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71Y1 - 골프연습용 홀컵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용 홀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71Y1
KR200495971Y1 KR2020220000853U KR20220000853U KR200495971Y1 KR 200495971 Y1 KR200495971 Y1 KR 200495971Y1 KR 2020220000853 U KR2020220000853 U KR 2020220000853U KR 20220000853 U KR20220000853 U KR 20220000853U KR 200495971 Y1 KR200495971 Y1 KR 200495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olf
golf ball
entry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은
Original Assignee
박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은 filed Critical 박종은
Priority to KR2020220000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71Y1/ko
Priority to JP2023001172U priority patent/JP3242653U/ja
Priority to US18/132,487 priority patent/US202303215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63B57/405Cups with automatic ball eject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의 바닥에 시설되며 사용자의 퍼팅스윙에 따라 굴러가는 골프공이 진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프퍼팅을 연습하는 중에, 골프공의 진입공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퍼팅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바닥에 펼쳐진 상태로 지지되며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내부에 골프공이 진입수용되는 진입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에서 골프공이 진입되는 진입공이 형성된 홀벽체;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홀컵에 있어서; 상기 홀벽체에서 상기 진입공은, 2개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진입공들의 폭(W)이 각각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골프연습용 홀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용 홀컵{A hole cup for golf practice}
본 고안은, 골프퍼팅을 연습할 때 타겟으로 적용되는 골프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외의 바닥에 시설되며 사용자의 퍼팅스윙에 따라 굴러가는 골프공이 진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프퍼팅을 연습하도록 된 것으로, 골프공의 진입공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퍼팅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된 골프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
더 구제적으로는, 골프공이 내부로 진입하여 퍼팅이 성공할 경우에, 소리 및 빛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됨은 물론, 흥미유발을 통해 골프연습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된 골프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골프 인구의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서 필드 및 실내 골프장 또는 자가 골프 연습기 등 여러 형태의 골프관련 용품의 수요가 창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다양한 구성의 골프 퍼팅 연습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골프 퍼팅 연습기는, 기본적으로 소형이면서도 장소를 불문하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한편, 통상적인 골프 퍼팅 연습기는,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홀컵을 포함하며; 상기 홀컵은 경사진 면에서의 퍼팅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면 홀컵과 평지 면에서의 퍼팅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평지면 홀컵으로 구분되고, 골프공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연습자가 상기 매트의 일측으로부터 골프공을 퍼팅하여 상기 유입홀 내로 이동시키는 퍼팅 연습을 통해 퍼팅 기술을 숙련시키게 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6971호(명칭: 골프 연습용 홀컵/2016.12.0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사각형 중공부가 형성된 4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4개 변 각각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부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4각 기둥을 이루는 4개의 수직벽; 상기 수직벽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수직벽의 양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양측 말단부와 인접하는 바닥판의 외각 모서리를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판 밖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2개의 수직날개벽; 및 상기 수직날개벽들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벽의 양측 말단부 각각에 상기 수직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절개선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용 홀컵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4619호(명칭: 골프 연습용 홀컵/2008.04.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원호형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와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일부 구간에는 외부와 개방되게 제1 인입절개부가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절개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내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와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일부 구간에는 외부와 개방되게 제2 인입절개부가 형성된 회전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절판은 지지판의 내측 절개부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 슬라이딩되는 골프 연습용 홀컵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7986호(명칭: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2006.11.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경사진 상부지점에 홀을 형성하고, 동 홀의 외곽으로는 이송로를 구비한 홀컵에서 홀의 후방에는 골프공 안내부를, 홀 바닥에는 후방이 낮은 경사면을 각 구비하고, 이송로 바닥에는 골프공 안내부 지점은 높고 전방지점은 낮은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32603호(명칭: 골프퍼팅연습용 홀컵/2005.11.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퍼팅한 공이 보다 엄격한 조건하에서 홀컵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규정된 홀컵의 직경보다는 작고 골프공의 직경 보다는 크게끔 개구부를 형성한 원통형 보빈, 종래의 퍼팅연습장치의 인조잔디매트상의 홀컵이나 실제 잔디그린상의 규정홀컵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게 끔 보빈의 하측부에 형성한 돌출부, 상기의 홀컵상에 부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홀컵등에 부착함이 없이 실내 실외 어떠한 바닥조건에도 무관하게 단품상태 그대로 바닥에 비치하고 퍼팅연습이 될 수 있도록 자체균형을 유지하며 지지되도록 형성한 날개받침부, 등으로 구성된 골프퍼팅연습용 홀컵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6971호(2016.12.0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4619호(2008.04.0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7986호(2006.11.28.)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32603호(2005.11.17.)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연습용 홀컵들은, 골프공의 진입공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퍼팅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연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골프공이 내부로 진입하여 퍼팅이 성공할 경우에, 육안으로 인지할 수 밖에 없어, 퍼팅후 홀컵을 주시하고자 하는 연습자의 유동에 따라, 퍼팅 자세가 붕괴하게 됨에 따라, 퍼팅연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퍼팅을 연습할 때 타겟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실내외의 바닥에 시설되며 사용자의 퍼팅스윙에 따라 굴러가는 골프공이 진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프퍼팅을 연습하는 중에, 골프공의 진입공간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퍼팅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된 골프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공이 내부로 진입하여 퍼팅이 성공할 경우에, 소리 및 빛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됨은 물론, 퍼팅후 홀컵을 주시하고자 하는 연습자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퍼팅 자세가 붕괴하지 않음은 물론, 흥미유발을 통해 정자세의 퍼팅연습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된 골프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은, 바닥에 펼쳐진 상태로 지지되며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내부에 골프공이 진입수용되는 진입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에서 골프공이 진입되는 진입공이 형성된 홀벽체;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홀컵에 있어서; 상기 홀벽체에서 상기 진입공은, 2개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진입공들의 폭(W)이 각각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공들은, 상기 진입홀의 중앙을 중심으로 3개가 등각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진입공들과 상기 홀벽체의 벽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홀에는, 골프공의 진입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이 상기 진입홀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소리를 방출하도록 된 스피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이 상기 진입홀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빛을 방출하도록 된 발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은, 실내외의 바닥에 시설되면서 퍼팅을 연습할 때 타겟으로 적용되어, 골프공에 대한 사용자의 퍼팅스윙에 따라 진입홀측 방향으로 굴러가는 골프공이 홀벽체의 진입공을 통해 진입하도록 하는 퍼팅연습과정을 반복하여 퍼팅동작을 연습하도록 된 것으로, 이때,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타겟을 형성하는 진입공의 넓이(폭)을 조절하여 배치하면서 연습을 하게 될 수 있어; 퍼팅의 숙련도에 따라 맞춤되는 퍼팅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퍼팅연습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골프공이 진입홀로 진입하여 퍼팅이 성공할 경우에,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고 제어수단을 통해 스피커수단 및 발광수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설정된 소리 및 빛을 외부로 발사하도록 됨에 따라, 연습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퍼팅의 성공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연습자가 퍼팅동작 후 홀컵을 주시하지 않아도 되어, 연습자의 퍼팅 자세가 붕괴하지 않음은 물론, 흥미유발을 통해 정자세의 퍼팅연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구성하는 홀벽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구성하는 지지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은, 연습하고자 하는 시설의 바닥에 펼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지지되며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내부에 골프공(100)이 진입수용되는 진입홀(31)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진입홀(31)로 골프공(100)이 진입되는 진입공(32)이 형성된 홀벽체(3);를 포함한다.
즉, 연습자가 골프공(100)을 퍼팅타격하여 퍼팅을 연습할 때, 상기 진입홀(31)을 타겟으로 하여 스윙연습을 하게 된다.
이때, 골프공(100)에 대한 연습자의 퍼팅스윙에 따라 상기 진입홀(31)측 방향으로 굴러가는 골프공(100)이 상기 홀벽체(3)에 구비된 상기 진입공(32)을 통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는 퍼팅연습과정을 반복하여 퍼팅동작을 연습하게 된다.
상기에서 홀벽체(3)에서 상기 진입공(32)은, 2개 이상이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진입공(32)들의 폭(W)이 각각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연습자의 선택에 따라, 타겟을 형성하는 상기 진입공(32)들에 대하여 그 넓이(폭)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진입공(32)이 연습자측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연습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습자에 대한 퍼팅연습의 숙련도에 따라 맞춤되는 퍼팅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퍼팅연습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각각의 상기 진입공(32)들은, 상기 진입홀(31)의 중앙을 중심으로 3개가 등각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진입공(32)들과 상기 홀벽체(3)의 벽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진입공(32)을 통과하는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의 내부에서 상기 홀벽체(3)의 벽면에 충돌하면서 저지되어, 무단으로 상기 진입홀(3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진입공(32)들은, 그 폭(W)이 9cm, 10cm, 12cm 등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에서, 상기 진입홀(31)에는, 골프공(100)의 진입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수단(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수단(4)을 통해 골프공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된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감지수단(4)은, '동작감지센서', '광센서', '중량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4)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감지수단(4)은, 상기 진입홀(31)의 바닥에 배치되어,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의 내부로 진입된 후 구름운동할 때의 '동작감지', '광반사감지', '중량감지'; 등을 통해 검출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배치구성 및 배치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치구성 및 배치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은,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감지수단(4)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소리를 방출하도록 된 스피커수단(5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되며 상기 감지수단(4)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빛을 방출하도록 된 발광수단(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습자에 의해 골프공(100)이 퍼팅되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여 퍼팅이 성공할 경우에, 상기 감지수단(4)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수단(61)을 통해 상기 스피커수단(51) 및 상기 발광수단(52)을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61)에 설정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소리 및 빛을 외부로 발사하도록 됨에 따라, 연습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퍼팅의 성공여부를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습자가 퍼팅동작 후 상기 진입홀(31)을 주시하지 않고도, 퍼팅의 성공여부를 인지하게 되어; 연습자의 퍼팅 자세가 붕괴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흥미유발을 통해 정자세의 퍼팅연습효율을 향상시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수단(61)에 설정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소리 및 빛은, 선택된 상기 진입공(32)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에서, 상기 홀벽체(3)에 구비되는 상기 진입공(32)들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홀(31)의 중앙을 중심으로 4개가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진입공(32)들은, 그 폭(W)이 9cm, 10cm, 12cm, 16cm 등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골프연습용 홀컵(1)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가 적층고정되며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고 골프공(100)의 진입측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본체(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본체(7)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퍼팅연습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의 퍼팅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7)의 내부에는, 입구가 상기 진입홀(31)의 바닥에 중공형성된 관통공과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자유낙하하는 골프공(100)을 수용하면서 전방축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된 유도관로(7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관로(71)의 입구를 통해 상기 진입홀(31)에서 자유낙하하는 골프공을 연습자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낙하관성을 통해 회수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도관로(71)에는,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골프공(100)을 연습자측 방향으로 타격하도록 된 타격수단(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타격수단(8)을 통해 상기 진입홀(31)에서 자유낙하하는 골프공(100)을 연습자측 방향으로 타격하여 유도회수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프공(100)의 회수를 더욱 안정되게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타격수단(8)은,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직선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골프공(100)을 타격하도록 된 '솔레노이드 밸브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타격수단(8)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골프연습용 홀컵 100 : 골프공
2 : 베이스플레이트 3 : 홀벽체
31 : 진입홀 32 : 진입공
4 : 감지수단 51 : 스피커수단
52 : 발광수단 61 : 제어수단
62 : 전원공급부 7 : 지지본체
71 : 유도관로 8 : 타격수단
W : 폭

Claims (5)

  1. 바닥에 펼쳐진 상태로 지지되며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내부에 골프공(100)이 진입수용되는 진입홀(31)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에서 골프공(100)이 진입되는 각각의 폭(W)이 각각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진입공(32)들이 형성된 홀벽체(3);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홀컵(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가 적층고정되며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고 골프공(100)의 진입측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을 가지며, 내부에 입구가 상기 진입홀(31)의 바닥에 중공형성된 관통공과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자유낙하하는 골프공(100)을 수용하면서 전방축방향으로 유도하도록 된 유도관로(71)가 형성되는 지지본체(7)와; 상기 유도관로(71)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골프공(100)을 연습자측 방향으로 타격하도록 된 타격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홀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32)들은,
    상기 진입홀(31)의 중앙을 중심으로 3개가 등각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진입공(32)들과 상기 홀벽체(3)의 벽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홀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홀(31)에는,
    골프공(100)의 진입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수단(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홀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4)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연산하도록 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소리를 방출하도록 된 스피커수단(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홀컵.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골프공(100)이 상기 진입홀(31)로 진입하면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빛을 방출하도록 된 발광수단(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용 홀컵.
KR2020220000853U 2022-04-07 2022-04-07 골프연습용 홀컵 KR200495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53U KR200495971Y1 (ko) 2022-04-07 2022-04-07 골프연습용 홀컵
JP2023001172U JP3242653U (ja) 2022-04-07 2023-04-07 ゴルフ演習用ホールカップ
US18/132,487 US20230321505A1 (en) 2022-04-07 2023-04-10 Hole cup for golf pract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53U KR200495971Y1 (ko) 2022-04-07 2022-04-07 골프연습용 홀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71Y1 true KR200495971Y1 (ko) 2022-10-04

Family

ID=8359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853U KR200495971Y1 (ko) 2022-04-07 2022-04-07 골프연습용 홀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21505A1 (ko)
JP (1) JP3242653U (ko)
KR (1) KR20049597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03A (ko) 2002-08-14 2005-04-07 폴 코포레이션 불소중합체 막
KR200411432Y1 (ko) * 2005-11-17 2006-03-14 김용한 골프퍼팅연습용 홀컵
KR20060117986A (ko) 2003-12-08 2006-11-17 신세스 게엠바하 수술용 말렛
KR20080004619U (ko) 2007-04-10 2008-10-15 안선후 러브센서
KR20130135453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60006971A (ko) 2014-07-10 2016-01-20 안창희 도어 힌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03A (ko) 2002-08-14 2005-04-07 폴 코포레이션 불소중합체 막
KR20060117986A (ko) 2003-12-08 2006-11-17 신세스 게엠바하 수술용 말렛
KR200411432Y1 (ko) * 2005-11-17 2006-03-14 김용한 골프퍼팅연습용 홀컵
KR20080004619U (ko) 2007-04-10 2008-10-15 안선후 러브센서
KR20130135453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60006971A (ko) 2014-07-10 2016-01-20 안창희 도어 힌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21505A1 (en) 2023-10-12
JP3242653U (ja)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573B2 (ja) ゴルフゲーム装置
US7488263B2 (en) Golf tee set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20120004055A1 (en) Sensor based tennis serve training apparatus
US20080064532A1 (en) Golf tee
WO2014012992A1 (en) A putting stroke analysis device
US20220193504A1 (en) Automatic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US20170312611A1 (en) Golf putting correction device
EP3319698B1 (en) Golf facility
KR200495971Y1 (ko) 골프연습용 홀컵
EP1894607B1 (en) Golf tee set
KR20210002168U (ko) 직진성 가이드 광의 출사가 가능한 퍼터 및 이를 갖는 골프 퍼팅 연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KR101710947B1 (ko) 보조 티가 구비된 스크린 골프용 매트
KR102082920B1 (ko) 피칭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KR20030036698A (ko) 골프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786797B1 (ko) 휴대용 퍼팅연습장치
KR102551993B1 (ko) 고정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KR10233548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20220355176A1 (en) Golf putt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85626A (ko) 퍼팅 및 칩샷 연습장치
US10453313B2 (en) Parabolic ball launcher amusement game
KR102384636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KR102621044B1 (ko) 회전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KR102602364B1 (ko) 스크린 골프에서 공놓는 위치를 지정해 주는 방법
KR200318020Y1 (ko) 실내 골프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