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13Y1 -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13Y1
KR200496113Y1 KR2020200003852U KR20200003852U KR200496113Y1 KR 200496113 Y1 KR200496113 Y1 KR 200496113Y1 KR 2020200003852 U KR2020200003852 U KR 2020200003852U KR 20200003852 U KR20200003852 U KR 20200003852U KR 200496113 Y1 KR200496113 Y1 KR 200496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air injection
seating
infa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973U (ko
Inventor
박동준
Original Assignee
박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준 filed Critical 박동준
Priority to KR202020000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1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61J17/1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conjoined with soft cushions or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 착좌 면을 제공하는 착좌 바디,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등받이 면을 제공하는 등받이 바디, 및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공기 주입 바디를 포함하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탈부착되도록 하측에 개구 중공이 마련된 탈부착 바디, 및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아의 입에 물릴 수 있는 치발기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Detachable tooth development device}
본 고안은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에는 다양한 유아용 의자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는, 착좌 바디, 등받이 바디, 및 공기 주입 바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좌 바디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에 착좌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바디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에 등받이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바디는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 일 측으로부터 돌출된 공기 주입 바디를, 상기 착좌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였다가, 상기 가압을 해제하는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바디가 상기 착좌 바디를 향하는 아래 방향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아래 방향의 반대 방향인 위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는, 미 사용시에는 의자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아는 유치가 나기 시작하면서 잇몸이 간지럽고 아픈 증상들을 해소하기 위해, 유아에 인접한 물건들을 입에 물려고 한다.
이에 따라, 상술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에 착좌된 유아는, 유아 의자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 공기 주입 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입에 물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상기 공기 주입구를 물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사용에 있어서, 상술된 바와 같은 유아의 안전상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도, 유아 의자로부터 공기 빠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되, 상기 공기 주입 바디에 본 고안의 탈부착 바디가 부착된 형태가 유지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에 상측에 마련된 공기 주입구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부착된 형태가 유지되며 공기 주입구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아의 촉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 착좌 면을 제공하는 착좌 바디,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등받이 면을 제공하는 등받이 바디, 및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공기 주입 바디를 포함하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탈부착되도록 하측에 개구 중공이 마련된 탈부착 바디, 및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아의 입에 물릴 수 있는 치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 바디 및 상기 치발기는,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바디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하는 촉감 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연성보다 낮은 제2 유연성을 가지는 제2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체가 장착되는 장착턱, 및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구와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 내면이 이격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테두리 부와 접촉하는 접촉턱이 마련되고, 상기 접촉턱은, 상기 장착턱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 착좌 면을 제공하는 착좌 바디,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등받이 면을 제공하는 등받이 바디, 및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공기 주입 바디를 포함하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탈부착되도록 하측에 개구 중공이 마련된 탈부착 바디, 및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아의 입에 물릴 수 있는 치발기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탈부착 바디 및 상기 치발기보다 유연성이 낮은 소재의 지지체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턱에 상기 지지체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주입 바디에 본 고안의 탈부착 바디가 부착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 내면과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구는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구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발기의 물림부에 형성된 패턴 및 상기 탈부착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촉감 제공부를 통해 유아의 촉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의 사진이다.
도 11은 종래의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1은 종래의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다양한 유아용 의자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 바디(Bsf), 등받이 바디(Bbc), 및 공기 주입 바디(Bap)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좌 바디(Bsf)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에 착좌 면(sf)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바디(Bbc)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Bsf)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에 등받이 면(bc)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는 상기 착좌 바디(Bsf)의 전단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Bsf) 및 상기 등받이 바디(Bbc)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a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공기 주입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착좌 바디(Bsf)의 전단 일 측으로부터 돌출된 공기 주입 바디(Bap)를, 상기 착좌 바디(Bsf)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였다가, 상기 가압을 해제하는 펌핑 동작(ap)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가 상기 착좌 바디(Bsf)를 향하는 아래 방향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아래 방향의 반대 방향인 위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구(ac)를 통해 상기 착좌 바디(Bsf) 및 상기 등받이 바디(Bbc)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는, 미 사용시에는 상기 유아 의자(PBC)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아는 유치가 나기 시작하면서 잇몸이 간지럽고 아픈 증상들을 해소하기 위해, 유아에 인접한 물건들을 입에 물려고 한다.
이에 따라, 상술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에 착좌된 유아는, 상기 유아 의자(PBC)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 공기 주입 바디(Bap)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ac)를 입에 물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상기 공기 주입구(ac)를 물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ac)를 통해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의 사용에 있어서, 종래의 유아의 안전상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도, 유아 의자(PBC)로부터 공기 빠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치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는, 앞서 설명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의 공기 주입 바디(Bap)에 탈부착됨으로써,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에 착좌된 유아의 종래와 같은 안전상 문제를 최소화하면서도, 유아 의자(PBC)로부터 공기 빠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는,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에 착좌된 유아의 치아 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는, 탈부착 바디(100) 및 치발기(2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부착 바디(100)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길이 방향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하측(110)에는, 개구 중공(hl)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하측(110) 개구 중공(hl)을 통해,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에 상기 탈부착 바디(100)가 부착되거나, 상술된 삽입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로부터 상기 탈부착 바디(100)가 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 중공(h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외주면 폭(W1)보다 좁은 폭(W4)으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 중공(hl)의 폭(W4)은,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외주면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하측(110) 개구 중공(hl)을 통해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내주면에는, 장착턱(112) 및 접촉턱(1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턱(112)에는 후술되는 지지체(1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턱(112)은, 앞서 설명된 상기 개구 중공(hl)의 내주면 폭(W4)으로부터 상기 개구 중공(hl)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폭(W5)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 중공(hl)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지지체(150)가 상기 장착턱(112)에 걸려 더 이상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내면(116)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장착턱(112)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 중공(hl)의 폭(W4)보다 상기 장착턱(112)이 형성된 중공의 폭(W6)이 좁을 수 있다.
상기 접촉턱(114)은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상측 테두리 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턱(114)은, 앞서 설명된 상기 장착턱(112)이 형성된 중공(hl)의 폭(W6)으로부터 상기 중공(hl)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폭(W7)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접촉턱(114)의 폭(W6)은, 상기 장착턱(112)의 폭(W4)보다 좁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 중공(hl)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공기 주입 바디(Bap)의 테두리부가 상기 접촉턱(114)에 걸려 더 이상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내면(116)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공기 주입구(ac)와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내면(116)이 이격(L1)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의 공기 주입구(ac)와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내면(116)이 이격(L1)되므로, 상기 이격(L1)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ac)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ac)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주입구(ac)를 통해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외면(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22) 및 고정부(12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22)에는, 후술되는 치발기(200)의 끼움 바디(205)가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부(122)는,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외면(120)으로부터 소정 길이(L2) 돌출되되, 후술되는 치발기(200)의 끼움 바디(205)의 개구(op) 반경(W12)보다 작은 반경(W9)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부(122)에 상기 끼움 바디(205)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5)는, 상기 끼움부(122)에 끼워진 상기 끼움 바디(20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25)는, 상기 끼움부(122)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L3) 돌출되되, 상기 끼움 바디(205)의 개구(op) 반경(W12)보다 넓은 반경(W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부(122)에 끼워진 상기 끼움 바디(205)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125)가, 상기 끼움 바디(205)의 개구(op) 반경(W12)보다 넓은 반경(W10)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유아가 후술되는 치발기(200)를 입에 물고 당기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부(125)를 통해 상기 끼움부(122)에 끼워진 상기 치발기(200)가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도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출부(R)와 오목부(V)가 교번하는 촉감 제공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R)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외주면 폭(W1)으로부터 소정 폭(W2)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에 앉은 유아는 상기 촉감 제공부(130)를 만지면서 촉감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 바디(100)는,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부착 바디(100)는, 인체에 무해한 부드러운 생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부착 바디(100)는, 앞서 설명된 상기 촉감 제공부(130)를 통해 유아에게 촉감을 제공하면서도, 날카로운 부분이 최소화되어 유아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내주면 상기 장착턱(112)에는, 지지체(1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체(150)는, 앞서 설명된 상기 장착턱(112)이 상기 개구 중공(hl)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소정 폭(W5)과 동일한 두께(W11)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체(150)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두께가 도 5에 도시된 두께(W11)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하측(110) 개구 중공(hl)을 통해 삽입된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150)는, 앞서 설명된 상기 탈부착 바디(100)를 이루는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보다 낮은 제2 유연성을 가지는 제2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15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바디(100)는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를 통해 공기가 주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에 상기 탈부착 바디(100)가 부착되는 경우, 이리저리 흔들리거나, 상기 부착이 쉽게 해제되어 탈착되는 등, 상기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150)가, 상기 제1 소재의 제1 유연성보다 낮은 제2 유연성을 가지는 제2 소재로 이루어진 바, 상기 지지체(150)가 상기 장착턱(112)에 장착되어, 상기 낮은 제2 유연성을 가지는 장착턱(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 및 상기 탈부착 바디(100)가 배치되므로,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에 상기 탈부착 바디(100)가 부착된 형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치발기(200)는,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아의 입에 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치발기(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바디(205)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외면에는 상기 끼움부(122)가 마련된 바, 상기 끼움 바디(205)에는, 상기 끼움부(122)에 끼워지기 위한 개구(o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 바디(205)의 개구(op) 반경(W12)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22)의 반경(W9)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끼움 바디(205)의 높이(L5)는, 상기 끼움부(122)의 높이(L2)보다 낮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부(122)에 상기 끼움 바디(205)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22)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소정 길이(L3) 돌출되되, 상기 끼움 바디(205)의 개구(op) 반경(W12)보다 넓은 반경(W10)으로 상기 고정부(125)가 형성된 바, 상기 끼움부(122)에 끼워진 상기 끼움 바디(205)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끼움 바디(205)의 일 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바디(205)의 일 측으로부터 소정 길이(L6) 연장된 물림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림부(250)는, 유아의 입에 물리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림부(250)의 상측(210)에는 제1 패턴(213)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부의 하측(220)에는 제2 패턴(2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패턴(213, 223)은 양각 및 음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림부(250)가 유아의 입에 물리는 경우, 유아는 양각 및 음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패턴(213, 223)을 통해 입술 또는 입안에서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촉감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림부(250) 상측(210)의 제1 패턴(213)과 상기 물림부(250) 하측(220)의 제2 패턴(22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물림부(250) 상측(210)의 제1 패턴(213)과 상기 물림부(250) 하측(220)의 제2 패턴(223)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턴(213, 223)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6 내지 8에 상기 물림부(250)가 꽃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물림부(2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물림부(250)는 유아가 씹기 좋을 정도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형상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발기(200)는, 앞서 설명된 상기 탈부착 바디(100)와 동일하게,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발기(200)는, 인체에 무해한 부드러운 생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발기(200)를 이루는 각 구성 즉, 상기 끼움 바디(205), 상기 물림부(250), 상기 제1 패턴(213), 및 상기 제2 패턴(223)은, 유아의 입술에 닿거나 입에 물리는 경우, 유아의 입술 또는 입안을 통해 촉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의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를 통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의 전반적인 모습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탈부착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R)와 오목부(V)가 교번하는 상기 촉감 제공부(130)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상측 외면(120)에 마련된 상기 끼움부(122)를 통해 상기 치발기(200)의 끼움 바디(205)가 끼워져, 상기 고정부(125)를 통해 상기 탈부착 바디(100)에 상기 치발기(200)가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통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장착턱(112) 및 상기 접촉턱(114)을 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접촉턱(114)은, 상기 장착턱(112)보다 폭이 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상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는, 상술된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PBC)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1000)는, 상기 착좌 바디(Bsf)의 전단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상기 공기 주입 바디(Bap)에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유아용 의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종래에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유아용 범보 의자 또는 부스터 의자 등에 유아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돌출부에 탈부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0: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100: 탈부착 바디
112: 장착턱
114: 접촉턱
122: 끼움부
125: 고정부
130: 촉감 제공부
150: 지지체
200: 치발기
205: 끼움 바디
250: 물림부

Claims (3)

  1.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유아의 착좌 시 착좌 면을 제공하는 착좌 바디,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하며 상기 착좌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등받이 면을 제공하는 등받이 바디, 및 상기 착좌 바디의 전단에 마련되어, 유아의 착좌 시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착좌 바디 및 상기 등받이 바디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측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공기 주입 바디를 포함하는 핸드 펌프 형 유아 의자의 공기 주입 바디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탈부착되도록 하측에 개구 중공이 마련된 탈부착 바디; 및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아의 입에 물릴 수 있는 치발기;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바디 및 상기 치발기는, 제1 유연성을 가지는 제1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바디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하는 촉감 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공기 주입 바디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연성보다 낮은 제2 유연성을 가지는 제2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체가 마련되는,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체가 장착되는 장착턱, 및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공기 주입구와 상기 탈부착 바디의 상측 내면이 이격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 바디의 테두리 부와 접촉하는 접촉턱이 마련되고,
    상기 접촉턱은, 상기 장착턱보다 폭이 좁은,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KR2020200003852U 2020-10-27 2020-10-27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KR200496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2U KR200496113Y1 (ko) 2020-10-27 2020-10-27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52U KR200496113Y1 (ko) 2020-10-27 2020-10-27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73U KR20220000973U (ko) 2022-05-04
KR200496113Y1 true KR200496113Y1 (ko) 2022-11-03

Family

ID=8158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52U KR200496113Y1 (ko) 2020-10-27 2020-10-27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1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868A (ja) 2007-03-28 2008-10-09 Market Bureinzu:Kk 子供用い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868A (ja) 2007-03-28 2008-10-09 Market Bureinzu:Kk 子供用い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73U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366B2 (en) Teether
KR101200138B1 (ko) 구순 폐쇄구
CN106470647A (zh) 鼻扩张器装置
US20140087332A1 (en) Multilayer mouthpie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US4721465A (en) Dental dam with integral deformable frame
MX2010010654A (es) Dispositivos de denticion infantil con rebordes de denticion.
JP6240461B2 (ja) 口腔内清掃具
US20210322282A1 (en) Teether with wristband
KR200496113Y1 (ko) 탈부착형 치아 발육기
US20160255948A1 (en) 3-sided fingerbrush for cleansing multiple teeth surfaces
US20140000646A1 (en) Tooth flossing device
KR200483214Y1 (ko) 치아발육기
KR101935690B1 (ko) 손목밴드를 구비한 치아발육기
JP4802584B2 (ja) 口腔用清掃具及びこれを用いた口腔清掃方法
KR20080062451A (ko) 치아 인상용 트레이 유니트
KR101976272B1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KR101597952B1 (ko) 손가락 빨기 교정기
KR101865043B1 (ko) 칫솔
KR101976803B1 (ko) 유아용 손가락 칫솔
KR101683380B1 (ko) 손가락 빨기 교정기
JP6386212B2 (ja) 乳幼児用歯ブラシ
KR102589532B1 (ko) 인체 구강 구조 형태의 치아세척기구
KR102542048B1 (ko) 영아용 구강관리기
JP3210128U (ja) 乳幼児用バスチェア
JPH10243818A (ja) 指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