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584B1 -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584B1
KR102370584B1 KR1020200010207A KR20200010207A KR102370584B1 KR 102370584 B1 KR102370584 B1 KR 102370584B1 KR 1020200010207 A KR1020200010207 A KR 1020200010207A KR 20200010207 A KR20200010207 A KR 20200010207A KR 102370584 B1 KR102370584 B1 KR 10237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housing
electrode
terminal accessory
transmit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6762A (en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20001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584B1/en
Publication of KR2021009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액세서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 및 송신 코일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송신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극들은 송신 코일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형성된 양극의 제1 전극; 및 송신 코일의 양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형성된 음극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terminal accessory is fix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to enable wireless charging,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a transmitting c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from the outside; a first electrode of an anode connected to on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s resp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upper and left directions of the housing; and a negative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having third and fourth contact point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Description

무선 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Terminal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 가능하며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용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that can be conveniently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enables wireless charg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Various types of vehicle cradle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while driving.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various functions such as vehicle navigation and black box are integrated into smart phones, so the need for a car cradle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스마트폰을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vehicle crad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martphone is fitted to one end, and then the opposite end is adsorbed to the vehicle's glass, dashboard, or the like. However, the vehicle holder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vehicle holde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surface due to the high weight. In addition, when you want to use the smartphone while driving, you have to push the smartphone to the side from the vehicle cradle to release the fitted state, which is cumbersome to use.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을 부착하고 스마트링을 차량의 송풍구에 끼워 거치하는 미니멀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Therefore, recently, a minimalist method of attaching a smart ring to the rear of a smartphone and inserting the smart ring into the air vent of a vehicle is popular.

이러한 스마트링은 차량에 부착이 간편하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링이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쉬워 스마트폰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uch a smart ring has advantages of being easy to attach to a vehicle and easy to remov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the smartphone to the vehicle because the smart ring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ed position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스마트링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작은 링 형상이므로 차량에서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어렵다.In addition, since the smart ring is a small ring shap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martphone, the position where the smartphone can be fixed in the vehicle is limited,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fix the smartphone at a location at a distance suitable for the driver's view.

한편,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는 다양한 방식들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이나 케이스 등과 같은 액세서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무선 충전이 되지 않거나 충전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various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ly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when an accessory such as a smart ring or a case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is not performed or the charging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There is a problem with decreasing.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48호(2005.12.14 등록)Patent Document 1: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404248 (Registered on Dec. 14, 2005)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3820(2017.05.17 공개)Patent Document 2: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7-0053820 (published on May 17,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 가능하며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용 액세서리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that can be conveniently attached to and used in a portable terminal and can improve charging efficiency,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송신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형성된 양극의 제1 전극;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형성된 음극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charging terminal accessory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enable wireless charging, the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a transmitting c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region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receiving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from the outside; a positive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exposed to the outside in upper and left direction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a negative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having a third contact and a fourth contac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에 연결된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단말기 액세서리; 및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와 결합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출력 전극 및 제2 출력 전극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상기 양극 전극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상기 음극 전극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상기 제1 출력 전극은 상기 제1, 2 접점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출력 전극은 상기 제3, 4 접점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for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 electrode; a terminal accessory accommodated in this interior spa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upled to the terminal accessory and having a first output electrode and a second output electrode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terminal accessory, respectively.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upper and left directions,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as a single body, and the third contact point and the fourth contact point resp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rminal accessory are one. is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as a body of a, and the first output electr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nd the second output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third and fourth contacts contacted by 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액세서리에 송신 코일을 내장시켜 무선 충전 모듈과 결합시 각각 구비된 양극과 음극의 전극들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스마트링이나 케이스 등과 같은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mbeds a transmitting coil in an accessor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power is supplied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respectively provided when combin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u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terminal accessory. By enabling wireless charg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wireless charging even when accessories such as a smart ring or a case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양극 전극과,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음극 전극을 단말기 액세서리에 구비시킴으로써, 단말기의 결합 방향에 관계없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upper and left directions, respectively, as a single body, and a third contact point and a fourth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By providing the terminal accessory with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contact point formed as a single body,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단말기 액세서리에,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또는 파지를 위한 추가 장치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device for holding 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can be coupled to the terminal accessory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 장치에 결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rminal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3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a terminal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terminal accessory is attached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무선 충전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 단말기 액세서리(100) 및 무선충전 장치(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 , a terminal accessory 100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can be configured.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기기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ortable terminal 10 is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or a tablet PC, and may be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11)을 내장하여,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수신 코일(11)에서 유도 전류가 만들어져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built-in receiving coil 11 for wireless charging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so that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11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to charge the battery. can

단말기 액세서리(10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형태의 부착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링, 휴대폰 케이스, 브라켓(bracket) 또는 클램프(clamp) 등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an attachment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and may be, for exampl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mart ring, a mobile phone case, a bracket or a clam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101)이 내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ccessory 100 has a built-in transmission coil 101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wireless charging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내장된 송신 코일(10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수신 코일(11)에서 전자기 유도가 일어나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휴대용 단말기(10)의 배터리(미도시)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01 built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electromagnetic induction occurs in the receiving coil 11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the portable terminal 10 of the battery (not shown) can be charged wirelessly.

한편, 무선충전 장치(200)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분리되어 구성되며, 필요 시(예를 들어, 무선 충전시)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accessory 100 ,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the terminal accessory 100 when necessary (eg, during wireless charging).

무선충전 장치(200)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201)가 내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have a circuit unit 201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101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may be built-in.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장치(200)에는 각각 전극(131, 231)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electrodes 131 and 231 , respectively.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충전 장치(200)이 결합되면, 상기 전극들(131, 231)이 서로 접촉되어 무선충전 장치(200)의 회로부(201)로부터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송신 코일(10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re combined, the electrodes 131 and 23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ransmission coil 101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from the circuit unit 20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 can be supplied with pow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해 단말기 액세서리(100)를 부착시키고,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송신 코일(101)을 내장시켜 회로부(201)가 내장된 무선 충전 장치(200)와 결합시 전극들(131, 231)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1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10)가 무선 충전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 스마트링이나 팝소켓, 케이스 등과 같은 액세서리(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using an adhesive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and the transmitting coil 101 is embedded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to provide a circuit unit 201 . When combined with the built-in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s 131 and 231,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 is wirelessly charged us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terminal accessory 100, Even when the accessory 100 such as a smart ring, a pop socket, or a case is mounted on the terminal 10, wireless charg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상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양극 전극과,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음극 전극을 구비시킴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0)가 무선 충전 장치(200)에 결합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first contact and a second contac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upp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on the terminal accessory 100 as a single body, and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By providing a negative electrode in which the exposed third contact and fourth contact are formed as one body, the portable terminal 10 to which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attached is wirelessly charg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can make this possible.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of a terminal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도 3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양면 중 휴대용 단말기(10)에 고정되는 면을 나타낸 것으로, 단말기 액세서리(100)는 외관을 구성하며 송신 코일(101)과 전극(131) 등이 내장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3 is a view showing a side fix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mong both sides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the terminal accessory 100 constitutes an exterior and an interior for embedding the transmitting coil 101 and the electrode 131 and a housing 110 having a space.

하우징(110)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부재(111)를 포함하며, 제1 케이스부재(111)는 제2 케이스부재(115)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case member 111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and the first case member 11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ase member 115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re is.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부착되기 위해, 하우징(110)의 제1 케이스부재(111)에는 양면 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the terminal accessory 1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a double-sided tape may be formed on the first case member 111 of the housing 110 .

한편, 하우징(110)의 외곽 부분에는 복수의 접점들(141, 142, 151, 152)이 노출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과 결합되었을 때 무선 충전 장치(200)에 구비된 접점들과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ntacts (141, 142, 151, 152) are expos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combin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vided contacts, the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들(141, 142, 151, 152)이 하우징(110)의 상측, 좌측,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contacts 141 , 142 , 151 , 152 are upper, left, lower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10 . direction can be exposed.

도 4 및 도 6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에서 제1 케이스부재(111)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4 and 6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member 111 is removed from the terminal accessory 100 , and i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101)이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transmitting coil 101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한편, 제2 케이스부재(115)와 송신 코일(101) 사이에 페라이트 시트(160)가 배치되어, 송신 코일(10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휴대용 단말기(10)를 향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자기장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errite shee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ase member 115 and the transmitting coil 101, so tha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coil 101 is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10) It can act as a shiel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일(101)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전극들(140, 150)이 수용되어, 복수의 전극들(140, 150)을 통해 송신 코일(101)로 공급되는 전원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40 and 150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101 through 140 and 150 may be applied from the outside.

여기서, 제1 전극(140)은 송신 코일(10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인 제1 끝단(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제1 위치(A1)에서 송신 코일(101)의 제1 끝단(102)과 제1 전극(140)의 제1 접속부(145)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102 , which is any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electrode 140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in the first position A1 . The distal end 102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5 of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제2 전극(150)은 송신 코일(101)의 양단 중 다른 하나인 제2 끝단(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제2 위치(A2)에서 송신 코일(101)의 제2 끝단(103)과 제2 전극(150)의 제2 접속부(155)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nd 103, which is the other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and for this purpose, the second electrode 150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at the second position A2. The end 103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5 of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전극(140)은 송신 코일(101)의 제1 끝단(102)에 양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양극(+) 전극일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제1 전극(14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a positive (+) electrode for applying a positive (+) voltage to the first end 102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 and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10 .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each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

한편, 제2 전극(150)은 송신 코일(101)의 제2 끝단(103)에 음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극(-) 전극일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제2 전극(15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a negative electrode (-) for applying a negative (-) voltage to the second end 103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110. A third contact point and a fourth contact point each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5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 2 접접들(141, 142)은 사각형의 4개 외곽선들 중 서로 연결된 상측 및 좌측의 제1, 2 선분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 전극(140)에 형성되고, 제3, 4 접접들(151, 152)은 하우징(110)의 사각형의 4개 외곽선들 중 서로 연결된 하측 및 우측의 제3, 4 선분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2 전극(150)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housing 110 has a quadrangular shap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141 and 142 are th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eft first and second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outlines of the quadrangle. The third and fourth contacts 151 and 152 ar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arts, and the lower and right third and fourth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outlines of the quadrangle of the housing 110 . I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5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m.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2 전극(140, 150)의 구성과, 제1 내지 제4 접점들(141, 142, 151, 152)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접점들(141, 142, 151, 152)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상하좌우, 4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0 and 150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to fourth contacts 141, 142, 151, and 152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ontacts 141, 142, 151, 152) may be exposed in four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

한편, 송신 코일(101)의 외곽 영역 중 제1, 2 전극들(140, 15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영역에 복수의 금속 부재들(170, 175)이 구비되어, 자석과 같은 자성체가 구비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2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metal members 170 and 175 are provided in a region not surr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0 and 150 among the outer regions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so that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magne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e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복수의 접점들(141, 142, 151, 152)이 4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방향, 즉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배면에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방향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변경되더라도, 양극의 제1 전극(140)과 음극의 제2 전극(150)이 무선 충전 장치(200)에 형성된 2개의 출력 전극(미도시)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by exposing the plurality of contacts (141, 142, 151, 152) to the terminal accessory 100 in four directions,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that is,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hanged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v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negative second electrode 150 are two output electrodes (not shown)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 so that they can be conta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제1 금속 부재(170)와 제2 금속 부재(175)를 구비시킴으로써,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방향, 즉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배면에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무선 충전 장치(200)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 충전 장치(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y providing the first metal member 170 and the second metal member 175 at the corners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that is, the terminal accessory 100.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ttached to the back is changed, it is attached with a magnet and magnetic force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so that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re stably coupled. ca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극(140)은 하우징(110)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1 접점(141)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상측부, 하우징(110)의 좌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2 접점(142)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좌측부, 제1 접점(141)의 상측부와 제2 접점(142)의 좌측부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제1 연결부(143)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끝 단에는 송신 코일(101)의 제1 끝단(102)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14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electrode 140 has an upper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141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so as to be expo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is expos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One body including a left side portion in which the contact point 142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143 in an inclined form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int 141 and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int 142 . may be configured,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145 connected to the first end 102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may be formed at the end.

또한, 제2 전극(150)은 하우징(110)의 하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3 접점(151)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하측부, 하우징(110)의 우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4 접점(152)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우측부, 제3 접점(151)의 하측부와 제4 접점(152)의 우측부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제2 연결부(153)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끝 단에는 송신 코일(101)의 제2 끝단(103)과 접속되는 제2 접속부(15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50 has a lower portion in which the third contact 151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so as to be expo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and the fourth contact 152 is expos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It will be composed of one body including the right side portion formed in the convex curve shap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3 of the inclined shape for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int 151 and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fourth contact point 152 . In addition, a second connection part 155 connected to the second end 103 of the transmitting coil 101 may be formed at the e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2 전극들(140, 150)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면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0 and 150 may be configured as a planar electrod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형상에 최적화함과 동시에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전극(140)은 두께보다 높이가 큰 면 전극을 성형하여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in order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housing and reduce resistance at the same time,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implemented by molding a surface electrode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a thickness.

도 8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양면 중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되지 않는 외면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케이스부재(115)의 외면에, 휴대용 단말기(10)의 거치 또는 파지를 위한 외부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8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n outer surface that is not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mong both surfaces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115, the portable terminal 10 A coupling unit 180 having a structur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for mounting or gripping may be formed.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 외면의 결합부(180)에는, 고리 형태의 스마트링이나 수축/확장이 가능한 구조의 팝소켓 등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smartphone holder such as a smart ring in the form of a ring or a pop socke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contracted/expanded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80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또한, 제2 케이스부재(115)의 외면에는 다양한 그래픽이 인쇄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의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various graphics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115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

상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전극(140)에 형성된 제1, 2 접점들(141, 142)이 각각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제2 전극(150)에 형성된 제3, 4 접점들(151, 152)이 각각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정된 접점들의 노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접점들의 노출 방향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회전이나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141 and 142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are exposed in the upper and lef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thir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four contacts 151 and 152 are exposed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the exposure directions of the designated contacts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exposure directions of the contacts are rotated or rotated by the terminal accessory 100 . It may be design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보면, 제1 전극(140)에 형성된 제1, 2 접점들(141, 142)은 각각 상측 및 우측 방향으로 노출되고, 제2 전극(150)에 형성된 제3, 4 접점들(151, 152)은 각각 하측 및 좌측 방향으로 노출되며, 본 발명은 2개의 접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하나의 몸체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141 and 142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are exposed in the upp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is exposed in the uppe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 formed in the third and fourth contacts (151, 152) are exposed in the lower and lef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ontacts are ex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nsist of an electrode of one body. there may 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결합되며,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출력 전극 및 제2 출력 전극을 구비하여,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결합시 송신 코일(101)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erminal accessory 100 as described above, and is a firs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 respectively. By having a first output electrode and a second output electrode,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101 when combined with the terminal accessory 100 .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200)에는,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전극들(140, 150)가 접촉되는 복수의 출력 전극들(241, 251)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has a groove for inserting and coupling the terminal accessory 100 ,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140 and 150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utput electrodes 241 and 251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200)에는, 상측이 개방되며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의 홈이 형성되며,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출력 접점(241)과 제2 출력 접점(251)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a rectangular groov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formed, and the first output contact 241 and the second The output contact 251 may be exposed and formed.

그에 따라,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의 사각형 홈에 삽입되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전극(140)에 형성된 제1, 2 접점들(141, 142)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제1 출력 접점(241)에 접촉되어 제1 전극(140)과 제1 출력 전극(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2 전극(150)에 형성된 제3, 4 접점들(151, 152)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제2 출력 접점(251)에 접촉되어 제1 전극(140)과 제1 출력 전극(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groov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141 and 142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contact 24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first output electrode 2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y one of the third and fourth contacts 151 and 152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put contact 251 so that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first output electrode 240 are electrically can be connected to

한편, 무선 충전 장치(200)에는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 및 제어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케이블(260)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cable 260 for receiv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예를 들어, 케이블(260)은 무선 충전 장치(200)에 구비된 회로부(201)와 전극(2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ble 260 may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unit 201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the electrode 231 .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2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출력 전극(240)은 사각형 홈을 향하는 우측 방향으로 노출된 제1 출력 접점(241)과 케이블(260)의 두 선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양극(+) 전선)과 접속되는 제1 출력전극 접속부(245)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며, 제2 출력 전극(250)은 사각형 홈을 향하는 좌측 방향으로 노출된 제2 출력 접점(251)과 케이블(260)의 두 선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음극(-) 전선)과 접속되는 제2 출력전극 접속부(255)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When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first output electrode 240 includes a first output contact 241 exposed in the right direction toward the rectangular groove and It consists of one body including a first output electrode connection part 245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 wires of the cable 260 (eg, a positive (+) wire), and the second output electrode 250 is The second output contact 251 exposed in the left direction toward the rectangular groove and the second output electrode connection 255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 wires of the cable 260 (eg, the negative (-) wire) It may be composed of one body includin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출력 접점(241, 251)의 형상은,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접점들(141, 142, 151, 152)이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이 오목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contacts 241 and 251 are st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s 141 , 142 , 151 , 152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are in contact. The middle part may be formed in a concave curved shape so that the

한편, 무선 충전 장치(200)의 사각형 홈 하측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사각형 홈에 삽입될 때 그에 구비된 금속 부재와 자력으로 부착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magnets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groov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and are attached to the metal member and magnetic force provided therein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groove, the terminal accessory 100 of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bonding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bonding stability.

예를 들어,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의 홈에 삽입되면, 삽입 방향에 따라,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구비된 제1, 2 금속 부재들(170, 175)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장치(200)에 구비된 제1, 2 자석들(270, 275)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단말기 액세서리(100)와 무선 충전 장치(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members 170 and 175 provided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70 and 275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may be stably coupl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 장치에 결합하는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terminal accessory is attached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액세서리(100)를 부착한 후, 단말기 액세서리(100)가 무선 충전 장치(200)의 홈에 삽입되도록 휴대용 단말기(10)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결합시키면,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2 전극들(140, 150)이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제1, 2 출력 전극들(240, 25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 after attaching the terminal accessory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When the 10 is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0 , 150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are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lectrodes 240 , 25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액세서리(100)에는 복수의 접점들(141, 142, 151, 152)이 4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10)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로 방향 뿐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무선 충전 장치(2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단말기 액세서리(100)의 제1, 2 전극들(140, 150)과 무선 충전 장치(200)의 제1, 2 출력 전극들(240, 250)이 각각 극성에 맞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lurality of contact points 141 , 142 , 151 , 152 are exposed in four directions in the terminal accessory 10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v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 Even when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0 and 150 of the terminal accessory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lectrodes 24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2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each polarity.

또한, 단말기 액세서리(100)에 스마트링이나 팝소켓 등과 같은 별도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80)가 형성되고, 무선 충전 장치(200)에는 스탠드형이나 차량고정형의 거치대와 결합되기 위한 장착 부재(28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unit 180 for coupling a separate smartphone holder such as a smart ring or a pop socket to the terminal accessory 100 is formed,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s coupled with a stand-type or vehicle-fixed holder. A mounting member 280 for the may be formed.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in the specifica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휴대용 단말기 11: 수신 코일
100: 단말기 액세서리 101: 송신 코일
102, 103: 송신코일 양단 110: 하우징
111, 115: 제1, 2 케이스부재 131: 전극
140, 150: 제1, 2 전극 141, 142, 151, 152: 접점
143, 153: 연결부 145, 155: 접속부
160: 페라이트 시트 170, 175: 금속 부재
180: 결합부 200: 무선 충전 장치
201: 회로부 231: 전극
240, 250: 제1, 2 출력 전극 241, 251: 접점
260: 케이블 270, 275: 자석
280: 장착 부재
10: portable terminal 11: receiving coil
100: terminal accessory 101: transmitting coil
102, 103: both ends of the transmission coil 110: housing
111, 115: first, second case member 131: electrode
140, 150: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1, 142, 151, 152: contact
143, 153: connection part 145, 155: connection part
160: ferrite sheet 170, 175: metal member
180: coupling unit 200: wireless charging device
201: circuit portion 231: electrode
240, 250: first and second output electrodes 241, 251: contact
260: cable 270, 275: magnet
280: mounting member

Claims (13)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외곽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송신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형성된 양극의 제1 전극; 및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형성된 음극의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4개의 모서리 부분들 중 서로 대각선 방향의 제1 모서리 부분과 제2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상기 제1, 2 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전극들이 형성되지 않은 서로 대각선 방향의 제3 모서리 부분과 제4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제1 금속 부재와 제2 금속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In the terminal accessor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enable wireless charging,
A rectangular-shaped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transmitting c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ing;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egion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for receiving power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coil from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positive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exposed to the outside in upper and left direction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a second electrode of a negative electrode connected to the other of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having a third contact point and a fourth contact point that are respectively exposed to the low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in a diagonal direction among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not formed in a third diagonal direction. A terminal access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tal member and the second metal member are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corner port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점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상측부; 상기 하우징의 좌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점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좌측부; 및 상기 상측부와 상기 좌측부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 upper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point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so as to be expos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a left por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point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 be exposed in a left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ng part of an inclined shape for connecting the upper part and the left part. The terminal accessory comprising a sing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3 접점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하측부; 상기 하우징의 우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4 접점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된 우측부; 및 상기 하측부와 상기 우측부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 lower portion in which the third contact point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 be expos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a right portion in which the fourth contact point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so as to be exposed in a r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ng part of an inclined shape for connecting the lower part and the right part. The terminal accessory comprising a sing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면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Terminal access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urface-shaped electrode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2 접접들은 상기 하우징의 4개 외곽선들 중 서로 연결된 제1, 2 선분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전극에 형성되고,
상기 제3, 4 접접들은 상기 하우징의 4개 외곽선들 중 서로 연결된 제3, 4 선분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전극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has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r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to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line seg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outer lines of the housing;
The third and fourth contact points ar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to correspond to third and fourth line seg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outer line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case memb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cas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case member to form the inner space,
The terminal accessory further comprising a; a ferrite sheet disposed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second case member.
제7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또는 파지를 위한 외부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액세서리.
8. The method of claim 7,
A terminal accessory,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for holding or gripping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을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의 양단에 연결된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사각형 형상의 단말기 액세서리; 및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와 결합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출력 전극 및 제2 출력 전극을 구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상측 및 좌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상기 양극 전극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하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외부 노출되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하나의 몸체로 상기 음극 전극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상기 제1 출력 전극은 상기 제1, 2 접점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출력 전극은 상기 제3, 4 접점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4개의 모서리 부분들 중 서로 대각선 방향의 제1 모서리 부분과 제2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서로 대각선 방향의 제3 모서리 부분과 제4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제1 금속 부재와 제2 금속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 transmitting coil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wireless charging in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ransmitting coil; a terminal accessory having a rectangular shap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upled to the terminal accessory and having a first output electrode and a second output electrode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terminal accessory, respectively;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upper and left directions of the terminal accessory,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as a single body,
A third contact point and a fourth contact poi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lower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rminal accessory,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as a single body,
The first output electr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and the second output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third and fourth contact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respectively formed in a first corner portion and a second corner portion in a diagonal direction among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terminal accessory,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not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A wireless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tal member and the second metal member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third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corner portion.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의 하우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 사이에 페라이트 시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ousing of the terminal accessory includes a first case memb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cas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case member to form the inner space,
A wireless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ferrite sheet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second case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또는 파지를 위한 외부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부가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wireless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for holding 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단말기 액세서리가 삽입되기 위한 사각형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홈의 상측은 개방되고,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며,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상기 제1 출력 전극 및 상기 제2 출력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ctangular groove for inserting the terminal accessory is formed,
The upper side of the rectangular groove is open,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magnets, the left and right wireless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utput electrode and the second output electrode are provided, respectively.
KR1020200010207A 2020-01-29 2020-01-29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KR102370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07A KR102370584B1 (en) 2020-01-29 2020-01-29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07A KR102370584B1 (en) 2020-01-29 2020-01-29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62A KR20210096762A (en) 2021-08-06
KR102370584B1 true KR102370584B1 (en) 2022-03-04

Family

ID=7731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07A KR102370584B1 (en) 2020-01-29 2020-01-29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58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891B1 (en) * 2016-10-04 2017-10-26 박서우 The magnetic attaching type wireless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248B1 (en) 2001-02-01 2003-11-03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Underfill apparatus for semiconductor
KR20170053820A (en) 2015-11-07 2017-05-17 강준혁 detachable smart ring
KR20190043045A (en) * 2017-10-17 2019-04-25 (주)엠에이피테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with accessory attaching on back cover of portable device
KR20190119302A (en)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휴먼디지텍 A cradle for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891B1 (en) * 2016-10-04 2017-10-26 박서우 The magnetic attaching type wireless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62A (en)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9697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7719Y1 (en) Back cover for mobile phone
US20160173667A1 (en) Magnetic mobile phone mounting kit
US20150008875A1 (en) Wireless charging holder and assembly of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holder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93449Y1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US11201481B2 (en) Magnetic attracting type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4315338U (en) Mobile phone shell
US20160134959A1 (en) Magnetic transportable earbud charging system
KR102370584B1 (en) Accessory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KR102126135B1 (en) Wireless charger for a terminal
EP1950094A2 (en) A system for mount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2615439B (en) Wireless charging base, locating sleeve, device,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786855B (en) Charging back paste, charging seat and charging support
CN204992657U (en) Cell -phone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2098682U (en) Vehicle-mounted support device with mobile power supply
CN215897390U (en) Support for realizing wireless charging of mobile phone and Bluetooth headset
KR20220054926A (en) Portable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multiple contact points
KR101727024B1 (en) Connecting Equipment for Charger
KR102543592B1 (en) Wireless charging mobile phone stand device for bikes with board and coil parts separated
CN215221751U (en)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N213502108U (en) Wireless charging support of non-clip-arm vehicle-mounted mobile phone
CN210007483U (en) Mobile terminal casing
US20240136863A1 (en) Magn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mbined therewith
CN211860206U (en) Cell phone stand with stereo se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