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89Y1 -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89Y1
KR200496089Y1 KR2020220000002U KR20220000002U KR200496089Y1 KR 200496089 Y1 KR200496089 Y1 KR 200496089Y1 KR 2020220000002 U KR2020220000002 U KR 2020220000002U KR 20220000002 U KR20220000002 U KR 20220000002U KR 200496089 Y1 KR200496089 Y1 KR 200496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ead
vacuum cleaner
annular
rotat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언
Original Assignee
정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언 filed Critical 정진언
Priority to KR2020220000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2Dis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와 바닥에 부착된 먼지들도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흡입헤드는 상기 상판(10)은 평편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0) 저면의 중앙 흡입구(11)의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흡입헤드 전진이동시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를 중앙으로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는 각각, 상기 상판(10)에 설치된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원판(22)과, 상기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저면 주변부에 환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환형 브러시부(23)와, 상기 환형 브러시부(23)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균일간격으로 회전원판(22)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방사방향 브러시부(24)와, 상기 회전원판(22)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25)와, 상기 동력발생부(25)에서 전달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원판(2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흡입헤드{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을 이용하여 청소를 행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 위에 있는 먼지, 작은 이물체, 오염물질들 뿐만 아니라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와 바닥에 부착된 먼지들도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흡입헤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덮개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흡입통로(미도시)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흡입관 및 흡입호스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가 연결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 작은 이물체, 오염물질 등(이하 "먼지"로 통칭함)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더스트백과, 진공펌프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헤드(1)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헤드(1)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의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바닥면의 먼지들이 흡입헤드(1)의 흡입통로를 통해 흡입된 후, 흡입관을 거쳐 상기 청소기 본체에 들어가 저장된다.
상기 흡입헤드(1)의 저면에는 작은 휠(2)이 구성되어 있어서 흡입헤드(1)의 하측으로 공기 및 먼지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틈새가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는 단순히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주변부에 있는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는 무게가 있기 때문에 흡입력에 의하여 흡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는 바닥에 밀착되어 있는 먼지 까지 효과적으로 흡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쌀알과 같은 굵고 무게가 있는 이물체 또는 바닥에 밀착된 먼지까지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저면이 개방된 덮개형태의 상판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평편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저면의 중앙 흡입구의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흡입헤드 전진이동시 쌀알과 같은 굵은 물체를 중앙으로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상판에 설치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원판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 주변부에 환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환형 브러시부와, 상기 환형 브러시부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균일간격으로 회전원판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방사방향 브러시부와, 상기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전달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원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또한 상기 회전브러시 어셈블리의 회전원판은 상기 상판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환형 브러시부 내부에 대응하는 회전원판 부분에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중심축 주위에 고정되고 그 외면에 상기 회전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부와, 상기 힌지축부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형 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소형휠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그 상단부분이 설치부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소형휠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간과 상기 중심핀이 자유롭게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과 접촉할 수 있는 반경을 갖으며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환형판과, 상기 환형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의 상단과 접촉하여 소형휠이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상기 전달부재는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류 재질로 된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상기 환형 브러시부와 방사방향 브러시부는 각각 다수의 미세모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인접 미세모와의 사이에 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는 회전브러시 어셈블리에 의해서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를 중앙 흡입구가 있는 중앙으로 모으면서 흡입하기 때문에 무게가 있는 굵은 이물체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고 또한 브러시부에 의해서 바닥에 밀착된 먼지까지 떼어내며 흡입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구성요소인 회전브러시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의 일부브러시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통상의 흡입헤드와 유사하게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저면이 개방된 덮개형태의 상판(10)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은 평편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가 구성되어 있다.
상판(10)에는 저면에 먼지 및 공기를 흡입하는 중앙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는 중앙 흡입구(11)의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흡입헤드 전진이동시 쌀알과 같은 무겁고 굵은 이물체들을 중앙으로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는 상기 상판(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원판(22)과, 상기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저면 주변부에 환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환형 브러시부(23)와, 상기 환형 브러시부(23)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균일간격으로 회전원판(22)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다수의 방사방향 브러시부(24)와, 상기 회전원판(22)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25)와, 상기 동력발생부(25)에서 전달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원판(2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원판(22)은 도 4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판(10)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도 6의 분해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브러시부(23) 내부에 대응하는 회전원판(22) 부분에 다수의 공기유입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4개의 공기유입공(22a)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25)는 상기 중심축(21) 주위에 고정되고 그 외면에 상기 회전원판(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부(25a)와, 상기 힌지축부(25a)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설치부(25b)와, 상기 설치부(25b)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형 휠(25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25)의 소형휠(25c)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중심핀(25d)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그 상단부분이 설치부(25b)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25b)는 상기 소형휠(25c)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간(25e)과 상기 중심핀(25d)이 하부로부터 스냅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핀홈(25f)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핀(25d)은 핀홈(25f)내부에서 여유가 있기 때문에 회전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다.
상기 동력전달부(26)는 중심축(21)을 중심으로 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25c)과 접촉할 수 있는 반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판(22)의 저면에 고정되는 환형판(26a)과, 상기 환형판(26a)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25c)의 상단과 접촉하여 소형휠(25c)이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부재(26b)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부재(26b)는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류 재질로 된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브러시부(23)와 방사방향 브러시부(24)는 각각 다수의 미세모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인접 미세모와의 사이에서 굵은 이물체는 통과하지 못하나 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의 후방부에는 후방의 공기가 흡입헤드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가능한 차단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바닥면 근처까지 뻗은 차단판(12)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10)의 전방 중앙에는 흡입헤드의 균형적인 이동과 용이한 방향전환을 위하여 소형휠이 있는 캐스터(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판(10)의 중앙 흡입구(11)에는 흡입관 및 흡입호스가 연결되어 먼지 등을 흡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흡입헤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흡입헤드는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의 양측 소형휠(25c)과 캐스터(30)의 소형휠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이 흡입헤드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양측 소형휠(25c)이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이 소형휠(25c) 상단에 있는 전달부재(26b)로 전달된다. 이 때 실리콘 또는 고무류로 된 전달부재(26b)와 소형휠(25c)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전달부재(26b) 및 환형판(26a), 그리고 회전원판(22)이 회전한다. 회전방향은 도 5의 저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회전원판(22)이 서로 대칭되게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한다.
이 때 쌀과 같은 굵은 이물체는 방사방향 브러시부(24)에 의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의 중앙 흡입구(11) 쪽으로 이동한다. 중앙 흡입구(11)에는 흡인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굵은 이물체는 그 중량을 감안하더라도 용이하게 중앙 흡입구(11) 안으로 빨려 들어간다.
또한 바닥에 밀착된 먼지는 환형 브러시부(23) 및 방사방향 브러시부(24) 끝단에 접촉하여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일부 먼지는 굵은 물체와 같이 방사방향 브러시부(24)에 의하여 중앙으로 이동하여 중앙흡입구(11)로 빠져 나간다.
일부 먼지는 환형 브러시부(23)의 하부틈새를 통과하여 내부로 이동하고 중앙 흡입구(1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환형 브러시부(23)의 하부틈새를 빠져나와 중앙 흡입구(11)로 들어간다. 이때 환형 브러시부(23)의 하부틈새에 끼어 있는 머리카락, 실 등도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하부틈새를 이탈하여 중앙 흡입구(11)로 빨려 들어간다.
한편 회전원판(22)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2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10)과 회전원판(22) 사이의 틈새에 있는 공기가 회전원판(22) 내부로 유입한 후중앙 흡입구(11) 쪽 환형 브러시부(23)의 하부틈새를 통하여 먼지, 머리카락 등과 함께 빠져 나가 중앙 흡입구(11)로 빨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회전원판(22)의 다수의 공기유입공(22a)를 통한 공기 흐름으로 인하여 먼지, 머리카락 등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상기 회전원판(22)과 동력발생부(25)의 힌지축부(25a)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회전원판(22)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원판(22)은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불균형한 바닥이 있더라도 동력전달부(26)의 전달부재(26b)가 항상 소형휠(25c)를 누르는 상태가 되어 소형힐 (25c)의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부재(26b)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부재(26b)는 마찰력이 좋은 실리콘 또는 고무류로 되어 있고 휘에 질수 있는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달부재(26b)과 소형휠(25c)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흡입헤드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의 회전원판(22) 및 다수의 방사방향 브러시부(24)의 회전에 의해서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를 중앙흡입구(11)가 있는 중앙으로 모으면서 먼지를 흡입하기 때문에 굵은 이물체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환형브러시부(23)와 방사방향브러시부(24)에 의하여 바닥에 밀착된 먼지까지 떼어내며 흡입하므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스틱청소기 뿐만 아니라 로봇청소기 등 모든 종류의 진공청소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흡입헤드 2: 휠
10: 상판 11: 중앙 흡입구
12: 차단판
20: 회전브러시 어셈블리 21: 중심축
22: 회전원판 22a: 공기유입공
23: 환형 브러시부 24: 방사방향 브러시부
25: 동력발생부 25a: 힌지축부
25b: 설치부 25c: 소형휠
25d: 중심핀 25e: 관통공간
25f:핀홈
26: 동력발생부 26a: 환형판
26b: 전달부재
30: 캐스터

Claims (7)

  1.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저면이 개방된 덮개형태의 상판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평편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0) 저면의 중앙 흡입구(11)의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흡입헤드 전진이동시 쌀알과 같은 굵은 이물체를 중앙으로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는 각각, 상기 상판(10)에 설치된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회전원판(22)과, 상기 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저면 주변부에 환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환형 브러시부(23)와, 상기 환형 브러시부(23)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균일간격으로 회전원판(22)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이 바닥과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 방사방향 브러시부(24)와, 상기 회전원판(22)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25)와, 상기 동력발생부(25)에서 전달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원판(2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6)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부(25)는 상기 중심축(21) 주위에 고정되고 그 외면에 상기 회전원판(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부(25a)와, 상기 힌지축부(25a)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설치부(25b)와, 상기 설치부(25b)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형 휠(2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 어셈블리(20)의 회전원판(22)은 상기 상판(1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환형 브러시부(23) 내부에 대응하는 회전원판(22) 부분에 다수의 공기유입공(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25)의 소형휠(25c)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중심핀(25d)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그 상단부분이 설치부(25b)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25b)는 상기 소형휠(25c)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간(25e)과 상기 중심핀(25d)이 자유롭게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핀홈(25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6)는 중심축(21)을 중심으로 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25c)과 접촉할 수 있는 반경을 갖으며 상기 회전원판(22)의 저면에 고정되는 환형판(26a)과, 상기 환형판(26a)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소형휠(25c)의 상단과 접촉하여 소형휠(25c)이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부재(2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26b)는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류 재질로 된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브러시부(23)와 방사방향 브러시부(24)는 각각 다수의 미세모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인접 미세모와의 사이에 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KR2020220000002U 2022-01-01 2022-01-01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KR200496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02U KR200496089Y1 (ko) 2022-01-01 2022-01-01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02U KR200496089Y1 (ko) 2022-01-01 2022-01-01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89Y1 true KR200496089Y1 (ko) 2022-10-31

Family

ID=8379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02U KR200496089Y1 (ko) 2022-01-01 2022-01-01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8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470B1 (en) * 1997-01-06 2001-01-16 Norton Company Brush attachment for grinder
KR101031870B1 (ko) * 2010-05-11 2011-05-02 주식회사 태일몰드텍 편의성을 높인 수동청소기
CN109068838A (zh) * 2016-02-10 2018-12-21 特里萨控股公司 家用刷或卫生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470B1 (en) * 1997-01-06 2001-01-16 Norton Company Brush attachment for grinder
KR101031870B1 (ko) * 2010-05-11 2011-05-02 주식회사 태일몰드텍 편의성을 높인 수동청소기
CN109068838A (zh) * 2016-02-10 2018-12-21 特里萨控股公司 家用刷或卫生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453A1 (en) Robotic vacuum cleaning system
KR101790651B1 (ko)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JP5065447B2 (ja) 自律型床清掃ロボット
KR101814568B1 (ko)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KR101373593B1 (ko) 청소기 헤드
KR102386214B1 (ko) 진공청소기
KR20200017723A (ko) 진공청소기
US11471020B2 (en) Robotic vacuum cleaning system
KR20210022876A (ko) 진공청소기
KR20170057067A (ko)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2644691B2 (ja) 真空掃除機の回転型常用吸入口
KR200496089Y1 (ko)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AU2016203775B2 (en) An autonomous mobile robot for cleaning with a front roller in a first horizontal plane positioned above a second horizontal plane of a rear roller
KR102341735B1 (ko) 청소기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217090539U (zh) 一种边刷及扫地机器人
KR20150075642A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KR20050121982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