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72Y1 -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 Google Patents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72Y1
KR200497672Y1 KR2020210000971U KR20210000971U KR200497672Y1 KR 200497672 Y1 KR200497672 Y1 KR 200497672Y1 KR 2020210000971 U KR2020210000971 U KR 2020210000971U KR 20210000971 U KR20210000971 U KR 20210000971U KR 200497672 Y1 KR200497672 Y1 KR 200497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beverage bottle
lid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85U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이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filed Critical 이준희
Priority to KR2020210000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7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병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내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믹싱돌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음료병을 흔들어 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침전물 또는 분말의 충돌을 유도 및 신속한 혼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drink bottle cap}
본 고안은 음료병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물이 생기거나 분말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음료(내용물)의 경우, 간편하고 신속한 혼합을 통해 원활한 섭취가 가능하게 하는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과일 음료나 곡물 음료 또는 미숫가루나 선식과 같은 분말 혼합 음료 등은 유리병 또는 합성수지로 된 음료병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된 상부로 주입 및 그 개구부는 별도의 뚜껑을 체결하여 마감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음료가 충전된 음료용기는 만약의 유출을 방지하게 위해 항시 개구부가 상부에 위치되게 직립 상태에서 유통 또는 보관되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과일 음료나 곡물 음료 또는 분말 혼합 음료는 장기간 직립 보관시 하부에 침전물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침전물이 발생시 섭취전 흔들어서 혼합한 후, 섭취하므로 음료 본연의 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음료병의 경우 그 내부 구조가 단순히 곡률형 또는 평자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흔드는 과정에서 덩어리진 침전물이 제대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상당한 시간 혼합하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57359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1033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뚜껑의 내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믹싱돌부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음료병을 흔들어 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침전물 또는 분말의 충돌을 유도 및 신속한 혼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병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뚜껑에 있어서,
뚜껑의 내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믹싱돌부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믹싱돌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된 원형 돌기로 구성하며,
상기 원형 돌기에는,
둘레에 복수의 믹싱핀이 더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은, 내주면에 믹싱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인바, 내용물이 침전되거나 분말을 혼합하기 위해 음료병을 흔드는 과정에서 침전물이나 분말이 믹싱돌부에 충돌되어 원활한 혼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등 간단하고 신속한 혼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침전물 혼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침전물 혼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100)은 음료가 수용된 음료병(10)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게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상기 뚜껑(1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내측면 상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음료병(10)을 흔들시 음료병(10)에 수용된 음료와 충돌 가능한 믹싱돌부(110)가 돌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믹싱돌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단일개로 구성시에는 뚜껑의 중앙에 위치되고, 복수로 구성시에는 중앙 및 그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이 돌출 형성되는 믹싱돌부(110)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믹싱돌부(110)는 원형봉 또는 반구 형태를 이루며 돌출되는 원형 돌기(11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믹싱돌기(110)을 원형 돌기(111)로 구성시에는 뚜껑(100)을 적용함에 있어, 먼저 합성수지 뚜껑으로 구성시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원형 돌기(111)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가능할 것이며, 금속재로 구성시에는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싱 작업을 통해 하부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원형 돌기(111)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도 4를 참조하여 믹싱돌부(11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믹싱핀(111a)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싱돌부(110)를 구성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믹싱돌부(110)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믹싱홈(111b)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믹싱돌부(110)는 도 6을 참조하여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판체형 돌기(11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판체형 돌기(112)는 트위스팅 절곡 형성되어 스크류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트위스팅 절곡을 통해 음료병(10)을 흔드는 과정에서 내용물에 와류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100)은 과일 음료, 곡물 음료 또는 미숫가루나 선식과 같이 침전물이 발생하는 음료를 섭취함에 있어, 병을 흔들어 섞는 과정에서 신속하고 고른 혼합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뚜껑(100)의 내측면 상부에 믹싱돌부(110)가 돌출 형성되어 음료병(10)에 음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뚜껑(100)으로 마감하게 되면 그 믹싱돌부(110)가 음료병(10) 내측으로 하방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뚜껑(100)이 닫혀져 보관되는 음료병(10)을 직립 보관하거나 미숫가루나 선식과 같은 분말을 혼합 섭취하는 음료의 경우, 미세한 슬러지가 하부로 침전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침전 상태의 음료를 섭취하게 되면 음료 본연의 맛을 얻지 못하게 되며, 오랜 시간 침전시 침전물(S)이 뭉쳐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100)은 상기와 같이 침전된 침전물을 액상과 고른 혼합이 가능하게 하되,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음료병(10)을 뒤집어 흔들어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음료병(10)을 뒤집게 되면 침전물이 뚜껑(100)의 위치로 가라앉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음료병(10)을 흔들어주게 되면 침전물이 뚜껑(100)에 형성된 믹싱돌부(110)와 충돌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믹싱돌부(110)가 뭉쳐진 침전물을 타격하여 신속히 분해 및 액상과 혼합되게 한다.
특히,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100)의 믹싱돌부(110)를 구성함에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원형 돌기(111)로 구성 및 원형 돌기(111)의 둘레에 복수의 믹싱핀(111a)을 더 구성하게 되면, 침전물이 원형 돌기(111)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믹싱핀(111a)에 함께 충돌되어 분해되는 것인바, 보다 신속하고 고른 혼합이 가능하게 될 것인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원형 돌기(111)의 둘레에 복수의 믹싱홈(111b)을 더 구성하게 되면, 침전물이 원형 돌기(111)에 충돌되어 그 원형 돌기(111)의 둘레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믹싱홈(111b)에 걸려 분해되는 것인바, 보다 신속하고 고른 혼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믹싱돌부(110)을 판체형 돌기(112)로 구성하게 되면, 음료병(10)을 흔들게 되면 내용물이 판체형 돌기(112)의 단부 즉, 날부에 충돌되어 분해되는 한편, 트위스팅 절곡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은 내측면에 형성되는 믹싱돌부를 통해 음료병을 흔들어 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침전물과 충돌하여 뭉쳐진 침전물의 신속한 분해 및 액상과 혼합 가능하게 한다.
10 : 음료병
100 : 뚜껑 110 : 믹싱돌부
111 : 원형 돌기 111a : 믹싱핀
111ab : 믹싱홈 112 : 판체형 돌기

Claims (5)

  1. 음료가 수용된 음료병(10)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뚜껑에 있어서,
    뚜껑(100)의 내측면에 하부로 돌출되는 믹싱돌부(110)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믹싱돌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된 원형 돌기(111)로 구성하며,
    상기 원형 돌기(111)에는,
    둘레에 복수의 믹싱핀(111a)이 더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0971U 2021-03-29 2021-03-29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KR200497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1U KR200497672Y1 (ko) 2021-03-29 2021-03-29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1U KR200497672Y1 (ko) 2021-03-29 2021-03-29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85U KR20220002385U (ko) 2022-10-06
KR200497672Y1 true KR200497672Y1 (ko) 2024-01-19

Family

ID=8359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71U KR200497672Y1 (ko) 2021-03-29 2021-03-29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7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76A (ja) * 2002-03-19 2003-12-03 Morii:Kk 食品用容器
JP2007015755A (ja) * 2005-07-11 2007-01-25 Mokku Co Ltd 飲料物用容器
JP2014069857A (ja) * 2012-09-28 2014-04-21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085U (ko) * 1993-04-12 1994-11-16 김형곤 맥주용 컵
KR200157359Y1 (ko) 1997-03-19 1999-09-15 이창학 음료용병 뚜껑개폐장치
KR200210338Y1 (ko) 2000-08-18 2001-01-15 주식회사봉정캔텍 음료용 캔의 뚜껑부 구조
KR20060027708A (ko) * 2004-09-23 2006-03-28 이상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76A (ja) * 2002-03-19 2003-12-03 Morii:Kk 食品用容器
JP2007015755A (ja) * 2005-07-11 2007-01-25 Mokku Co Ltd 飲料物用容器
JP2014069857A (ja) * 2012-09-28 2014-04-21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85U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423B2 (en)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DK3065609T3 (en) MIXING CONTAINER
US9538884B2 (en) Agitator for food and beverage mixer
KR101941327B1 (ko) 분배 마개
US8376134B1 (en) Drink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20040060934A1 (en) Beverage cup lid with a condiment addition well
KR102050965B1 (ko) 텀블러
KR200497672Y1 (ko)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음료병용 뚜껑
US20090283491A1 (en) Multiple reservoir bottle
JP6647635B2 (ja) 混合容器
JP5295803B2 (ja) 二種混合容器
JP7444554B2 (ja) 難溶性飲料製品
JP3208696U (ja) ダブルキャップボトル
RU213075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двухзонная емкость дл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JP2003125951A (ja) 攪拌容器
JP2005204943A (ja) カクテルシェーカー
CN209567282U (zh) 一种分装瓶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KR101992726B1 (ko) 소용돌이 텀블러
TH81991A (th) ภาชนะบรรจุรูปกลมรีพร้อมด้วยฝาปิดแบบคลิก
KR200282170Y1 (ko) 쌍둥이 음료수 용기
TH81991B (th) ภาชนะบรรจุรูปกลมรีพร้อมด้วยฝาปิดแบบคลิก
UA148724U (uk) Двозонна ємність для снеків
KR20080006561U (ko) 뚜껑이 구비된 분할 용기
RU51599U1 (ru) Структура контейнера, образованного из двух разных и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элементов, взаимно соедине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съем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з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