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28Y1 - 수목 보호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 보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28Y1
KR200497528Y1 KR2020230000478U KR20230000478U KR200497528Y1 KR 200497528 Y1 KR200497528 Y1 KR 200497528Y1 KR 2020230000478 U KR2020230000478 U KR 2020230000478U KR 20230000478 U KR20230000478 U KR 20230000478U KR 200497528 Y1 KR200497528 Y1 KR 200497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band
support
main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행
최보윤
Original Assignee
최치행
최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행, 최보윤 filed Critical 최치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수 또는 과실수의 등을 포함하는 수목을 식재하고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수목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주목을 설치할 때 수목의 외피와 지주목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개량하되, 이 완충부재는 지주목의 경사면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본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며 내측의 수직돌기 및 하측의 수평돌기에 의해 비틀림 발생의 최소화를 통해 수목의 외피에 부분 접촉에 의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을 방지함은 물론 부분 접촉으로 외피의 손상방지 및 성장이 원활하도록 이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주봉의 지지 경사각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본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간결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 보호 지지대{APPARATUS FOR SUPPORTING TREE}
본 고안은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수 또는 과실수 등을 포함하는 수목을 식재하고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수목을 지주목으로 고정 설치할 때 수목의 외피와 지주목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개량하여 이탈을 방지하면서 항상 안정적인 지지를 유지시켜 수목의 손상을 방지하고 활착되도록 외관이 미려하면서 그 구조가 간결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도로, 공원, 농장이나 과수원 등에 식재되는 묘목인 조경수 또는 과실수는 강풍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아 땅속에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할 수 있도록 대부분 지주목을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있었다.
상기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지주목은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된 목재를 사용하되 통상 3~4개의 지주목의 하단을 지면에 밖아 고정하며 상단의 경사면을 보호하려는 수목의 둘레면에 접촉시키고 철사나 끈으로 지주목의 상단부분의 체결홈을 이용하여 묶어 고정하면 강풍의 외력 또는 인위적 충격이 발생하여도 흔들림이 완화되어 나무가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3~4개의 목재 소재의 지주목 상단 체결홈을 이용하여 철사, 끈 또는 고정밴드로 묶어 고정된 상태에서 강풍이나 외부 충격이 발생하면 수목의 둘레면과 지주목의 경사면이 접촉되는 수목의 외피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촉부위에 단성체인 보호부재를 개재하여 보호하였다.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10-0296770호 '수목 보호 지주대 구조'와 등록실용신안 제20-0263835호 '수목의 지주목 설치용 완충재'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41171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68701호 '밴드형 수목 지주대' 이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사용되는 보호부재들은 접촉부분에 다수의 소돌기를 등간격으로 돌출형성한 것과 길이방향으로 요철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탄성력과 마찰력을 이용하여 미끄러짐 방지 및 수목 외피 손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지주대에 결착 상태가 불안정하여 이탈되고 지주대의 지지하는 각도의 변화가 생길 때 접촉이 불안정하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국내 등록특허 제10-0296770호(2001.10.23. 공고 (문헌 2)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3835호(2002.02.09. 공고 (문헌 3)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1171호(2008.07.30. 공고) (문헌 4)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8701호(2013.09.03. 공고)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경수 또는 과실수의 등을 포함하는 수목을 식재하고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수목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주목을 설치할 때 수목의 외피와 지주목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개량하되, 이 완충부재는 지주목의 경사면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본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며 내측의 수직돌기 및 하측의 수평돌기에 의해 비틀림 발생의 최소화를 통해 수목의 외피에 부분 접촉에 의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을 방지함은 물론 부분 접촉으로 외피의 손상방지 및 성장이 원활하도록 이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주봉의 지지 경사각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본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간결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보호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목 보호 지지대는 수목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상단으로부터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반대편에 절결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이 걸리는 체결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목과; 상기 지주목의 상단 및 경사면에 안착되고 수목의 외피에 접하여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주목의 상단 및 경사면에 접하여 안착되는 완충부재는 본체와 고정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지주목의 상단 및 경사면에 접하여 안착되도록 평면의 수직벽면과 수평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면의 반대편에는 수목에 접하는 호형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수직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돌기의 하측 사이에는 분할된 수평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돌기 및 수평돌기에 수목의 외피 둘레면이 접할 때 이격공간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밴드는 일측이 본체의 양측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목의 둘레면 및 체결홈에 탄성력으로 결착되는 제1띠와 파지편을 갖는 제2띠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의 호형면 양측으로 연장된 평면부분에는 제2 수직돌기를 추가 형성하여 수목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주목의 상단 및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서 지주목의 경사면에 본체의 수직벽면이 접하면서 지주목의 상단에 본체의 수평벽면이 상측으로 가변될 때 수직벽면과 수평벽면의 경계선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호형의 노치홈을 형성하며, 수평벽면이 상측으로 가변될 때 휘어지거나 뒤틀어짐을 방지하면서 지주목의 상단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벽면의 중앙에 'V' 자형 노치홈을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밴드는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된 후 조립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 고정밴드의 제1띠 및 제2띠는 성형할 때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형 고정밴드의 제1띠 및 제2띠는 본체의 탄성력보다 더 높은 탄성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하여 지주목의 둘레면 및 체결홈에 용이하게 당겨서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제1띠 및 제2띠의 연결부분에 끼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1띠 및 제2띠의 연결부분 그리고 끼움돌기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 그리고 중앙의 끼움고정홈에 끼움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의 제2띠의 연결부분에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신축부를 마련하여 결착을 위한 늘어나는 길이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밴드의 제2 띠의 고정부분을 본체의 수직벽면 양측면 하단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지주목의 체결홈에 안착되는 제2 띠의 파지편을 체결구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으로 가압 고정하여 본체(21)의 하단이 비틀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의 완충부재는 조경수 또는 과실수의 등을 포함하는 수목을 식재하고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수목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주목을 설치할 때 지지하는 지주목의 경사면의 각도가 커지도록 변화하여 수평측벽이 상측으로 가변하여도 수직벽면 및 수평측벽의 경계선에 형성된 호형 노치홈과 수평측벽에 형성된 'V' 자형 노치홈에 의해 균열 및 휘어지거나 뒤틀어짐을 방지하여 지주목의 상단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므로 수명 연장 및 미련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일체형 또는 체결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분리형의 고정밴드의 제1띠 및 제2띠에 의해 체결이 용이하고 지주목으로부터 본체가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됨과 함께 수목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활착을 돕게 되며, 내측의 수직돌기와 외측의 제2 수직돌기 및 하측의 수평돌기에 의해 수목의 외피에 부분 접촉에 의한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을 방지함은 물론 부분 접촉으로 제공되는 이격공간에 의해 외피의 손상방지 및 활착에 도움이 가능하고, 그 구조가 간결하여 작업이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가 지주목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가 지주목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B)는 도 3의 수목 보호 지지대가 지주목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A, B)는 도 3의 수목 보호 지지대가 지주목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A-A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3의 수목 보호 지지대가 지주목에 안착 및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끈 및 체결구를 이용하여 수목에 지주목을 결착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의 제2 띠가 본체의 수직벽면 양측면 하단부분으로 위치 변경되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정밴드의 제2 띠가 고정끈에 의해 지주목에 결착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고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수목 보호 지지대의 완충부재(1)는 도 1 및 도 7에서와 같이 수목(100)의 둘레면과 지주목(1)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지주목(1)은 상단(11)으로부터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2)과 이 경사면(12)의 반대편에 절결 형성되어 체결구(200)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300)이 걸리는 체결홈(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부재(1)는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안착되고 수목(100)의 외피에 접하여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PVC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기본 구성요소를 이용하게 된다.
본 출원고안은 수목(100)의 둘레면과 지주목(1)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2)가 지주목(1)에 용이하게 체결되면서 수목(100)의 둘레면에 부분 접촉을 통해 성장을 위한 통기용 이격공간(H)을 제공함은 물론 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수목(100)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자체의 변형이 없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완충부재(2)는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접하여 안착되면서 수목(100)의 외피 둘레면에 접하는 본체(21)와, 지주목(1)의 둘레면면(14) 및 체결홈(13)에 결착되는 고정밴드(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접하여 안착되도록 평면상의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면(211)의 반대편은 도 1 및 도 6의 (B)에서와 같이 수목(100)에 접하는 호형면(213)으로 이루어지면서 비틀림 발생의 최소화를 위해 양측에 수직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돌기(214)의 하측 사이에는 분할된 수평돌기(215)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돌기(214) 및 수평돌기(215)에 수목(100)의 외피 둘레면이 접할 때 도 6의 (B) 및 도 6에서와 같이 이격공간(H)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밴드(22)는 일측이 본체(21)의 양측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타측 자유단이 지주목(1)의 둘레면(14)에 탄성력에 의해 결착되는 제1 띠(221)와,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하향 경사지면서 결착되는 제2 띠(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띠(222)의 자유단 중앙부분을 당겨서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파지편(222')을 중앙부분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1)의 호형면(213) 부분이 수목(100)의 둘레면에 가압에 의해 밀착될 때 더욱 안정적으로 수목(100)을 지지하면서 비틀림 발생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호형면(213)의 양측으로 연장된 평면부분에 제2 수직돌기(214')를 추가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의 (A)에서와 같이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 사이의 기본 각도가 ∠144° 상태에서 도 2의 (B)에서와 같이 각도가 ∠148° 상태로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서 지주목(1)의 하단부분이 수목(100)으로부터 더 벌어지는 상태로 수목(100)을 결박할 때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안착되는 완충부재(2)의 본체(11)의 수직벽면(211)은 지주목(1)의 경사면(12)에 동일한 상태로 접하지만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은 각도가 커진 지주목(1)의 상단(11)에 접하면서 상측으로 가변되어 선단이 들리는 상태가 된다.
상기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의 가변은 곧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의 경계선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호형의 노치홈(2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이 도 2의 (B)에서와 같이 각도가 ∠148°상태로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가변되거나 도 5의 (B)에서와 같이 결박에 의해 압착될 때 화살표 방향처럼 밀려 이동되어 자체가 휘어지거나 뒤틀어짐을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벽면(212)의 중앙에 'V' 자형 노치홈(217)을 더 형성하여 지주목(1)의 상단(11)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22)는 일 실시 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본체(21)는 연질 PVC 소재로 성형하고 분리 형성되는 고정밴드(22)는 본체(21)의 탄성력보다 더 향상된 탄성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성형한 후 조립되도록 하거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연질 PVC 소재로 본체(21)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리형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21)의 탄성력보다 더 높은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형성하여 지주목(1)의 둘레면(14) 및 체결홈(13)에 용이하게 당겨서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연결부분에 끼움돌기(223)를 돌출 형성되도록 분리 형성하고, 상기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연결부분 그리고 끼움돌기(223)는 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218a) 및 제2 가이드홈(218b) 그리고 중앙의 끼움고정홈(218c)에 끼움으로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일체형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동일한 연질 PVC 소재로 본체(21)와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연질 PVC 소재는 고무 소재보다 신축성(탄성력)이 낮으므로 제1 띠(221) 및 제2 띠(222)가 지주목(1)의 둘레면(14) 및 체결홈(13)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길이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성(탄성력)이 낮은 연질 PVC 소재로 형성된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경우 거리가 먼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더욱 용이하게 당겨서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본체(21)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띠(222)의 연결부분에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신축부(224)를 더 마련하여 결착을 위해 늘어나는 길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완충부재(2)가 도 1에서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각각 성형된 본체(21)의 중앙의 끼움고정홈(218c)으로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끼움돌기(223)를 끼워 맞춤시키면 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218a) 및 제2 가이드홈(218b)에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연결부분이 유입되어 걸림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를 지주목(1)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유입시키면서 본체(21)의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을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안착시킨 후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자유단 및 파지편(222')을 이용하여 당겨서 도 2의 (C)에서와 같이 수평 및 경사상태로 지주목(1)의 둘레면 및 체결홈(13)에 안정적으로 결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지주목(1)에 결합된 완충부재(2)의 본체(21)를 수목(100)의 둘레면에 접촉시키고, 이어서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유입되어 걸리는 고정끈(300)을 체결구(200)로 감아 결박하게 되면 도 2의 (A) 및 (B)에서와 같이 본체(21)의 호형면(213)에 형성된 수직돌기(214) 및 하측 사이에는 분할 형성된 수평돌기(215)가 수목(100)에 일착 접촉되어 결박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며, 이어서 고정끈(300)을 더 강하게 조여 결박시키면 본체(21)의 호형면(213) 양측으로 연장된 평면부분에 형성된 제2 수직돌기(214')가 수목(100)의 둘레면에 접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수직돌기(214), 수평돌기(215) 및 제2 수직돌기(214')에 접하는 수목(100)의 외피 둘레면은 부분 접촉에 의해 제공되는 이격공간(H)이 수목(100)의 활착에 도움을 제공하면서 수목(100)의 외피가 손상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의 경계선에 형성된 호형의 노치홈(216)은 도 2의 (A)에서와 같이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 사이의 기본 각도보다 도 2의 (B)에서와 같이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서 지주목(1)의 상단(11)에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이 접하면서 상측으로 가변되어 균열되는 것이 방지시키게 되고,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의 중앙에 형성된 'V' 자형 노치홈(217)은 도의 2 (B) 및 도 5의 (B)에서와 같이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이 상측으로 가변될 때 휘어지거나 뒤틀어짐을 방지하면서 지주목(1)의 상단(11)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므로 형상의 변형이 없이 미려한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일체형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경우는 동일한 연질 PVC 소재로 본체(21)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를 지주목(1)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유입시키면서 본체(21)의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을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안착시킨 후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자유단 및 파지편(222')을 이용하여 당겨서 도 2의 (C)에서와 같이 수평 및 경사상태로 지주목(1)의 둘레면 및 체결홈(13)에 안정적으로 결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경우 거리가 먼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당겨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본체(21)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띠(222)의 연결부분에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신축부(224)가 마련되면 결착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1)의 하단이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21)의 수직벽면(211) 양측면 중앙부분에 있던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고정부분을 본체(21)의 수직벽면(211) 양측면 하단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도 9에서와 같이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안착되는 제2 띠(222)의 파지편(222')을 체결구(200)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300)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완충부재(2)는 식재된 수목(100)을 강풍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생존(활착)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지주목(1)에 안착될 때 지주목(1)의 경사면(12)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본체(21)가 균열 및 변형 없이 안정적이면서 외관이 미련한 상태로 안착되고,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22)이 제1 띠(221) 및 제2 띠(2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본체(21)의 수직돌기(214) 및 하측의 수평돌기(215) 그리고 제2 수직돌기(214')가 수목(100)의 외피에 부분 접촉되므로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을 방지함은 물론 부분 접촉으로 제공되는 이격공간(H)에 의해 수목(100)의 외피 손상방지 및 성장에 도움이 되는 통기성 및 성장공간이 제공되고, 신축성이 낮은 PVC 소재로 형성되는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에 형성된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신축부(224)는 지주목(1)의 체결홈(13)까지 늘어나는 길이로 보상할 수 있으므로 설치의 편리성이 있으며,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고정부분을 본체(21)의 수직벽면(211) 양측면 하단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안착되는 제2 띠(222)의 파지편(222')을 체결구(200)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300)으로 가압 고정하면 본체(21)의 하단이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그 구조가 간결하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설치가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수목 200: 체결구
300: 고정끈 1: 지주목
11: 상단 12: 경사면
13: 체결홈 14: 둘레면
2: 완충부재 21: 본체
211: 수직벽면 212: 수평벽면
213: 호형면 214: 수직돌기
214': 제2 수직돌기 215: 수평돌기
216: 노치홈 217: 노치홈
218a: 제1 가이드홈 218b: 제2 가이드홈
218c: 끼움고정홈 22: 고정밴드
221: 제1 띠 222: 제2 띠
222': 파지편 223: 끼움돌기
224: 신축부

Claims (6)

  1. 수목(100)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상단(11)으로부터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2)과, 이 경사면(12)의 반대편에 절결 형성되어 체결구(200)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300)이 걸리는 체결홈(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지주목(1)과; 상기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안착되고 수목(100)의 외피에 접하여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로 이루어지는 수목 보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접하여 안착되는 완충부재(2)는 본체(21)와 고정밴드(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1)는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에 접하여 안착되도록 평면의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면(211)의 반대편에는 수목(100)에 접하는 호형면(213)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수직돌기(214)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돌기(214)의 하측 사이에는 분할된 수평돌기(215)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돌기(214) 및 수평돌기(215)에 수목(100)의 외피 둘레면이 접할 때 이격공간(H)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밴드(22)는 일측이 본체(21)의 수직벽면(211) 양측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주목(1)의 둘레면(14) 및 체결홈(13)에 탄성력으로 결착되는 제1 띠(221)와 파지편(222')을 갖는 제2 띠(2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수직벽면(211)에 형성된 호형면(213) 양측으로 연장된 평면부분에는 제2 수직돌기(214')를 추가 형성하여 비틀림 발생의 최소화를 통해 수목(1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목(1)의 상단(11) 및 경사면(12) 사이의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서 지주목(1)의 경사면(12)에 본체(11)의 수직벽면(211)이 접하면서 지주목(1)의 상단(11)에 본체(21)의 수평벽면(212)이 접하면서 상측으로 가변될 때 수직벽면(211)과 수평벽면(212)의 경계선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호형의 노치홈(216)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벽면(212)이 상측으로 가변될 때 휘어지거나 뒤틀어짐을 방지하면서 지주목(1)의 상단(11)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벽면(212)의 중앙에 'V' 자형 노치홈(217)을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2)는 본체(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된 후 조립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는 성형할 때 본체(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밴드(22)의 제1 띠(221) 및 제2 띠(222)는 본체(21)의 탄성력보다 더 높은 연질소재로 형성하여 지주목(1)의 둘레면(14) 및 체결홈(13)에 용이하게 당겨서 결착시킬 수 있도록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연결부분에 끼움돌기(22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1 띠(221) 및 제2 띠(222)의 연결부분 그리고 끼움돌기(223)는 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218a) 및 제2 가이드홈(218b) 그리고 중앙의 끼움고정홈(218c)에 끼움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연결부분에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신축부(224)를 마련하여 지주목(1)의 체결홈(13)까지 늘어나는 길이를 제공하여 결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하단이 비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밴드(22)의 제2 띠(222)의 고정부분을 본체(21)의 수직벽면(211) 양측면 하단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지주목(1)의 체결홈(13)에 안착되는 제2 띠(222)의 파지편(222')을 체결구(200)에 의해 결박되는 고정끈(300)으로 가압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KR2020230000478U 2023-02-07 2023-03-13 수목 보호 지지대 KR2004975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00246 2023-02-07
KR2020230000246 202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28Y1 true KR200497528Y1 (ko) 2023-12-06

Family

ID=8912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478U KR200497528Y1 (ko) 2023-02-07 2023-03-13 수목 보호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2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79A (ko) * 1998-12-31 2000-07-25 전원일 수목 보호 지주대 구조
KR200263835Y1 (ko) 2001-11-14 2002-02-09 배호영 수목의 지주목 설치용 완충제
KR200441171Y1 (ko) 2008-03-26 2008-07-30 김귀성 수목지주대
KR20100012919U (ko) * 2009-06-19 2010-12-29 문재호 수목보호 및 지지용 지주목의 결합구조
KR200457069Y1 (ko) * 2011-06-24 2011-12-05 임근춘 수목 고정장치
KR200468701Y1 (ko) 2011-07-28 2013-09-03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KR200484822Y1 (ko) * 2017-03-08 2017-10-30 김세윤 수목 보호용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079A (ko) * 1998-12-31 2000-07-25 전원일 수목 보호 지주대 구조
KR100296770B1 (ko) 1998-12-31 2001-10-26 전원일 수목 보호 지주대 구조
KR200263835Y1 (ko) 2001-11-14 2002-02-09 배호영 수목의 지주목 설치용 완충제
KR200441171Y1 (ko) 2008-03-26 2008-07-30 김귀성 수목지주대
KR20100012919U (ko) * 2009-06-19 2010-12-29 문재호 수목보호 및 지지용 지주목의 결합구조
KR200457069Y1 (ko) * 2011-06-24 2011-12-05 임근춘 수목 고정장치
KR200468701Y1 (ko) 2011-07-28 2013-09-03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KR200484822Y1 (ko) * 2017-03-08 2017-10-30 김세윤 수목 보호용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9838A (ko) 수목 지지대
KR200392441Y1 (ko) 포도재배용 비닐하우스용 지주대 구조
KR200497528Y1 (ko) 수목 보호 지지대
CN210900581U (zh) 一种西红柿种植用爬藤杆
KR102151570B1 (ko) 나무 지주목 체결구
KR102359374B1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CN210017207U (zh) 一种用于防止园艺植物倒伏的伸缩杆
KR200377740Y1 (ko) 농작물 모 지지대
KR101685969B1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WO2004086852A2 (en) Plant support adapted for lifting and carrying a plant container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KR102511215B1 (ko) 고추대 지지구
KR970000573Y1 (ko) 수목지지대
KR102580810B1 (ko) 작물 유인 지지구
KR102451258B1 (ko) Y형 고추 지주대 본체 및 그 제조방법
JP2943863B1 (ja) 植木鉢用スライド支柱
KR200367989Y1 (ko) 밴드타입 농작물 지지대
JP3187316U (ja) 農園芸用支柱のテープ係止具
CN214758147U (zh) 一种嵌入型花卉及观叶植物收束导向装置
KR200365199Y1 (ko) 나무가지 받침용 지지대
CN220383787U (zh) 具有限位结构的种植架
CN213695086U (zh) 一种使苗木在生长期直立生长的套杆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