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68Y1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68Y1
KR200497068Y1 KR2020210000298U KR20210000298U KR200497068Y1 KR 200497068 Y1 KR200497068 Y1 KR 200497068Y1 KR 2020210000298 U KR2020210000298 U KR 2020210000298U KR 20210000298 U KR20210000298 U KR 20210000298U KR 200497068 Y1 KR200497068 Y1 KR 200497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angle
band member
electrical connection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628U (en
Inventor
라이 웬-리
유 젱-이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0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2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전기 접속 단자(10)는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14)는 각각 복수의 굴곡점(1422, 1424)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자(14) 사이에 간극(d)을 갖는다. 그 중, 복수의 단자(14)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다. 그 중, 복수의 단자(14)는 밴드부재(12)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는 단계를 제1 단계 형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nd member 1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4.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includes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1422 and 1424 and has a gap 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rranged in a mann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angle range is between 30 degrees and 55 degrees.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band member 12 or located close to the same plane as the first step.

Description

전기 접속 단자{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료의 절감이나 고도 평탄성의 제공 등의 이점이 있는 전기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connectors, and in particular, to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having advantages such as material reduction and high flatness.

종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전선 대 기판(WTB) 커넥터나 국제 규격(ISO)의 커넥터를 들 수 있고, 이들에 대해서는 종래의 커넥터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인 도 1이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서, 커넥터는 고무 심지(2)와, 개공부(開孔)(4)와, 케이스(6)와, 고정 부재(8)와, 단자(14)를 가진다. 단자(14)의 일단은 SMT 핀으로서 회로판 측(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되고, 여기서, 단자(14)는 2회 굴곡 방식을 채용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단자(14)가 도전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자체는 탄성을 갖는 특성을 가지므로, 굴곡 과정에서 SMT 핀의 평탄성 제어가 매우 곤란하게 되고, 단자(14)는 예를 들면, 땜납 젖음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도전성이 나쁘거나 또는 도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Conventional connectors include, for example, wire-to-board (WTB) connectors and international standard (ISO) connectors. For these,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1, which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nector. In Fig. 1, the connector has a rubber wick 2, an aperture 4, a case 6, a fixing member 8, and a terminal 14. One end of the terminal 14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side (not shown) as an SMT pin. Here, the terminal 14 is formed into a terminal shape as shown in FIG. 1 by employing a double bending method. However, since the terminal 14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t itself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flatness of the SMT pin in the bending process, and the terminal 14 is, for example, solder It becomes easy to cause problems, such as poor wetting. Therefore, the problem that conductivity is bad or that it cannot be challenged is caused.

또한, 전술한 2회 굴곡 방식에 기인해서 평탄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는 것 외에도, 재료의 낭비라고 하는 결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그것에 대해서는 종래의 단자(30)의 굴곡 후와 굴곡 전을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인 도 2a와 도 2b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a에서, 종래의 단자의 2회 굴곡을 거친 후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그 단자(30)는 접촉단(34)과, 굴곡단(36)을 구비하고, 도 2a의 단자(30)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전에, 단자(30)는 예를 들면, 단자의 소정 길이 재단, 단자의 박형화, 밴드부재(32)의 재단 및 고무 심지(2)에의 부착과 2회의 90도 굴곡을 경유하여 비로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자(1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굴곡을 위해 제공되고 또한 밴드부재(32)를 구비하는 단자(30)로 절단해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비교적 긴 입체적인 판재(도시되지 않음)가 아니면, 굴곡되어 있지 않은 밴드부재(32)와, 접촉단(34)과, 굴곡단(36)을 형성할 수 없다는 것이 명확히 이해된다. 따라서, 도 2a와 도 2b에서는 단자(30)로 절단해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체적의 입체적인 판재가 필요하게 된다.Further, besides the possibility that the flatness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above-mentioned two-fold bending method, a drawback of waste of material still remains. 2A and 2B, which are schematic structural diagrams explaining the conventional terminal 30 after bending and before bending, may be referred to. In FIG. 2A, the shape of a conventional terminal after being bent twice is shown, and the terminal 30 has a contact end 34 and a bent end 36, and the terminal 30 of FIG. 2A Before being formed into a shape, the terminal 30 is finally formed through, for example, cutting of the terminal to a predetermined length, thinning of the terminal, cutting of the band member 32, attachment to the rubber core 2, and two 90 degree bends. A terminal 14 as shown in FIG. 1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S. 2A and 2B, in order to form the terminal 30, a relatively long three-dimensional plate material provided for several bends and required to be cut into a terminal 30 having a band member 32 If it is not (not shown),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non-curved band member 32, the contact end 34, and the bent end 36 cannot be formed. Therefore, in FIGS. 2A and 2B, a three-dimensional plat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is required to be cut into the terminal 30.

또한, SMT의 평탄성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종래의 단자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인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서, 입체적인 판재를 직접 재단하여 밴드부재(42)와 단자(44)를 구비하는 단자 그룹(40)을 제작하고, 이것이 채용되는 제작 공정은 타발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전술한 단자 그룹(40)에서 본 방법의 단자(44)는 절곡을 거칠 필요가 없고, SMT 핀을 직접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 능력을 유효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고, 제작 공정에서 많은 단자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해, 그 간극(d)을 확대하지 않으면, 개개의 단자(44)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재료의 많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3, which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erminal, for a means for solving the flatness defect of SMT. In FIG. 3, a terminal group 40 having a band member 42 and a terminal 44 is manufactured by directly cutting a three-dimensional plate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is is employed is the aforementioned terminal group 40 formed by a punching method. ), the terminal 44 of this method does not need to undergo bending, and since the SMT pin can be formed directly, it become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production capacity. However, there is still a risk of problems in this method, and in order to form many terminals at the same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unless the gap d is enlarged, individual terminals 44 cannot be distinguished. will result in wastage.

이것을 감안해서, 본 고안은 종래의 단자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접속 단자를 제안한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apable of solving problems caused by conventional terminals.

본 고안의 제1의 목적은 제작 과정에 있어서 재료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that can obtain the effect of material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전술한 전기 접속 단자에서, 단자를 예를 들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열하는 바와 같은 특정 방식에 의해, 단자간의 간극을 유효하게 축소해서 재료절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duce the gap between the terminals in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by a specific method such as arranging the terminals at an angle, for example, to obtain the effect of material saving. It is to provide what is there.

본 고안의 제3의 목적은 전술한 전기 접속 단자에서, 후속 공정에서의 굴곡 가공이 불필요한 경우, 단자를 직접 밴드부재로부터 이탈시켜서 독립된 단자로서 형성하고, 게다가 또한 단독으로 고무 심지의 개공부에 삽입해서(찔러넣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independent terminal by directly separating the terminal from the band member in the case where bending processing in the subsequent process is unnecessary in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furthermore, it is also independently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rubber wick. It is to provide something that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본 고안의 제4의 목적은 전술한 전기 접속 단자에서, 후속 공정의 굴곡 가공이 불필요한 경우, 밴드부재의 회동에 의해 직접 고무 심지에 적용해서 커넥터를 형성하여, 그의 고도의 평탄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nector by directly applying to a rubber core by the rotation of a band member in the case where the bending process in the subsequent process is unnecessary in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so that its high degree of flatness can be realized. is in providing

본 고안의 제5의 목적은 전술한 전기 접속 단자에서, 평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밴드부재의 회동에 의해 한번에 다수개의 단자를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생산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duction capacity by enabl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o be attached at once by the rotation of the band member in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when the flatness is not affected. is in providing

상기의 목적과 그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밴드부재와,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각각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에 간극을 갖는다. 그 중, 상기 복수의 단자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다.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다. 그 중, 상기 복수의 단자는 밴드부재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는 단계를 제1 단계 형태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d memb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and has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mann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he range of angles is between 30 and 55 degrees.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band member or located close to the same plane as the first step.

또한, 상기의 목적과 그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고무 심지와, 복수의 개공부과, 케이스와, 고정 부재를 갖는 조립 부재에 적용되는 전기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전기 접속 단자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복수의 개공부에 각각 삽입되고, 각 상기 복수의 단자는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에 간극을 가진다. 그 중,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단계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음과 동시에, 밴드부재와 접속된다.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고, 게다가 또한 상기 복수의 단자는 밴드부재로부터 이탈된 후에, 독립된 단자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pplied to an assembly member having a rubber wick, a plurality of apertures, a case, and a fixing member.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openings,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and has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mann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n the first step and connected to the band member. The angle range is between 30 degrees and 55 degrees, and furthermore,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as independent terminal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band member.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의 전기 접속 단자는 단자를 굴곡시키는 제작 공정이 필요한 방식과 비교해서, 한층 더 재료를 절감하는 사용이 얻어짐과 동시에, 고도의 평탄성을 달성할 수 있고, 단자를 굴곡시키는 제작 공정이 불필요한 방식과 비교하면, 본 고안의 전기 접속 단자는 같은 체적의 판재에 대해 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가 형성되어, 생산 능력을 유효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high degree of flatness while at the same time obtaining the use of further material saving compared to the method requi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bending the terminal, Compared to a method in which a manufacturing process of bending is unnecessary, the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larger number of terminals for the same volume of the plate material, effectively increasing the production capacity.

도 1은 종래의 커넥터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단자의 굴곡 후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단자의 굴곡 전을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단자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단자의 밴드부재로부터의 이탈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자의 커넥터의 조립 부재에의 적용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nector.
2A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erminal after bending.
Fig. 2b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bending of a conventional terminal.
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erminal.
4A is a top view of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of Fig. 4a.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sepa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A from the band member.
6A is a top view of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of Fig. 6A.
FIG. 7 is another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6A.
FIG. 8 is another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6A.
Fig.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s of Fig. 8 to an assembly member of a connector.
Fig. 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1개」는 본문에 기재된 유닛), 소자 및 구성요소를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게다가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서 일반적인 의의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의미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이와 같은 기술은 1개,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또한 단수형은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one" is used to describe a unit described in the text), an element, or a componen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addition is also intended to give general significance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unless a special meaning is specifi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a description includes one or at least one, and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본 고안에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가진다」, 「함유한다」라는 용어, 또는 다른 어떠한 유사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 관계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말하면, 복수의 요건을 함유하는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본 명세서에 열거된 그러한 요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명시적으로는 열거되어 있지 않은 또는 본래 구비되어 있을 다른 요건이 그와 같은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포함되어도 좋다. 그 외에, 반대의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have," "comprises," "has," "includes," or any other similar term are intended to cover a non-exclusive inclusion relationship. By way of example, an elemen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containing a plurality of requirement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requirements listed herein, but other requirements not explicitly listed or which may be inherent in them. It may be included in the same elemen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In addition, unless express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구조 모식도인 도 4a와 도 4b를 참조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상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Reference is made to FIGS. 4A and 4B which are structural schematic diagram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top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4A.

도 4a에서, 전기 접속 단자(10)는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를 구비한다.In FIG. 4A ,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includes a band member 1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4 .

각 복수의 단자(14)는 각각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을 포함한다.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에 의해 복수의 단자(14)의 형상을 Z자 모양으로 보이게 하고, 다른 실시형태로서, 굴곡점의 개수가 2개보다 많은 경우에는 각 복수의 단자(14)의 형상을 톱니모양으로 한다. 또한,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에 의해 각각 협지되는 각도가 형성되고, 각도의 범위는 45도∼90도 사이에 있거나, 또는 90도∼135도 사이에 있다. 복수의 단자(14) 사이에는 간극 (d)을 가진다.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includes a first bending point 1422 and a second bending point 1424 , respectively. When the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make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ppear in a Z-shape, as another embodiment,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is more than two The shape of each plurality of terminals 14 is serrated. In addition, an angle interposed by the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is formed, and the range of the angle is between 45 degrees and 90 degrees, or between 90 degrees and 135 degrees. . A gap (d)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

주의해야 할 것은 복수의 단자(14)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다. 여기에서는 45도의 각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즉, 복수의 단자(14)는 45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단자(14) 사이에 간극(d)이 있고, 그것은 명확히 전술한 도 3에 도시하는 간극(D)보다도 작다는 점이다. 여기서, 간극(d)은 동일한 변화 경향을 갖는 것에 의해, 복수의 단자(14)를 평행하게 배열시킨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단자(14)는 평행하지 않게(비평행으로) 배열되어도 좋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range of the angle is between 30 degrees and 55 degrees, for example. Here, an angle of 45 degrees is taken as an example, that is,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rranged in such a way as to be inclined at 45 degrees, and there is also a gap 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which is clearly described above. The point is that it is smaller than the gap D shown in FIG. 3 . Here, the gap d has the same change tendency, so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rranged in parallel. As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may be arranged non-parallel (non-parallel).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단자(14)는 밴드부재(12)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그것을 제1 단계로서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자(14)와 밴드부재(12)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또는 근접하는) 구조로 설치하는 단계를 제1 단계로서 정의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술한 단계 또는 후속해서 언급되는 바와 같은 단계는 단지 다른 단계의 과정에서, 복수의 단자(14)와 밴드부재(12)의 구조 관계를 구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조건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는 동일한 평면에 근접해도 좋고, 다시 말해,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 사이에 약간의 각도차가 존재해도 좋고, 그 각도차는 플러스마이너스 15도 이내로 되도록 해도 좋다. 이 각도차는 여전히 본 고안에서 칭하는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한다고 하는 실용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Referring together with Figure 4b, it is shown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band member 12, or located close to the same plane. Here, we define it as the first step. 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install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nd the band member 12 in a structure located on (or adjacent to) the same plane is defined as the first step.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steps or steps as mentioned subsequently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nd the band member 12 in the course of other step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condit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may be adjacent to the same plane, that is, a slight angle difference may exist between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The angle difference may be within plus or minus 15 degrees. This angular difference still belongs to the category of the utility model in which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lose to the same plane.

도 4a의 단자의 밴드부재로부터의 이탈을 설명하는 모식도인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서, 제1 단계 후에, 밴드부재(12)와 각 복수의 단자(14)를 분리하여, 밴드부재(12)를 각 복수의 단자(14)의 어느것과도 접속시키지 않게 한다. 여기에서, 밴드부재(12)와 모든 단자(14)를 분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그 필요에 따라 밴드부재(12) 상으로부터 단독으로 1개 또는 다수개의 단자(14)를 제거할 수도 있다. 분리를 거친 후의 각 복수의 단자(14)는 독립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 심지(2)의 개공부(4)에 삽입해서 설치되어도 좋고, 또는 복수의 단자(14)에 있어서의 몇 개의 단자(14)가, 동기적인 협지 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개공부(4)에 삽입해서 설치되어도 좋다.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terminal of FIG. 4A from the band member. 5, after the first step, the band member 1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separated so that the band member 12 is not connected to any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Here, the separation of the band member 12 and all the terminals 1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n other embodiments, one or a plurality of terminals 14 may be individually removed from the band member 12 as needed. can also be removed.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fter separation may be independently inserted into the hole 4 of the rubber core 2 as shown in FIG. The two terminals 14 may b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4 at the same time using a synchronous interleaving method.

따라서, 독립된 단자(14)가 고무 심지(2)의 개공부(4)에 삽입해서 설치된 후에, 밴드부재(12)는 볼 수 없지만, 단자(14)에서는 본 방법의 제작 공정 방법을 채용하여, 재료절약 또한 고도 평탄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에 따라 품질이 양호한 단자(14)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independent terminal 14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4 of the rubber wick 2 and installed, the band member 12 cannot be seen, but the terminal 14 adopts the manufacturing process method of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form a high-quality terminal 14 with the advantages of saving material and realizing a high degree of flatness.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구조 모식도인 도 6a와 도 6b를 참조한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상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6A and 6B which are structural schematic diagram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top view of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6A.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속 단자(10') 또한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6A,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also includes a band member 1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4.

여기서,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고, 요컨대,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는 도면에 평행하게 도시된다.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전기 접속 단자(10')의 측면도에 의해, 밴드부재(12)와 복수의 단자(14)가 동일한 평면에 있다고 이해된다.Here,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short,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shown in parallel in the drawing. Referring together with FIG. 6B, it is understood that the band member 12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on the same plane by the side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도 6a를 다시 참조하면, 밴드부재(12)는 또 복수의 조작부(122)와 복수의 접속부(124)로 구분된다. 복수의 조작부(122)마다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124)마다의 제1 단(1242)과 복수의 접속부(124)마다의 제2 단(1244)에 의해 반밀폐 공간(SP)이 형성된다. 여기서, 반밀폐 공간(SP)의 형상은 종 모양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방형, 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임의의 형상의 반밀폐 공간(SP)이 형성되어도 좋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밀폐 공간(SP)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제로 반밀폐 공간(SP) 대신에 완전 밀폐 공간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시 말해, 접속부(124)에 파열구멍과 유사한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 완전 밀폐 공간에서도 반밀폐 공간(SP)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6A , the band member 12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122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 The semi-enclosed space SP is formed by the first end 124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parts 122 and the second end 124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Here, the shape of the semi-enclosed space SP is explained by taking a bell shape as an example, and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the semi-enclosed space SP of a rectangle, square, circle, triangle, trapezoid or other arbitrary shape is may be formed.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although the semi-enclosed space SP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practice, a completely enclosed space may be used instead of the semi-enclosed space SP, in other words, a seal similar to a rupture hole in the connection portion 124. If the space is formed,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semi-enclosed space SP can be obtained even in the completely enclosed space.

복수의 단자(14)는 각각 접속부(124)의 제2 단(1244)에 접속된다. 복수의 단자(14)는 각각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2개의 굴곡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각각을 제1 굴곡점(1422), 제2 굴곡점(1424)으로 하고,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에 의해 복수의 단자(14)의 형상을 Z자 모양으로 보이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굴곡점의 개수가 2개보다 많은 경우, 각 복수의 단자(14)의 형상을 톱니모양으로 한다. 또한,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에 의해 각각 협지되는 각도가 형성되고, 각도의 범위는 45도∼90도 사이에 있거나, 또는 90도∼135도 사이에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자(14)는 마찬가지로 45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을 예로 들어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14) 사이에 간극(d)이 있고, 그것은 명확하게 전술한 도 3에 도시하는 간극(d)보다도 작다. 여기서, 간극(d)은 동일한 변화 경향을 가짐으로서, 복수의 단자(14)를 평행하게 배열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단자(14)는 평행하지 않게(비평행으로) 배열되어도 좋다.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1244 of the connecting portion 124, respec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Here, two inflection points ar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each is referred to as a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a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and the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is made to look like a Z shape.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is more than two, the shape of each plurality of terminals 14 is serrated. In addition, an angle interposed by the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the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is formed, and the range of the angle is between 45 degrees and 90 degrees, or between 90 degrees and 135 degrees. . Here,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lso arranged in an inclined manner of 45 degrees as an example. There is a gap 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which is clearly smaller than the gap d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Here, the gap d has the same change tendency, so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arranged in parallel. In other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may be arranged non-parallel (non-parallel).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다른 구조 모식도인 도 7을 함께 참조한다. 도 7에서는 4개의 밴드부재(12)와 4개의 단자(14)가 도시되어 있고, 설명의 형편 상, 그 중 1개의 밴드부재(12)와 1개의 단자(14)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그 나머지의 밴드부재(12)와 단자(14)에 관한 설명도 전술한 설명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7 which is another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6A is also referred to. In FIG. 7, four band members 12 and four terminals 14 are shown, an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only one band member 12 and one terminal 14 will be described, but the rest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band member 12 and the terminal 14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접속부(124)는 단자(14)와 접속하기 위한 작용 부재(126)(이것은 제2 단(1244)에 속함)를 포함한다. 작용 부재(126)는 외력을 받아(도시되지 않음) 작용할 때, 도면의 오른쪽 하부로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여기에서 Z축으로부터 X축을 향해 외력을 부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것에 의해 작용 부재(126)에 굴곡을 발생시켜서, 단자(14)와 밴드부재(12)를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평면은 X―Y 평면을 가리킨다. 여기서, 작용 부재(126)가 제1 각도(θ1)로 굴곡되는 것에 의해, 축평면(Z―X 평면)에서 단자(14)와 밴드부재(12)에 의해 제1 각도(θ1)를 협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제2 단계로서 정의한다. 전술한 제1 각도(θ1)의 범위는 45도∼135도 사이에 있고, 여기에서는 90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connecting portion 124 includes an actuating member 126 (which belongs to the second end 1244) for connecting with the terminal 14. When the actuating member 126 acts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not shown), referring to the drawing shown enlarged in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rawing, here, as an example, giv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Z axis toward the X axis is explained. Thereby, bending is generated in the action member 126, and the terminal 14 and the band member 12 are separated from the same plane. Here, the aforementioned plane refers to the X-Y plane. Here, the action member 126 is bent at the first angle θ1 so that the first angle θ1 is clamped by the terminal 14 and the band member 12 in the axial plane (Z-X plane). This step is defined as the second step. The range of the aforementioned first angle θ1 is between 45 degrees and 135 degrees, and 90 degre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도 6a의 전기 접속 단자를 설명하는 다른 구조 모식도인 도 8을 함께 참조한다. 도 8에서, 전술한 도 7의 각 해당 접속부(124)는 또 다른 외력을 받아서 비틀림 회전을 하고, 도면의 오른쪽 하부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여기에서 Y축으로부터 Z축을 향해 외력을 부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것에 의해 접속부(124)를 작용 부재(126)에 상대해서 굴곡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접속부(124)가 제2 각도(θ2)로 굴곡되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Z―Y 평면)에서 접속부(124)와 작용 부재(126)에 의해 제2 각도(θ2)를 협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제3 단계로서 정의한다. 전술한 제2 각도(θ2)의 범위는 45도∼135도 사이에 있고, 여기에서는 45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8 which is another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FIG. 6A is also referred to. In FIG. 8, each corresponding connection part 124 of FIG. 7 receives another external force and rotates torsion, and referring to the drawing shown enlarged in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rawing, here the external force from the Y axis toward the Z axis Describing giving as an example, bending is generated in relation to the connecting portion 124 relative to the action member 126 thereby. Here,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bent at the second angle θ2 so that the second angle θ2 is clamp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24 and the action member 126 in another axial plane (Z-Y plane). step is defined as the third step. The range of the aforementioned second angle θ2 is between 45 degrees and 135 degrees, and 45 degre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도 8의 단자의 커넥터의 조립 부재에의 적용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인 도 9를 함께 참조한다. 도 9에서, 전기 접속 단자(10)는 고무 심지(2)와, 복수의 개공부(4)와, 케이스(6)와, 고정 부재(8)를 갖는 조립 부재에 적용된다. 전술한 조립 부재는 커넥터의 부착에 필요한 구성 부품을 제공한다.Fig. 9,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of Fig. 8 to the assembly member of the connector, is also referred to. In Fig. 9,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is applied to an assembly member having a rubber wick 2, a plurality of apertures 4, a case 6, and a fixing member 8. The assembly member described above provides constituent parts necessary for attachment of the connector.

전기 접속 단자(10)는 복수의 단자(14)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14)는 복수의 개공부(4)에 각각 삽입된다. 복수의 단자(14)는 각각 제1 굴곡점(1422)과, 제2 굴곡점(1424)을 포함하고, 이것은 전술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복수의 단자(14) 사이에는 간극(d)이 있다. 그 중, 복수의 단자(14)는 제1 단계(앞에서 기술한 제1 단계와 동일)에서 밴드부재(12)와 접속되고, 또한 밴드부재(12)는 도 6a에 도시하는 복수의 조작부(122)와, 복수의 접속부(124)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작부(122)마다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124)마다의 제1 단(1242)과 복수의 접속부(124)마다의 제2 단(1244)에 의해 반밀폐 공간(SP)을 형성하고, 게다가 또한 제2 단계(앞에서 기술한 제2 단계와 동일)에서 각 복수의 접속부(124)를 제1 각도(θ1)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복수의 단자(14)와 밴드부재(12)에 의해 제1 각도(θ1)를 협지하도록 하고, 그리고 제3 단계에서 각 복수의 접속부(124)를 또 제2 각도(θ2)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복수의 단자(14)와 밴드부재(12)에 의해 제2 각도(θ2)를 협지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밴드부재(12)를 복수의 단자(14)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고무 심지(2)와, 복수의 개공부(4)와, 케이스(6)와, 고정 부재(8)와, 복수의 단자(14) 만을 갖는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10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14 . A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openings 4, respec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includes a first inflection point 1422 and a second inflection point 1424, as shown in FIG. 6A described above. There is a gap 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 Among them,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re connected to the band member 12 in the first step (same as the first step described above), and the band member 12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perating parts 122 shown in FIG. 6A. )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A semi-enclosed space SP is formed by a first end 124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parts 122 and a second end 124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24, In addition, by be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124 at the first angle θ1 in the second step (same as the second step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and the band member ( 12) to clamp the first angle θ1, and in the third step, by be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124 at a second angle θ2, a plurality of terminals 14 in different axis planes. ) and the band member 12 to clamp the second angle θ2. Finally, by separating the band member 12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14, the rubber wick 2, the plurality of apertures 4, the case 6, the fixing member 8, A connector having only a plurality of terminals 14 can be form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의 전기 접속 단자의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인 도 10을 함께 참조한다. 도 10에서, 전기 접속 단자의 제작 방법은 스텝(S81∼S83 및 S91∼S92)를 포함한다.10 which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referred to. In Fig. 1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steps S81 to S83 and S91 to S92.

우선, 스텝(S81)에서, 기재(또는, 판재라고도 지칭한다)를 제공한다.First, in step S81, a base material (or also referred to as a plate material) is provided.

다음에, 스텝(S82)에서, 제1 단계 형태의 제작 공정을 실행하고, 기재로부터 밴드부재와 복수의 단자를 동일한 평면에 형성하거나, 혹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하도록 형성한다. 각 복수의 단자는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그 중, 복수의 단자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다.Next, in step S82, a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form of the first step is executed, and a band memb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or close to the same plane from the substrat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among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mann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angle range is between 30 degrees and 55 degrees.

다음에, 스텝(S83)에서, 복수의 단자와 밴드부재를 분리한다.Next, in step S83,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are separated.

스텝(S81∼S83)에서는 독립된 단자를 1개 또는 다수개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고무 심지의 개공부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steps S81 to S83, one or a plurality of independent terminals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rubber wick and installed.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S82) 후에, 계속해서 스텝(S91 및 S92)를 실행한다. 그 중, 스텝(S91)을 실행하기 전의 스텝(S82)의 밴드부재는 복수의 조작부와, 복수의 접속부를 더 포함해서 제공하고, 또한 복수의 조작부마다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마다의 일단과 복수의 접속부마다의 타단에 의해 작용 부재를 포함하는 반밀폐 공간 또는 완전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반밀폐 공간과 완전 밀폐 공간의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nother embodiment, steps S91 and S92 are continuously executed after step S82. Among them, the band member of step S82 before executing step S91 is provided by further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part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one end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parts and a plurality of The other end of each connecting portion forms a semi-enclosed space or completely enclosed space containing an acting member.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mi-enclosed space and the completely enclosed spa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referred to, and overlapping explanations here are omitted.

스텝(S91)에서, 제2 단계 형태의 제작 공정을 실행하고, 작용 부재를 제1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한 축평면에서 복수의 단자와 밴드부재에 의해 제1 각도를 협지하도록 한다.In step S91,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orm of the second step is executed, and the acting member is bent at the first angle so that the first angle is hel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one axis plane.

스텝(S92)에서, 제3 단계 형태의 제작 공정을 실행하고, 작용 부재를 제2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복수의 단자와 밴드부재에 의해 제2 각도를 협지하도록 한다.In step S92,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form of the third step is executed, and the action member is bent at the second angle so that the second angle is clamp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different axis planes.

최종적으로, 스텝(S83)으로 되돌아가서, 복수의 단자를 개공부에 삽입해서 설치하고, 게다가 또한 복수의 단자와 밴드부재를 분리하여, 고무 심지와, 개공부과, 케이스와, 고정 부재와, 단자를 갖는 커넥터로서 부착해서 이루어진다.Finally, returning to step S83, insert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terminals into the opening part, furthe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the rubber core, the hole part, the case, the fixing member, and the terminal It is made by attaching as a connector having

2…고무 심지 4…개공부
6…케이스 8…고정 부재
10, 10'…전기 접속 단자 14, 30, 44…단자
12, 32, 42…밴드부재 122…조작부
124…접속부 1242…제1 단
1244…제2 단 126…작용 부재
1422…제1 굴곡점 1424…제2 굴곡점
34…접촉단 36…굴곡단
40…단자 그룹 θ1…제1 각도
θ2…제2 각도 D, d…간극
SP…반밀폐 공간 S81∼S83…방법 스텝
S91∼S92…방법 스텝
2… rubber wick 4 . . . dog study
6... Case 8... fixed member
10, 10'...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14, 30, 44... Terminals
12, 32, 42... Band member 122 . . . control panel
124... Connection 1242 . . . Stage 1
1244... 2nd tier 126 . . . Absence of action
1422... First inflection point 1424 . . . 2nd inflection point
34... contact stage 36 . . . flexion end
40... Terminal group θ1... 1st angle
θ2... Second angle D, d... gap
SP… Semi-enclosed space S81 to S83... method step
S91 to S92... method step

Claims (10)

밴드부재와,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접속 단자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에 간극을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단계 형태로서, 상기 밴드부재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혹은 동일한 평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밴드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단자로서 형성가능하고,
상기 밴드부재는 복수의 조작부와 복수의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부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2 단에 의해 반밀폐 공간 및 완전 밀폐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상기 제2 단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band memb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has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a mann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range of the angle is from 30 degrees to 30 degrees. between 55 degrees,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band member, or are located close to the same plane as the first stage form,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band member to form independent terminals. do,
The band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a semi-enclosed space and a completely closed space are formed by a first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rol parts and a second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작용 부재로서, 외력을 받아서 굴곡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를 상기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작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further includes an ac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from the same plane by generating bending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s an acting member for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by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s.
제3항에 있어서,
제2 단계 형태로서, 상기 작용 부재의 각각을 제1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한 축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3,
As a form of the second step, electrical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bending each of the acting members at a first angle, the first angle is sandwich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one axis plane.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제3 단계 형태로서, 상기 접속부의 각각을 제2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상기 접속부의 각각과 상기 작용 부재의 각각에 의해 상기 제2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의 각도 범위는 각각 45도∼90도 사이에 있거나, 또는 90도∼135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4,
As a third step form, by bending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at a second angle, the second angle is sandwiched by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and each of the acting members in different axial planes,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range of the second angle is between 45 degrees and 90 degrees, or between 90 degrees and 135 degre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점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의 형상을 Z자 모양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굴곡점의 개수가 2개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의 형상을 톱니모양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is two, the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a Z-shape, and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is not two or less, the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동일한 변화 경향을 갖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자를 평행하게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parallel by having the same change tendency in the gap.
고무 심지와, 복수의 개공부과, 케이스와, 고정 부재를 갖는 조립 부재에 설치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단자로서,
상기 복수의 개공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복수의 굴곡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에 간극을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단계 형태로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있음과 동시에, 밴드부재와 접속되고, 상기 각도의 범위는 30도∼55도 사이에 있고, 게다가 또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밴드부재로부터 분리된 후에, 독립된 단자로서 형성가능하고,
상기 밴드부재는 복수의 조작부와 복수의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부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2 단에 의해 반밀폐 공간 및 완전 밀폐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상기 제2 단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a rubber wick, a plurality of openings, a cas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formed to be installed on an assembly member having a fixing member,
A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openings,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and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a first stage form As, at the same time arranged by a metho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connected to the band member, the range of the angle is between 30 degrees and 55 degrees, and also after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separated from the band member , can be formed as an independent terminal,
The band memb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part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a semi-enclosed space and a completely closed space are formed by a first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rol parts and a second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의 각각에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2 단에 의해 반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게다가 또한 상기 제1 단계 형태 후, 제2 단계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을 제1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고, 그리고 제3 단계 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을 또 제2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8,
A semi-enclosed space is formed by a first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ng portions and a second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nd furthermore, as a second step form after the first step form, the By be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at a first angle, the first angle is clamp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another axis plan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in a third step form By further bending at a second angle, the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gle is sandwich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another axis pla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부의 각각에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제2 단에 의해 완전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게다가 또한 상기 제1 단계 형태 후에, 제2 단계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을 제1 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고, 그리고 제3 단계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을 또 제2각도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다른 축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각도를 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단자.
According to claim 8,
A completely enclosed space is formed by a first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ng portions and a second end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nd furthermore, after the first step form, as a second step form, the By be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t a first angle, the first angle is clamp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another axis plane, and as a third step,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y bending each at a second angle, the second angle is sandwich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band member in a different axis plane.
KR2020210000298U 2020-09-09 2021-01-28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20049706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211925 2020-09-09
TW109211925U TWM608373U (en) 2020-09-09 2020-09-09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28U KR20220000628U (en) 2022-03-16
KR200497068Y1 true KR200497068Y1 (en) 2023-07-14

Family

ID=7487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98U KR200497068Y1 (en) 2020-09-09 2021-01-28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1291U (en)
KR (1) KR200497068Y1 (en)
CN (1) CN213425256U (en)
TW (1) TWM608373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8413B (en) * 2020-09-09 2022-09-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698A1 (en) * 2002-10-02 2004-04-08 Ipson Lee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JP2017157497A (en) * 2016-03-04 2017-09-07 三晶エムイーシー株式会社 Connection terminal group,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698A1 (en) * 2002-10-02 2004-04-08 Ipson Lee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JP2017157497A (en) * 2016-03-04 2017-09-07 三晶エムイーシー株式会社 Connection terminal group,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1291U (en) 2021-03-25
TWM608373U (en) 2021-03-01
KR20220000628U (en) 2022-03-16
CN213425256U (en)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64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odule
KR100360934B1 (en) Flat cable with conductor ends accessible to connectors
JP2010061870A (en) Terminal metal fitting,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metal fitting
KR200497068Y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20140141661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JP2013149578A (en) Connection terminal
US67935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lead lines therefor
JPH10326662A (en) Electric continuity assisting material and its manufacture
CN215911208U (en) Narrow-spacing flexible flat cable
JP2003317845A (en) Contact pin, forming method of contact pin,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 component
CN213340995U (en) Coaxial electric connector
US20200287331A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JP2002093490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CN1925231A (en) Electric connector and its assembling method
TWI778413B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245305B2 (en)
JP4807796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connection method
CN220106944U (en) Mainboard groun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331797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10088896A (en) Connector and Substrate for Electronic Circuit Fabrication
CN2819397Y (en) Improvement of cable
JP2009117123A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lectric wire and printed-circuit board
CN104106181A (en) Electrically conductive pin connection
JP5138471B2 (en) Electrical parts for vehicles
JP2011228175A (en) Boar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