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08Y1 - 땅콩 탈곡기 - Google Patents

땅콩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08Y1
KR200497408Y1 KR2020210000697U KR20210000697U KR200497408Y1 KR 200497408 Y1 KR200497408 Y1 KR 200497408Y1 KR 2020210000697 U KR2020210000697 U KR 2020210000697U KR 20210000697 U KR20210000697 U KR 20210000697U KR 200497408 Y1 KR200497408 Y1 KR 200497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peanuts
rotating drum
pean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185U (ko
Inventor
허정규
Original Assignee
허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규 filed Critical 허정규
Priority to KR2020210000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0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Abstract

본 고안은 땅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갖는 땅콩의 수확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자동 탈곡해내기 위한 땅콩 탈곡기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땅콩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 처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땅콩을 향해 송풍 처리하여 탈곡된 땅콩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1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서의 송풍 처리에 의해 이물질을 1차 배출시킨 탈곡된 땅콩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2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배출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줄기 다발로부터 이에 매달린 땅콩 열매를 털어내 분리해내는 작업인 땅콩의 탈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땅콩 탈곡시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땅콩 탈곡기{Peanut Threshing Machine}
본 고안은 땅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기 다발로부터 이에 매달린 땅콩 열매를 털어내 분리해내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되 땅콩의 탈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땅콩 탈곡시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땅콩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콩(Peanut)은 1년생 식물로서,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거기에서 가지들이 나와 땅에 가깝게 누우면서 뻗으며, 줄기가 위로 곧추서거나 다발로 무리 지어 자라는데 키는 대략 45~60㎝ 정도이며, 독특하게 열매가 땅속에서 여문다.
열매는 길이가 2.5~5㎝ 정도이고, 하나의 열매 안에 2개 또는 3개의 씨가 들어 있으며, 대략 끝이 둥그런 원통 모양이고 씨와 씨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으며, 껍질은 얇고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으면서 해면처럼 울퉁불퉁하며 씨는 긴 타원형에서 거의 둥그런 모양까지 다양하며 씨껍질은 흰색에서 진한 자주색까지 여러 가지 색을 띠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땅콩은 열매가 주로 식용과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콩과의 식물로서, 단백질과 무기물 및 비타민이 풍부하고 지방이 많으며 칼로리가 높다.
한편, 상술한 구조 및 형태를 갖는 땅콩은 밭에서 수확시, 예전에는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땅속에서 뽑아내 캔 다음에 밭에 널어 말림으로써 건조시킨 후, 건조된 줄기 다발로부터 열매를 분리하되, 작업자가 하나하나씩 열매를 따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수작업은 많은 노동력이 요구됨은 물론 건조시간이 필요하는 등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탈곡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밭의 수확현장에서 사용 및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확과 동시에 바로 탈곡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땅콩 탈곡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땅콩 탈곡기는 종래 수작업에 비해 노동력 절감 등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할 것이나, 탈곡되는 땅콩의 열매 측 껍질이 깨지는 등 탈곡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작업자의 손목이 크게 다치거나 인체 부위가 빨려들어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화 기계장치인 땅콩 탈곡기와 관련하여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땅콩 전용의 탈곡기에 대한 국내기술은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으며, 단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2054호에서 '콩 탈곡기'를 개시하고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646호에서 '곡물 탈곡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콩이나 곡물을 탈곡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제안하는 본 고안이 갖는 땅콩 탈곡기는 상술한 선행기술문헌을 비롯한 다수의 종래 기술들과 대비시 탈곡 대상물과 더불어 적용 구조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등 각별한 차이를 갖는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05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646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줄기 다발로부터 이에 매달린 땅콩 열매를 털어내 분리해내는 작업을 자동 수행하되 땅콩의 탈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땅콩 탈곡시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땅콩 탈곡기땅콩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탈곡부 측 구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탈곡드럼 측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탈곡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털어내는 탈곡효율을 높이면서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성을 갖게 하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땅콩을 수확한 후 건조시킬 필요없이 바로 탈고 처리가 가능하고, 탈곡시 열매의 껍질 깨짐을 방지하며, 2차에 걸쳐 이물질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땅콩 탈곡기는,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갖는 땅콩의 수확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자동 탈곡해내기 위한 땅콩 탈곡기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땅콩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 처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땅콩을 향해 송풍 처리하여 탈곡된 땅콩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1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서의 송풍 처리에 의해 이물질을 1차 배출시킨 탈곡된 땅콩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2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배출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탈곡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에 위치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회전드럼과 하부회전드럼;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1 탈곡봉;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2 탈곡봉;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기어;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하부기어; 상기 하부기어 측으로 벨트 또는 체인 연결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탈곡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회전드럼과 하부회전드럼의 사이로 수확된 땅콩을 투입하기 위한 땅콩투입구를 측면에 형성시킨 탈곡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탈곡봉은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봉과, 상기 제1 고정봉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탈곡봉은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봉과, 상기 제2 고정봉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봉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탈곡봉과 제2 탈곡봉은 동일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탈곡봉과 제2 탈곡봉은 각각 5개로 구비되어 등간격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회전드럼에 비해 하부회전드럼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수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땅콩 탈곡기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줄기 다발로부터 매달린 땅콩 열매를 털어내 분리해내는 작업인 땅콩의 탈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땅콩 탈곡시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탈곡부 측 구조를 개선과 더불어 한쌍 구조로 구비한 탈곡드럼 측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탈곡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털어내는 탈곡효율을 높이면서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성을 갖게 하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땅콩을 수확한 후 건조시킬 필요없이 바로 탈곡 처리가 가능하고, 탈곡시 열매의 껍질 깨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1차 및 2차에 걸쳐 탈곡된 땅콩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땅콩 탈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에 있어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에 있어 탈곡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에 있어 송풍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에 있어 슈트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7은 본 고안에 따른 땅콩 탈곡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콩 탈곡기(1)는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갖는 땅콩의 수확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자동 탈곡해내기 위한 자동화 기계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00)와 송풍부(200) 및 배출슈트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곡부(100)는 땅콩 탈곡기를 구성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땅콩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탈곡부(1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에 위치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회전드럼(110)과 하부회전드럼(120)에 의한 탈곡드럼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회전드럼(110)과 하부회전드럼(120)은 상하 동일선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수확된 땅콩을 투입시 탈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하에 위치시키되 빗각으로 사선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곡드럼부에는 상기 상부회전드럼(110)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1 탈곡봉(130)과, 상기 하부회전드럼(120)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2 탈곡봉(14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1 탈곡봉(130)은 상기 상부회전드럼(110)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봉(131)과, 상기 제1 고정봉(131)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봉(1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탈곡봉(140)은 상기 하부회전드럼(120)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봉(141)과, 상기 제2 고정봉(141)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봉(14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 각각에 대해 고정봉과 회전봉의 이중 구조로 구비함은 현장에서 수확된 땅콩을 탈곡시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회전에 의한 타격을 통해 안정된 탈곡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동시에 혹여 탈곡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손 등이 접촉되는 경우 제1 회전봉(132)과 제2 회전봉(142) 측 슬립(slip) 회전력이 작용되므로 기계장치 안으로 빨려들어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은 동일 개수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은 각각 5개로 구비하여 등간격 배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 각각에 대해 5개 미만으로 등간격 배치하는 경우에는 수확된 땅콩을 탈곡부(100)로 투입시, 타격 힘이 너무 커져 탈곡작업이 너무 강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땅콩 열매의 껍질이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 각각에 대해 5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확된 땅콩을 탈곡부(100)로 투입시, 타격 힘이 약해져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탈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 탈곡효율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탈곡드럼부에는 회전동력을 제공 및 전달하기 위한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에는 상기 상부회전드럼(110)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기어(150)와, 상기 하부회전드럼(120)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기어(150)와 기어 결합되는 하부기어(160), 및 상기 하부기어(160) 측으로 벨트 또는 체인 연결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17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회전드럼(110)에 비해 하부회전드럼(120)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수행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상기 상부기어(150)와 하부기어(160)의 기어비에 대한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는 수확된 땅콩을 탈곡부(100)로 투입시, 회전속도 차이를 갖는 하부회전드럼(120)과 상부회전드럼(1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시간차에 의한 순간적인 타격을 실시하여주므로 땅콩을 유동시켜 진동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고, 탈곡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곡봉(130)과 제2 탈곡봉(140) 각각에 대해 고정봉과 회전봉의 이중 구조로 구비함에 따라 회전속도에 의한 타격과 동시에 외측에서 슬립 회전력을 제공하므로 탈곡효율을 높이면서 탈곡 처리되는 땅콩 측 열매 껍질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탈곡부(100)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탈곡부(100)를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회전드럼(110)과 하부회전드럼(120)의 사이로 수확된 땅콩을 투입하기 위한 땅콩투입구(181)를 측면에 형성시킨 탈곡덮개(18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탈곡부(100)에서 탈곡 처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탈곡된 땅콩을 향해 송풍 처리함으로써 탈곡된 땅콩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1차 배출하여 선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탈곡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 방향에 송풍어셈블리(210)를 고정 설치하고, 타측방향에 이물질 배출구(220)를 형성한다.
상기 송풍어셈블리(210)는 회전에 의해 송풍을 발생시키는 송풍날개를 갖는 송풍기(211)와, 상기 송풍기(211)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송풍을 이물질 배출구(220) 측으로 유도하는 송풍유도구(2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송풍기(211)는 벨트 또는 체인 연결을 통해 상기 탈곡부(100) 측 동력모터(170)로부터 회전동력을 동시에 받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슈트부(300)는 상기 송풍부(200)에서의 송풍 처리에 의해 이물질을 1차 배출시킨 탈곡된 땅콩을 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2차 배출하여 선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출슈트부(300)는 슈트형 구조를 갖는 슈트본체(310)와, 상기 슈트본체(310)의 배출경로 상에 형성되고 탈곡된 땅콩에 포함된 줄기 등의 이물질이 하측 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다수를 라인형으로 간격 배치한 라인형 슈트봉(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라인형 슈트봉(320)은 땅콩이 하측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는 틈새를 갖도록 간격 배치된다.
상기 배출슈트부(300)는 모터와의 결합을 통해 진동 흔들림을 유발하는 형태로 하여 흔들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갖는 땅콩 탈곡기(1)는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바퀴부 또는 캐터필러를 장착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는 줄기 다발로부터 이에 매달린 땅콩 열매를 털어내 분리해내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되 땅콩의 탈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땅콩 탈곡시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땅콩 탈곡기(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물론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탈곡부 110: 상부회전드럼
120: 하부회전드럼 130: 제1 탈곡봉
131: 제1 고정봉 132: 제1 회전봉
140: 제2 탈곡봉 141: 제2 고정봉
142: 제2 회전봉 150: 상부기어
160: 하부기어 170: 동력모터
200: 송풍부 300: 배출슈트부

Claims (4)

  1. 줄기에 매달린 열매를 갖는 땅콩의 수확시 줄기로부터 열매를 자동 탈곡해내기 위한 땅콩 탈곡기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땅콩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 처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땅콩을 향해 송풍 처리하여 탈곡된 땅콩과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1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서의 송풍 처리에 의해 이물질을 1차 배출시킨 탈곡된 땅콩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2차 배출하여 선별하는 배출슈트부; 를 포함하되,
    상기 탈곡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에 위치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회전드럼과 하부회전드럼;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1 탈곡봉;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등간격 배치 상태로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제2 탈곡봉;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기어;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하부기어;
    상기 하부기어 측으로 벨트 또는 체인 연결을 통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탈곡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회전드럼과 하부회전드럼의 사이로 수확된 땅콩을 투입하기 위한 땅콩투입구를 측면에 형성시킨 탈곡덮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탈곡봉은 상기 상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봉과, 상기 제1 고정봉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탈곡봉은 상기 하부회전드럼의 외주면 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봉과, 상기 제2 고정봉의 외면에 삽입되어 자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 탈곡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드럼에 비해 하부회전드럼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게 수행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 탈곡기.
KR2020210000697U 2021-03-05 2021-03-05 땅콩 탈곡기 KR200497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7U KR200497408Y1 (ko) 2021-03-05 2021-03-05 땅콩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7U KR200497408Y1 (ko) 2021-03-05 2021-03-05 땅콩 탈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85U KR20220002185U (ko) 2022-09-14
KR200497408Y1 true KR200497408Y1 (ko) 2023-11-01

Family

ID=8327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97U KR200497408Y1 (ko) 2021-03-05 2021-03-05 땅콩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0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79Y1 (ko) * 2002-06-17 2002-09-11 대한민국 풋콩 탈곡장치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317B1 (ko) * 1999-03-12 2001-04-16 이웅 탈곡장치
KR20140002646U (ko) 2012-10-26 2014-05-08 정성원 곡물 탈곡기
KR200472054Y1 (ko) 2014-01-21 2014-04-01 조효생 콩 탈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79Y1 (ko) * 2002-06-17 2002-09-11 대한민국 풋콩 탈곡장치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85U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02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crops
US4499908A (en) Combine concave structure
JPS62500213A (ja) 作物収穫機と作物収穫方法
US11925941B2 (en) Debuck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CN111066464A (zh) 一种食用豆联合收割机
KR200497408Y1 (ko) 땅콩 탈곡기
KR100555631B1 (ko) 콩작물 전용 수확장치
CN205794160U (zh) 一种双滚筒脱粒机
US5851145A (en) Hand portable grain threshing device
KR100760483B1 (ko) 약초 분리장치
CN211831925U (zh) 一种食用豆联合收割机
Ige Threshing and separation performance of a locally built cowpea thresher
Thompson et al. Drying, hulling, and shelling
CN205454710U (zh) 一种玉米收获机自动清选籽粒装置
CN2377825Y (zh) 一种用于谷物除杂的清选装置
JP3548707B2 (ja) ポット入り用土の取出解砕装置
CN208912149U (zh) 一种方便谷粒脱壳的装置
WO2012104877A1 (en) Device for coffee picking
KR200215918Y1 (ko) 자운영 탈곡 정선기
KR200439586Y1 (ko) 약초 뿌리 분리장치
KR200215967Y1 (ko) 곡물탈곡장치
CN211353819U (zh) 一种榛子剥壳机
KR102565242B1 (ko) 개량형 밤송이 탈피기
KR200377285Y1 (ko) 두류 탈곡기의 줄기 절단장치
US4339906A (en)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