2009-06-03 2012-08-22 박주현 수거 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5792A1 (en) * 2006-12-29 2008-07-03 Tzong In Yeh Strap fastening assembly
CN213247237U (zh) * 2020-08-31 2021-05-25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系绳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81U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877B2 (en) Tie down system
US8590116B2 (en) Loop rope assembly
US3121270A (en) Fastening devices
US3967347A (en) Buckle construction
US2935773A (en) Cable clamps
US3128106A (en) Load tie-down assembly
US10556721B2 (en) Clasp for tethering
GB1308876A (en) Bundle ties
KR200497954Y1 (ko) 밴드끈 조임 버클 구조
US10197132B2 (en) Rope tensioning and fastening device
US20190135162A1 (en) Rope tie down apparatus
JP2008259865A (ja) 荷物を固定するためのバックル
KR20030048766A (ko) 끈 결착구
US3698042A (en) Rope clamps
EP3152459B1 (en) Line tensioner
US3423804A (en) Combination buckle and tie tensioning device
US6409230B1 (en) Cinch cleat and method of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cinching thereto
JPS5924690Y2 (ja) 容器の紐掛け構造
US948585A (en) Baling-tie buckle.
WO2016187731A1 (zh) 四绳缠扣档案盒
CN203873132U (zh) 双钩8字卡孔的绳扣
CN209038205U (zh) 弹性扎带
JP2022135053A (ja) 袋口締め具
TWI799251B (zh) 綁縛攜行裝置
US9642419B1 (en) Shoelace sec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