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67Y1 -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 Google Patents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67Y1
KR200496667Y1 KR2020220002560U KR20220002560U KR200496667Y1 KR 200496667 Y1 KR200496667 Y1 KR 200496667Y1 KR 2020220002560 U KR2020220002560 U KR 2020220002560U KR 20220002560 U KR20220002560 U KR 20220002560U KR 200496667 Y1 KR200496667 Y1 KR 200496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wireless charging
support pad
insertion groov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56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로브라더스
Priority to KR2020220002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67Y1/en
Priority to KR2020230000602U priority patent/KR20240000782U/en
Priority to KR2020230000601U priority patent/KR20240000781U/en
Priority to KR2020230000603U priority patent/KR2024000078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6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 및 거치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연결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을 충전할 수 있고,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종의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식 차량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and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charged wirelessly without the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to charge the user terminal, and not only can one user terminal be charged, but also different types of users It relates to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enables additional simultaneous charging of a terminal.

Description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Wireless charging cradle for dual-type vehicles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본 고안은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 및 거치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연결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을 충전할 수 있고,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종(異種)의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식 차량 무선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and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charged wirelessly without the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to charge the user terminal, and not only one user terminal can be charged, but also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can be charged. ) It relates to a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allows a user terminal to be additionally charged at the same time.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폰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As the spread of smartphones has expanded,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기술적 흐름에 있어서 스마트폰 충전 방식은 전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선 충전 방식에서 전자기유도 법칙을 활용하여 전원 케이블 없이 전력 공급이 가능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발전해왔다.In this technological trend, the smartphone charging method has evolved from a wired charging method that supplies power to a smartphone by connecting a power cable to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can supply power without a power cable by utilizing the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무선 충전 방식은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력을 충전해두었다면, 사용자는 언제 어디에서든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하여 전원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게 해주었다.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llows the user to charge the smartphone anytime, anywhere without a power cable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that the user has charged the power by connecting the power cabl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무선 충전 장치는 여러 장소 또는 공간에 설치되는 형태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사용자가 목적지에 이동하는 동안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자주 활용되어 왔다.In addition, wireless charging devices have been utilized in a form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r spaces, and in particular, have been frequently utilized in a form installed inside a vehicle so that a user can charge a smartphone while moving to a destination.

한편, 최근 스마트폰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스마트 워치, 무선 이어폰, 스마트 태그 등의 연동형 단말기들이 개발되었다. On the other hand, as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smart phon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linked terminals such as smart watches, wireless earphones, and smart tags that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연동형 단말기들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마트폰 기능을 확대해주거나 각자의 특수한 기능과 목적을 가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주었다. 다만, 연동형 단말기들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활용되는 바, 스마트폰과 연동형 단말기 어느 한쪽이라도 충전이 되어 있지 않다면 연동형 단말기 활용에 대한 의미가 사라져 버린다. These interlocking terminals are interlocked with smartphones to expand smartphone functions or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with their own special functions and purposes. However, since the interlocking type terminal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a smartphone, if either of the smart phone and the interlocking type terminal are not charged, the meaning of using the interlocking type terminal disappears.

이러한 이유로 전원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과 연동형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기술, 특히 무선 충전 기술이 자주 활용되는 공간인 차량 내부에서 이러한 동시 충전 기술이 활용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제고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imultaneously charging a smartphone and an interlocking terminal without a power cable, particularly in a vehicle interior wher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s frequently used.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술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in view of the need for such technology, and can satisfy the need for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as well as providing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not be easily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signed to do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내부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이종(異種)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무선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and enables wireless charging of different types of user terminals at the same time.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면에 제1 사용자 단말이 안착되고, 배면에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소정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어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이격거리 만큼 돌출 형성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을 실시하는 제1 충전부; 상기 몸체부 배면의 수용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안착되어 안착 시 외부면이 상기 몸체부 배면과 일체화되고, 상기 몸체부 배면의 일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 배면으로부터 회전 이동 가능하며, 자력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을 실시하는 제2 충전부; 및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충전부 및 제2 충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terminal is sea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on the rear side and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 first charging unit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by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fixing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magnetic force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t the same time; It is seated in a form embedd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when seated, the outer surface is integrat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is hinged to one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it can rotate and mov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magnetic force a second charging unit for fixing a second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t the same time; and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또한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외부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har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o support a load of the second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부와 직접 맞닿으며 소정의 마찰력과 탄성력을 지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이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지 패드; 및 소정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지지 패드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d for minimizing movement or impac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by directly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having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and elastic force;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taglio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pad therein.

또, 상기 지지 패드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과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 패드가 정방향 - 상기 하부 영역이 먼저 삽입되는 방향 - 과 역방향 - 상기 상부 영역이 먼저 삽입되는 방향 - 모두 수용 가능하도록 내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d is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a low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insertion groove allows the support pad to be inserted in a forward direction -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egion is first inserted - and a reverse direction. A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pper reg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is first inserted.

또한 상기 삽입홈은 내부 공간이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1 삽입 공간과 하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2 삽입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 패드가 상기 삽입홈에 정방향으로 삽입 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 말단이 거치되며,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제2 삽입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is divided into a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 pa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gion is mounted on the locking jaw, and the lower reg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또, 상기 삽입홈은 내부 공간이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1 삽입 공간과 하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2 삽입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 패드가 상기 삽입홈에 역방향으로 삽입 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상부 영역의 상부 말단이 거치되며,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부와 상기 지지 패드가 맞닿는 영역이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is divided into a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 pa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groove. When inserted,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gion is mounted on the locking jaw, and the lower reg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upport pa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한편, 상기 제2 충전부는 외부면의 일부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핑거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충전부가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에 매립될 시, 상기 핑거훅과 맞닿는 면이 상기 핑거훅 형상에 대응된 형태로 음각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내부에 상기 핑거훅이 매립될 시, 상기 핑거훅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nger hook extending from some corner region of an outer surface, and when the second charging unit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unit,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inger hook is It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intaglio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shape, and when the finger hook is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a partial area of the finger hook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1 충전부의 상기 몸체부 전면으로부터 이격거리는 4mm 내지 6mm 범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harging unit may be in the range of 4 mm to 6 mm.

또, 상기 삽입홈은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지지 패드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taglio in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upport pad may be provided therein.

또한, 상기 지지 패드는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는 상부 영역과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지지패드; 및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중심부 영역 및 상기 삽입홈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된 제2 지지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d includes a first support pad composed of an upper region showing a shape in which both side surfaces ar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lower region show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upport pad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 central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hav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내부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이종(異種)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무선 충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 개의 이종의 단말을 활용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and enables wireless charging of different types of user terminals at the same time,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utiliz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It works.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가 이종(異種)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거치대가 이종의 사용자 단말을 충전할 때의 무선 충전 거치대의 배면과 충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무선충전 거치대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충전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거치대 몸체부의 배면(A)과 제2 충전부가 몸체부 배면의 일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어 180도 회전 이동된 모습(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드가 지지부의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드가 지지부의 삽입홈에 정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패드가 지지부의 삽입홈에 역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charging different types of user terminals.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ging a different type of user terminal and the front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when not chargin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is seated in a first charg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A) of the body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rotated 180 degrees by being hinged with one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B).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unit.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unit in the forward direc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vers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upport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100)가 이종(異種)의 사용자 단말(10)을 동시에 충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rst,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charges different types of user terminals 10 .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이하, 무선 충전 거치대(100)라고 약칭함)는 차량 내부에 설치 및 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연결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10)을 충전할 수 있고, 하나의 사용자 단말(10a)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종의 사용자 단말(10b)을 추가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ure 1, a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mounted inside a vehicle, and a user terminal ( 10), the user terminal 10 can be charged wirelessly without the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to charge the terminal, and not only one user terminal 10a can be charged, but also a different type of user terminal 10b can be additionally charged. It is a device that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종의 사용자 단말(10)들을 제1 사용자 단말(10a)과 제2 사용자 단말(10b)으로 구분하여 표현할 것이며, 이를 테면, 제1 사용자 단말(10a)은 스마트폰, 제2 사용자 단말(10b)은 스마트 워치가 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heterogeneous user terminals 10 will be divided into a first user terminal 10a and a second user terminal 10b. For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10a may be a smartphone, 2 The user terminal 10b may be a smart watch.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충전 거치대(100)가 이종의 사용자 단말(10a, 10b)을 충전할 때의 무선 충전 거치대(100)의 배면과 충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무선충전 거치대(10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the rea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whe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ging heterogeneous user terminals (10a, 10b) and wireless charging when not charging. It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holder 100.

도2의 (A) 및 (B)를 참고하면, 무선 충전 거치대(100)는 몸체부(110), 제1 충전부(120), 제2 충전부(130)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2,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may include a body 110, a first charging unit 120, a second charging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can

[몸체부][Body part]

몸체부(110)는 무선 충전 거치대(100)에 포함된 일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고, 무선 충전 거치대(100)의 전체 프레임이 되는 구성요소이다.The body portion 110 serves a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and is a component that becomes the entire frame of the wireless charging cradle 100.

몸체부(110)의 전면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a)이 안착될 수 있다. 몸체부(110) 전면에는 제1 충전부(120)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충전부(120)가 자력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a)을 끌어 당겨 몸체부(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0a)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사용자 단말(10a)을 고정 및 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충전부(120)의 기술적 특징은 제1 충전부(120)를 설명할 때에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한다.The first user terminal 10a may be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 The first charging unit 12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and the first charging unit 120 pulls the first user terminal 10a from the body unit 110 through magnetic force. ) may be fixed and secured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0a is not separate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harging unit 120 will be reviewed once again when the first charging unit 120 is described.

[고정부][fixed part]

몸체부(110)의 배면에는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 소정 영역이란 차량의 송풍구, 대시보드, 콘솔박스, 글로브박스, 창문, 도어 스트림, 내부 벽면 등과 같이 고정부(111)의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될 만한 공간이 마련된 영역을 말할 수 있다.A fixing part 111 for fixing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Here, the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may refer to an area provided with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fixing part 111, such as an air vent, dashboard, console box, glove box, window, door stream, and inner wall surface of the vehicle. .

고정부(111)은 다양한 고정 방식으로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1)는 클립 형태의 고정 방식, 플러그 형태의 고정 방식, 자성을 활용한 고정 방식, 또는 접착 형태의 고정 방식 등의 고정 방식으로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1)가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경우, 고정부(111)가 차량 내부 송풍구 사이에 플러그가 삽입 고정되어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11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using various fixing methods. Specifically, the fixing part 111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by a fixing method such as a clip-type fixing method, a plug-type fixing method, a fixing method using magnetism, or an adhesive-type fixing method. For example, when the fixing part 11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g, the fixing part 111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by inserting and fixing the plug between the air vents inside the vehicle.

고정부(111)의 형상은 전술한 고정 방식에 대응되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테면, 고정부(111)가 접착 형태의 고정 방식으로 활용된다면, 고정부(111)의 형상은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말단이 평평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The shape of the fixing part 111 may represent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fixing method. For example, if the fixing part 111 is used as an adhesive fixing method,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111 may have a flat end so that the adhesive can be applied.

[수용부][receptor]

몸체부(110)의 배면에는 소정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어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형상이란 후술할 제2 충전부(130)의 형상을 말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충전부(130)가 수용부(112)의 수용 공간에 매립되었을 시 제2 충전부(130)의 외부면이 몸체부(110)의 배면과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소정의 형상은 제2 충전부(130)가 수용부(112)의 수용 공간에 매립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고안의 소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수용부(112)의 소정의 형상은 제2 충전부(130)가 매립되되, 이후에 수용부(112) 수용 공간에 여분의 공간이 남는 형상이 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112 formed intaglio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Here, the predetermined shape may refer to the shap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buri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12,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the body. It may be shaped to be integrat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110. Furthermore,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edetermined shape as long as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a shape that can be buri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12 .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hap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part 130 is buried, but an extra space is left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2 later.

[제1 충전부][First Charging Unit]

몸체부(110)의 전면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a)을 충전 및 안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충전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harging unit 120 serving to charge and place the first user terminal 10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unit 110 .

제1 충전부(120)는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제1 사용자 단말(10a)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충전부(120)의 무선 충전 모듈은 내부에 마련된 송신 코일이 제1 사용자 단말(10a)에 구비된 수신 코일을 감지하면, 전자기 유도를 시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제1 사용자 단말(10a)의 수신 코일 내의 전자들이 자기장에 의하여 흐르게 되고, 이러한 전자의 흐름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a)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The first charging unit 120 has a wireless charging module (not shown)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0a can be wirelessly charged. Specifically, when the transmitting coil provided inside detects the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0a,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first charging unit 120 starts electromagnetic inductio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 Electrons in the receiving coil of 10a) flow by the magnetic field, and through the flow of electrons, the first user terminal 10a can be wirelessly charged.

또한, 제1 충전부(120)의 무선 충전 모듈은 제1 사용자 단말(10a)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사용자 단말(10a)을 끌어 당길 수 있는 자력을 발생시켜 제1 사용자 단말(10a)이 몸체부(110) 전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first charging unit 120 not only wirelessly charges the first user terminal 10a but also generates magnetic force capable of attracting the first user terminal 10a to the first user terminal ( 10a) may be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a)가 제1 충전부(120)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user termin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first charging unit 120 .

도3을 참고하면, 제1 충전부(120)는 자력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a)을 끌어당겨 제1 사용자 단말(10a)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제1 충전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10a)의 전면이든 배면이든, 제1 사용자 단말(10a)의 어떠한 면이든 자력을 통하여 끌어 당겨 안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charging unit 120 can attract the first user terminal 10a through magnetic force and seat the first user terminal 10a. At this time, the first charging unit 120 is The front or back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or any surface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can be attracted and seated through magnetic force.

다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0a)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상태, 메시지 정보 등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있는 바, 사용자는 되도록이면 제1 사용자 단말(10a)의 배면이 제1 충전부(120)에 안착되도록 할 것이다. However, in general, the user tends to check the charging state, message information, etc.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and the user prefers to plac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as the first charging unit. (120).

다만, 일반적인 제1 사용자 단말(10a)의 배면에는 카메라 모듈(10a-1)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 모듈(10a-1)은 소정의 높이를 가져,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a)을 제1 충전부(120)를 통하여 안착시킬 때, 카메라 모듈(10a-1)이 몸체부(110)의 전면에 닿아 제1 사용자 단말(10a)의 배면이 제1 충전부(120)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However, the camera module 10a-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eneral first user terminal 10a, and the camera module 10a-1 has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first user terminal 10a. When seat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unit 120, the camera module 10a-1 tou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closely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harging unit 120. can prevent it from becoming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 충전부(120)는 몸체부(11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거리(L)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거리(L)란 제1 사용자 단말(10a)의 카메라 모듈(10a-1)이 몸체부(110)의 전면에 닿지 않도록 이격된 거리를 말한다. 참고로, 이격거리(L)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카메라 모듈(10a-1)의 소정의 높이를 고려하여 4mm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harg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by a distance L. Here, the distance L refers to a distance at which the camera module 10a - 1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a does not touch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 For reference, the separation distance (L) may be preferably 4 mm to 6 mm in considerat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amera module (10a-1)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충전부][Second Charging Unit]

도4는 본 고안의 제2 충전부(130)가 수용부(112)에 매립된 모습과 제2 충전부(130)가 몸체부(110) 배면의 일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어 180도 회전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unit 112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hinged with one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and rotated 180 degrees. is the drawing shown.

본 고안의 제2 충전부(130)는 제1 충전부(12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무선충전 모듈이 마련되어 있으나, 제2 충전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10a)이 아닌 제2 사용자 단말(10b)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실시하며, 자력을 이용해 제2 사용자 단말(10b)을 끌어당겨 고정할 수 있다.Like the first charging unit 120,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side, but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not the first user terminal 10a, but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on the ,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can be pulled and fixed using magnetic force.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고하면, 제2 충전부(130)는 몸체부(110) 배면의 수용부(112)에 매립된 형태로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 시, 제2 충전부(130)의 외부면은 몸체부(110) 배면과 일체화될 수 있다.4(A) and 4(B),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may be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1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in a form embedded, and when seated, 2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130 may be integrat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

제2 충전부(130)는 몸체부(110)의 배면의 일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어 180도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충전부(13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도 4의 (A)와 같이 몸체부(110)의 수용부(112)에 매립되어 있다가, 사용 시, 도 4의 (B)와 같이 제2 충전부(130)가 사용자에 의하여 1도 내지 180도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은 수용부(112)에 매립되어 있는 제2 충전부(130)가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충전부(130) 일 측에 핑거훅(13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charging unit 130 may be designed to be hinged with one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180 degrees.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is not used, it is buried in the receiving part 112 of the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4(A), and when in use, as shown in FIG. 4(B)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may be rotated by the user by 1 degree to 180 degrees.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 hook 13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so that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embedded in the receiving unit 112 can be easily rotated and moved by the user. .

[핑거훅][finger hook]

핑거훅(131)은 제2 충전부(130) 일 측에 배치되어, 제2 충전부(130) 외부면의 일부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이다. 핑거훅(131)은 용어 자체가 그러하듯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용부(112)에 매립되어 있는 제2 충전부(130)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The finger hook 13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and extends from some corner area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 The finger hook 131 allows the user to easily take out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12 using the user's finger, as the term itself does.

한편, 이러한 핑거훅(131)의 형상은 제2 충전부(131)가 수용부(112)에 매립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바, 본 고안의 수용부(112)는 핑거훅(131)과 제2 충전부(131)가 동시에 매립될 수 있도록 제2 충전부(131)가 수용부(112)에 매립될 때에 핑거훅(131)이 수용부(112)에 맞닿는 면이 핑거훅(131) 형상에 대응되어 파여진 수용홈(112-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finger hook 131 can prevent the second charging part 131 from being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and the accommodating part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nger hook 131 and the second When the second charging unit 131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unit 112 so that the charging unit 131 can be buried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of the finger hook 131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unit 112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nger hook 131 A digging receiving groove 112-1 may be provided.

이러한 수용홈(112-1)은 제2 충전부(131)가 수용부(112)에 매립될 때, 핑거훅(131)이 동시에 매립되도록 하되, 핑거훅(131)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누출되도록 한다. 핑거훅(131)의 일부 영역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 이동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핑거훅(131)의 일부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 이동되면, 수용부(112)에 매립되어 있는 제2 충전부(130)도 동시에 회전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harging part 131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part 112, the receiving groove 112-1 allows the finger hook 131 to be buried at the same time, but allows some area of the finger hook 131 to leak to the outside. do. Some areas of the finger hook 131 can be rotated and moved by the user, and when some areas of the finger hook 131 are rotated and moved by the user,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embedded in the receiving part 112 Also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전원공급부][Power Supply]

다른 한편, 전원공급부는 제1충전부 (120) 및 제2 충전부(130)에 전원(예.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1 충전부(120) 및 제2 충전부(130)가 사용자 단말(10)에 무선 충전을 실시하려면 제1 충전부(120) 및 제2 충전부(130) 그 자체에도 전원이 충전되어 있어야 하는바, 본 고안의 전원공급부는 충전지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 때, 전원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킴으로써 충전지 형태의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 일 측에는 충전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eg, electricity) to the first charging unit 120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 In order for the first charging unit 120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to wirelessly charge the user terminal 10, the first charging unit 120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themselves must also be charged with power.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desig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hargeable battery, and at this time,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power can be charged to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form of a rechargeable battery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power cabl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지지부][support part]

다시 도 4의 (A)를 참고하면, 제2 충전부(130)의 외부면에는 외부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3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back to (A) of FIG. 4 , a support 13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to support the load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may be provided.

지지부(132)의 형상은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반원인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적이 사각형인 형상, 단면적이 등변 사다리꼴인 형상 등 제2 사용자 단말(10b)이 제2 충전부(130)에 거치되었을 시,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고안의 지지부(132)의 형상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132 may represent a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area, a shape having an equilateral trapezoidal cross-sectional area, and the like. When (10b) is mounted on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any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may be the shape of the support unit 13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패드(133)가 지지부(132)의 삽입홈(134)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upport part 132.

[지지 패드][support pad]

지지 패드(133)는 제2 사용자 단말(10b)이 충전 될 때에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하부와 직접 맞닿는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마찰력과 탄성력을 지녀 제2 사용자 단말(10b)의 움직임이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pport pad 133 is a component tha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is charged, and has a predetermined frictional and elastic force to prevent movement or movemen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impact can be minimized.

지지 패드(133)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133-1)과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부 영역(133-2)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pad 133 is composed of an upper region 133-1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a lower region 133-2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삽입홈][Insert groove]

지지부(132)는 소정의 형상으로 음각 형성된 패드(133)가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삽입홈(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란 지지 패드(133)의 상부 영역(133-1)과 하부 영역(133-2)이 삽입홈(134) 내부에 선택적으로 인입되기 위한 형성된 형상을 말한다.The support part 132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34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d 133 engraved in a predetermined shape. Here, the predetermined shape refers to a shape formed so that the upper region 133 - 1 and the lower region 133 - 2 of the support pad 133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

삽입홈(134)은 지지 패드(133)가 상부 영역(133-1)이 먼저 삽입되든 하부 영역(133-2)이 먼저 삽입되든 수용 가능하도록 내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34a)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34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34a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o that the support pad 133 can accommodate whether the upper region 133-1 or the lower region 133-2 is inserted first. can

한편, 삽입홈(134)은 전체 내부 공간에서 걸림턱(134a)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공간인 제1 삽입 공간(134-1) 및 걸림턱(134a)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2 삽입 공간(134-2)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134 is a first insertion space 134-1, which is a sp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134a in the entire internal space,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based on the locking jaw 134a. (134-2).

도6은 본 고안의 지지 패드(133)가 지지부(132)의 삽입홈(134)에 정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upport part 132 in the forward direction.

도 6을 참고하여, 지지 패드(133)가 지지부(132)의 삽입홈(134)에 정방향으로 삽입된 모습 살펴보기 이전에, 본 고안에서 말하는 정방향과 역방향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 before exam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1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upport part 132 in the forward direction, first look at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 말하는 정방향이란 지지 패드(133)의 상부 영역(133-1)이 상측을 향하고 있으며, 하부 영역(133-2)이 하측을 향하고 있는 방향을 말할 수 있다.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133-1 of the support pad 133 faces upward and the lower region 133-2 faces downward.

반대로, 본 고안에서 말하는 역방향(도 7 참고)이란 지지 패드(133)의 상부 영역(133-1)이 하측을 향하고 있으며, 하부 영역(133-2)이 상측을 향하고 있는 방향 즉, 지지 패드(133)가 정방향으로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뒤집힌 방향을 말할 수 있다.Convers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rse direction (see FIG. 7 ) is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133-1 of the support pad 133 faces downward and the lower region 133-2 faces upward, that is, the support pad ( 133) can indicate the reversed direction by the user when i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다시, 도6을 참고하면, 지지 패드(133)가 삽입홈(134)에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걸림턱(134a)은 상부 영역(133-1)의 하부 말단을 거치하여, 상부 영역(133-1)의 일부가 제1 삽입 공간(134-1)에 인입되되, 상부 영역(133-1)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홈(134)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하부 영역(133-2)만이 제2 삽입 공간(134-2)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6, when the support pad 1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cking jaw 134a pass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gion 133-1, and the upper region 133-1 A part of 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134-1,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region 13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and only the lower region 133-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3-2. It can be drawn into the insertion space 134-2.

도7은 본 고안의 지지 패드(133)가 지지부(132)의 삽입홈(134)에 역방향으로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support part 132 in the reverse direction.

도7을 참고하면, 지지 패드(133)가 삽입홈(134)에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걸림턱(134a)은 상부 영역(133-1)의 일부가 제1 삽입 공간(134-1) 내부에 인입되되, 상부 영역(133-1)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홈(134)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이 때, 하부 영역(133-2) 전체가 삽입홈(134)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 영역(133-2) 전체 및 상부 영역(133-1)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홈(134) 외부로 노출된 만큼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하부와 지지 패드(133)가 맞닿는 영역'이 높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support pad 1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ocking jaw 134a is part of the upper region 133-1 inside the first insertion space 134-1. It is inserted, but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region 13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and at this time, the entire lower region 133-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and the lower region ( 133-2) As much as the entirety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region 133-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the 'region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and the support pad 133 come into contact' can be increased. there is.

정리하자면, 지지 패드(133)는 사용자의 선택(예. 뒤집는 행위)에 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삽입홈(13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 패드(133)가 삽입홈(134)에 정방향으로 삽입될 때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 '제 2 사용자 단말(10b)의 하부와 지지 패드(133)가 맞닿는 영역의 높이'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지지 패드(133)를 삽입홈(134)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할 지 선택하여 '제 2 사용자 단말(10b)의 하부와 지지 패드(133)가 맞닿는 영역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support pad 133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 user's selection (eg, an act of turning over), and the support pad 1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in the forward direction. Since the 'height of the area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and the support pad 133 come in contact' is different when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en the support pad 133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34, the user can insert the support pad 133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in any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gion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and the support pad 133 come into contact' by selecting whether to insert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10b)을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 워치로 상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워치의 안경 렌즈는 출시되는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본 고안의 제2 충전부(130)에 의하여 무선 충전될 수 있으며, 이 때, 지지부(132)는 스마트 워치의 안경렌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나, 만일, 안경렌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으면, 지지부(132)가 안경렌즈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가 불안정하여 무선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is assumed and described as a commercially available smart watch, and the spectacle lenses of the smart watch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depending on the model to be released. This smart watch can be wirelessly charged by the second charg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132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spectacle lens of the smart watch, but if the size of the spectacle lens is relatively If it is large or small, the support portion 132 may not properly perform wireless charging because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spectacle lens is unstable.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거치대(100′)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10b)에 대응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패드(133′)와 이러한 복수의 지지 패드(13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특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삽입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ual type vehicle wireless crad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upport pads 133 capable of supporting load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 and an insertion groove 134′ having a specific shape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pads 133 can be inserted.

도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의 삽입홈(134′)은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되, 내부에 지지 패드(133′)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insertion groove 134' of the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aglio in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support pad 133 therein ′) is a component with an accommodating space.

지지 패드(133′)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하중을 지지 하기 위하여 제1 지지 패드(133′-1) 및 제2 지지패드(13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d 133'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d 133'-1 and a second support pad 133'-2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b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can

제1 지지 패드는 (133′-1)는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는 상부 영역과 삽입홈(134′)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d (133'-1) may be composed of an upper area showing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lower area show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제2 지지 패드(133′-2)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 상부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중심부 영역 및 삽입홈(134′)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d 133′-2 is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 central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hav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34′. It can be.

참고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패드(133′-2)는 상부 영역과 중심부 영역의 높이가 상이한 형태로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는바, 사용자가 본인의 제2 사용자 단말(10b)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지지 패드(133′-2)를 임의로 선택하여 삽입홈(134′)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8 ,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ds 133′-2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heights of the upper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are different. )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elect the second support pad 133′-2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and insert it into the insertion groove 134′.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에 대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다. Or more, looked at the embodiment of the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단말
10a: 제1 사용자 단말 10a-1: 카메라모듈
10b: 제2 사용자 단말
100, 100′: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110: 몸체부 111: 고정부 112: 수용부
120: 제1 충전부
130: 제2 충전부 131: 핑거훅 132: 지지부
133,133′: 지지 패드
133′-1: 제1 지지 패드 133′-2: 제2 지지 패드
133-1: 상부 영역 133-2: 하부 영역
134: 삽입홈
134a: 걸림턱
134-1: 제1 삽입 공간 134-2: 제2 삽입 공간
10: user terminal
10a: first user terminal 10a-1: camera module
10b: second user terminal
100, 100′: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110: body part 111: fixing part 112: receiving part
120: first charging unit
130: second charging unit 131: finger hook 132: support unit
133,133': support pad
133'-1: first support pad 133'-2: second support pad
133-1: upper region 133-2: lower region
134: insertion groove
134a: locking jaw
134-1: first insertion space 134-2: second insertion space

Claims (10)

전면에 제1 사용자 단말이 안착되고, 배면에 차량 내부 소정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소정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어 수용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이격거리 만큼 돌출 형성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을 실시하는 제1 충전부;
상기 몸체부 배면의 수용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안착되어 안착 시 외부면이 상기 몸체부 배면과 일체화되고, 180도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외부면이 상기 제1 충전부의 전면과 동일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배면의 일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 배면으로부터 회전 이동 가능하며, 자력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고정함과 동시에 무선 충전을 실시하는 제2 충전부; 및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충전부 및 제2 충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전부는 외부면의 일부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핑거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충전부가 상기 수용부의 수용 공간에 매립될 시, 상기 핑거훅과 맞닿는 면이 상기 핑거훅 형상에 대응된 형태로 음각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은 내부에 상기 핑거훅이 매립될 시, 상기 핑거훅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 body portion having a front surface o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is seated, and a rear surface hav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vehicle and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charging unit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by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fixing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magnetic force an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t the same time;
The outer surface is integrat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when seated in a form embedd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back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faces the same direction as the front of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a 180 degree rotational movement. A second charging unit that is hinged to one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is rotatably mov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fixes a second user terminal using magnetic force and performs wireless charging at the same time; and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Including,
The second 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nger hook extending from some corner region of the outer surface,
The accommodating part further includes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intaglio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nger hook when the second charging part is embed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finger hook is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a dual 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finger hook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부는 상기 외부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harging uni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and supports a load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further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부와 직접 맞닿으며 소정의 마찰력과 탄성력을 지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이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지 패드; 및
소정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지지 패드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삽입홈;
을 포함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a support pad tha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has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and elastic force to minimize movement or impac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pad can be accommodated;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includes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과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 패드가 정방향 - 상기 하부 영역이 먼저 삽입되는 방향 - 과 역방향 - 상기 상부 영역이 먼저 삽입되는 방향 - 모두 수용 가능하도록 내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pad is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a low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The insertion groove is a dual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rotruding jaw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o that the support pad can be accommodated in both the forward directio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egion is inserted first - and the reverse directio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gion is inserted first.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vehicl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내부 공간이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1 삽입 공간과 하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2 삽입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 패드가 상기 삽입홈에 정방향으로 삽입 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 말단이 거치되며,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제2 삽입 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4,
The insertion groove is divided into a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lower side,
When the support pa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region is mounted on the locking jaw, and the lower region is retrac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a dual vehicle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내부 공간이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상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1 삽입 공간과 하부 측에 마련된 공간인 제2 삽입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 패드가 상기 삽입홈에 역방향으로 삽입 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상기 상부 영역의 상부 말단이 거치되며,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하부와 상기 지지 패드가 맞닿는 영역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4,
The insertion groove is divided into a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provided on the lower side,
When the support pa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g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jaw, and the lower reg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groove, thereby forming a contact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upport.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contact area is increas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부의 상기 몸체부 전면으로부터 이격거리는 4mm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harging unit is 4mm to 6m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으로 음각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지지 패드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3,
The insertion groove,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formed intaglio in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upport pad is provided therei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양 측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는 상부 영역과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된 제1 지지패드; 및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중심부 영역 및 상기 삽입홈 내부에 수용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는 하부 영역으로 구성된 제2 지지패드;
를 포함하는 듀얼식 차량용 무선 충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9,
The support pad,
A first support pad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both side surfaces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 lower region hav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support pad composed of an upper reg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 central reg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having a shape acceptabl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A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includes a.

KR2020220002560U 2022-11-01 2022-11-01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KR2004966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560U KR200496667Y1 (en) 2022-11-01 2022-11-01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KR2020230000602U KR20240000782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finger hook
KR2020230000601U KR20240000781U (en) 2022-11-01 2023-03-28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can charge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KR2020230000603U KR20240000783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designed to place user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560U KR200496667Y1 (en) 2022-11-01 2022-11-01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601U Division KR20240000781U (en) 2022-11-01 2023-03-28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can charge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KR2020230000602U Division KR20240000782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finger hook
KR2020230000603U Division KR20240000783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designed to place user termi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667Y1 true KR200496667Y1 (en) 2023-03-31

Family

ID=8572782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560U KR200496667Y1 (en) 2022-11-01 2022-11-01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KR2020230000602U KR20240000782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finger hook
KR2020230000601U KR20240000781U (en) 2022-11-01 2023-03-28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can charge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KR2020230000603U KR20240000783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designed to place user terminals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602U KR20240000782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with finger hook
KR2020230000601U KR20240000781U (en) 2022-11-01 2023-03-28 Dual-type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that can charge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KR2020230000603U KR20240000783U (en) 2022-11-01 2023-03-28 Dual vehicle wireless charging cradle designed to place user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496667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56A (en) * 2014-04-03 2015-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har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56A (en) * 2014-04-03 2015-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82U (en) 2024-05-08
KR20240000781U (en) 2024-05-08
KR20240000783U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988B2 (en) External tactile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2951094B (en) For the equipment of fixing rechargeable electronics package
US9148033B2 (en) System of securing a wide-range of devices during wireless charging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20130113419A1 (en) Holster for supporting and charging the wireless headset of handheld devices
JP6056651B2 (en) Mobile terminal adapter
TW201717727A (en) Device cover for accessory attachment
KR2005005754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retention of rechargeable devices
KR20110091616A (en) Inductively coupled consoles
CN107636932A (en) For wireless charger or the interface and mounting structure of centre part
KR101879551B1 (en) 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96667Y1 (en) Dual type wireless car charging cradle
CN107026279B (en) Energy storage device
US9829919B2 (en) Protective cover for an input device
AU2012330183B2 (en) Holding platform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desktop telephone, and fixing method for connector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CN209472638U (en) Mobile terminal
CN210707196U (en) Vehicle-mounted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ixing frame
CN213056912U (en)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support
EP1505801B1 (en) Holster for supporting and charging a wireless peripheral of a mobile device
KR20130130921A (en) Portable charging battery with holder
WO2018000166A1 (en) Communication device protection shell having charging function
KR20190074929A (en) 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2370584B1 (en)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KR102149370B1 (en) Detachable card wallet for a smart phone and a smartphone holder for a ca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