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57Y1 -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57Y1
KR200496957Y1 KR2020220001244U KR20220001244U KR200496957Y1 KR 200496957 Y1 KR200496957 Y1 KR 200496957Y1 KR 2020220001244 U KR2020220001244 U KR 2020220001244U KR 20220001244 U KR20220001244 U KR 20220001244U KR 200496957 Y1 KR200496957 Y1 KR 200496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r
louver
opening
link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조덕현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이앤씨
김주형
조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이앤씨, 김주형, 조덕현 filed Critical (주)포스코이앤씨
Priority to KR2020220001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의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은,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설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루버날개가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의 사이에서 회동레버에 의해 동시에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루버 개폐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고정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 상기 회동레버들과 상기 축부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링크바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은, 개폐 시스템 1세트로 다수의 루버나 창호 등을 동시에 개폐 제어가 가능하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환기모니터(포네이터)의 내부 개폐를 위한 루버시스템에 대하여서 다수의 루버를 링크하기나, 급기용 루버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다수의 루버를 링크하여 개폐하도록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LARGE VOLUME LOUVER}
본 고안은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건물 등에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 시스템은 문이나 창문 등의 실내측에 별도로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과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널리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여기서, 루버 시스템은 루버의 설치 수량이 많거나 설치 위치가 사람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루버 시스템은 창틀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에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을 결합하고,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랫을 지지하는 다수의 슬랫고정편과, 슬랫고정편들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 회전판이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루버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8052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프레임 내에 상하 배치된 루버마다 전동 실린더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수량 증가에 따른 설치 원가가 초기에 많이 투입되고, 향후 유지 관리 포인트 증가로 인한 관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80529호(2005.03.23)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장치 하나로 다수의 루버를 동시에 개폐 가능한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은,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설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루버날개가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의 사이에서 회동레버에 의해 동시에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루버 개폐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고정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 상기 회동레버들과 상기 축부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링크바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설정 간격마다 배치된 상기 링크바 중 중심부 또는 비중심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는 상기 복수 고정틀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링크바의 상측에 보조 링크바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링크바의 상단이 상측의 복수 고정틀에 구비된 회동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링크바의 하단이 하측의 복수 고정틀에 구비된 회동레버에 상기 링크바의 상단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 및 보조 링크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은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설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루버날개가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의 사이에서 회동레버에 의해 동시에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루버 개폐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고정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 상기 회동레버들과 상기 축부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링크바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링크바의 상하 운동에 따라 함께 상하로 회동되는 연장편에 의하여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장편의 길이는 상기 회동레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링크바는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링크바(1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링크바(124)의 상부에 나선 체결된 회전부(126)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 조절된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위치는 상기 회전부(12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링크바(122)와 상기 하부 링크바(124)에 각각 나선체결된 풀림방지부(128)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은, 개폐 시스템 1세트로 다수의 루버나 창호 등을 동시에 개폐 제어가 가능하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환기모니터(포네이터)의 내부 개폐를 위한 루버시스템에 대하여서 다수의 루버를 링크하기나, 급기용 루버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다수의 루버를 링크하여 개폐하도록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루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의한 루버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링크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적용된 루버가 환기모니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루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의한 루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루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의한 루버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링크바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적용된 루버가 환기모니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이 루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에 의한 루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100)은 축부(110), 링크바(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하며, 대용량을 구현하도록 횡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급기용 루버(10)에 설치되어, 루버(10)의 루버날개(14)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100)의 구성 중 구동부(130)가 루버(10)의 회동레버(16)에 설치된 경우 축부(110)를 고정틀(12)에 고정시키고 링크바(120)를 축부(110)와 회동레버(16)의 사이에 연결하게 되면 기존 루버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루버(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하 대향면 중심에 수직바(12a)가 구비된 고정틀(12)과, 고정틀(12)의 좌우 대향면과 수직바(12a)의 대향면 사이에 설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루버날개(14) 및 수직바(1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복수의 루버날개(14)를 동시에 회전시켜 개폐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레버(16)를 포함한다.
더욱이, 루버날개(14)는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은 방식에 의해 일률적으로 개폐 각도가 조절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루버날개(14)마다 양측 회전축에 수평링크부재가 각각 결합되면서 어느 한 루버날개(14)에 구비된 수평링크부재에 회동레버(16)가 결합되고, 수평링크의 양단에 직립한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레버(16)의 회전시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가 상대운동하면서 수평링크를 회전시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루버날개(14)는 도 3 기준 횡방향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개방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폐쇄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45° 개방시 풍압이 형성되어 있으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는 반발력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는 풍압에 의해서 힘을 받고 있는 상태로 구동부(130)에서 풍압에 의해서 개폐하는데 추가 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강풍시에도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10)가 좌우에 2세트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세트의 증감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10)가 좌우에 2세트 구비되는 경우, 도 1 기준 우측의 회동레버(16)는 구동부(130)가 설치되므로 자동 방식이고, 구동부(130)가 구비되지 않은 도 1 기준 좌측의 회동레버(16)는 수동 방식이면서 구동부(130)에 의해 연동된다.
축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베어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틀(12)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축부(110)는 링크바(120)가 연결되는 위치마다 한 쌍의 연장편(112)이 각각 연장된다.
링크바(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연장된 회동레버(16)의 사이와, 축부(110)에서 평행하게 연장된 연장편(112)과의 사이에 세워진 상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링크바(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링크바(120)는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로 분할 형성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링크바(120)가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상부 링크바(122)의 하단과 하부 링크바(124)의 상단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을 형성한 회전부(126)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12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26)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진다.
더욱이,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에는 대향된 단부가 회전부(126)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회전부(126)의 상하면에 밀착 체결된 풀림방지부(128)가 구비된다.
이때, 풀림방지부(128)는 나선홀이 각각 형성된 너트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상부 링크바(122)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6)의 전면에 고정시키고, 하부 링크바(124)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6)의 후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링크바(120)는 턴바클 구조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상부 링크바(122)의 하단과 하부 링크바(124)의 상단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1260')을 형성한 결합구(126')가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구(12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26)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진다.
구동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바(12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12)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14)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링크바(12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한다.
이때, 구동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등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전동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되며, 몸체(132)와 몸체(132)의 내부에서 출몰하는 로드(134)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구동부(130)는 몸체(132)의 상단이 고정틀(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드(134)의 하단은 링크바(120)의 상단에 연결된다.
이렇게, 구동부(130)는 1세트로 구비한 상태에서 복수의 루버(10)마다 구비된 루버날개(14)들을 개폐량 조절이 일률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구동부(130)는 각각의 루버(10) 세트마다 구비된 링크바(120) 중 어느 하나의 링크바(1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구동부(130)가 어느 하나의 링크바(12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링크바(120)의 하단이 연결된 축부(11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축부(110)는 나머지 링크바(120)를 연동시키며, 각각의 링크바(120)의 상단이 해당 루버(10)의 루버날개(14)를 연동시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100)이 환기모니터(포네이터: 1)의 배기 통로(2)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루버(10)에 구비되어, 1세트의 구동부(130)를 통해 각각의 루버날개(14)를 자동으로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환기모니터는 대형시설물의 상부(지붕)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기가 환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100)은 급기용으로 사용되는 루버(10)에 적용되면서 루버날개(14)에 대한 개폐각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구동부(13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구동부(130)의 로드(134)가 하강하고, 로드(134)와 연결된 해당 링크바(120)의 하강에 따른 회동레버(16)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이와 동시에 축부(110)를 회전시키고 축부(11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링크바(120)가 연동되면서 나머지 링크바(120)의 상단이 연결된 회동레버(16)를 연동시켜 각각의 루버날개(14)가 동시에 회전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200)은 축부(210), 링크바(220), 보조 링크바(222) 및 구동부(230)를 포함하며, 대용량을 구현하도록 횡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급기용 루버(20)에 설치되어, 루버(20)의 루버날개(24)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200)은 루버(10)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좌우 및 상하에 설치된 루버(20)에 적용되며, 앞선 제1 실시예와 같이 기존 루버(20)에 축부(210), 링크바(220) 및 보조 링크바(222)를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20)가 좌우 및 상하에 다수 구비되는 경우, 도 7 기준 중심부의 회동레버(26)는 구동부(230)가 설치되므로 자동 방식이고, 구동부(230)가 구비되지 않은 도 7 기준 중심을 제외한 좌우측의 회동레버(26)는 수동 방식이면서 구동부(230)에 의해 연동된다.
축부(21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베어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2단 고정틀(22)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축부(210)는 링크바(220)가 연결되는 위치마다 한 쌍의 연장편(212)이 각각 연장된다.
링크바(22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연장된 회동레버(26)의 사이와, 축부(210)에서 평행하게 연장된 연장편(212)과의 사이에 상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링크바(22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측인 3단 고정틀(22) 수직바에 구비된 회동레버(2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하측인 2단 고정틀(22) 수직바에 구비된 회동레버(26)에 링크바(220)의 상단과 함께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보조 링크바(222)는 링크바(220)에 의해 연동되면서 링크바(220)와 함께 2단 고정틀(22)과 3단 고정틀(22)에 각각 구비된 회동레버(26)를 연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링크바(220) 및 보조 링크바(222) 중 적어도 하나는 도 4에서 링크바(1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23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링크바(222)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22)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24)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보조 링크바(222)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한다.
이때, 구동부(230)는 전동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되며, 몸체(232)와 몸체(232)의 내부에서 출몰하는 로드(234)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구동부(230)는 몸체(232)의 상단이 3단 고정틀(2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드(234)의 하단은 보조 링크바(222)의 상단에 연결된다.
이렇게, 구동부(230)는 1세트로 구비한 상태에서 복수의 루버(20)마다 구비된 루버날개(24)들을 개폐량 조절이 일률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구동부(230)는 각각의 루버(20) 세트마다 구비된 보조 링크바(222)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링크바(222)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구동부(230)가 어느 하나의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의 하단이 연결된 축부(21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축부(210)는 나머지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를 연동시키며, 각각의 보조 링크바(222)의 상단이 해당 루버(20)의 루버날개(24)를 연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200)은 급기용으로 사용되는 루버(20)에 적용되면서 루버날개(24)에 대한 개폐각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구동부(23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구동부(230)의 로드(234)가 하강하고, 로드(234)와 연결된 해당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의 하강에 따른 회동레버(26)를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이와 동시에 축부(210)를 회전시키고 축부(21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가 연동되면서 나머지 보조 링크바(222) 및 링크바(220) 각각의 상단이 연결된 회동레버(26)를 연동시켜 각각의 루버날개(24)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 20: 루버 12, 22: 고정틀
14. 24: 루버날개 15, 26: 회동레버
100, 200: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110, 210: 축부
120, 220: 링크바 130, 230: 구동부

Claims (3)

  1.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설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루버날개가 상대운동하는 한 쌍의 수직링크부재의 사이에서 회동레버에 의해 동시에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 루버 개폐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고정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
    상기 회동레버들과 상기 축부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링크바; 및
    상기 링크바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어, 복수 고정틀의 내부마다 구비된 루버날개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링크바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바의 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링크바의 상하 운동에 따라 함께 상하로 회동되는 연장편에 의하여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장편의 길이는 상기 회동레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링크바는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링크바(1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링크바(124)의 상부에 나선 체결된 회전부(126)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 조절된 상부 링크바(122)와 하부 링크바(124)의 위치는 상기 회전부(12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링크바(122)와 상기 하부 링크바(124)에 각각 나선체결된 풀림방지부(128)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설정 간격마다 배치된 상기 링크바 중 중심부 또는 비중심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는 상기 복수 고정틀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경우 상기 링크바의 상측에 보조 링크바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링크바의 상단이 상측의 복수 고정틀에 구비된 회동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링크바의 하단이 하측의 복수 고정틀에 구비된 회동레버에 상기 링크바의 상단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 및 보조 링크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KR2020220001244U 2022-05-20 2022-05-20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KR200496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4U KR200496957Y1 (ko) 2022-05-20 2022-05-20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44U KR200496957Y1 (ko) 2022-05-20 2022-05-20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57Y1 true KR200496957Y1 (ko) 2023-06-20

Family

ID=8694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44U KR200496957Y1 (ko) 2022-05-20 2022-05-20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33B1 (ko) * 2023-06-28 2024-06-03 (주)포스코이앤씨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워크웨이 일체형 모니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529B1 (ko) 2000-08-02 2003-04-16 최완순 슬러지의 저온 무산소 탄화장치
KR100517727B1 (ko) * 2005-05-30 2005-09-29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간편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댐퍼의 블레이드 연동장치
KR20110028954A (ko) * 2009-09-14 2011-03-22 호 식 박 루버시스템 연결작동기
KR101543740B1 (ko) * 2014-08-01 2015-08-11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댐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529B1 (ko) 2000-08-02 2003-04-16 최완순 슬러지의 저온 무산소 탄화장치
KR100517727B1 (ko) * 2005-05-30 2005-09-29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간편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댐퍼의 블레이드 연동장치
KR20110028954A (ko) * 2009-09-14 2011-03-22 호 식 박 루버시스템 연결작동기
KR101543740B1 (ko) * 2014-08-01 2015-08-11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댐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933B1 (ko) * 2023-06-28 2024-06-03 (주)포스코이앤씨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워크웨이 일체형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5996B2 (en) Tilt-up door
CN108255207B (zh) 风洞用怠速及喷口装置以及其控制方法
CN210106223U (zh) 一种高效风机百叶窗
KR100913697B1 (ko) 여닫이식 창문의 개폐장치
US20160333629A1 (en) Tilt-up door
EP2385184B1 (en) Skylight with operator for vertical opening movement
EP1281314A2 (en) Ventilation device for hothouse
KR200496957Y1 (ko) 대용량 루버 개폐 시스템
US20100122492A1 (en) Shutter
EP2292985B1 (en) Ventilation arrangements
CN109972999A (zh) 一种能够360度旋转的外墙百叶
DE102012002109B4 (de) Flächenlüfter für ein Dach
CN105612301A (zh) 窗或门的至少可提升的但优选也可移动的翼扇的配件
DE102006059449B3 (de) Verstellbares Lamellenfenster
DE202006018968U1 (de) Verstellbares Lamellenfenster
CN208168719U (zh) 一种双动力无门风雨密百叶窗
US11686101B2 (en) Electric awning structure
CN116104384A (zh) 一种船用气动遥控百叶窗装置
EP3162977B1 (en) Roof skylight with raising leaf, in particular with smoke removal function
CN211974812U (zh) 一种温度自适应电控百叶窗系统
EP0943071A1 (de) Gebäudefassade
EP3643849B1 (de) Dach-, decken- oder fassadenöffnung
CN217176294U (zh) 一种智能化排气窗
CN104165022A (zh) 铁道车辆车窗
CN105557394A (zh) 一种温室立面通风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