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65Y1 - 날씬해 보이는 거울 - Google Patents

날씬해 보이는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65Y1
KR200496765Y1 KR2020220000979U KR20220000979U KR200496765Y1 KR 200496765 Y1 KR200496765 Y1 KR 200496765Y1 KR 2020220000979 U KR2020220000979 U KR 2020220000979U KR 20220000979 U KR20220000979 U KR 20220000979U KR 200496765 Y1 KR200496765 Y1 KR 200496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l
frame
fixing
mirro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욱
Original Assignee
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욱 filed Critical 강욱
Priority to KR2020220000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날씬해 보이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10);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전신거울부재(130);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신거울고정부재(150);를 마련하여 전신거울울 오목하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한 상태로 보여주게 되며, 의류 매장 등에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주어 구매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날씬해 보이는 거울{Slim looking mirror}
본 고안은 날씬해 보이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입고자 하는 의복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날씬해 보이는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거울은 말 그대로 전신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로서, 장롱 도어, 신발장, 탈의실, 벽등에 부착형으로 부착 사용하거나, 다리 접이식으로 특정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세워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전신거울은 테두리, 즉 프레임이 제공되지 않고, 가장자리를 반듯하게 가공하거나 전면 가장자리를 면취 가공한 제품이 주로 사용된다.
스탠드타입의 전면거울(또는 전신거울)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전면거울과 동일한 사이즈의 후판에 부착하고, 후판의 후면에는 절첩 가능한 다리를 부착한 제품이 있거나, 혹은 통상적인 거울 테두리에 적용되는 프레임과 같이 상기 후판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4면에 프레임을 조합하여 제작된다.
상기 프레임은 대부분 목재를 가공하거나,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성형한 프레임이 사용된다.
거울이나 유리창에 있어, 그 가장자리를 이루는 프레임은 장식효과와 더불어 거울이나 유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종래의 전신거울은 유리표면이 평평한 유리판 뒷면에 수은(水銀)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기 위하여 연단(鉛丹)을 칠한 것으로서, 부피와 무게가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고, 파손의 위험이 있어 벽면 및 천장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한편 요즘 젊은 사람들은 연극 및 댄스활동 및 본인의 외모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 전신거울을 통해 본인의 모습을 비추고 확인하려고 한다.
따라서 연극 및 댄스 연습을 할 때 전신거울을 보면서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연습실 말고는 전신거울을 설치한 곳이 드물어 공간의 제한성을 받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신거울은 부피가 크고 하중이 있기 때문에 벽과 천장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함으로 인해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 매장 등에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을 갈아입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신거울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매장에서 사용되는 전신거울은 평면 거울로 이루어져 있어 의복을 갈아입은 착용자의 모습이 그대로 보여지게 된다.
즉, 의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모습을 그대로 비추어 줌에 따라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의 구입을 떨어뜨리게 된다.
매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신거울을 오목한 거울로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신장 측정 거울'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신장 측정 거울은 투명한 재질을 가지며, 판 형상을 가지는 전면판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판 형상을 가지는 후면코팅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재와 후면코팅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거울증착액과, 상기 후면코팅부재의 일단에 위치되되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엘이디(LED)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램프가 연속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엘이디표시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재의 상면에 탑재되며, 끝단은 상기 전면판부재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되며,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센서부재와,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상기 전면판부재의 수직길이에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거리를 감하도록 연산하며, 상기 엘이디표시부재를 이루는 엘이디램프 중에서 상기 전면판부재의 수직길이에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른 거리를 감한 값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엘이디램프가 빛을 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와 센서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재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스마트 거울'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스마트 거울은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과될 수 있는 거울과, 상기 외곽 프레임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거울의 전방으로 투사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출력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외곽 프레임에 한 개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한 개의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설치될 경우,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화상 데이터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외곽 프레임에 복수의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설치될 경우, 복수의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수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결합함과 아울러 결합 시 발생하는 화상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일 경우, 상기 거울 앞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가 뒤돌아서면, 상기 식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작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함으로써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거울을 향해 상기 사용자가 뒤돌아서면, 상기 식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변화를 식별하고, 제어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출력부가 표시하며, 상기 거울 앞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거울로부터 멀어질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화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상기 화상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일 경우, 상기 거울 앞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상기 사용자가 뒤돌아서면, 상기 식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의 후방을 촬영함으로써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6979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9742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9-000299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체형이 보다 날씬한 상태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의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은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10);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전신거울부재(130);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신거울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전신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 상기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단변프레임(112);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에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받침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상단부(131);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하단부(132); 상기 상단부(131)와 상기 하단부(132)의 중간 부분은 상기 상단부(132)와 상기 하단부(132)의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오목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133)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배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신거울고정부재(15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유닛(151);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고정유닛(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52)과, 상기 고정프레임(152)을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53)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154)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5);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고정유닛(156)은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프레임(157)과,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프레임(1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에 의하면, 전신거울울 오목하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한 상태로 보여주게 되며, 의류 매장 등에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주어 구매율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의 전신거울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은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10)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전신거울부재(130)와,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신거울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분해 단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은 전신거울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전신거울부재(130)를 구비하며,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프레임부재(110)에 고정시키는 전신거울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전신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단변프레임(112)과,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에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받침부(113)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전신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변프레임(111)과,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단변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변프레임(111)은 단변프레임(112)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고, 단변프레임(112)은 장변프레임(111)에 비하여 짧게 형성된다.
아울러 이들 장변프레임(111)과 단변프레임(112)에는 전신거울부재(130)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내측받침부(113)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받침부(113)는 장변프레임(111)과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상단부(131)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하단부(132)와, 상기 상단부(131)와 상기 하단부(132)의 중간 부분은 상기 상단부(132)와 상기 하단부(132)의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오목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는 사용자의 발부터 머리까지 보여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는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한 상태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 부분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에는 상단부(131)와 하단부(13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131)와 하단부(132)의 중간 부위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부(131)와 하단부(132) 사이에는 오목부(1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거울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날씬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오목 거울로 형성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131)는 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하단부(132)는 프레임부재(110)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오목부(133)는 프레임부재(110)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오목부(133)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배면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이는 사용자의 하체와 상체가 균일하게 비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의 전신거울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신거울고정부재(15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유닛(151)과,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고정유닛(156)을 구비한다.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52)과, 상기 고정프레임(152)을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53)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154)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5)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고정유닛(156)은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프레임(157)과,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프레임(158)을 구비한다.
상기 전신거울고정부재(150)는 전신거울부재(130)의 오목부(133)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유닛(151)과,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131)와 하단부(132)에 각각 설치되는 단부고정유닛(1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은 단변프레임(112)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52)과, 상기 고정프레임(153)을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53)를 장변프레임(111)과 고정프레임(153)에 고정시킬 수 있게 다수의 고정구멍(15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멍(15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5)가 구비된다.
상기 단부고정유닛(156)은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131)에 고정되는 상단고정프레임(157)과, 전신거울부재(130)의 하단부(132)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프레임(15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고정프레임(157)과 하단고정프레임(158)은 에어 타카 등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날씬해 보이는 거울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날씬해 보이는 거울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내측받침부(113)에는 전신거울부재(130)를 안치시킨다. 이때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131)와 하단부(132)는 프레임부재(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맞대어진다.
이에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오목부(133)는 프레임부재(1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프레임부재(110)에 안치된 상태에서 전신거울고정부재(150)의 중앙고정유닛(151)을 고정한다.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의 고정프레임(152)은 장변프레임(111)의 중간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53)를 고정프레임(152)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53)의 고정구멍(154)에는 고정볼트(155)를 체결하여 전신거울부재(130)를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이 설치된 다음 상기 단부고정유닛(156)의 상단고정프레임(157)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고정시키며, 상기 하단고정프레임(158)은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에 고정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날씬해 보이는 거울은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오목부(133)는 프레임부재(110)의 배면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전신거울을 바라보게 되면, 사용자의 체형이 오목부(133)에 의해 실제보다 날씬한 상태로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프레임부재 111: 장변프레임
112: 단변프레임 113: 내측받침부
130: 전신거울부재 131: 상단부
132: 하단부 133: 오목부
150: 전신거울고정부재 151: 중앙고정유닛
152: 고정프레임 153: 고정플레이트
154: 고정구멍 155: 고정볼트
156: 단부고정유닛 157: 상단고정프레임
158: 하단고정프레임

Claims (5)

  1.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10);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전신거울부재(130);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신거울고정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전신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
    상기 한 쌍의 장변프레임(111)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단변프레임(112);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에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변프레임(111)과 상기 단변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받침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전신거울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상단부(131);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하단부(132);
    상기 상단부(131)와 상기 하단부(132)의 중간 부분은 상기 상단부(131)와 상기 하단부(132)의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오목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133)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배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신거울고정부재(150)는,
    상기 전신거울부재(130)가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유닛(151);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고정유닛(156);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고정유닛(151)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폭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52)과, 상기 고정프레임(152)을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53)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154)과, 상기 장변프레임(1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5);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고정유닛(156)은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프레임(157)과, 상기 전신거울부재(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프레임(1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씬해 보이는 거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20000979U 2022-04-21 2022-04-21 날씬해 보이는 거울 KR200496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79U KR200496765Y1 (ko) 2022-04-21 2022-04-21 날씬해 보이는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79U KR200496765Y1 (ko) 2022-04-21 2022-04-21 날씬해 보이는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765Y1 true KR200496765Y1 (ko) 2023-04-19

Family

ID=8609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979U KR200496765Y1 (ko) 2022-04-21 2022-04-21 날씬해 보이는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6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268U (ko) * 1984-10-22 1986-05-17
JP3080778U (ja) * 2001-04-02 2001-10-05 承韋家具股▲ふん▼有限公司 姿見のフレーム構造
JP2004337372A (ja) * 2003-05-15 2004-12-02 Shimabun:Kk 鏡取付枠及び取付枠に装着された鏡
JP3121624U (ja) * 2006-01-13 2006-05-25 株式会社ジャパンアート フレーム
KR20160069793A (ko) 2014-12-09 2016-06-17 (주)애니토이 신장 측정 거울
KR20190097429A (ko) 2018-02-12 2019-08-21 김치현 스마트 거울
KR20190002994U (ko) 2019-03-08 2019-12-06 강욱 조명수단을 갖는 거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268U (ko) * 1984-10-22 1986-05-17
JP3080778U (ja) * 2001-04-02 2001-10-05 承韋家具股▲ふん▼有限公司 姿見のフレーム構造
JP2004337372A (ja) * 2003-05-15 2004-12-02 Shimabun:Kk 鏡取付枠及び取付枠に装着された鏡
JP3121624U (ja) * 2006-01-13 2006-05-25 株式会社ジャパンアート フレーム
KR20160069793A (ko) 2014-12-09 2016-06-17 (주)애니토이 신장 측정 거울
KR20190097429A (ko) 2018-02-12 2019-08-21 김치현 스마트 거울
KR20190002994U (ko) 2019-03-08 2019-12-06 강욱 조명수단을 갖는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7887S1 (en) String light set
US7241017B2 (en) Image display device
USD493565S1 (en) Cover lens for a light
US8145048B2 (en) Photo booth and improvements thereto
TWM248493U (en) Game machine
CN107635090A (zh) 闪光灯镜片、摄像组件和终端设备
KR200496765Y1 (ko) 날씬해 보이는 거울
US7036268B2 (en) Flying insect trap
CN205804697U (zh) 组合式背景墙
KR101579404B1 (ko) 사용기능을 개선시킨 콤팩트용 조명거울
Dujardin Plate to pixel: Digital food photography and styling
EP2257777A1 (fr) Appareil de pesage avec affichage projete
US9438817B1 (en) Photography studio arrangement
USD522889S1 (en) Transparent measuring tape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USD507618S1 (en) Cover housing for a tennis net support post
CN208541026U (zh) 智能试衣镜
KR101154282B1 (ko) 선반내장형 창틀
USD524090S1 (en) Basketball toaster
CN212926858U (zh) 一种具有桁架结构的玻璃视窗地板
KR102036209B1 (ko) 자중에 의한 자립이 가능한 등신대
KR101872597B1 (ko) 조립식 플렉시블 조명반사장치
USD505224S1 (en) Clear lower lens and base for a light
CN206166227U (zh) 用于背景墙的集成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