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77Y1 - 나노버블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나노버블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77Y1
KR200497577Y1 KR2020220002401U KR20220002401U KR200497577Y1 KR 200497577 Y1 KR200497577 Y1 KR 200497577Y1 KR 2020220002401 U KR2020220002401 U KR 2020220002401U KR 20220002401 U KR20220002401 U KR 20220002401U KR 200497577 Y1 KR200497577 Y1 KR 200497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solution
mixed water
space
collision
nano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00U (ko
Inventor
지효근
지현숙
Original Assignee
지효근
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효근, 지현숙 filed Critical 지효근
Priority to KR2020220002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7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20Dissolv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3Diffusers consisting of rigid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 B01F23/231231Diffusers consisting of rigid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the outlets bein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2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having disc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5Mixing by jets impinging against collis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함유된 기체를 나노화하여 나노버블수를 발생시키도록 됨은 물론, 특히, 구조적 단순화와 소형화를 통해 소형의 나노버블설비 또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송압력을 가지는 혼합수를 공급받도록 된 공급구와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공급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공간에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조와; 상기 공급구에서 공급되는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으로 분사하도록 되는 분사수단과; 상기 용해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이동하는 중에 충돌하도록 된 충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수단은, 상기 용해조의 용해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충돌하는 중에 관통하면서 경유하도록 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충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용해공간에서 다수 개가 수직상 사이간격으로 연결되면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혼합수가 상기 용해공간에서 이동하는 중에 다단으로 충돌하면서 경유하도록 되는 나노버블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버블발생장치{Nano-bubble generator device}
본 고안은, 직경이 미세단위를 가지는 미세 기포인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나노버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함유된 기체를 나노화하여 나노버블수를 발생시키도록 됨은 물론, 특히, 구조적 단순화와 소형화를 통해 소형의 나노버블설비 또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버블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 미세 기포로써, 일반 버블의 1/2,000 크기로 피부의 모공 25㎛ 이하의 미세한 공기 입자이며, 소멸할 때 1) 40KHz의 초음파 발생시키고, 2)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며, 3) 4,000도~6,000도의 순간적인 고열 발생된다.
즉, 일반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하지만 나노버블은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이러한 나노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나노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 사용분야가 온천욕부터 암진단까지 광범위하며 피부도 재생해주는데다가 살균효과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나노 버블은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 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나노버블발생설비 또는 장치를 통해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체가 혼합된 액체(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체를 미세기포로 전환시켜 나노 버블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나노버블이 함유된 혼합수는, 별도의 기체용해장치를 경우하여 나노버블의 탈기를 억제하면서 액체의 내부에 기체 용존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나노버블용해장치는,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6679호(명칭: 기체용해장치/2007.10.23.)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액체공급부와 기체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는 용해조; 및 상기 용해조의 다른 일 측에 결합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부의 단부는, 용해조의 내측벽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혼합수가 상기 용해조의 내측벽에 충돌하여 충돌압력을 인가받아 나노버블발생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6679호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나노버블용해장치는, 구조적으로 소형화에 불리하여 사용성이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노버블의 발생효율을 극대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소형화에 적합하고 특히, 혼합수가 공급되는 중에 증대된 충돌압력을 인가하여 나노버블발생을 극대화함으로서 나노버블의 용해를 촉진시키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는, 이송압력을 가지는 혼합수를 공급받도록 된 공급구와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공급구와 상기 토출구의 사이공간에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조와; 상기 공급구에서 공급되는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으로 분사하도록 되는 분사수단과; 상기 용해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이동하는 중에 충돌하도록 된 충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수단은, 상기 용해조의 용해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충돌하는 중에 관통하면서 경유하도록 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충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용해공간에서 다수 개가 수직상 사이간격으로 연결되면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혼합수가 상기 용해공간에서 이동하는 중에 다단으로 충돌하면서 경유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는,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며 특히, 소형화에 적합하여, 소형의 가정용 나노버블수공급장치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분사수단을 통해 혼합수를 용해공간으로 고압분사되면서 이동하는 중에 충돌수단을 구성하는 충돌판들의 표면과 다단으로 충돌하여 충격하중을 반복적으로 인가받도록 되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분사수단을 통해 용해공간으로 분사된 혼합수가 충돌수단을 구성하는 충돌판들의 표면과 다단으로 충돌하여 반복적으로 반사 및 비산함은 물론, 다수의 관통공들을 통해 다수로 분기되면서 낙하되도록 됨에 따라, 미립자화가 촉진되면서 나노버블발생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노버블발생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을 구성하는 충돌수단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을 구성하는 충돌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충돌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는, 이송압력을 가지는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받도록 된 공급구(21)와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22)를 가지며, 상기 공급구(21)와 상기 토출구(22)의 사이공간에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A)이 구비된 용해조(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송압력을 가지는 상기 혼합수(예를 들면, 수돗물과 공기의 혼합물)가 나노버블발생시스템 상에서 강제로 형성된 이송압력을 통해 상기 용해조(2)의 용해공간(A)을 경유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해공간(A)에 형성된 용해압력을 통해 혼합수에 함유된 기체가 용해되어 나노화됨에 따라, 나노버블수를 발생시키켜 상기 토출구(22)를 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에서, 상기 용해조(2)는, 상기 공급구(21)와 상기 토출구(22)들이 각각의 외측단부와 각각의 상측면들에 각각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각각 구비되는 용해몸체(23)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용해몸체(23)의 상부에 내부공간이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용해공간(A)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통(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용해몸체(23)의 상기 공급구(21)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수가 상기 용해통(24)의 내주면과 충돌하면서 상기 용해공간(A)으로 공급되면서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22)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해공간(A)에 형성된 용해압력을 통해 혼합수에 함유된 기체가 용해되어 나노버블화 된 후, 상기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는, 상기 용해조(2)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구(21)와 상기 용해공간(A)을 연결하며 상기 공급구(21)에서 공급되는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분사하도록 된 분사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사수단(3)을 통해 상기 공급구(21)에서 공급되는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분사하여 분사시 발생되는 분사압력을 통해 상기 용해통(24)의 내측면과의 충돌을 통해 형성되는 충돌압력에 의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증대된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며 특히, 소형화에 적합하여, 소형의 가정용 나노버블수공급장치에 적합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에서 분사수단(3)은, 하단이 상기 공급구(21)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혼합수를 공급받도록 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내관(31)과, 하단이 상기 내관(31)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혼합수가 유입되도록 되는 유입공(32)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관(31)과 연결되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외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관(31)을 통해 상기 외관(33)의 내부로 분출되는 혼합수의 분출압력과 상기 용해공간(A)의 유체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용해공간(A)에 수용되는 혼합수가 상기 유입공(32)을 통해 상기 외관(33)의 내부로 압인되면서 재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해공간(A)의 내부에서 혼합수의 대류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수단(3)을 통해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고압분사하는 중에, 상기 용해공간(A)으로 수용되는 혼합수가 상기 유입공(32)을 통해 상기 분사수단(3)으로 재공급되면서 재분사되어 상기 용해공간(A)의 내부에서 혼합수의 대류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내관(31)의 하단은, 상기 공급구(21)의 단부에 끼움결속 및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관(31)의 하단외주면에는, 상기 공급구(21)의 단부에 구비된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돌기들이 형성되어 탈부착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는, 상기 용해공간(A)에는, 상기 혼합수가 분사되어 이동하는 중에 충돌하여 반사 및 비산하면사 자유낙하하도록 되는 충돌수단(4)이 구비된다.
즉, 상기 분사수단(3)을 통해 상기 용해공간(A)으로 분사된 혼합수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충돌수단(4)과 충돌하면서 반사되어 비산되면서 미립자화가 촉진되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에서, 상기 충돌수단(4)은, 상기 용해조(2)의 용해공간(A)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충돌하는 중에 관통하면서 경유하도록 된 다수의 관통공(41)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충돌판(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혼합수가 상기 분사수단(3)에 의해 분사된 후, 상기 용해공간(A)을 경우하는 상기 토출구(22) 및 상기 유입공(32)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충돌편(42)의 표면에 각각 충돌하여 충돌효율이 향상되도록 됨에 따라, 혼합수의 미립자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수가 상기 충돌판(42)의 표면과 충돌하여 반사 및 비산함은 물론, 다수의 상기 관통공(41)들을 통해 다수로 분기되면서 낙하되도록 됨에 따라, 미립자화가 촉진되면서 나노버블발생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은, 상기 충돌수단(4)에서 상기 충돌판(42)은, 상기 용해공간(A)에서 다수 개가 수직상 사이간격으로 연결되면서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혼합수가 상기 용해공간(A)에서 이동하는 중에 다단으로 충돌하면서 경유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분사수단(3)을 통해 상기 혼합수가 용해공간(A)으로 고압분사되면서 상기 토출구(22) 및 상기 유입공(32)로 이동하는 중에 다수의 상기 충돌판들의 표면과 다단으로 충돌하여 충격하중을 반복적으로 인가받도록 되어, 나노버블발생효율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혼합수가 상기 충돌판들의 표면과 다단으로 충돌하여 반복적으로 반사 및 비산함은 물론, 다수의 상기 관통공들을 통해 다수로 분기되면서 낙하되도록 됨에 따라, 미립자화가 촉진되면서 나노버블발생효율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에서, 상기 충돌판(42)들은, 너트(43)를 통해 나사결합되는 나사봉(44)을 통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연결되면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충돌판(42)들은, 상기 나사봉(44)에 나사결합하는 2개 1조의 상기 너트(43)들의 사이에 끼임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나사봉(44)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돌판(42)들의 조립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구조적으로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각각의 시이간격의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충돌판(42)들은,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되어,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사이 틈'이 형성되면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수가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틈'을 통해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자유낙하하게 되어, 상기 용해조(2)에서 상기 혼합수의 유통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해조(2)에서의 상기 혼합수의 충돌과 안정적인 대류가 안정되게 이루어져,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1)에서, 상기 충돌판(42)의 외주면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과 끼움결속되어 고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돌출형성된 결속편(4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편(45)들을 통해 상기 충돌판(42)이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에 안정되게 결속됨은 물론, 상기 혼합수가 상기 결속편(45)들과 나머지공간의 상기 충돌판(42)의 외주면의 '사이 틈'을 통해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자유낙하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해조(2)에서 상기 혼합수의 유통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용해조(2)에서의 상기 혼합수의 충돌과 안정적인 대류가 안정되게 이루어져,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돌판(42)들에는, 상기 분사수단(3)이 관통하면서 지지되도록 관통형성된 중앙공(4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중앙공(46)들을 통해 상기 분사수단(3)이 관통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충돌판(42)들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나노버블발생장치 2 : 용해조
21 : 공급구 22 : 토출구
23 : 용해몸체 24 : 용해통
3 : 분사수단 31 : 내관
32 : 유입공 33 : 외관
4 : 충돌수단 41 : 관통공
42 : 충돌판 43 : 너트
44 : 나사봉 45 : 결속편
46 : 중앙공 A : 용해공간

Claims (1)

  1. 이송압력을 가지는 혼합수를 공급받도록 된 공급구(21)와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22)를 가지며, 상기 공급구(21)와 상기 토출구(22)의 사이에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어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A)이 구비된 용해조(2)와; 상기 공급구(21)에서 공급되는 혼합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분사하도록 되는 분사수단(3)과; 상기 분사수단(3)에 의해 혼합수가 분사되는 상기 용해공간(A)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가 충돌하는 중에 관통하면서 경유하도록 된 다수의 관통공(41)들이 형성되고, 상기 용해조(2)의 내측면과 끼움결속되어 고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돌출형성된 결속편(45)들이 형성된 충돌판(42)을 구비하는 충돌수단(4);을 포함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1)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42)은,
    다수개가 너트(43)를 통해 나사결합되는 나사봉(44)을 통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연결되면서 결합되되;
    상기 나사봉(44)에 나사결합하는 2개 1조의 상기 너트(43)들의 사이에 끼임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나사봉(44)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결속되도록 되며;
    상기 충돌판(42)들에는,
    상기 분사수단(3)이 관통하면서 지지되도록 관통형성된 중앙공(4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220002401U 2020-08-19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0497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01U KR200497577Y1 (ko) 2020-08-19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46A KR20220022649A (ko) 2020-08-19 2020-08-19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220002401U KR200497577Y1 (ko) 2020-08-19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46A Division KR20220022649A (ko) 2020-08-19 2020-08-19 나노버블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00U KR20220002800U (ko) 2022-11-28
KR200497577Y1 true KR200497577Y1 (ko) 2023-12-20

Family

ID=80497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46A KR20220022649A (ko) 2020-08-19 2020-08-19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220002401U KR200497577Y1 (ko) 2020-08-19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46A KR20220022649A (ko) 2020-08-19 2020-08-19 나노버블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226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467B1 (ko) * 2022-06-13 2023-10-06 지효근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102586466B1 (ko) * 2022-06-13 2023-10-06 지효근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008A (ja) * 2006-03-03 2008-05-08 Mg Grow Up: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KR101005103B1 (ko) * 2010-09-17 2010-12-30 황석희 산소용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1603A1 (en) 2004-09-09 2006-03-0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Biodegradable paper-based cup or package and production method
KR101772620B1 (ko) * 2015-12-11 2017-08-30 주식회사 물과산소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및 초미세기포수를 이용한 커피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008A (ja) * 2006-03-03 2008-05-08 Mg Grow Up: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KR101005103B1 (ko) * 2010-09-17 2010-12-30 황석희 산소용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49A (ko) 2022-02-28
KR20220002800U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577Y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10033753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용 공기공급장치
KR102082552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455181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473848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311634B1 (ko)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511676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0074579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20002440U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565367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30131650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30131649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0058238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586466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102586467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20210016978A (ko) 나노버블수용 배수노즐
KR20200058237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30051960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30171343A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20200139373A (ko) 나노버블발생용해장치
KR20210044085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30001948U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102565368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장치
KR102528533B1 (ko) 나노버블용해장치
KR20200126108A (ko) 나노버블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