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95Y1 -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95Y1
KR200495795Y1 KR2020200003156U KR20200003156U KR200495795Y1 KR 200495795 Y1 KR200495795 Y1 KR 200495795Y1 KR 2020200003156 U KR2020200003156 U KR 2020200003156U KR 20200003156 U KR20200003156 U KR 20200003156U KR 200495795 Y1 KR200495795 Y1 KR 200495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ble
rotation support
coupled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558U (ko
Inventor
이은상
Original Assignee
이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상 filed Critical 이은상
Priority to KR2020200003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9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롤러 브라켓과, 상기 제1롤러 브라켓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제1체인롤러; 상기 제1체인롤러 사이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2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 상기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제1 및 제2체인롤러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송을 가이드 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제1체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들을 각각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롤러부재의 충돌시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롤러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Roller device for cable transfer}
본 고안은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롤러부재들이 체인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 장소의 높이와 무관하게 안정적이고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케이블의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인 케이블포설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케이블의 포설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장 등의 산업체와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선되며, 이러한 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배선 작업시 케이블의 포설, 또는 이송 작업을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별도로 시공한 후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44호는 케이블트레이의 크로스빔 사이에서 좌우측 사이드레일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하게 위치되는 롤러브래킷에 양단에 설치된 수직판에 롤러축의 양단을 지지하고, 롤러브래킷과 측면에서 중첩되는 케이블트레이의 좌우측 사이드레일 하단부에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행거핀을 설치하고, 행거핀에 걸리는 반원걸림턱을 갖는 로커암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릴리즈핸들이 형성된 행거를 힌지핀과 멈춤링에 의해 롤러브래킷의 양단에 설치된 중공축에 힌지결합하며, 엔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의 회전링이 개재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케이블받침롤러를 롤러축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의 결합을 위해 케이블트레이에 절개부를 가공해야만 하고, 행거, 케이블받침롤러, 엔드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각각 별도로 결합하여 케이블트레이에 장착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분리하기가 복잡하여 오히려 케이블 포설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1385호에는,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기구에 있어서: 중심으로 회전축을 수용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와 회전축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통형체, ㄷ형판, 돌기판, 이단판 중 하나의 방식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장착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 역시, 지지수단 상에 롤러가 직접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케이블의 이송시 롤러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보상 기능이 없어서 롤러 및 이 롤러가 결합되는 지지수단의 잦은 파손이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파손된 지지수단과의 마찰로 인하여 케이블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4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롤러부재들이 체인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 장소의 높이와 무관하게 안정적이고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의 이송시 롤러측으로 가해지는 충격과 케이블과 롤러 간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롤러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포설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케이블의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인 케이블포설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케이블의 포설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롤러 브라켓과, 상기 제1롤러 브라켓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제1체인롤러; 상기 제1체인롤러 사이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2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 상기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제1 및 제2체인롤러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송을 가이드 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제1체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들을 각각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롤러부재의 충돌시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롤러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부재는, 양측 단부에 회전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는 롤러 하우징; 상기 롤러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롤러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이격 공간을 마련하는 완충커버; 상기 완충커버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시트; 및 상기 회전 지지축이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롤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 하우징에는 원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완충커버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커버는, 상기 회전 지지축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삽입되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상기 완충커버 및 충격 흡수시트의 양측 끝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체인롤러의 외면과 상기 롤러 연결수단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패널과, 상기 회전 지지패널의 원주면에 구름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커버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구름볼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롤러 브라켓에는 트레이, 또는 설치 장소에 구성되는 결합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롤러부재들이 체인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 장소의 높이와 무관하게 안정적이고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의 이송시 롤러측으로 가해지는 충격과 케이블과 롤러 간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롤러장치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포설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케이블의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인 케이블포설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케이블의 포설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는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와, 이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를 연결하는 롤러 연결수단(106) 및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블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롤러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체인롤러(102)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며, 케이블 포설장치의 트레이 양끝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설치 장소에 직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롤러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롤러 브라켓(110)과, 제1롤러 브라켓(1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지지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롤러 브라켓(1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롤러부재(200)의 양단부에 구성되는 축부재, 또는 롤러부재(200)에 구성되는 롤러커버(220)가 관통하며, 롤러부재(20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홀(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지지홀(140)은 제1롤러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롤러부재(200)의 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되 총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제1롤러 브라켓(110)에는 하부 일측부에 상기 트레이, 또는 설치장소 등에 구성되는 결합 브라켓에 제1롤러 브라켓(110)을 고정시키는 고정패널(112)이 구성된다.
고정패널(112)은 제1롤러 브라켓(110)의 하부 일측부, 바람직하게는 제1롤러 브라켓(110)의 하측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또는 결합 브라켓에 걸림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 끝단부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며, 타측부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지지바(120)는 통상의 축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회전 지지홀(14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제1롤러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이 제1롤러 브라켓(110)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한편, 케이블의 이송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롤러 브라켓(110)은 상부 일측부, 바람직하게는 고정패널(112)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제1롤러 브라켓(110)을 트레이, 또는 설치 장소 등에 구성되는 결합 브라켓 등과 고정볼트 등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114)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체인롤러(104)는 제1체인롤러(102) 사이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롤러 연결수단(106)에 의해 제1체인롤러(10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이송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롤러 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롤러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롤러 브라켓(130)과, 이 제2롤러 브라켓(130)에 결합되는 지지바(120)와, 제2롤러 브라켓(130)에 구성되며, 롤러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홀(140)이 구성된다.
이러한 제2체인롤러(104)는 롤러 연결수단(106)을 통해 제1롤러 브라켓(110)으로부터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하여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의 양측 끝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롤러 브라켓(110)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 브라켓(110)과 타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 브라켓(110)의 높이가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체인롤러(104)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롤러 연결수단(106)에 의해 서로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상기 제1롤러 브라켓(110)들이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경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104)가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인롤러(104)는 케이블의 이송시 상기 케이블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104)들이 롤러 연결수단(106)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하면서 롤러부재(200)와 케이블 간의 접촉면적으로 최소화하면서 상기 케이블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롤러 연결수단(106)은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 및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104)들을 각각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제2체인롤러(104)의 제2롤러 브라켓(1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150)과, 이 연결 브라켓(150)을 연결하는 지지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부재(200)는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에 각각 구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이송시 이 케이블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110, 130)에 구성되는 회전 지지홀(140)을 관통하면서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롤러부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송시 충격에 의한 케이블의 표면에 대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충격으로 인해 케이블이 롤러부재(200)로부터 이격(들뜸)되면서 충격에 의한 하중이 케이블의 내부, 또는 롤러부재(200)측으로 전달되어 케이블의 내부 손상이 발생하거나, 롤러부재(20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롤러 하우징(210), 롤러커버(220), 완충커버(230), 충격 흡수시트(240) 및 탄성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하우징(210)은 양측 단부에 회전 지지축(216)이 연장 형성되어 롤러커버(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의 이송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롤러 하우징(210)은 회전 지지축(216)의 단부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롤러커버(22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체결공(212)이 구성되고,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탄성체(250)가 삽입되며, 이 탄성체(250)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수용홈(214)이 구성된다.
이때, 체결공(212)은 롤러커버(220)의 결합수단(228)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용홈(214)은 롤러 하우징(210)의 원주면 및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홈(214)이 원주면을 따라 총 5개로 구성되면서 상기 5개의 수용홈(214)이 롤러 하우징(210)의 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한편, 롤러 하우징(210)은 외주면으로 완충커버(230)의 내주면과 소정의 이격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탄성체(250)가 신축하면서 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롤러 하우징(210)의 외주면으로는 탄성체(250)가 롤러 하우징(2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충격의 전달시 탄성체(250)를 압축시키면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커버(230)가 구성된다.
이때, 완충커버(230)는 롤러 하우징(2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양단부가 롤러커버(220)에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완충커버(230)의 외주면으로 케이블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며, 상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시트(240)를 더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롤러커버(220)는 롤러 하우징(210)의 회전 지지축(216)이 삽입되며,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에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110, 1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의 이송 방향으로 롤러 하우징(2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롤러커버(220)는 회전 지지축(216)이 삽입되고, 삽입된 회전 지지축(216)과 결합되며,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110, 130)에 구성되는 회전 지지홀(140)에 삽입되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축 부재(222)와, 이 회전축 부재(222)의 후방부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롤러 하우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완충커버(230) 및 충격 흡수시트(240)의 양측 끝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고정 플랜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 부재(222)에는 회전 지지축(226)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결합수단(228)에 의해 회전축 부재(222)와 회전 지지축(226)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고정홈(226)이 구성된다.
이때, 축 고정홈(226)은 결합수단(228)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축 고정홈(226)의 끝단측 선단부와 결합수단(228)의 머리부의 선단부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롤러커버(220)에는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의 외면과 롤러 연결수단(106)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롤러 하우징(210) 및 롤러커버(220)의 회전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패널(310)이 구성된다.
회전 지지패널(310)은 원형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주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며, 롤러커버(22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구름볼(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지지홀(312)이 구성된다.
여기서, 볼 지지홀(312)은 구름볼(3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구름볼(320)과 접촉되는 내면부가 구름볼(320)의 원주면과 동일한 호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체인롤러(102, 104)의 외면, 즉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110, 130)의 내면에는 구름볼(320)과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롤러커버(220)의 회전시 구름볼(320)의 구름 작동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접촉홈(332, 3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접촉홈(332, 342)은 구름볼(320)의 호 보다 큰 호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름볼(320)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구름볼(320)의 구름 작동이 제1 및 제2접촉홈(332, 342)과의 마찰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제1체인롤러 104: 제2체인롤러
106: 롤러 연결수단 110: 제1롤러 브라켓
120: 지지바 130: 제2롤러 브라켓
140: 회전 지지홀 150: 연결 브라켓
200: 롤러부재 210: 롤러 하우징
220: 롤러커버 230: 완충커버
240: 충격 흡수시트 250: 탄성체

Claims (6)

  1.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롤러 브라켓과, 상기 제1롤러 브라켓의 하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제1체인롤러;
    상기 제1체인롤러 사이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복수의 회전 지지홀이 형성되는 제2롤러 브라켓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
    상기 제1 및 제2롤러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제1 및 제2체인롤러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이송을 가이드 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제1체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들을 각각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롤러부재의 충돌시 상기 다수개의 제2체인롤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롤러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는,
    양측 단부에 회전 지지축이 연장 형성되는 롤러 하우징;
    상기 롤러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롤러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이격 공간을 마련하는 완충커버;
    상기 완충커버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시트; 및
    상기 회전 지지축이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롤러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하우징에는
    원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완충커버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커버는,
    상기 회전 지지축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삽입되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상기 완충커버 및 충격 흡수시트의 양측 끝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체인롤러의 외면과 상기 롤러 연결수단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패널과,
    상기 회전 지지패널의 원주면에 구름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커버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구름볼
    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브라켓에는 트레이, 또는 설치 장소에 구성되는 결합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KR2020200003156U 2020-08-28 2020-08-28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KR200495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56U KR200495795Y1 (ko) 2020-08-28 2020-08-28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56U KR200495795Y1 (ko) 2020-08-28 2020-08-28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58U KR20220000558U (ko) 2022-03-08
KR200495795Y1 true KR200495795Y1 (ko) 2022-08-18

Family

ID=8081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56U KR200495795Y1 (ko) 2020-08-28 2020-08-28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5179B (zh) * 2022-05-25 2024-01-09 中国水利水电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手动高压电缆敷设转角滑轮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22B1 (ko) *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044B1 (ko) 2011-10-25 2011-11-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22B1 (ko) *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58U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811Y1 (ko) 케이블 이송용 가이드 엘보우
KR200495795Y1 (ko)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JP2004536753A5 (ko)
JP2007286061A (ja) 輸送パッケージ直立装置
KR101920198B1 (ko) 가공송전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US7418786B2 (en) Marking device
US20220379147A1 (en) Fall protection system
EP2042369A1 (en) Transport apparatus
KR101487459B1 (ko)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JP2023501519A (ja) シャフト内で変位および固定するための取付フレーム
JP5279547B2 (ja) 架空線用ダンパの取付工具
JP7415448B2 (ja) 把持機構及び組み立て装置
KR20230126100A (ko) 케이블 포설용 고압 바닥 롤러장치
JP4100677B2 (ja) ワーク搬送ツール
KR20240000271A (ko) 케이블의 이송 지지용 바닥 롤러장치
JP3637221B2 (ja) 折畳み構造物の伸張折畳み案内装置
KR102610502B1 (ko) 케이블 이송용 롤러장치
JP2018500188A (ja) 釘打ち機
CN214699741U (zh) 风管减震安装结构
CN113526045B (zh) 传输机构及自动传输滚布机构的工作站
CN213228678U (zh) 用于仪表箱转运的固定装置及转运车
KR102651890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JP2006193257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およびその把持装置の据え付け方法
EP4219343A1 (en) Shelf device, robot and storage system
CN220617087U (zh) 用于层内消防管体的水平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