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52Y1 -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 - Google Patents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52Y1
KR200497952Y1 KR2020230002129U KR20230002129U KR200497952Y1 KR 200497952 Y1 KR200497952 Y1 KR 200497952Y1 KR 2020230002129 U KR2020230002129 U KR 2020230002129U KR 20230002129 U KR20230002129 U KR 20230002129U KR 200497952 Y1 KR200497952 Y1 KR 200497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insertion head
slope
suction tip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형
Original Assignee
이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형 filed Critical 이신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은,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측방으로 외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구조이며, 다수의 경사면 구조가 단차구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주면 구조를 갖는 삽입 헤드부; 상기 삽입 헤드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정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구조의 손가락 파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흡입 튜브와 연통하는 구조로 결속되는 구조의 튜브 연결부; 및 상기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 구조와 평행한 경사면 구조가 내주면에 형성된 원추형 구조이며, 석션팁의 중공형 유동로와 연통하는 구조의 확장캡;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 대상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춤 적용하여 확장캡을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 대상자의 콧구멍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콧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석션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Suction tip with extended cap}
본 고안은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대상자에 따라 맞춤 적용될 수 있는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저항력이 약하여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고,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떨어짐으로, 특히 겨울철에는 감기와 같은 호흡기 계통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자주 걸리게 된다.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흐르거나 콧물에 의한 코막힘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심한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켜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성인들의 경우에도 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 혹은 축농증 등과 같은 질환에 의하여 콧물이 흐르거나 코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코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콧물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유아들은 콧물을 스스로 풀지 못하므로 휴지나 면봉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고, 성인들의 경우는 휴지를 이용하여 콧물을 풀어서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지나 면봉 등을 사용하여 콧물을 제거할 경우 코 주변과 코 내부의 피부가 휴지나 면봉과 마찰되어 피부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콧속의 콧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하여 최근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콧물을 흡입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콧물흡입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콧물 흡입기구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500호(명칭: 콧물 흡입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팁과 마우스피스가 양측의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콧물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연장된 돌출관을 가진 뚜껑으로 조립된 수장통과, 상기 수장통의 내부로 끼워지는 격판을 가지며, 상기 팁을 연결한 호수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유입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콧물 흡입기구는 콧구멍에 밀착하여 흡입을 수행하는 노즐의 형상이 획일화되어 있고, 그 사이즈 역시 획일화되어 있어, 콧구멍이 서로 다른 적용 대상자에 최적화 되어 맞춤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에게 콧물 흡입기구를 적용할 경우 성인에 비해 작은 콧구멍에 안전하게 밀착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에게도 안전하게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콧물 흡입기구의 경우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일화된 구조로서 적용 대상자에게 맞춤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500호 (등록일자: 2000년02월28일)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대상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춤 적용하여 확장캡을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 대상자의 콧구멍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콧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석션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석션팁은,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측방으로 외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구조이며, 다수의 경사면 구조가 단차구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주면 구조를 갖는 삽입 헤드부; 상기 삽입 헤드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정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구조의 손가락 파지부; 상기 손가락 파지부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흡입 튜브와 연통하는 구조로 결속되는 구조의 튜브 연결부; 및 상기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 구조가 내주면에 형성된 원추형 구조이며, 석션팁의 중공형 유동로와 연통하는 구조의 확장캡;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헤드부는, 상기 삽입 헤드부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1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의 타측단에 제1단차구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타측단에 제2단차구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3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제2경사면 및 제3경사면은, 상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15도이고, 상기 제1경사면, 제2경사면, 제3경사면 순으로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단차구조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차구조는, 상기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11도이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도 내지 14도이며, 상기 제3경사면은 상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9 내지 15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캡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제1경사면, 제2경사면 또는 제3경사면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헤드부는, 상기 제3경사면의 타단부와 튜브 연결부의 연결부분에 형성되고,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삽입 헤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결속돌기; 및 상기 결속돌기의 하부면에 결속돌기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제1결속유도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캡은, 상기 확장캡의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삽입 헤드부의 결속돌기와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의 결속돌기의 외주면과 동일한 홈 구조의 결속홈; 상기 확장캡의 하단부로부터 결속홈의 외측하부면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되고, 확장캠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제2결속유도경사면; 및 상기 결속홈의 내측바닥면에 형성되고, 결속홈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분리유도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석션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삽입 헤드부, 손가락 파지부, 튜브 연결부 및 확장캡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대상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춤 적용하여 확장캡을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 대상자의 콧구멍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콧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석션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석션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석션팁의 삽입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삽입 헤드부에 확장캡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헤드부의 결속돌기와 확장캡의 결속홈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석션팁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100)은 특정 구조의 삽입 헤드부(110), 손가락 파지부(120), 튜브 연결부(130) 및 확장캡(14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대상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춤 적용하여 확장캡(140)을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 대상자의 콧구멍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콧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석션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석션팁의 삽입 헤드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삽입 헤드부에 확장캡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헤드부의 결속돌기와 확장캡의 결속홈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100)의 삽입 헤드부(110)는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측방으로 외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구조이며, 다수의 경사면 구조가 단차구조(112)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주면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파지부(120)는 삽입 헤드부(11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정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결부(130)는 손가락 파지부(12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흡입 튜브와 연통하는 구조로 결속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튜브 연결부(130)는 손가락 파지부(120)의 하단면 정중앙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손가락 파지부(120)의 하단에는 단차형성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형성부(1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팁(100)이 흡입장치에 장착될 때 석션팁(100)의 장착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 장착부에 석션팁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석션팁의 삽입길이와 돌출길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흡입튜브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장창상태와 운용을 보장할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캡(140)은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 구조와 평행한 경사면 구조가 내주면에 형성된 원추형 구조이며, 석션팁의 중공형 유동로와 연통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 헤드부(110)는 특정 구조의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및 제3경사면(111c)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삽입 헤드부(110)의 제1경사면(111a)은 삽입 헤드부(110)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한다. 제2경사면(111b)은 제1경사면(111a)의 타측단에 제1단차구조(112a)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한다. 제3경사면(111c)은 제2경사면(111b)의 타측단에 제2단차구조(112)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언급한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및 제3경사면(111c)은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15도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제3경사면(111c) 순으로 경사각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단차구조(112a), 제1경사면(111a)과 제2경사면(111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일 수 있다. 또한, 제2단차구조(112b)는, 제2경사면(111b)과 제3경사면(111c)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경사면(111a)은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11도일 수 있다. 제2경사면(111b)은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8도 내지 14도일 수 있다. 또한, 제3경사면(111c)은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9 내지 15도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캡(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의 각도는,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또는 제3경사면(111c)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캡(140)의 내주면에는,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부 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 헤드부(110)는 특정 구조의 결속돌기(113) 및 제1결속유도경사면(114)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캡(140)은 특정 구조의 결속홈(141), 제2결속유도경사면(142) 및 분리유도경사면(14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헤드부(110)의 결속돌기(113)는 제3경사면(111c)의 타단부와 튜브 연결부(130)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결속유도경사면(114)은 결속돌기(113)의 하부면에 결속돌기(113)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확장캡(140)의 결속홈(141)은 확장캡(140)의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삽입 헤드부(110)의 결속돌기(113)와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110)의 결속돌기(113)의 외주면과 동일한 홈 구조이다. 제2결속유도경사면(142)은 확장캡(140)의 하단부로부터 결속홈(141)의 외측하부면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확장캠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분리유도경사면(143)은 결속홈(141)의 내측바닥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결속홈(14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석션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삽입 헤드부(110), 손가락 파지부(120), 튜브 연결부(130) 및 확장캡(14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대상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춤 적용하여 확장캡(140)을 손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활용할 수 있고, 사용 대상자의 콧구멍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콧물을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석션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석션팁
110: 삽입 헤드부
111: 경사면
111a: 제1경사면
111b: 제2경사면
111c: 제3경사면
112: 단차구조
112a: 제1단차구조
112b: 제2단차구조
113: 결속돌기
114: 제1결속유도경사면
120: 손가락 파지부
121: 단차형성부
130: 튜브 연결부
140: 확장캡
141: 결속홈
142: 제2결속유도경사면
143: 분리유도경사면

Claims (5)

  1.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일측방으로 외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형 구조이며, 다수의 경사면 구조가 단차구조(112)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외주면 구조를 갖는 삽입 헤드부(110);
    상기 삽입 헤드부(11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정중앙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구조의 손가락 파지부(120);
    상기 손가락 파지부(120)와 일체형 구조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흡입 튜브와 연통하는 구조로 결속되는 구조의 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 구조와 평행한 경사면 구조가 내주면에 형성된 원추형 구조이며, 석션팁의 중공형 유동로와 연통하는 구조의 확장캡(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헤드부(110)는,
    상기 삽입 헤드부(110)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1경사면(111a);
    상기 제1경사면(111a)의 타측단에 제1단차구조(112a)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2경사면(111b); 및
    상기 제2경사면(111b)의 타측단에 제2단차구조(112b)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점차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제3경사면(111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및 제3경사면(111c)은,
    상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5 내지 15도이고,
    상기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제3경사면(111c) 순으로 경사각이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제1단차구조(112a)는,
    상기 제1경사면(111a)과 제2경사면(111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이고,
    상기 제2단차구조(112b)는,
    상기 제2경사면(111b)과 제3경사면(111c)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경사면 구조이며, 석션팁의 내부 정중앙에 형성된 중공구조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캡(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제1경사면(111a), 제2경사면(111b) 또는 제3경사면(111c)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이고,
    상기 확장캡(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부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헤드부(110)는,
    상기 제3경사면(111c)의 타단부와 튜브 연결부(130)의 연결부분에 형성되고,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며, 삽입 헤드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결속돌기(113); 및
    상기 결속돌기(113)의 하부면에 결속돌기(113)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제1결속유도경사면(114);
    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캡(140)은,
    상기 확장캡(140)의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삽입 헤드부(110)의 결속돌기(113)와 면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삽입 헤드부(110)의 결속돌기(113)의 외주면과 동일한 홈 구조의 결속홈(141);
    상기 확장캡(140)의 하단부로부터 결속홈(141)의 외측하부면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되고, 확장캠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제2결속유도경사면(142); 및
    상기 결속홈(141)의 내측바닥면에 형성되고, 결속홈(14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소정 각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분리유도경사면(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팁.
KR2020230002129U 2023-08-02 2023-10-19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 KR2004979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256 2023-08-02
KR20230101256 2023-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52Y1 true KR200497952Y1 (ko) 2024-04-23

Family

ID=9086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129U KR200497952Y1 (ko) 2023-08-02 2023-10-19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5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00Y1 (ko) 1999-12-13 2000-05-1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KR200481166Y1 (ko) * 2015-04-17 2016-08-29 이창연 콧물 흡입기
US9993584B2 (en) * 2015-03-10 2018-06-12 Neilmed Pharmaceuticals, Inc. Nasal aspirator
US20180344993A1 (en) * 2017-05-31 2018-12-06 Robert A. Ganz Blockage clea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20121114A1 (en) * 2018-12-11 2020-06-18 Acclarent, Inc. Nasal suction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tip insert
US20210030469A1 (en) * 2015-03-26 2021-02-04 Garner B. Meads, JR. Nasal coagulation suction device and methods
US20210353363A1 (en) * 2020-05-12 2021-11-18 Acclarent, Inc. Malleable suction instrument with offset position senso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00Y1 (ko) 1999-12-13 2000-05-15 이창연 콧물 흡입기구.
US9993584B2 (en) * 2015-03-10 2018-06-12 Neilmed Pharmaceuticals, Inc. Nasal aspirator
EP3268062B1 (en) * 2015-03-10 2021-05-19 NeilMed Pharmaceuticals, Inc. Nasal aspirator
US20210030469A1 (en) * 2015-03-26 2021-02-04 Garner B. Meads, JR. Nasal coagulation suction device and methods
KR200481166Y1 (ko) * 2015-04-17 2016-08-29 이창연 콧물 흡입기
US20180344993A1 (en) * 2017-05-31 2018-12-06 Robert A. Ganz Blockage clea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20121114A1 (en) * 2018-12-11 2020-06-18 Acclarent, Inc. Nasal suction instrument with interchangeable tip insert
US20210353363A1 (en) * 2020-05-12 2021-11-18 Acclarent, Inc. Malleable suction instrument with offset position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3960B2 (en) Nasal aspirator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US5595172A (en) Suction stylet for use with an endotracheal tube
US20090054923A1 (en) Nasal Device
ES2744713T3 (es) Interfaz nasal para uso con un sistema de presión de vía aérea nasal
US20090062751A1 (en) Medical apparatus for suction and combination irrigation and suction
JP5873185B2 (ja) 共同軸および双手組み合わせ灌注/吸引装置
BR112018016687B1 (pt) Acessório para um aspirador de muco nasal, aspirador de muco nasal, kit para tratamento do trato respiratório superior
ES2540880T3 (es) Guía de fluido para chupete
JP2018507769A5 (ko)
JP2019526330A5 (ko)
KR200497952Y1 (ko) 확장캡을 포함하는 석션팁
JP5993645B2 (ja) 鼻汁吸引器
AU594790B2 (en) Medical suction device
JP2020501627A5 (ko)
CN208212272U (zh) 免粘接气囊多功能一体喉罩
US10682481B2 (en) Attachment for a tracheal device
JP6742033B2 (ja) 気管用アプリケータおよびその使用
KR200481166Y1 (ko) 콧물 흡입기
TW201121595A (en) Band-less breathing mask.
CN208678136U (zh) 胃管固定装置
CN2912671Y (zh) 医用输氧器具的固定装置
KR102534264B1 (ko) 콧물 흡입기구
CN216091789U (zh) 吸氧管
US20150374544A1 (en) Surgical device having a compliant tip with a stepped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