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79Y1 -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79Y1
KR200496079Y1 KR2020220001662U KR20220001662U KR200496079Y1 KR 200496079 Y1 KR200496079 Y1 KR 200496079Y1 KR 2020220001662 U KR2020220001662 U KR 2020220001662U KR 20220001662 U KR20220001662 U KR 20220001662U KR 200496079 Y1 KR200496079 Y1 KR 200496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main body
advertisemen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티오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오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오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2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 G01J1/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 G01J1/3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3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dapted for automatic variation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92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safety means, e.g. for children trapped inside the refuse recepta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된 공간을 갖되, 상층과 하층으로 공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층 공간에 해당되며,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광고부와, 상기 본체의 하층 공간에 해당되고,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수거부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 및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MULTI-FUNCTION SEPARATE COLLECTION WASTE BIN}
본 고안은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 가능하도록 하여 각종 홍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오늘날, 쓰레기처리의 문제는 여러가지 환경문제들 중에 있어서도 가장 심각한 현안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폐기용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의무화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일반 가정집은 물론, 회사와 같은 업무시설 및 휴게소나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종이, 비닐, 플라스틱, 금속, 유리와 같은 재활용품과 일반 쓰레기를 종류에 따라서 각각 버릴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쓰레기통을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리수거 쓰레기통들 중 가정집이나 업무시설의 경우에는 실내에 구비되어 비나 눈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가 이루어지며, 관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만, 휴게소나 공원과 같은 외부의 공공장소에 배치되는 쓰레기통의 경우, 습기와 온도, 날씨 등의 가변되는 환경 속에서 시간이 갈수록 악취의 발생은 물론 위생적인 측면에서 이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단순히 쓰레기통의 역할만을 수행함에 따라, 이용자들이 함부로 다루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미관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128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공간에서,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여 각종 홍보나 안내가 이루어져 단순한 쓰레기통이 아닌 정보의 전달 매체로 사용되어 외부 쓰레기통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개선은 물론, 디자인 요소가 가미되어 미관을 흐리지 않는 하나의 구조물로서의 역할도 수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된 공간을 갖되, 상층과 하층으로 공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층 공간에 해당되며,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광고부와, 상기 본체의 하층 공간에 해당되고,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수거부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 및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광고부 및 분리수거부의 내부 공간의 활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폐 가능한 도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전면에 구비되어 광고 영상이 송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배면에 구비되어 광고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하는 백라이트모듈 및 상기 광고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과 연계 가능하여 날씨나 가로등 불빛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밝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광고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은 전면부에 광투과율이 뛰어나 광고 영상 및 이미지가 깔끔하게 나타나도록 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초백색 강화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초백색 강화유리는 금속브라켓에 의해 상기 광고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백라이트모듈 및 전력모듈에서 과부하 및 누전이 발생될 경우, 전력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부는 상기 감지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발열에 의해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광고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모듈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부의 측면에는 상기 환기펜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광고부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전력모듈에서 상기 환기모듈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환기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수거부는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가 구분되도록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모듈과, 상기 격벽모듈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모듈과, 상기 분리수거부의 전면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거부 내부로 쓰레기가 투입 가능하도록 하며, 선택적인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스윙도어를 갖는 복수의 투입모듈 및 상기 수거모듈의 교체 및 회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분리수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개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부는 상기 감지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분리수거부 내부에 화재의 발생이 감지될 경우,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배출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쓰레기통이 아닌 정보의 제공 및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을 해치지 않는 하나의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광고부와 분리수거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역할의 분리는 물론, 분리수거부에 꼬일 수 있는 벌레들이 광고부 내부로 유입되어 기능 장애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쓰레기통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광고부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광고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도어모듈 및 차폐모듈, 그리고 광고부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모듈, 차단모듈, 환기모듈 및 환기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광고부와 공간이 분리되는 분리수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있어서, 감지부 및 소화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면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 가능하도록 하여 각종 홍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실내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나, 표출되는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공원이나 휴게소 등과 같은 실외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된 공간을 갖되, 상층과 하층으로 공간의 분리가 완벽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분리된 공간 중 상층 공간에 해당되며,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광고부(100)와, 상기 본체(A)의 분리된 공간 중 하층 공간에 해당되며,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배출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부(200) 및 상기 본체(A) 내부의 화재 및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A)의 내부 공간이 완벽하게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설치된 이후, 쓰레기가 수거된 상태에서 꼬일 수 있는 벌레, 특히나 실외 공간일 경우, 빈번하게 꼬일 수 있는 개미나, 파리, 날파리 등과 같은 벌레들이 상기 본체(A)의 상층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광고부(100)의 기능 장애 및 부품의 파손, 상기 광고부(100)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의 오염 및 벌레들의 증식, 쓰레기 냄새의 유입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A)가 상기 광고부(100) 및 상기 분리수거부(200)로의 공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그 각각의 역할이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각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부(100) 및 분리수거부(200)의 내부 공간의 활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A)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모듈(D)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모듈(D)은 상기 본체(A)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 전체가 한번에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A)의 상층에 해당하는 상기 광고부(100) 및 상기 본체(A)의 하층에 해당하는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관리가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어모듈(D) 역시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상기 광고부(100) 및 분리수거부(200) 중 관리가 필요한 부분만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어모듈(D)은 차폐모듈에 의해 상기 본체(A)에 단단히 결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도어모듈(D)이 상기 본체(A)에 빈틈없이 강한 결속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모듈(D)과 상기 본체(A)의 사이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비나 눈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수 기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모듈(D)의 둘레를 따라 패킹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도어모듈(D)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A)와 밀착되어 상기 도어모듈(D)과 상기 본체(A) 사이의 틈이 더욱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도어모듈(D) 및 차폐모듈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A)의 상층 공간에 해당하여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상기 광고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를 기준으로, 전면에 구비되어 광고 영상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0)과, 상기 본체(A)를 기준으로, 배면에 구비되어 광고 이미지가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모듈(120) 및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A)에서 쓰레기가 투입되는 방향을 전면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상기 본체(A)의 상층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광고부(100)의 전면에는 광고 영상이 송출되도록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의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과 마주보는 상기 광고부(100)의 배면에는 광고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인 광고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표출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백라이트모듈(120)이 구비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광고 또는 홍보와 같은 정보 제공이 가능한 구조물로서의 역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력모듈(130)은 경우에 따라서, 솔라패널을 이용한 자체 전력 생산 및 축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매립형 전선을 통해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모듈(130)에는 매립형 전선과 이어지는 멀티텝과 같은 어뎁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뎁터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상기 백라이트모듈(120)의 전원선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전력모듈(13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로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백라이트모듈(120) 및 전력모듈(130)에서 과부하 및 누전이 발생될 경우, 전력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모듈(14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누전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부(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상기 백라이트모듈(120)과 연계 가능하여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설치된 주변의 환경적 요인, 예컨대, 인근의 가로등 불빛이나 혹은 그 날의 날씨 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값을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광고부(100) 주변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조도센서(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도센서(160)는 상기 광고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광고부(100)를 기준으로 주변의 조도가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날씨에 따라서도 햇빛의 유무나 세기, 태양의 이동에 따른 빛의 변화 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광고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도센서(160)는 상기 전력모듈(130)과 연계 가능한 정전류 드라이버 보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조도센서(160)가 실시간으로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주변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값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구동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과도한 밝기로 인해 인근의 사람들 또는 쓰레기통을 이용하기 위해 다가온 이용자들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고부(100)에서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은 전면부에 초백색 강화유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초백색 강화유리는 금속브라켓에 의해 상기 광고부(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초백색 강화유리는 특수 공정을 통해 광투과율이 91.5%를 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을 통해 송출되고 표출되는 광고 영상 및 이미지가 흐리거나 깨지지 않고 선명하고 깔끔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광고부(100)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까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부(100)는 상기 본체(A) 내부의 화재 및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기 감지부(300)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이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발열에 의해 상기 광고부(100)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과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환기모듈(150)은 상기 광고부(100)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모듈(13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광고부(100)의 측면에서 상기 환기펜이 구비되는 부분에는 상기 환기펜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및 백라이트모듈(120)의 구동에 의해 발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구(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기펜과 환기구(170)에 의해 상기 광고부(100) 내부 온도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모듈(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펜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코일과 같이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수단이라면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본체(A) 내부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광고부(100)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광고부(100)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전력모듈(130)에서 상기 환기모듈(150)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환기모듈(150)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모듈(130)과 연계 가능한 컨트롤 보드를 통해 상기 환기모듈(150)에 구동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환기모듈(150)의 구동은 상기 감지부(300)에서 측정되는 상기 광고부(100) 내부 온도가 안정권으로 기 설정된 온도로 내려갈 경우, 상기한 과정을 통해 구동이 멈추게 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할된 공간을 갖는 상기 본체(A)의 하층 공간에 해당하여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가 각각 분리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분리수거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용 쓰레기 및 재활용 쓰레기가 구분되어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수거부(200)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모듈(210)과, 상기 격벽모듈(210)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모듈(220)과,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전면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거부(200) 내부로 쓰레기가 투입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모듈(240) 및 상기 수거모듈(220)의 교체 및 회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폐모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모듈(220), 상기 투입모듈(240) 및 개폐모듈(230)은 상기 격벽모듈(210)에 의해 분할되는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내부 공간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모듈(240)은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전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이용자가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선택적인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윙도어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리수거부(200) 내부로 이물질이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수거모듈(220)에 수거된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거모듈(220)은 그 자체로써 수거함으로 이루어져 쓰레기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깔끔한 위생 상태의 유지 및 수거된 쓰레기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거모듈(22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수거된 쓰레기와 함께 회수되도록 하는 종량제 봉투와 같은 수거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부(200)에는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실외 공간에 설치된다는 특성 상, 상기 분리수거부(200) 내부에 버려질 수 있는 담배꽁초의 불씨나, 그 외의 발화 가능성이 있는 쓰레기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경우,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화모듈(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소화모듈(250)은 상기 본체(A) 내부에 화재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상기 감지부(300)와 연계되어 즉각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재가 발생될 경우, 1차적인 초기 진압 뿐만 아니라, 잔불 및 재발화를 확실하게 차단하여 화재 안정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2차적인 확인 진압까지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소화모듈(250)은 상기 분리수거부(200) 내부 뿐만 아니라, 누전이나 스파크 등 전류에 의한 화재 위험이 있는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 공간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소화모듈(250)에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분사되는 소화약제는 전기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A) 내부의 화재 감지 및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감지부(300) 역시 상기 광고부(100)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분리수거부(200)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기 보다는 둘 모두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안정성을 보다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310) 및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3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특징에 따른 신속한 감지 및 대응이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300) 및 소화모듈(250)이 구비되도록 하는 실시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광고부 110 : 디스플레이모듈
120 : 백라이트모듈 130 : 전력모듈
140 : 차단모듈 150 : 환기모듈
160 : 조도센서 170 : 환기구
200 : 분리수거부 210 : 격벽모듈
220 : 수거모듈 230 : 개폐모듈
240 : 투입모듈 250 : 소화모듈
300 : 감지부 310 : 온도측정센서
320 : 화재감지센서
A : 본체 D : 도어모듈

Claims (12)

  1.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배출되도록 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된 공간을 갖되, 상층과 하층으로 공간의 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층 공간에 해당되며, 영상 및 이미지 광고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동시에 표출되도록 하는 광고부;
    상기 본체의 하층 공간에 해당되고,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수거부;
    상기 본체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광고부 및 분리수거부의 내부 공간의 활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 전체가 한번에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모듈;
    상기 본체와 도어모듈의 사이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비나 눈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도어모듈이 상기 본체에 강한 결속력을 갖도록 결속시키는 차폐모듈; 및
    상기 도어모듈의 둘레를 따라 구비 가능하며, 상기 도어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밀착되어 상기 도어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의 밀폐력을 강화시키는 패킹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는,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전면에 구비되어 광고 영상이 송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배면에 구비되어 광고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하는 백라이트모듈;
    상기 광고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과 연계 가능하여 날씨나 가로등 불빛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밝기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광고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백라이트모듈 및 전력모듈에서 과부화 및 누전이 발생될 경우, 전력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모듈; 및
    상기 감지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의 발열에 의해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연계 가능하며, 상기 분리수거부 또는 광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소화모듈;
    을 포함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백라이트모듈은,
    전면부에 광투과율이 뛰어나 광고 영상 및 이미지가 깔끔하게 나타나도록 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초백색 강화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초백색 강화유리는 금속브라켓에 의해 상기 광고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듈은,
    상기 광고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모듈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부의 측면에는 상기 환기펜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광고부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광고부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전력모듈에서 상기 환기모듈로 전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환기모듈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부는,
    폐기용 및 재활용 쓰레기가 구분되도록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모듈;
    상기 격벽모듈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모듈;
    상기 분리수거부의 전면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거부 내부로 쓰레기가 투입 가능하도록 하며, 선택적인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스윙도어를 갖는 복수의 투입모듈; 및
    상기 수거모듈의 교체 및 회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분리수거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개폐모듈;
    을 포함하는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11. 삭제
  12. 삭제
KR2020220001662U 2022-07-07 2022-07-07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0496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62U KR200496079Y1 (ko) 2022-07-07 2022-07-07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62U KR200496079Y1 (ko) 2022-07-07 2022-07-07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79Y1 true KR200496079Y1 (ko) 2022-10-31

Family

ID=8379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62U KR200496079Y1 (ko) 2022-07-07 2022-07-07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336A (zh) * 2023-03-17 2023-05-05 泰安市鑫孚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垃圾处理装置及其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128Y1 (ko) 2004-05-21 2004-08-05 김영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1243112B1 (ko) * 2011-05-19 2013-03-12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KR101291157B1 (ko) * 2011-04-27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쓰레기통 유닛
KR20160096521A (ko) * 2015-02-05 2016-08-16 (주)아이디온 버스안내 단말장치
KR20190001000U (ko) * 2017-10-19 2019-04-29 박순애 광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128Y1 (ko) 2004-05-21 2004-08-05 김영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01291157B1 (ko) * 2011-04-27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쓰레기통 유닛
KR101243112B1 (ko) * 2011-05-19 2013-03-12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KR20160096521A (ko) * 2015-02-05 2016-08-16 (주)아이디온 버스안내 단말장치
KR20190001000U (ko) * 2017-10-19 2019-04-29 박순애 광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336A (zh) * 2023-03-17 2023-05-05 泰安市鑫孚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垃圾处理装置及其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079Y1 (ko) 다기능 분리수거 쓰레기통
KR101672685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CN206646863U (zh) 一种具有安防功能的多媒体信息亭
CN105947469A (zh) 多功能智能分类环保箱
JP2012136314A (ja) 資源ゴミ回収ボックス
KR20190112887A (ko) 공기정화장치와 광고판 등이 부착된 복합 도로교통시스템
EP1562844B1 (de) Interaktiver aufnahmebehälter
KR102135595B1 (ko)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US7187300B2 (en) School crossing guard, security system
CN106211493A (zh) 一种灯光控制模块
CN109322586B (zh) 一种轨道交通屏蔽门关门倒计时显示系统
CN212891973U (zh) 一种智能环卫管理垃圾桶
CN113998348A (zh) 一种垃圾投放站自动化系统
CN220097370U (zh) 资源回收箱
CN220181709U (zh) 垃圾回收用箱体及垃圾回收箱
CN211319634U (zh) 一种防火新型显示屏载体及led显示屏幕
CN211077163U (zh) 一种基于Arduino的智能垃圾箱
CN220181710U (zh) 垃圾回收箱
CN210883667U (zh) 一种带有自动售货机的社区垃圾智能分类站
KR102226576B1 (ko) 정보 제공용 디스플레이식 지하철 입구 역명판
CN107662770A (zh) 一种多功能一体化智能环保垃圾箱
CN208233870U (zh) 一种利用太阳能照明的垃圾箱
CN105825779A (zh) 一种太阳能广告灯箱
CN205911646U (zh) 一种方便维修的电力柜
CN205722639U (zh) 一种太阳能广告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