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66Y1 - 비기관 석션 카테터 - Google Patents

비기관 석션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66Y1
KR200496666Y1 KR2020210000535U KR20210000535U KR200496666Y1 KR 200496666 Y1 KR200496666 Y1 KR 200496666Y1 KR 2020210000535 U KR2020210000535 U KR 2020210000535U KR 20210000535 U KR20210000535 U KR 20210000535U KR 200496666 Y1 KR200496666 Y1 KR 200496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tube
nasal
suction cathete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082U (ko
Inventor
표성운
허현아
박수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0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6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1Nasoendo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bstract

본 고안은 굴절성 및 직진성이 강화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로써, 구체적으로 인체의 비기관을 통해 삽입되어 인체 내부의 굴곡에 따라 굽어지면서 목표 지점까지 나아갈 수 있고, 또한, 굽어지더라도 내측면의 단면에 변형 말단부 내측면에는 경사가 형성되어 말단부의 막힘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흡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테터에서 길이 신장이 필요한 구간에 힘을 가하여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기관 석션 카테터{Nasal Suction Catheter}
본 고안은 굴절성 및 직진성이 강화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전신마취를 위한 기관내 삽관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경구기관내 삽관법, 경비기관내 삽관법, 굴곡성 후두경법, 역행성 기관내 삽관법 등이 있다. 이 중 경비기관내 삽관법은 구강내 또는 하악골 수술시 수술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수술 후 치아 고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측두하악골관절의 강직이나 개구장애 또는 상,하악 골절 등으로 구강 개폐가 어려운 경우, 그리고 장시간 삽관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구기관내 삽관 시나 경비기관내 삽관 시 마취과 의사가 당면하는 문제점 중 하나는 삽관에 의한 교감신경 자극에 따른 혈압 및 심박수의 상승과 같은 심혈관계 변화인데, 특히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고혈압 환자 등에서는 심근허혈, 좌심실 부전 및 뇌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하여 치명적일 수도 있다. 특히, 경비 기관내 삽관시에는 일정 부분의 비강내 구조물 및 비점막 손상이 동반되며, 이들에 의한 출혈과 비강내 이물질 이동으로 경비 기관 튜브의 폐쇄(obstruction)가 경구 기관내 삽관 방법에 비해 쉽게 그리고 자주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강제 흡인요법(suction by negative pressure)에 의한 인위적인 기관내 출혈액, 분비물, 객담의 흡인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서는 석션 카테터가 이용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49551호(2019.11.21.)
기존의 석션카테터는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polyethylene)의 가는 관으로 형성되고, 경구 기관내 튜브내의 분비물 제거만을 염두에 두고 있어 관의 길이가 짧고, 지나치게 유연하며 관이 가늘어서 흡인 압력이 말단까지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관에 삽관된 튜브의 직진성이 강화되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튜브의 원형 단면이 유지되어 흡입 압력이 카테터의 말단부까지 전달되며, 말단부의 흡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석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인체의 비(鼻)기관을 통해 삽입되고, 일단에 제1 유입구가 형성된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함된 유도부재; 상기 튜브부재 외측 단부는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재 내측 단부는 막힘을 방지하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튜브부재가 인체에 삽입되면 인체 내부의 형태에 따라 굴곡이 형성되며 나아가도록 하는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유도부재는 금속 소재로써 띠 형상인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유도부재는 신장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재의 일정 구간에 힘을 주면 길이가 신장되는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경사는 말단부로 갈수록 내측면의 단면의 넓이가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유도부재는 튜브부재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내면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위치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에는 말단부 내측면에 말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단부에서의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말단부가 막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의 내면과 외면사이에 포함된 띠 형상의 유도부재는 카테터가 인체 내부를 지나며 인체 내부의 형태에 따라 굴곡이 형성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진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띠형상의 유도부재는 얇은 띠 형상으로 카테터 내면과 외면사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두께가 얇아 카테터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띠형상의 유도부재는 신장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카테터의 길이 신장이 필요한 경우 길이 신장이 필요한 구간의 양 단을 잡고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카테터의 길이가 신장되고, 신장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의 말단부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의 내면과 외면사이에 포함된 유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가 양 방향으로 힘을 받아 길이가 신장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의 유도부재가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내면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 나타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기관 석션 카테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비기관 석션 카테터(10)에는 튜브부재(100), 유도부재(110) 및 연결부재(130)가 포함될 수 있다.
튜브 부재(100)는 긴 관 형태로써 카테터가 흡인하는 객담, 혈액 등의 분비물이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튜브 부재(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말단부에 제1 유입구가 형성되어 제1 유입구와 중공이 연결될 수 있고, 말단부 외측면에는 1개 이상의 제2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는 석션기의 흡인력으로 인해 인체 내부에서 분비되는 객담, 혈액 등이 튜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튜브 부재(100)의 일단부는 석션기와 연결될 수 있다. 석션기는 흡인력을 발생시켜 튜브 부재(100)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튜브 부재(10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라텍스,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유입구는 튜브 부재(100)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내측면은 경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면의 경사(120)는 말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말단부의 흡인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말단부의 이물질 수용공간이 확장되어 이물질의 흡인으로 인한 석션 카테터의 막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내측면의 경사(120)는 직선 또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유입구의 외측 단부(101)는 둥근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의 외측 단부(101)는 민감한 인체의 장기들과 접촉하는 곳으로 인체의 장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둥근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는 말단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로써 제1 유입구와 마찬가지로 석션기의 흡인력으로 인체 내부에서 분비되는 객담, 혈액 등의 이물질이 튜브부재(10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곳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도부재(110)는 부드러운 소재의 튜브부재(100)가 인체 내부에서 휘어지거나 접히지 않고 튜브부재(100)의 말단부가 목표하는 지점까지 전진할 수 있도록 튜브부재(100) 외면과 내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포함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유도부재(110)는 튜브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 코일, 띠 형태일 수 있고, 튜브부재(10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얇은 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부재(11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유도부재(110)는 얇고 긴 띠 형태가 튜브부재(100)의 내면과 외면 사이 또는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코일처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도부재(110)는 튜브부재(10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내면에 편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내면에 편향된 위치는 튜브부재(100)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유도부재(110)가 내면의 단면형태를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굽힘 부위에서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도부재(110)는 길이 신장이 가능한 금속 소재일 수 있다. 튜브부재(100)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의 길이를 신장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힘을 가하여 튜브부재(100)를 신장시킬 수 있고, 튜브부재(100)는 유도부재(110)의 길이 신장으로 신장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재(110)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인접하는 각 나선 간의 거리가 증가하면서 튜브부재(100)의 길이 신장될 수 있다. 튜브부재(100)의 길이가 신장되는 경우에도 유도부재(110)의 나선 간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튜브부재(100)의 내경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튜브부재(100)가 길이 신장되는 경우 튜브부재(100)가 인체 내부에서 더욱 앞으로 잘나갈 수 있는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도부재(110)는 튜브 부재(100)가 인체 내부를 전진하면서 내부의 형태와 같이 튜브부재(100)가 굽혀지는 변형이 발생되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튜브부재(100)가 굽혀지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굽혀진 부분은 유도부재(110)가 나선형의 형태로써 튜브부재(100)의 내경을 그대로 유지시켜 흡인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유도부재(110)는 나선형의 형태로 튜브 부재(100) 내면과 외면 사이에 형성되므로 튜브부재(100)에 굽힙이 발생하더라도 내면의 단면 모양이 원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튜브 부재(100)에는 일단에는 연결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튜브 부재(100)와 석션기를 연결하고, 석션기의 흡인력이 튜브 부재(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에는 석션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석션기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중공은 튜브 부재(10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에는 밸브(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140)에는 튜브 부재(100) 내부의 중공과 연결부재(130) 내부의 중공과 연결되는 밸브홀(141)이 형성될 수 있고, 밸브홀(141)은 석션기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인하는 경우 손으로 밸브홀(141)을 막아서 흡인력이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흡인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밸브홀(141)에서 손을 떼어 대기압과 튜브 부재(100) 내부압력이 평형상태가 되면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로 흡인력이 전달되지 않아 이물질을 흡입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비기관 석션 카테터 100 : 튜브부재
110 : 유도부재 120 : 경사
130 : 연결부재 140 : 밸브
141 : 밸브홀

Claims (6)

  1. 인체의 비(鼻)기관을 통해 삽입되고, 일단에 제1 유입구가 형성된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함된 유도부재;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1 유입구의 외측 단부는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1 유입구의 내측 단부는 막힘을 방지하는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튜브부재가 인체에 삽입되면 인체 내부의 형태에 따라 굴곡이 형성되며 나아가는 비기관 석션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금속 소재로써 띠 형상인 비기관 석션 카테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신장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재의 일정 구간에 힘을 주면 길이가 신장되는 비기관 석션 카테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말단부로 갈수록 내측면의 단면의 넓이가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튜브부재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내면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위치된 비기관 석션 카테터.
KR2020210000535U 2021-02-18 2021-02-18 비기관 석션 카테터 KR200496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5U KR200496666Y1 (ko) 2021-02-18 2021-02-18 비기관 석션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5U KR200496666Y1 (ko) 2021-02-18 2021-02-18 비기관 석션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82U KR20220002082U (ko) 2022-08-25
KR200496666Y1 true KR200496666Y1 (ko) 2023-03-29

Family

ID=8306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35U KR200496666Y1 (ko) 2021-02-18 2021-02-18 비기관 석션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432B1 (ko) * 2023-01-11 2023-11-16 백영진 비강 카테터
KR102602742B1 (ko) * 2023-06-19 2023-11-14 백영진 음압을 방지하는 비강카테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681A (ja) 2000-01-12 2001-07-17 Terumo Corp カテーテル
KR101024340B1 (ko) 2010-10-21 2011-03-2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체액배출장치
JP5645221B2 (ja) 2011-10-20 2014-12-2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8518279A (ja) 2015-06-18 2018-07-12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用の伸縮可能スリーブ
KR102075698B1 (ko) 2017-02-09 2020-02-10 (주)엘메카 카테터의 유입 방향 및 유입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51B1 (ko) 2019-06-24 2019-11-27 충남대학교병원 X자형 객담제거용 석션카테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681A (ja) 2000-01-12 2001-07-17 Terumo Corp カテーテル
KR101024340B1 (ko) 2010-10-21 2011-03-2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체액배출장치
JP5645221B2 (ja) 2011-10-20 2014-12-2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8518279A (ja) 2015-06-18 2018-07-12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用の伸縮可能スリーブ
KR102075698B1 (ko) 2017-02-09 2020-02-10 (주)엘메카 카테터의 유입 방향 및 유입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82U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65B1 (ko)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
US10806327B2 (en) Laryngeal mask for use with an endoscope
ES2226668T3 (es) Cabeza de cateter que no se obstruye.
US5546936A (en) Tracheal tube with reinforced flexible segment
US8573218B2 (en) Tracheostomy tube
KR200496666Y1 (ko) 비기관 석션 카테터
AU2014330888B2 (en) Artificial airway device
US20100030057A1 (en) Imaging catheter
US20120073572A1 (en) Intubation Stylet & Endotracheal Tube
EP3062857B1 (en) Airway tube
US20200345214A1 (en) Endoscopy device
US20020010417A1 (en) Transpharyngeal tube
US20050133037A1 (en) Laryngeal mask assemblies
JP2005058326A (ja) 鼻腔誘導チューブ
CN219071697U (zh) 一种低损伤型鼻咽通气导管
US11883596B1 (en) Oral pharyngeal air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