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96Y1 -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96Y1
KR200497596Y1 KR2020220000467U KR20220000467U KR200497596Y1 KR 200497596 Y1 KR200497596 Y1 KR 200497596Y1 KR 2020220000467 U KR2020220000467 U KR 2020220000467U KR 20220000467 U KR20220000467 U KR 20220000467U KR 200497596 Y1 KR200497596 Y1 KR 200497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rail
guid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713U (ko
Inventor
이태훈
최운정
Original Assignee
이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2020220000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9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귀통로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로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이동공간을 형성되도록 한쌍의 상부레일이 체결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체결되도록 레일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하부레일이 끼움되어, 롤러체인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및 측부레일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경량화시킴과 아울러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 Lightweight Frames for Conveyors }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체인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및 측부레일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경량화시킴과 아울러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고도가 되어감에 따라 물품의 제조공정이 자동화 설비에 의해 자동화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제조된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대하여도 자동화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에 대한 욕구로 인한 이송장치는 제조된 물품 즉, 전자제품, 음료, 식료품, 화학제품, 설탕 등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컨베이어중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3728호에서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체결되어 이송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임틀은 체인을 지지하는 레일에 교체가능하게 체결되는 레일부재가 "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레일부재를 제조하는데 따른 원료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체인이 레일부재에 이동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걸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레일이 T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레일의 하중에 의해 레일이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레일부재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T형 형상의 레일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프레임틀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20-0373728호
본 고안은 최근의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롤러체인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및 측부레일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경량화시킴과 아울러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귀통로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로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이동공간을 형성되도록 한쌍의 상부레일이 체결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체결되도록 레일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하부레일이 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일측에 지지패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상측에는 지지돌부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에는 내면에 측부슬릿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의 측부슬릿홈에는 상기 측부레일이 더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한쌍의 경량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에는 양측면에 상기 안내홈에 끼움된 하부레일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에 인입된 상기 롤러체인을 지지하도록 걸림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슬릿홈과, 상기 지지슬릿홈에 체결되는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유닛은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보강부와, 상기 경사보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지지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지지패널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은 롤러체인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및 측부레일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경량화시킴과 아울러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교체가 간편하여 유지보수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의 지지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설치된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의 지지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설치된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경량 프레임틀이라 명명함)은 롤러체인(100)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21)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귀통로(31)가 형성된 하부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일체로 사출성형시키거나 주조를 통해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은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한쌍이 배치되고, 이송벨트(400)는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의 상부를 연결하며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롤러체인(100)의 메인롤러(20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이송벨트(400)의 상부에는 이송물이 배치되어 이송된다.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은 이송물의 이송길이만큼 길게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체인(100)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에서 궤도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통로(21)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복귀통로(31)를 통해 복귀하게 된다.
상기 롤러체인(100)은 메인롤러(200)와 사이드롤러(300)들이 축결합된 롤러유닛들이 연결샤프트들에 의해 축결합되면서 연결된 통상의 궤도체인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21)의 저면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한쌍의 상부레일(211)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이동통로(21)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레일(211)에 나사 체결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슬릿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슬릿홈(212)은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211)들 사이에는 상기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간에는 메인롤러(200)의 일부가 인입되고, 상기 상부레일(211)에는 사이드롤러(300)가 안내된다.
이때, 상기 레일슬릿홈(212)의 양내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슬릿홈(212)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바를 걸림되게 끼운 후 상기 고정바와 상기 상부레일(211)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하부프레임(30)을 통해 상기 롤러체인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롤러체인(100)이 이동과정에서 상기 하부레일(312)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21)에는 저면 중앙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저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패드와 상기 고정패드의 상면에 하단부가 융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마찰핀들로 구성된 탈거부재를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마찰핀이 이동되는 메인롤러(200)를 가압하면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메인롤러(20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30)에 형성되는 상기 복귀통로(31)의 저면에는 안내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311)에는 하부레일(312)이 끼움된다.
상기 안내홈(311)에는 상기 메인롤러(200)의 일부가 인입되고, 인입된 메인롤러(200)는 상기 하부레일(312)에 안내된다.
상기 상부레일(211)과 상기 하부레일(312) 및 후술될 측부레일(2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금속재로 형성된 레일에 비해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일측에 지지패널(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22)의 상측에는 지지돌부(221)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221)가 이송벨트(400) 또는 이송벨트(400)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품을 지지하여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부(221)에는 내면에 측부슬릿홈(221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221)의 측부슬릿홈(221a)에는 측부레일(23)이 더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측부레일(23)은 이송벨트(400) 또는 이송품을 지지하게 되며, 마찰에 의한 마모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측부레일(2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금속재로 형성된 레일에 비해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슬릿홈(221a)의 양내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측부슬릿홈(221a)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바를 걸림되게 끼운 후 상기 고정바와 상기 측부레일(23)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프레임(30)에는 중공되게 한쌍의 경량홀(32)이 더 형성되어, 경량홀(32)이 없는 프레임틀에 비해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홈(311)에는 양측면에 상기 안내홈(311)에 끼움된 하부레일(312)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311)에 인입된 상기 롤러체인(100)을 지지하도록 걸림돌부(311a)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롤러(200)의 일부가 상기 걸림돌부(311a)들 사이에 인입되어, 상기 하부레일(312)에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돌부(311a)가 상기 하부레일(312)을 지지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인입된 상기 메인롤러(200)의 측면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거나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40)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40)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슬릿홈(41)과,
상기 지지슬릿홈(41)에 체결되는 지지유닛(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유닛(42)은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421)와, 상기 지지부재(42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보강부(422)와, 상기 경사보강부(422)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지지패널(4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슬릿홈(41)의 양내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슬릿홈(41)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바를 걸림되게 끼운 후 상기 고정바와 상기 지지유닛(42)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421)와 상기 경사보강부(422) 및 상기 가이드지지패널(423)은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42)들 사이에는 슬릿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롤러(200)의 일부가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된 상기 메인롤러(200)에 상기 이송벨트(400)가 안내된다.
상기 지지유닛(42)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과정에서 처지는 상기 이송벨트(400)를 지지하여 이송벨트(400)가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지지패널(423)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재(421)의 두께보다 작게(얇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유닛(42)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되며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홈(311)에는 저면에 완충홈(3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완충홈(33)에 의해 상기 경량 프레임틀(10)을 경량화 시킴과 아울러 물품이동중 하부레일(312)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홈(33)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바(34)를 더 끼움으로써, 상기 탄성바(34)가 상기 하부레일(312)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여 하부레일(312)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상측에 가이드돌기(431)들로 이루어진 한쌍의 가이드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21)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부(43)에 끼움되도록 가이드홈(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31)는 지지슬릿홈(41)의 양측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44)은 상기 가이드돌기(431)들을 연결하며 끼움된다.
상기 가이드부(43)에 상기 가이드홈(44)이 끼움되고 걸림됨으로써, 이송품이 이동과정에서 전달되는 반복적인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42)이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경량홀(32)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샤프트(35)가 더 끼움된다.
상기 탄성샤프트(35)의 탄성에 의해 물품이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통로(21)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레일(211)의 하부가 끼움되도록 걸림홈(24)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4)에 상기 상부레일(211)의 하측 일부가 끼움됨과 아울러 걸림되어,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측부레일(23)의 내측면에는 곡선의 라운드부(25)가 더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25)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품과의 마찰시 마찰면적(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에 따른 마모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레일(211)에는 내측면에 마찰방지경사면(26)이 더 형성된다.
상기 마찰방지경사면(26)은 도면상 하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동과정에서 상기 상부레일(211) 사이에 인입된 상기 메인롤러(200)의 측면과 상기 상부레일(211)의 측면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레일(211)에는 상면에 내측(롤러체인(100)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도록 정렬경사면(27)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정렬경사면(27)에 의해 상기 롤러체인(100)의 사이드롤러(300)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외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레일(312)에는 상면에 " V "자 형상의 브이홈(36)이 형성된다.
상기 브이홈(36)에 의해 상기 롤러체인(100)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브이홈(36)은 상기 하부레일(312)의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경량 프레임틀
20 : 상부프레임
21 : 이동통로
211 : 상부레일
212 : 레일슬릿홈
22 : 지지패널
221 : 지지돌부
221a : 측부슬릿홈
23 : 측부레일
24 : 걸림홈
25 : 라운드부
26 : 마찰방지경사면
27 : 정렬경사면
30 : 하부프레임
31 : 복귀통로
311 : 안내홈
311a : 걸림돌부
312 : 하부레일
32 : 경량홀
33 : 완충홈
34 : 탄성바
35 : 탄성샤프트
36 : 브이홈
40 :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
41 : 지지슬릿홈
42 : 지지유닛
421 : 지지부재
422 : 경사보강부
423 : 가이드지지패널
43 : 가이드부
431 : 가이드돌기
44 : 가이드홈
100 : 롤러체인
200 : 메인롤러
300 : 사이드롤러
400 : 이송벨트

Claims (7)

  1.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귀통로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로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이동공간을 형성되도록 한쌍의 상부레일이 체결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체결되도록 레일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하부레일이 끼움된 것을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교체형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슬릿홈과,
    상기 지지슬릿홈에 체결되는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유닛은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보강부와,
    상기 경사보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지지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측에 가이드돌기들로 이루어진 한쌍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끼움되도록 가이드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일측에 지지패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상측에는 지지돌부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에는 내면에 측부슬릿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부의 측부슬릿홈에는 측부레일이 더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한쌍의 경량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양측면에 상기 안내홈에 끼움된 하부레일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에 인입된 상기 롤러체인을 지지하도록 걸림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지패널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KR2020220000467U 2022-02-18 2022-02-18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KR200497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67U KR200497596Y1 (ko) 2022-02-18 2022-02-18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67U KR200497596Y1 (ko) 2022-02-18 2022-02-18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13U KR20230001713U (ko) 2023-08-25
KR200497596Y1 true KR200497596Y1 (ko) 2023-12-28

Family

ID=8779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67U KR200497596Y1 (ko) 2022-02-18 2022-02-18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96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025U (ja) * 1993-04-30 1994-11-25 彰夫 片岡 フリーフローコンベヤ用チエンガイド装置
KR200373728Y1 (ko) 2004-10-11 2005-01-27 우제훈 컨베이어의 프레임
KR200494984Y1 (ko) * 2020-04-29 2022-02-08 이태훈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13U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15B1 (ko) 반송설비
JP3448220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チェーン
US5000312A (en) Chain link and associated locking dowel
US3265192A (en) Rail track with elongated snap-on bearing strip
KR200497596Y1 (ko)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KR200497597Y1 (ko) 컨베이어용 경량 프레임틀
US11078023B2 (en) Guiding device for bulk goods conveyors
KR200494984Y1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2588940B1 (ko) 재활용 선별제품 운반용 컨베이어
KR20090010862A (ko) 상품운반장치
EP0960841A1 (en) Return roller for a slat conveyor
US7533765B2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s
KR200485037Y1 (ko)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1043852B1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의 베어링 유니트 조립체
KR100826138B1 (ko)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KR102120632B1 (ko) 체인 컨베이어용 슬랫
KR20200082684A (ko) 조립 구조를 개선한 컨베이어 벨트 스크래퍼
US20020175056A1 (en) Side-flexing conveyor belt
KR102021195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KR20170076049A (ko) 벨트 컨베어의 벨트 삽입형 스커트박스
JP4211752B2 (ja) コンベア設備
KR20180000096U (ko)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20130000217U (ko) 롤러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레일 프레임
IT201800004273A1 (it) Carrello con elementi elastici di compensazione per la movimentazione di porte scorrev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