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22Y1 -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 - Google Patents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22Y1
KR200497822Y1 KR2020210002033U KR20210002033U KR200497822Y1 KR 200497822 Y1 KR200497822 Y1 KR 200497822Y1 KR 2020210002033 U KR2020210002033 U KR 2020210002033U KR 20210002033 U KR20210002033 U KR 20210002033U KR 200497822 Y1 KR200497822 Y1 KR 200497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necting device
limiting
connect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32U (ko
Inventor
량 쑨
Original Assignee
량 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량 쑨 filed Critical 량 쑨
Publication of KR20220000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형 구조를 공개하였는 바, 여러 개의 수미가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연결 장치는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여러 개의 상기 연결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고정 장치가 설치된다. 여러 개의 연결 장치가 펼쳐지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펼쳐진 연결 장치를 고정하여, 연결 장치를 펼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펼쳐진 연결 장치에 양호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키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TELESCOPIC STRUCTURE AND TELESCOPIC STOOL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에 관한 것이다.
스툴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휴식용 가구로서 거실, 사무실, 실험실 및 야외장소 등 여러 장소에서 널리 사용된다. 현재 공지된 스툴의 외형 사이즈는 모두 고정되었고, 체형이 커서 야외 운동용으로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원활성이 결핍하여, 이에 따라 신축형 스툴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신축형 스툴의 신축 장치는 신축형 스툴에서 아주 중요한바, 신축형 스툴은 당겨서 편 후에 신뢰성 있는 서포트로 받쳐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왕의 신축 장치는 비록 신축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서포트 효과가 낮아, 신축형 스툴의 하중 능력을 저하시킨다.
본 고안은 이왕의 기술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일종 견고한 구조의 신축형 스툴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신축형 구조로, 여러 개의 수미가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연결 장치는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여러 개의 상기 연결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고정 장치가 설치된다. 여러 개의 연결 장치가 펼쳐지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펼쳐진 연결 장치를 고정하여, 연결 장치를 펼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펼쳐진 연결 장치에 양호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키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에는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이동에 사용할 제1 활동구간이 설치된다. 제1 활동구간은 연결 장치의 이동을 위해 예비공간을 제공하여, 연결 장치의 충족한 활동 범위를 보장함으로써, 신축형 구조의 신축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활동구간은 상기 연결 장치 내벽의 제1 돌기 언저리와 제2 돌기 언저리 사이의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에 축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1 제한 구조를 포함한다. 여러 개의 연결 장치가 펼쳐지면 제1 제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 장치의 축방향에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펼쳐진 연결 장치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연결 장치를 지정한 위치에 효과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연결 장치의 상호 협조를 통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장치에 설치된 제3 돌기 언저리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제3 돌기 언저리와 협조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한다. 신축형 구조가 펼쳐진후, 연결 장치의 제2 돌기는 인접한 연결 장치의 제3 돌기 언저리에 위치하고, 제3 돌기 언저리를 이용하여 연결 장치에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신축형 구조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접한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앞의 연결 장치에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신축형 구조를 더 콤팩트하게 하고, 신축형 구조의 강도를 높여주어, 신축형 구조의 사용시의 견고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는 그외 상기 연결 장치에 원주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2 제한 구조를 포함한다. 여러 개의 연결 장치가 펼쳐지면, 제2 제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 장치의 원주방향에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연결 장치를 움직일 수 없게 함으로써, 제2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에 위치하도록 보장하고, 효과적으로 연결 장치를 지정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여러 개의 연결 장치의 상호 협조를 통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상기 제3 돌기 언저리에 설치된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제2 경사면과 서로 맞물린다. 연결 구조가 펼쳐진후, 제2 돌기는 제3 돌기 언저리 상부에 위치하고,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에 놓이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상호 협조하에 제2 돌기의 무게 중심 위치는 제1 경사면 저부에 놓이게 되어, 제2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돌기와 제3 돌기 언저리의 연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그외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된 제1 연결부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제1 연결부와 협조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한다. 제1 돌기는 제3 돌기 언저리에 협조하여 제2 돌기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진일보하게 제2 돌기와 제3 돌기 언저리의 협조 효과를 향상시키고, 제2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3 돌기 언저리의 제2 돌기에 대한 제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는 그외 상기 연결 장치에 반경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3 제한 구조를 포함한다. 제3 제한 구조는 제1 제한 구조와 제2 제한 구조와의 상호 협조를 통해, 여러 방향에서 연결 장치에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연결 장치 협조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연결 장치 사용 시의 어긋남으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장치에 설치된 제3 돌기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제3 돌기와 협조되는 치마널을 포함한다. 연결 장치를 펼친후, 제3 돌기는 제3 돌기 언저리 상부에 위치하고, 치마널을 이용하여 제3 돌기 언저리 깊이를 향상시킴으로써,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여, 제2 돌기에 대한 고정 역할을 강화한다. 치마널의 작용 하에 여러 각도로부터 제2 돌기에 대해 제한 역할을 하고, 제2 돌기는 오직 제3 돌기 언저리에만 위치할 수 있어, 큰 정도에서 제2 돌기와 돌기 언저리의 협조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신축형 구조의 전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제형 구조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그외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1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제3 돌기 언저리 위에는 제2 활동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활동구간과 상기 제2 활동구간(32) 서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활동구간과 상기 제2 활동구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신축형 구조가 펼친 상태와 수축 상태 사이에서 교체에 이롭게 하였다.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띠 모양 구조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그외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4 돌기 언저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돌기 언저리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는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 장치에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가이드용 제3 활동 공간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M"형 구조이며, 상기 제3 활동 공간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 보다 크고, 제2 연결부는 제3 활동 공간 내에서 원주방향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폭은 제3 활동 공간의 연결 장치 원주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신축형 스툴로서, 스툴 표면과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툴 표면과 상기 베이스는 예컨대 상술한 신축형 구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여러 개의 연결 장치가 펼쳐지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펼쳐진 연결 장치를 고정하여, 연결 장치를 펼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펼쳐진 연결 장치에 양호한 서포트 효과를 향상시키고, 신축형 구조 사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중 연결 장치의 구조 표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F부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G부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1 중 두 개의 연결 장치를 접었을 때의 협조 표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H부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1 중 두 개의 연결 장치를 펼쳤을 때의 협조 표시도이다.
도 7은 도 6 중의 I부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2중 연결 장치의 구조 표시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A부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2중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B부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 중의 C부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2 중 두 개의 연결 장치를 접었을 때의 협조 표시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의 D부위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2 중 두 개의 연결 장치를 펼쳤을 때의 협조 표시도이다.
도 16은 도 15 중의 E부위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신축형 스툴의 구조 표시도이다.
아래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 기술영역의 자로 하여금 본 고안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아래에 본 고안 실시예 중의 부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올바르고 완전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 나타나는 "제1", "제2" 등 용어는 기술의 편리상 적용하여, 동일한 명칭의 다양하게 구성된 부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선후 또는 주요와 차요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형 구조로, 여러 개의 수미가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3, 연결 장치는 환상 구조로 설치되며, 여러 개의 연결 장치는 위에서 아래로의 질지름이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연결 장치3은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이동에 사용할 제1 활동구간37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 장치3에는 여러 개의 상기 연결 장치3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해주는 고정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활동구간370은 상기 연결 장치 내벽의 제1 돌기 언저리320과 제2 돌기 언저리330사이 구간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3에 축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1 제한 구조와 상기 연결 장치3에 원주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2 제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제2 돌기 언저리330 측벽에 설치된 제3 돌기 언저리35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3 돌기 언저리와 협조되는 제2 돌기39를 포함하고, 제2 돌기39가 인접한 연결 장치의 제3 돌기 언저리35 위에 위치하고 양자가 서로 저촉될 때, 제3 돌기 언저리는 제2 돌기에 한 개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여, 앞의 연결 장치가 다음의 연결 장치 내로 수축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인접한 두 개의 연결 장치 사이에 상대적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제3 돌기 언저리35 위에는 제2 활동구간3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활동구간370과 상기 제2 활동구간32는 서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활동구간과 상기 제2 활동구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신축형 구조가 펼친 상태와 수축 상태 사이에서 교체에 이롭게 하였다.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상기 제3 돌기 언저리35의 제1 경사면352와 상기 제2 돌기39에 설치된 제2 경사면392를 포함하고, 제1 경사면이 제1 활동구간에 인접한 한 측이 높고, 제1 활동구간과 멀리 떨어진 한 측이 낮다. 상기 제1 경사면과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2 경사면은 서로 맞물려,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외력의 영향을 받아 서로 저촉된 후, 아래로의 외력은 두 경사면의 작용 하에 연결 장치에 한 개의 원주방향 힘을 주고, 이 힘은 연결 장치의 제2 돌기가 제1 활동구간과 멀어지는 추세를 제공함으로써, 인접한 두 연결 장치의 펼친 상태를 유지하고, 비틀림으로 인한 의외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그외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된 제1 연결부393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1 연결부와 협조되는 제1 돌기353을 포함하고, 제1 돌기와 인접한 연결 장치의 제1 연결부 사이의 협조를 통해, 연결 장치가 원주방향의 힘의 작용 하에 회전이 발생하게 하고, 제2 돌기가 제1 활동구간에 접근시키며, 제2 돌기에서 제1 연결부393과 멀리 떨어진 한끝이 제1 돌기353에 의해 가로막히게 하여, 진일보하게 인접한 두 연결 장치가 안정적으로 펼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393을 설치하지 않고, 단지 제2 돌기39의 단부와 제1 돌기353 사이의 협조를 통해서도 원주방향 제한의 목적에 도달할 수도 있다.
앞의 연결 장치의 제2 돌기는 다음의 연결 장치의 제1 활동구간 내에 삽입되어, 여러 개의 연결 장치의 수미가 서로 연결되어 협조를 형성한다. 신축형 스툴이 수축되면, 앞의 연결 장치의 제2 돌기는 다음의 연결 장치의 제1 활동구간 내에 위치하여, 직접 스툴 표면을 끌어당기고, 제2 돌기는 제1 활동구간 상부까지 움직인후 스툴 표면을 움직이면, 스툴 표면은 연결 장치를 이끌고 움직이고, 제2 돌기는 연결 장치와 함께 움직이면서 제2 활동구간의 한끝으로 들어가, 아래로 스툴 표면을 누르고, 제2 돌기 저부는 제3 돌기 언저리35에 위치하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상호 협조 하에 제2 돌기의 중심 위치는 제1 경사면의 저부에 놓여, 제2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돌기와 제2 활동구간의 연결 효과를 높여준다. 제1 돌기는 제2 돌기에 대해 가로 막는 작용을 하여, 사용자가 스툴 표면에 앉아서 움직일 때 스툴 표면이 함께 움직이면서 제2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축형 스툴 사용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높여주고, 신축형 스툴의 사용 시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형 스툴을 접으면 위로 스툴 표면을 당기면, 스툴 표면이 연결 장치를 위로 움직여 주어, 상부에 위치한 연결 장치가 저부 연결 장치의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면서, 스툴 표면을 움직여, 제2 돌기를 제1 활동구간 내로 쉽게 들여보내고, 아래로 스툴 표면을 밀면, 스툴 표면이 연결 장치를 아래로 밀면서 움직여, 스툴 표면을 직접 베이스로 눌러, 신축형 스툴을 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띠 모양 구조350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그외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4 돌기 언저리3100이 설치되고, 상기 제4 돌기 언저리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 횡방향으로 설치어, 제한 장치와 제4 돌기 언저리의 접촉면을 넓힐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에는 그외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1 그루브380이 설치된다. 제2 돌기가 제1 활동구간과 상대하면, 제1 그루브는 제한 장치와 상대하고, 제2 돌기는 제1 활동구간 저부로 이동한후, 제한 장치는 제1 그루브 저부로 이동하며, 제한 장치의 작용 하에 연결 장치가 아래로 운동할 때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로부터 이탈되어, 연결 장치 사이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에는 제2 연결부340과 상기 제2 연결부의 가이드용 제3 활동 공간39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M"형 구조이며, 상기 제3 활동 공간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 보다 크고, 제2 연결부는 제3 활동 공간 내에서 원주방향 운동이 가능하며, 제2 연결부가 연결 장치를 움직임으로 인한 저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폭은 제3 활동 공간의 연결 장치 원주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제2 연결부의 폭은 제1 활동구간370의 폭 보다 커서, 제2 연결부가 제1 활동구간 내로 들어갈 수 없고, 따라서 어셈블리 시에 제2 연결부가 제3 활동 공간 위치로 들어간후, 다시 제2 돌기39가 제1 활동구간 위치를 맞추어야 만이 연결 장치 사이의 연결을 완성하여, 연결 장치 사이의 블라인드 연결을 실현하고, 연결 장치 사이의 연결 난이도를 낮추는 한편, 어셈블리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외 신축형 스툴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형 스툴은 스툴 표면, 베이스 및 상술한 신축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스툴 이면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신축형 구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실시예2:
도 8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별점은: 상기 고정 장치는 그 외 상기 연결 장치3에 반경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3 제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장치에 설치된 제3 돌기391과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의 제3 돌기와 협조되는 치마널351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제2 돌기39 저부에 설치되고, 제2 돌기 가장자리의 최소한 부분 표면이 아래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치마널은 제3 돌기 언저리35에 설치되고, 제3 돌기 언저리는 연결 장치 중심과 인접한 한쪽의 최소한 부분 표면이 위로 연장되면서 형성되고, 치마널, 연결 장치 내벽 및 제1 돌기353은 서로 협조 하면서 제3 돌기 언저리에서 둘레로 그루브 구조를 형성하며, 제3 돌기가 바로 그루부 구조 내로 삽입되어, 신축형 구조가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제3 돌기가 바로 인접한 연결 장치의 그루브 구조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어, 연결 장치에서 반경방향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나아가서 인접한 두 연결 장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펼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구조가 더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앞의 연결 장치의 제3 돌기는 다음의 연결 장치의 제1 활동구간 내에 삽입되어, 여러 개의 연결 장치의 수미가 서로 연결되는 협조 기능을 형성한다. 신축형 스툴이 수축되면, 앞의 연결 장치의 제2 돌기는 뒤의 연결 장치의 제1 활동구간 내에 위치하여, 직접 위로 스툴 표면을 당기면, 제2 돌기는 제1 활동구간 상부까지 움직인후, 스툴 표면을 움직이고, 스툴 표면이 연결 장치를 이끌고 움직이며, 제2 돌기는 연결 장치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2 활동구간의 한쪽으로 들어가고, 아래로 스툴 표면을 누르면, 제3 돌기 저부는 제3 돌기 언저리 내로 삽입되어, 제2 돌기를 제2 활동구간 내로 연결한다. 치마널은 제3 돌기에 저애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스툴 표면에 앉은 후 스툴 표면이 뒤틀리며 제3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치마널이 설치된 상황에서, 여러 개의 면이 제3 돌기에 대해 저애 역할을 함으로써, 연결 장치가 변형된 후 제3 돌기가 제3 돌기 언저리 측벽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신축형 스툴의 사용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신축형 스툴을 사용할 때 수축회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형 스툴을 접으려면, 위로 스툴 표면을 당겨주고, 스툴 표면은 연결 장치를 위로 움직여 상부의 연결 장치가 저부 연결 장치의 제3 돌기 언저리 내로부터 이탈시킨 후, 스툴 표면을 움직여, 편리하게 제2 돌기를 제1 활동구간 내로 삽입하고, 아래로 스툴 표면을 밀면, 스툴 표면이 연결 장치를 아래로 밀어주며 움직여, 스툴 표면이 직접 베이스를 눌러, 신축형 스툴이 접히게 된다.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360이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제형 구조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그외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1 그루브38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제한 장치의 수력 방향 두께가 증가되고, 제한 장치의 연결 장치에 대한 서포트 효과를 높여 줌으로써, 두 개의 연결 장치 사이의 연결 효과를 강화하고, 신축형 스툴을 접을 때 상부의 연결 장치가 저부의 연결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기가 제1 활동구간을 상대하면, 제1 그루브는 제한 장치와 상대하고, 제2 돌기를 제1 활동구간 저부까지 이동한후, 제한 장치를 제1 그루브 저부까지 이동하고, 제한 장치의 역할 하에 연결 장치가 아래로 움직일 때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결 장치 사이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임의의 실시예는 단독적인 기술방안일 수도 있고, 기타 실시예와 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언급한 모든 특허와 출판물은 본 영역의 공개 기술로서, 본 고안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인용한 모든 특허와 출판물은 마찬가지로 참고 문헌에 기재되어 매개의 출판물과 함께 구체적으로 단독으로 참고와 인용이 될 수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임의의 요소나 여러가지 요소가 결핍할 수 있고, 한가지가 제한되거나 여러가지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실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한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다. 여기에서 사용한 용어와 모든 표현 방식은 그 제한을 받지 아니하며, 그 어떤 의도로써 여기에서 기술된 용어와 해석에서 임의의 동등한 특징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단, 본 고안과와 청구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적합한 변경이나 수개는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모두 일부 실시예와 특점으로서, 임의의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 고안에서 기술된 정수를 이용하여 일부의 변경이나 변화를 줄 수 있고,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화는 본 고안의 범위와 단독 청구항 및 부속 청구항에서 제한하는 범주 내에 속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신축형 구조로서,
    여러 개의 수미가 서로 연결된 연결 장치(3)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연결 장치(3)는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 장치(3)에는 여러 개의 상기 연결 장치(3)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고정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장치(3)에는 제2 연결부(340)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가이드용 제3 활동 공간(39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M"형 구조이며, 상기 제3 활동 공간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 보다 크고, 제2 연결부는 제3 활동 공간 내에서 원주방향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폭은 제3 활동 공간의 연결 장치 원주방향에서의 길이이고,
    상기 연결 장치(3)에는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이동에 사용될 제1 활동구간(37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활동 공간의 폭보다 더 큰,
    신축형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동구간(370)은 상기 연결 장치 내벽의 제1 돌기 언저리(320)와 제2 돌기 언저리(330) 사이에 형성된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3)에 축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1 제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장치(3)에 설치된 제3 돌기 언저리(35)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3 돌기 언저리(35)와 협조되는 제2 돌기(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3)에 원주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2 제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상기 제3 돌기 언저리(35)에 설치된 제1 경사면(352)과 상기 제2 돌기에 설치된 제2 경사면(39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352)과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2 경사면(392)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한 구조는 상기 제2 돌기(39)에 설치된 제1 연결부(393)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1 연결부(393)와 협조되는 제1 돌기(35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3)에 반경방향 제한을 제공하는 제3 제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한 구조는 상기 연결 장치(3)에 설치된 제3 돌기(391)와 인접한 상기 연결 장치(3)의 제3 돌기(391)와 협조되는 치마널(3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360)가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제형 구조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1 그루브(38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루브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12. 제5항에 있어서,
    제3 돌기 언저리(35) 위에는 제2 활동구간(32)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활동구간(370)과 상기 제2 활동구간(32) 서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활동구간과 상기 제2 활동구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신축형 구조가 펼친 상태와 수축 상태 사이에서 교체에 이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의 측벽에는 제한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한 장치는 띠 모양 구조(350)이며, 상기 연결 장치에는 상기 제한 장치와 협조되는 제4 돌기 언저리(3100)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돌기 언저리는 상기 연결 장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한 장치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구조.
  14. 삭제
  15. 신축형 스툴로서,
    스툴 표면(1)과 베이스(2)를 포함하며, 그 특징은: 상기 스툴 표면(1)과 상기 베이스(2)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축형 구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스툴.
KR2020210002033U 2020-08-21 2021-06-25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 KR2004978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770987 2020-08-21
CN202022080455.2U CN213605375U (zh) 2020-08-21 2020-09-21 一种伸缩结构及具有该伸缩结构的伸缩凳
CN202022080455.2 202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32U KR20220000732U (ko) 2022-03-29
KR200497822Y1 true KR200497822Y1 (ko) 2024-03-06

Family

ID=7665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33U KR200497822Y1 (ko) 2020-08-21 2021-06-25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55309B2 (ko)
KR (1) KR200497822Y1 (ko)
CN (1) CN21360537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0812A (zh) * 2020-08-21 2020-11-27 宁波腾浩电子有限公司 一种结构牢固的伸缩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35597Y (zh) * 2002-04-17 2003-02-12 廖元平 伸缩支撑装置
WO2017175242A1 (en) * 2016-04-07 2017-10-12 Varghese Akhil A portable seating arrangement
CN210383292U (zh) * 2018-10-26 2020-04-24 宁波腾浩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伸缩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1347B1 (ja) * 2002-07-31 2003-10-27 又吉 高橋 入浴用椅子
AU2019268562B2 (en) * 2018-05-13 2022-07-14 Yosef ZAIFMAN Foldable chair and foldable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35597Y (zh) * 2002-04-17 2003-02-12 廖元平 伸缩支撑装置
WO2017175242A1 (en) * 2016-04-07 2017-10-12 Varghese Akhil A portable seating arrangement
CN210383292U (zh) * 2018-10-26 2020-04-24 宁波腾浩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伸缩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605375U (zh) 2021-07-06
JP7055309B2 (ja) 2022-04-18
KR20220000732U (ko) 2022-03-29
JP2022051670A (ja)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645B1 (en) Canopy frame with eave structure
KR200497822Y1 (ko) 신축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신축형 스툴
WO2022057217A1 (zh) 一种伸缩结构及具有该伸缩结构的伸缩凳
GB2282063A (en) Collapsible play-pen.
US10145141B2 (en) Collapsible canopy
CN111990812A (zh) 一种结构牢固的伸缩凳
CN215604374U (zh) 一种稳固的伸缩凳
CN213605383U (zh) 一种连接稳定的伸缩凳
KR200191960Y1 (ko) 절첩식 천막후레임
CA2827667C (en) Furniture levelling device
KR20040058126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CN112762067A (zh) 一种管材及相应的旋转锁定座
CN214465064U (zh) 一种伸缩定位结构及支撑件及折叠扇
CN221044479U (zh) 一种折叠架以及椅子、桌子
CN112096702A (zh) 带自解锁功能的多节伸缩管及帐篷架
CN219022657U (zh) 可调支架
CN214533884U (zh) 一种伸缩定位结构及支撑件及折叠扇
CN218008970U (zh) 一种伸缩凳
CN219845358U (zh) 一种多折伞具的中棒展收结构
CN219673007U (zh) 一种连接结构及使用其的床
JP3015675B2 (ja) 高さ調整可能な机
CN111449441B (zh) 搁脚板转动控制机构
KR20030068225A (ko)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13027882A (zh) 一种伸缩定位结构及支撑件及折叠扇
CN116869303A (zh) 一种折叠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