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38Y1 -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38Y1
KR200497438Y1 KR2020220002499U KR20220002499U KR200497438Y1 KR 200497438 Y1 KR200497438 Y1 KR 200497438Y1 KR 2020220002499 U KR2020220002499 U KR 2020220002499U KR 20220002499 U KR20220002499 U KR 20220002499U KR 200497438 Y1 KR200497438 Y1 KR 200497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water
water supply
supply system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천
Original Assignee
김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천 filed Critical 김학천
Priority to KR2020220002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당, 급식소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높고 음용수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급구,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구, 상기 공급구와 상기 출수구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및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출수구로 출수되지 않는 음용수가 회수구를 통해 외부로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있어, 이용객이 즉시 정수된 음용수를 이용하기 위해 각 테이블에 배치되어 음용수가 출수되는 음용수 공급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DRINKING WATER SUPPLYER AND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본 고안은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을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 급식소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높고 음용수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되는 음용수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유동인구가 높고, 음용수가 필요로 하는 장소, 즉, 식당, 급식소 등과 같은 장소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정수기가 배치된다.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기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정화하여 음용수를 배출한다. 식당은 하나의 정수기가 배치되어 이용객 몰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원이 물이 담긴 물병을 각 테이블마다 가져다 줌으로써 이용객이 음용수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용객은 물병의 물이 담겼는 지 알 수 없으며, 매일 물병을 세척하는 지 알 수 없다. 또한, 물병의 물이 부족한 경우, 이용객은 물이 담긴 물병을 요청하거나 직접 가지고 와야 하며, 물통을 엎지르는 실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직원은 지속적으로 물병에 물을 보충해야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수기를 여러 대를 설치할 수 있으나, 각 테이블마다 설치하기에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여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각 테이블에서 이용객이 음용수를 얻을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05180호(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용객이 즉시 정수된 음용수를 이용하기 위해 각 테이블에 배치되어 음용수가 출수되는 음용수 공급기를 제안한다.
본원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음용수가 출수되는 음용수 공급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급구,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구, 상기 공급구와 상기 출수구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및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출수구로 출수되지 않는 음용수가 회수구를 통해 외부로 회수되는 회수유로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하면에 판 형태의 지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기둥형태의 컵 거치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출수구의 하단에 형성되고, 외면에 투명창을 포함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출수구의 하단에 물받이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는 테이블의 하면에 형성된 물통과 연결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통은 외부와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의 개폐를 조작하는 레버, 상기 물통 내부와 연결된 투명기둥, 및 상기 투명기둥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의 내부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수위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후면에 거치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벽걸이 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면에 상기 공급구와 상기 회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상측에 배치된 배관과 볼트 결합되고, 지면 또는 테이블로부터 이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공급유로와 회수유로가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하나 이상의 출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출수구에 대응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급구,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구 및 음용수가 외측으로 회수되는 회수구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원수를 공급받는 1차필터, 상기 1차필터를 통과한 음용수가 내부에 배치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음용수를 음용수 공급기로 공급하는 모터, 및 상기 저장탱크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공급기로부터 회수된 음용수를 공급받는 2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회수구는 인접한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공급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내부 음용수와 접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제어하는 온도 다이얼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직원 및 이용객의 이동을 줄여 식당, 급식소 등에서 부딪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용객은 방금 정화된 음용수를 바로 공급받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통을 사용하지 않기에 직원은 물통 관리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유체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5는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물받이의 변형 예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테이블 배치 예시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에의 벽걸이 형태이다.
도 9는 벽걸이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벽걸이 디스펜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디스펜서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의 벽걸이 형태이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디스펜서 변형 예시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배치 평면도이다.
도 17은 하나의 출수구를 가진 음용수 공급기의 배치도이다.
도 18은 복수개의 출수구를 가진 음용수 공급기의 배치도이다.
도 19는 음용수 공급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테이블 상에 지지판(200)이 배치되고, 지지판(200)의 상면에 디스펜서(100)가 배치된다. 디스펜서(100)는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구(110)와 출수구(110)를 조작하는 출수레버(120)를 포함한다. 또한, 하단에는 출수된 물이 모아지는 물받이(130)가 형성된다.
이때, 디스펜서(100)의 작동은 출수레버(120)의 조작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근접센서, 음성인식 등의 입력장치에 의해 음용수가 출수될 수 있다.
디스펜서(100)는 정수된 음용수를 공급받으며, 필요에 따라 내부에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판(200)은 디스펜서(100)의 좌우측에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관통홀(210)에 컵이 거치되는 기둥(미도시)이 배치된다. 기둥의 하단은 관통홀(210)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단은 컵의 내부에 삽입되는 직경을 가진다. 기둥에 거치된 컵은 테이블 및 지지판(20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판(200)과 디스펜서(100)가 나사 결합되며, 지지판(200)은 컵을 배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지지판은 홈(220)이 형성되며, 홈을 통해 디스펜서의 하면이 노출된다. 디스펜서(100)의 하면은 정수된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140), 사용되지 않는 물이 회수되는 회수구(150) 및 출수된 물을 배출되는 배출구(16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100)는 공급구(140)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다. 공급된 물이 출수구(110)로 출수되지 않은 경우, 회수구(150)를 통해 디스펜서(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이 디스펜서(10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순환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이용객이 이용할 수 있다.
출수구(110)에서 출수된 물은 이용객에게 이용되거나, 물받이로 떨어지게 된다. 물받이에 모인 물은 직원이 물받이를 교체 또는 물을 버림으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자주 관리가 어려운 경우, 배출구(160)를 형성하여 물받이 보다 큰 공간을 갖는 통에 물을 모아 관리한다.
도 3은 디스펜서(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펜서(100)는 원통형 또는 원형과 직사각형이 결합된 복합형으로 형성되며, 출수구의 하단에 컵이 배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컵은 출수구의 하단 형성된 물받이에 의해 지지되며, 출수된 후 버려지는 물은 물받이로 이동된다.
음용수 출수 조작은 출수구(110)를 제어하는 출수레버(120), 컵 배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정량의 물을 출수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출수레버(120)는 가압에 의해 출수구(110)가 개방되어 물이 출수되는 방식으로 밸브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센서부는 근접센서 또는 컵의 하중감지를 이용하여 컵의 배치여부를 확인하여 일정량의 물이 출수되도록 제어한다.
물받이는 컵의 하중을 지지하고, 컵에 담기지 않는 출수된 물이 통과되는 물받이망(131)이 형성되며, 물받이 내부에 물이 얼마나 채워졌는지 외측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투명창(132)을 포함한다. 투명창(132)을 통해 물받이에 채워진 물의 양을 파악하여 직원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유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에 형성된 공급구(140)로 음용수가 공급되며, 공급구(140)와 출수구(110)가 연결된 공급유로(141)를 통해 음용수가 출수된다. 이때, 출수구(110)로 출수되지 않은 음용수는 공급유로(141)와 연결된 회수유로(151)를 통해 디스펜서(100)의 외우로 배출된다.
즉, 디스펜서(100)의 공급유로(141)는 출수구(110) 방향과 회수구(150) 방향으로 나눠진 분기점(A)을 포함한다. 조작에 의해 출수구(110)가 열린 경우, 출수구(110) 방향으로 음용수가 출수되며, 출수구(110)가 닫힌 경우, 회수유로(151)를 따라 회수구(15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인 물 순환이 이루어져 상시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 디스펜서(100) 내에 형성된 유로는 디스펜서(1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공급유로(141) 및 회수유로(151)가 디스펜서(100)의 내부에 배치된 예시도이다. 유로가 디스펜서(100) 내부에 배치된 경우, 유로가 디스펜서(100)의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의 외면에 공급유로(141) 및 회수유로(151)가 배치된 예시도이다. 공급유로(141) 및 회수유로(151)가 디스펜서(100)의 외측에 배치될 경우, 유로의 교체 및 정비가 쉬운 장점이 있다.
디스펜서(100)의 외관 디자인은 필요에 따라 변현될 수 있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외면이 균일하여 제작의 이점이 있다.
디스펜서(100)의 형상이 원통형이 아닌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원형이 혼합된 혼합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혼합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디스펜서(100)의 내부에 유로 이외의 추가 장치를 배치할 수 있은 장점이 있다. 이때, 추가 장치는 음용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교환기, 출수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물받이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물받이의 투명창(132)은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은 물받이의 상단이 여러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을 참고하면, 하단에서부터 일정 높이만큼 외측에서 수위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32)이 형성된다.
직원은 물 버림 여부를 투명창(132)을 통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6(g)은 수위확인부가 하단부터 상단까지 투명한 창으로 형성된 예시도이다. 전체가 투명한 창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쉽게 물이 얼마나 채워졌는지 확인 할 수 있다.
도 6(h)은 수위확인부가 하단부터 상단까지 불투명한 창으로 형성된 예시도이다. 전체가 불투명한 창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없다.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특성상 내부에 오염물이 유입될 수 있다. 미관상 좋지 않아 불투명한 소재로 수위를 가릴 수 있다. 직원은 다른 구성을 통해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제1실시예의 테이블 배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테이블의 상면에 음용수 공급기가 배치되고, 테이블의 하면에 버려진 물이 모이는 물통(300)이 배치된다.
음용수 공급기의 배출구(160)와 연결된 배출유로(161)는 테이블을 관통 또는 우회하여 테이블의 하면에 배치된 물통(300)과 연결된다. 물받이망(131)으로 배출된 물은 배출유로(161)를 통해 물통(300)으로 저장된다. 물통(300)의 용량은 물받이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주 물을 비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물통(300)은 외부와 연결된 호스(320), 상기 호스(320)의 개폐를 조작하는 배수밸브(310), 상기 물통(300) 내부와 연결된 투명기둥(330), 및 상기 투명기둥(3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300)의 내부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수위공(340)을 포함한다.
물통(300)의 물은 배수밸브(310) 조작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물통(300)을 탈착하여 비우는 것이 아닌 배수밸브(310) 조작을 통해 물통(300)의 물을 쉽게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통(300)은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기둥(330)과 결합된다. 투명기둥(330)은 물통(300)과 연결되어 있어 물통(300)의 수위와 동일하다. 투명기둥(330)의 내부에 수위공(340)이 배치되어, 수위에 따라 공이 상하 이동됨을 통해 물통(300)의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받이에 투명창(132)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투명기둥(330)의 수위공(340)을 통해 물 버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제1실시예의 벽걸이 형태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음용수 공급기는 벽에 배치되도록 벽걸이 판(400)이 결합된다. 지지판(200) 및 디스펜서(100)의 후면에 결합한 벽걸이 판(400)이 배치된다. 벽걸이 판(400)은 나사홀(410)을 포함하여 벽에 설치된다.
도 9는 벽걸이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는 후면에 결합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 홈(220)에 삽입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는 벽걸이 판(400)을 포함한다.
벽걸이 판(400)은 무게의 중심이 되는 디스펜서(100)와 결합된다. 디스펜서(100)와 벽걸이 판(400)은 디스펜서(100)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180)에 돌출부(420)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필요에 따라 나사결합이 더 포함된다.
도 10은 벽걸이 디스펜서의 예시도이다. 도 10(a)과 도 10(b)을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의 공급구 및 회수구는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다. 식당 또는 급식소 등의 공간에 배치된 외부공급배관(142)과 외부회수배관(152)에 따라 공급구 및 회수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외부공급배관과 외부회수배관이 하측에 형성된 경우, 배관 작업 및 보수 작업에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상측에 형성된 경우, 가구 배치공간 및 사람의 이동에 제한이 적은 장점이 있다. 운영하는 사업소의 특징에 따라 운영자의 선택한다.
공급구에 연결된 외부공급배관과 회수구에 연결된 외부회수배관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외부공급배관과 외부회수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펜서의 배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펜서(100)는 공급관과 회수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되는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외부공급배관(142)과 외부회수배관(152)은 하나의 배관(10)에 내에 배치된다.
배관은 보호관의 역할을 포함한다. 배관(10)의 일단은 디스펜서(1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볼트 결합되며, 타단은 천장에 결합되어 디스펜서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를 통해 디스펜서(100)는 식당, 급식소 등과 같은 공간의 상단에 설치되어 디스펜서(100)의 위치에 배관이 내려와 배치된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의 형태를 변형한 예시도이다. 박스 형태의 지지박스(200)와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100) 및 컵 거치대(500)가 배치된다. 제2실시예의 디스펜서(100)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디스펜서(100)의 크기를 작게 줄여 테이블에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이때, 지지박스(200)는 테이블에 삽입되어 지지박스(200)의 상면과 테이블의 상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는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되며, 조절 방식은 선풍기의 높이조절, 모니터의 높이 조절 등과 같은 조절방식을 포함한다. 출수구(110)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켜, 다양한 크기의 컵을 이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제2실시예의 벽걸이 형태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지지박스(200)의 후면에 벽걸이 판(400)이 배치되고, 지지박스(200)의 전면에 수위를 확인 할 수 있는 투명창(132)이 설치된다.
음용수 공급기의 배치 위치를 테이블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벽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배치 위치의 제약을 줄인 장점이 있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디스펜서(100) 변형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는 하나의 기둥에 복수개의 출수구(11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출수구(110)를 형성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복수개의 출구수가 형성된 디스펜서(100)는 하나의 공급유로(141)와 하나의 회수유로(151)가 내부에 형성되며, 출수구(110)로 향하는 분기점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의 상측에 기둥형태의 컵 거치대(500)가 형성된 예시도이다. 테이블 상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디스펜서(100)의 상측에 컵 거치대(500)가 배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배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하나의 지지박스(200)에 디스펜서(100), 컵 거치대(500), 및 물받이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16(a)과 도 6(b)은 하나의 출수구(110)를 가진 디스펜서(100)를 포함하는 배치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디스펜서(100)의 좌우측에 컵 거치대(500)가 배치되며, 디스펜서(100)의 전면에 물받이가 배치된다.
도 16(c)과 도 16(d)은 두 개의 출수구(110)를 가진 디스펜서(100)를 포함하는 배치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디스펜서(100)를 중심으로 전후 측에 물받이가 배치되고, 좌우측에 컵 거치대(500)가 배치된다.
도 17은 하나의 출수구를 가진 음용수 공급기의 배치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음용수 공급기(1000)는 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테이블 옆 보조테이블 상에 배치된다. 음용수 공급기의 출수구는 테이블의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며, 출수구의 하단에 물받이가 배치되고, 좌우측에 컵 거치대가 배치된다.
도 18은 복수개의 출수구를 가진 음용수 공급기의 배치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2개의 출수구를 가진 음용수 공급기(1000)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두 개의 테이블 사이에 음용수 공급기가 배치된다. 음용수 공급기는 보조테이블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가 긴 테이블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음용수 공급기의 출수구가 각각 테이블의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각 테이블을 이용한 이용객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컵 거치대는 디스펜서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음용수 공급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음용수 공급기를 이용한 음용수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받는 제1필터(2120), 상기 필터를 통과한 음용수가 내부에 배치된 저장탱크(2100), 상기 저장탱크(2100)의 음용수를 상기 음용수 공급기로 공급하는 모터, 및 상기 저장탱크(2100)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공급기로부터 회수된 음용수를 공급받는 제2필터(2130)를 포함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회수구는 인접한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공급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수는 제1필터(2120)에 의해 정화되어 저장탱크(2100)에 저장된다. 저장된 음용수는 모터의 힘의 의해 인접한 음용수 공급기를 향하여 이동된다.
저장탱크(2100)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은 음용수 공급기는 순환 후 회수되어 인접한 다른 음용수 공급기로 공급된다. 즉, 회수구는 다른 음용수 공급기의 공급구(140)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식당, 급식소 등에 복수개 배치된 음용수 공급기는 하나의 저장탱크(2100)의 수질을 관리를 통해 복수개의 음용수 공급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수개의 음용수 공급기를 순환한 음용수는 제2필터(2130)를 통해 정화되어 저장탱크(2100)로 회수된다.
저장탱크(2100)는 내부 음용수와 접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제어하는 온도다이얼(2140)을 포함한다. 열교환기를 통해 음용수 공급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탱크(2100)는 타이머(2150)를 포함한다. 타이머(2150)를 통해 내부 유로에 잔류하는 음용수의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시간 후에 저장탱크(2100) 및 음용수 공급기와 연결된 배관 내의 물을 배출하여 수질 관리를 진행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테이블
10 : 배관
1000 : 음용수 공급기
100 : 디스펜서
110 : 출수구 120 : 출수레버
130 : 물받이
131 : 물받이망 132 : 투명창
140 : 공급구
141 : 공급유로 142 : 외부공급배관
150 : 회수구
151 : 회수유로 152 : 외부회수배관
160 : 배출구 161 : 배출유로
170 : 센서부 180 : 결합홈
200 : 지지판, 지지박스
210 : 관통홀 220 : 홈
300 : 물통
310 : 배수밸브 320 : 호스
330 : 투명기둥 340 : 수위공
400 : 벽걸이 판 410 : 나사홀
420 : 돌출부
500 : 컵 거치대
2000 : 음용수 공급시스템
2100 : 저장탱크
2110 : 모터 2120 : 제1필터
2130 : 제2필터 2140 : 온도다이얼
2150 : 타이머

Claims (12)

  1.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급구,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구 및 음용수가 외측으로 회수되는 회수구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기,
    원수를 공급받는 1차필터,
    상기 1차필터를 통과한 음용수가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음용수와 접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제어하는 온도 다이얼을 포함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음용수를 음용수 공급기로 공급하는 모터, 및
    상기 저장탱크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공급기로부터 회수된 음용수를 공급받는 2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회수구는 인접한 상기 음용수 공급기의 공급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하면에 판 형태의 지지판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기둥형태의 컵거치대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상기 출수구의 하단에 형성되고, 외면에 투명창을 포함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상기 출수구의 하단에 물받이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는 테이블의 하면에 형성된 물통과 연결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외부와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의 개폐를 조작하는 레버,
    상기 물통의 내부와 연결된 투명기둥, 및
    상기 투명기둥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의 내부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수위공을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후면에 거치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벽걸이판을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상면에 상기 공급구와 상기 회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상측에 배치된 배관과 볼트결합되고, 지면 또는 테이블로부터 이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공급유로와 회수유로가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기는 하나 이상의 출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출수구에 대응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2020220002499U 2022-10-27 2022-10-27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KR200497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99U KR200497438Y1 (ko) 2022-10-27 2022-10-27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99U KR200497438Y1 (ko) 2022-10-27 2022-10-27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438Y1 true KR200497438Y1 (ko) 2023-11-08

Family

ID=8874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499U KR200497438Y1 (ko) 2022-10-27 2022-10-27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3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97Y1 (ko) * 2000-06-10 2000-11-15 이화숙 벽걸이형 냉온 정수기
KR200318597Y1 (ko) * 2003-04-10 2003-06-28 조문철 다용도 수납함
KR20120016389A (ko) * 2010-08-16 2012-02-24 임진수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20120114569A (ko) * 2011-04-07 2012-10-17 구자명 정수기
JP2014014815A (ja) * 2012-07-05 2014-01-30 Jn's Tech Inc 浄水器
KR20180059061A (ko) * 2016-11-25 2018-06-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물받이
KR20220105180A (ko) 2021-01-18 2022-07-27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97Y1 (ko) * 2000-06-10 2000-11-15 이화숙 벽걸이형 냉온 정수기
KR200318597Y1 (ko) * 2003-04-10 2003-06-28 조문철 다용도 수납함
KR20120016389A (ko) * 2010-08-16 2012-02-24 임진수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20120114569A (ko) * 2011-04-07 2012-10-17 구자명 정수기
JP2014014815A (ja) * 2012-07-05 2014-01-30 Jn's Tech Inc 浄水器
KR20180059061A (ko) * 2016-11-25 2018-06-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물받이
KR20220105180A (ko) 2021-01-18 2022-07-27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001B1 (ko) 제거가능한 저장기를 갖추며 물통이 놓인 물분배대
US7188486B2 (en) Refrigerator water supply systems
US8833100B2 (en) Water reservoir pressure vessel
US5911341A (en) Liquid dispenser with readily removable reservoir and adaptor permitting use with various dispensers
EP0619798B1 (en)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WO2006131431A1 (en) Automatic cocktail-bar
CA2160586C (en)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and manifolded support platform
EP2475610A1 (en) Machine for multiple beverage dispensing, particularly for coffee and/or still water and/or hot and/or chilled beverages
CA2363361A1 (en) Water delivery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
KR200497438Y1 (ko) 음용수 공급기 및 음용수 공급 시스템
GB2373237A (en) Beverage dispenser
EP1204586A1 (en) Adapter for use in connection with combined coolers and dispensers for liquids, particularly water
JP4469177B2 (ja) 消費に適したミネラル水を提供し且つ計量分配する装置
EP1268339B1 (en) Flexibly oriented ice dispenser
DE69908137T2 (de) Vorrichtung zum Abgeben von Flüssigkeit aus nebeneinander angeordneten Behältern
WO2001072629A2 (en) Flexibly oriented ice dispenser
JP3524636B2 (ja) ビールディスペンサ
AU2021204181B2 (en) Lubricant dispensing system
US7635069B2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a beverage
WO2006035999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EP4188868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container washing system
KR200318893Y1 (ko) 냉온 식수대
ES2237219B1 (es) Mesa cervecera.
EP3218299B1 (d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US10358336B2 (en) Lubricant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