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94Y1 -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 Google Patents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94Y1
KR200495794Y1 KR2020200003468U KR20200003468U KR200495794Y1 KR 200495794 Y1 KR200495794 Y1 KR 200495794Y1 KR 2020200003468 U KR2020200003468 U KR 2020200003468U KR 20200003468 U KR20200003468 U KR 20200003468U KR 200495794 Y1 KR200495794 Y1 KR 200495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plate
fixing
shaped body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42U (ko
Inventor
문명학
Original Assignee
문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학 filed Critical 문명학
Priority to KR2020200003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94Y1/ko
Priority to PCT/KR2021/012547 priority patent/WO2022065791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94Y1/ko
Priority to US18/124,125 priority patent/US1186585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12Means for attaching together sheet corners exclu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2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용지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형 본체; 상기 판형 본체의 일단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판형 본체 상에 안착된 상기 서류용지가 상기 판형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상기 판형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 2고정부와 상기 제 2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부와 상기 판형 본체와의 경계면을 기분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 3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서류용지의 일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제 1고정부가 상기 제 2고정부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제 2고정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서류용지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CLIPBOARD FOR EASILY FIXING DOCUMENTS}
본 고안은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보드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를 통하여 서류용지의 일측 상단을 고정함으로써, 서류용지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서류를 볼 때, 서류를 하나의 형태로 고정하여 서류를 본다. 이 때, 가로 형태로 또는 세로 형태로 인쇄되어 있는 방향과는 상관 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류의 일측 상단에 고정을 하여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서류를 고정한다.
상술한 경우에서 서류를 고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클립 혹은 스테이플러를 통해 고정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측 상단을 고정하여 서류를 보는데 익숙하지만, 클립보드는 대부분이 서류의 상단 혹은 측면 전체를 고정하는 형식이거나, 혹은 서류의 상단 또는 측면의 가운데 부분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어 기존의 방식과 달라 서류를 보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의 클립보드 및 고정기구를 통하여 서류를 고정함에 있어 서류에 자국이 남거나, 고정기구를 제거해야만 하는 경우에 고정기구가 쉽게 제거되는 경우도 있지만, 반드시 해체기구를 사용해야만 고정기구를 제거하는 경우가 있어 서류의 폐기 시에도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연장 형성된 클립부의 자석을 이용하여 서류를 고정함으로써, 클립 끼움으로 인한 서류의 손상 혹은 클립 자국이 서류에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서류 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류용지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형 본체; 상기 판형 본체의 일단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판형 본체 상에 안착된 상기 서류용지가 상기 판형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상기 판형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 2고정부와 상기 제 2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고정부와 상기 판형 본체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 3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서류용지의 일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제 1고정부가 상기 제 2고정부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제 2고정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서류용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 상기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3고정부는 각각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는 직각 삼각형이되, 직각을 구성하는 두개의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이 상기 판형 본체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판형 본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제 2고정부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2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의 전면으로 접히었을 때 상기 판형 본체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판형 본체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부에 형성되는 상기 자석부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되, 각 상기 자석의 사이즈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부의 자석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가 접히어 서류를 고정하는 상태일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부에 포함된 자석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보드는 상단 일측 모서리에 연장 형성된 클립부를 통하여 서류용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클립 혹은 스테이플러를 통하여 고정하지 않고 일측 모서리를 고정 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서류를 고정하고 또한, 클립보드에 서류를 지지하여 서류에 필기를 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립보드의 클립부가 스틸(steel)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판형본체와 클립부를 동일한 소재로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으로 한번에 제작가능하므로, 제조 비용이 종래의 클립보드보다 저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보드의 전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보드의 클립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써 본 고안의 클립부의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갖는 클립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10)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립보드(10)는 서류용지(5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형 본체(100)와 판형 본체(100)의 일단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판형 본체(100) 상에 지지되어 있는 서류를 판형 본체(100)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부(200)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부(200)는 판형 본체(1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1고정부(210), 제2고정부(220) 및 제2고정부(220)와 판형 본체(100)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판형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형 본체(100) 및 클립부(200)를 포함한 서류 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10)는 소정의 소재로 덮이어 있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판형 본체(100) 및 클입부를 포함한 클립보드(10)는 가죽 혹은 합성 가죽을 포함한 소재로 덮이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소재는 이러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 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10)의 클립부(200)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립부(200)는 제 1 고정부(210), 제2고정부(220) 및 제3고정부(23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고정부는 자석부(310)와 자석부(310)를 지지하는 지지부(32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지지부(32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판형 본체(100) 및 클립부(200)가 소정의 소재로 덮이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여 내부를 표시한 점선을 통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일 실시예로서, 삼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되,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고정부(220)는 직각을 구성하는 두개의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이 상기 판형 본체(100)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부(200)와 판형 본체(100)는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각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310)와 지지부(320)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자석부(310)로 형성 되는 경우 각 상기 자석부(310)의 사이즈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고정부에 형성되는 자석부(310)의 자석은 네오디움을 포함한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부가 접히는 방향에 따라 N극과 S 극의 방향에 맞게 자석부(310)에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c와 같이 고정부 모두가 접혔을 때 제3고정부(230)의 자석은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210) 내지 제3고정부(230)의 자석부(310)의 극성을 고려하여 자석이 배치 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3고정부(230)의 자석부(310)의 극성은 제2고정부(220)의 자석부(310)의 극성과 반대되는 곳을 향해야 하므로, 제1고정부(210) 및 제3고정부(230)는 같은 극성의 자석부(310)를 배치하고, 제2고정부(220)의 자석부(310)는 제1고정부(210) 및 제3고정부(230)의 자석부(310)의 극성과 반대되는 자석부(310)의 배치가 필요 할 수 있다.
또는, 제 1 내지 제 3 고정부 (210~230) 중 어느 하나에 자석부가 포함되며, 나머지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과 붙는 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부(2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a와 도3b를 비교하면, 판형 본체(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부(220)가 판형 본체(100)의 경계 면을 기준으로 판형 본체(100)의 전면 방향으로 접히어 커버하고, 제3고정부(230)와 맞닿을 수 있다. 이 때, 제2고정부(220)의 자석부(310)와 제3고정부(230)의 자석부(310)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되, 서류용지(500)가 고정되는 경우, 서류용지(500)는 제2고정부(220)와 제3고정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자석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3b와 도3c를 비교하면, 제2고정부(220)와 제3고정부(230)가 맞닿도록 접힌 상태에서 제1고정부(210)가 판형 본체(100)의 상단 경계 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판형 본체(100)와 맞닿고, 제2고정부(220)가 유동하지 않도록 제1고정부(210)의 자석부(310)의 위치는 제3고정부(230)의 자석부(310)의 위치와 동일한 곳에 대응하여 위치되어 고정 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제 1고정부(210) 및 제 2고정부(220)의 자석부(310)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해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보드에 서류용지가 고정되는 것이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고정부(210)의 자석부(310)가 없는 경우에는 제 2 고정부는 판형 본체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판형 본체의 전면방향으로 접히어 제 2고정부(220) 와 제3 고정부(230)가 접촉하게 되고, 각각 자석부(310)가 대응하여 고정되므로, 제 2고정부(220)와 제3 고정부(230)의 사이에 서류용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고정부(220)의 자석부(3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고정부(220)는 판형 본체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판형 본체의 후면 방향으로 접게 되면, 제 1고정부(210)의 자석부(310)와 제3 고정부(230)의 자석부(310)가 판형 본체의 상면 경계면을 기준으로 대칭하게 될 수 있으며, 이 때, 제 1고정부(210)를 판형 본체의 상면 경계면을 기분으로 접는 경우, 제3 고정부(230)의 자석부(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고정부(210)의 자석부(310)가 접촉되므로, 제 1고정부(210)와 제3 고정부(230) 사이에 서류용지을 끼워 고정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보드(10)의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220)가 삼각형인 경우, 도면 4a 내지 4b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서류용지(500)를 넘길 때 서류용지(500)는 제2고정부(220)의 변에 맞닿게 됨으로써, 서류용지(500)를 넘길 때, 서류용지(500)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로, 제1고정부(210)와 판형 본체(100) 사이에 추가로 다른 서류용지(500)를 고정 시킬 수 있어 본 서류고정이 쉬운 클립보드(10)를 통하여 한번에 두 가지의 서류용지(500)를 양면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판형 본체(100)는 복수의 판형 소재로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 pvc를 포함한 플라스틱 판형에 합지가 겹쳐져 형성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소재는 판형 형태로써 서류용지(500)를 지지 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소재를 제한 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고정부(220)가 판형 본체(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고정부(210)는 제2고정부(220)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고정부(220)가 판형 본체(100)의 전면에 접히었을 때, 판형 본체(100)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판형 본체(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100: 판형 본체
200: 클립부
210: 제 1고정부
220: 제 2고정부
230: 제 3고정부
310: 자석부
320: 지지부
500: 서류용지

Claims (10)

  1. 서류용지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형 본체;
    상기 판형 본체의 일단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판형 본체 상에 안착된 상기 서류용지가 상기 판형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상기 판형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고정부, 상기 제 2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1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와 상기 판형 본체의 일 영역에 정의되는 제 3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서류용지의 일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제 1고정부가 상기 제 2고정부와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제 2고정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서류용지를 고정하고,
    상기 제 1 고정부, 제 2 고정부 및 제 3 고정부는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의 자석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의 자석부는 상기 판형 본체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2고정부는 상기 판형 본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제 2고정부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2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의 전면으로 접히었을 때 상기 판형 본체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접히어 상기 제 1 고정부가 상기 판형 본체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클립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 상기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3고정부는 각각 자석부와 상기 자석부의 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클립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클립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클립보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는 직각 삼각형이되, 직각을 구성하는 두개의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이 상기 판형 본체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인,
    클립보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클립보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자석부가 포함되며, 나머지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과 붙는 철 재질을 포함하는,
    클립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되, 각 상기 자석의 사이즈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클립보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부의 자석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가 접히어 서류를 고정하는 상태일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정부에 포함된 자석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클립보드.
KR2020200003468U 2020-09-23 2020-09-23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KR200495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8U KR200495794Y1 (ko) 2020-09-23 2020-09-23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PCT/KR2021/012547 WO2022065791A1 (ko) 2020-09-23 2021-09-15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US18/124,125 US11865854B2 (en) 2020-09-23 2023-03-21 Clipboard for conveniently fixing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468U KR200495794Y1 (ko) 2020-09-23 2020-09-23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42U KR20220000742U (ko) 2022-03-30
KR200495794Y1 true KR200495794Y1 (ko) 2022-08-19

Family

ID=8084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68U KR200495794Y1 (ko) 2020-09-23 2020-09-23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5854B2 (ko)
KR (1) KR200495794Y1 (ko)
WO (1) WO20220657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377A1 (en) 2005-10-03 2007-04-05 Michael Wu Magnetic paper clip structure
US20150096157A1 (en) * 2013-10-08 2015-04-09 Jimmy John Design, LLC Clipboard
JP2019020435A (ja) 2017-07-11 2019-02-07 ワヨー株式会社 シート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8609A (en) * 1942-10-27 1944-01-12 James Mcgowan Improved means for fastening paper sheets together
FR2668980B1 (fr) * 1990-11-12 1993-02-19 In The Pocket Dispositif pour maintenir ensemble plusieurs feuillets.
US5272792A (en) * 1992-09-22 1993-12-28 Harper Matthew C Paper clip
JP2602305Y2 (ja) * 1993-05-13 2000-01-11 株式会社ニチエイ ホルダ
US5570906A (en) * 1994-04-25 1996-11-05 Giulie; Joe D. Corner bind apparatus and method
JPH11139059A (ja) * 1997-11-11 1999-05-25 Houbunsha Insatsu Kk 矩形状紙葉の角部留具
DE10008436A1 (de) * 2000-02-23 2001-09-06 Benn Alexander Eckenhalterung zum lösbaren Verbinden von Papierbehältern o. dgl. an einer Ecke
GB2392706B (en) * 2002-09-09 2005-04-27 Simon Woollard Fasteners
KR101282514B1 (ko) * 2011-09-15 2013-07-04 박정빈 문서 클램핑 기구
TW201503768A (zh) 2013-07-05 2015-01-16 Phison Electronics Corp 焊墊結構及應用其之印刷電路板與記憶體儲存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377A1 (en) 2005-10-03 2007-04-05 Michael Wu Magnetic paper clip structure
US20150096157A1 (en) * 2013-10-08 2015-04-09 Jimmy John Design, LLC Clipboard
JP2019020435A (ja) 2017-07-11 2019-02-07 ワヨー株式会社 シート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34391A1 (en) 2023-07-27
WO2022065791A1 (ko) 2022-03-31
KR20220000742U (ko) 2022-03-30
US11865854B2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902A (en) Single-piece sandwich frame clipboard apparatus
US6550812B1 (en) Magnetic write/erase binder
US10640049B1 (en) Document storage device
US5285952A (en) Document folder
KR200495794Y1 (ko) 서류고정이 편리한 클립보드
US5257870A (en) Paper retaining means
JP4801036B2 (ja) マグネットしおり
US20180018897A1 (en) Writing Guide
JP2016083341A (ja) 書見台
US6332570B2 (en) Flat transparent magnifying envelope
US20040129198A1 (en) Semi-fixed type bookmark
US11340658B2 (en) Electronic device
JPH0528066Y2 (ko)
KR20050074264A (ko) 밴드형 파일용 속지
US10046591B2 (en) “Wideback” pamphlet for easy identification on a shelf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KR200484006Y1 (ko) 자석이 설치된 클립보드
US20070065198A1 (en) Document restraint arrangement for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JP2006051629A (ja) 新聞ホルダー
JP2004223698A (ja) 磁石脱着式フリーサイズホッチキス
KR200407105Y1 (ko) 쓰기안내선을 갖는 문서보관철
JP2584901Y2 (ja) 冊子背部のホルダー
US20040096809A1 (en) Reading air
KR950004878Y1 (ko) 지적도 보관용 바인더
JPH05270189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