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78Y1 - Safety guard rail - Google Patents

Safety guard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78Y1
KR200495678Y1 KR2020210003042U KR20210003042U KR200495678Y1 KR 200495678 Y1 KR200495678 Y1 KR 200495678Y1 KR 2020210003042 U KR2020210003042 U KR 2020210003042U KR 20210003042 U KR20210003042 U KR 20210003042U KR 200495678 Y1 KR200495678 Y1 KR 200495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s
support
crossbar
upper support
han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남주
Original Assignee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3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안전 난간이 개시된다. 안전 난간은, 바닥면의 상부로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 지지대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단 지지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상단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핸드 레일부를 포함한다.The safety railing is initiated. A plurality of safety handrail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set interval,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installation hol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lateral support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support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hand rail part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Description

안전 난간{SAFETY GUARD RAIL}SAFETY GUARD RAIL

본 고안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조립성이 향상되고 작업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andrail that improves durability, improves assembly,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 또는 작업 현장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통상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핸드레일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handrail is installed in a common house or a work site to prevent a fall, and such a handrail is usually composed of a handrail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handrail installed vertically under the handrail while forming a certain interval.

이러한 핸드 레일의 고정구조는 고정 스크류를 이용하여 난간과 고정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그 시공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외측에서 체결시 작업자가 외측으로 상체를 기울인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어 작업시 안전을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fixing structure of this hand rail is to form a fixed structure with the handrail using a fixing screw, and the construction was very inconvenient. There was a problem with receiving.

공개특허공보 10-2021-0108611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861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조립성이 향상되고 작업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안전 난간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andrail that improves durability and improves assembly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바닥면의 상부로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 지지대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단 지지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상단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핸드 레일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and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installation hol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s of the supports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ncludes an installed lateral support, an upper support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hand rail part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횡 지지대는, 복수개의 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횡대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부에서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횡대와, 제1 횡대와 제2 횡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종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eral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econd cross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first crossbar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umns connecting the second crossbar.

핸드 레일부는 하부에 고정 홈부가 형성되어 지지대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상단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 rail in a state in which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상단 지지대의 상부에는 결합 돌부가 형성되고, 핸드 레일부에는 결합 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and a coupling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hand rail unit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지지대들을 제1 횡대와 제2 횡대를 포함하는 횡 지지대를 이용하여 서로간에 연결하여, 연결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s to each other using a transverse support including a first cross bar and a second cross b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ed durabilit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 레일부를 상부 지지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하는 바, 설치 작업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핸드 레일부의 교체 필요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rail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pport is inserted therein, the installation work is performed stably and easy replacement is possible when the hand rail unit needs to be replaced.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의 핸드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afety handrail of FIG. 1 .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afety rail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 rail of a safety handrail is coup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안전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afety handrail of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safety handrail of FIG. This is one side view.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100)은, 바닥면의 상부로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홀(11)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10)와, 복수개의 지지대(10)의 설치홀(11)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 지지대(20)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단 지지대(30)와, 상단 지지대(30)에 삽입 고정되어 상단 지지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핸드 레일부(40)를 포함한다.1 to 3, the safety handrai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surface 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11 in the width direction. ) A plurality of supports 10 are formed, and a transverse support 20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ncludes an upper support 30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hand rail part 40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30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30 .

지지대(10)는 난간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The support 1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handrail is installed, and the lower end protrudes in a state fixed to the floor surface.

이러한 지지대(10)는 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바닥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0)의 폭방향에는 횡 지지대(2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홀(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0 is install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10 , an installation hole 11 for installation of the lateral support 20 is provided. can be formed.

횡 지지대(20)는 복수개의 지지대(1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홀(11)을 통화하여 지지대(10)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transverse support 20 i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 and may be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the support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communicating the installation hole 11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횡 지지대(20)는, 복수개의 지지대(10)의 하부에서 설치홀(11)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횡대(21)와,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부에서 설치홀(11)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횡대(23)와,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종대(25)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verse support 2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1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first cross bar 21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installed at the top It may include a second cross bar 23 inserted into the hole 11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lumns 25 connecting the first cross bar 21 and the second cross bar 23 .

제1 횡대(21)는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각각에 형성된 설치홀(11)들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0)들의 설치된 상태를 서로간에 연결하여 안정적인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핸드 레일부(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rossbar 21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s 1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nd the hand rail unit ( 40) can be installed to stably install.

제1 횡대(21)는 사각 단면을 갖는 긴 길이의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홀(11)은 제1 횡대(21)의 삽입 설치를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rossbar 21 may have a long fram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hole 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insertion and installation of the first crossbar 21 .

제1 횡대(21)는 지지대(10)들의 각각의 하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0)들의 설치된 하부 위치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rossbar 21 i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respectiv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s 10 , and may be installed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installed lower positions of the supports 10 .

제2 횡대(23)는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각각에 형성된 설치홀(11)들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횡대(21)와 동일 또는 유사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rossbar 23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s 1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length as the first crossbar 21 .

이러한 제2 횡대(23)는 지지대(10)들의 설치된 상태를 서로간에 연결하여 안정적인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핸드 레일부(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bar 23 may be installed to stably install the handrail unit 40 while maintaining stable durability by connecting the installed states of the supports 10 to each other.

제2 횡대(23)는 사각 단면을 갖는 긴 길이의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홀(11)은 제2 횡대(23)의 삽입 설치를 위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bar 23 may have a long fram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hole 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insertion and installation of the second crossbar 23 .

제2 횡대(23)는 지지대(10)들의 각각의 상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0)들의 설치된 상부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bar 23 i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each of the supports 10 , and may be installed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installed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s 10 .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는 각각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지지대(10)의 설치된 내구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rossbar 21 and the second crossbar 23 may be installed to stably maintain the installed durability of the supporter 10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 respectively.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는 각각 단일개로 지지대(10)들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first crossbar 21 and the second crossbar 23 are illustratively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s 10 as a single piece, respectively,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r more. It is possible

이러한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는 복수개의 종대(25)에 의해 서로간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rossbar 21 and the second crossbar 23 may be installe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lumns 25 .

종대(25)는 일단은 제1 횡대(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횡대(23)에 연결된 상태로 본 실시예의 안전 난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lumn 2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rosspiece 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rosspiece 23, and a plurality of the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fety handrail of this embodiment can b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have.

종대(25)는 원통형의 바(bar)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바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 기둥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lumn 25 is installed in a cylindrical bar shape and is installed to connect and support between the first cross bar 21 and the second cross bar 23,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bar shape, but a polygonal column shape.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한편, 지지대(10)의 상부에는 상단 지지대(3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support 3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0 .

상단 지지대(30)는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30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to each other.

상단 지지대(30)는 직사각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10)의 상단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30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

이와 같이 상단 지지대(30)가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은, 지지대(10)들의 설치된 상단을 서로간에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하면서, 핸드 레일부(40)를 설치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that the upper support 3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s described above is to install the hand rail unit 40 while stab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installed upper ends of the supports 10 to each other.

핸드 레일부(40)는 상단 지지대(3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hand rail unit 40 may be installed to have a long length so as to connect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with the upper support 30 inserted therein.

핸드 레일부(40)는 하부가 지지대(1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상단 지지대(30)가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라운드 형상의 표면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the hand rail unit 40, the upper support 30 is inserted therein with the lower part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and the upper part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round-shaped surface is formed.

이와 같이, 핸드 레일부(40)는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이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하면서 내부에 상단 지지대(3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핸드 레일부(40)가 설치된 내구성을 더운 향상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hand rail unit 40 is installed with the upper support unit 30 inserted therein while a plurality of supports 10 connect the upper ends to each other, and the hand rail unit 40 is installed to increase durability. It can be installed stably while improving.

핸드 레일부(40)의 하부에는 상단 지지대(3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 홈부(41)가 형성될 수 있다.A fixing groove 41 into which the upper support 30 is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and rail 40 .

고정 홈부(41)는 상단 지지대(30)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상단 지지대(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핸드 레일부(40)의 하부에 인입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41 has the upper support 30 inserted and fixed therei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upport 30 , and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 rail 40 .

즉, 상단 지지대(30)는 직사각의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고정홈부(41)는 상단 지지대(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의 홈 형상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upport 30 is installed in a protruding state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fixing groove 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upport 30 .

핸드 레일부(40)는 보행자가 이동 과정에서 손으로 안정적으로 파지 가능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우천 등의 기상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마찰 재질로 표면이 피복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and rail unit 40 is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can be stably gripped by a pedestrian during the movement process, and the surface can be coated with a friction material that can be stably gripped even in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물론 핸드 레일부(40)는 표면에 마찰 재질로 피복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을 위한 표면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hand rail unit 4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coated with a friction material on the surfa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urface protrusion (not shown) for friction.

핸드 레일부(40)는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의 상측을 단일개로 연결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대(10)들의 상측에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and rail unit 40 exemplarily describes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s a single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the upper sides of the supports 10 are install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t is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전 난간(100)은, 복수개의 지지대(10)들을 제1 횡대(21)와 제2 횡대(23)를 포함하는 횡 지지대(20)를 이용하여 서로간에 연결하여, 연결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handrail 100 of this embodiment connects a plurality of supports 10 to each other using a transverse support 20 including a first crossbar 21 and a second crossbar 23.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ed durability.

또한, 핸드 레일부(40)를 상부 지지대(1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대(10)의 상측에 설치하는 바, 설치 작업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핸드 레일부(40)의 교체 필요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 rail unit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unit 10 with the upper support unit 10 inserted therein, the instal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tably and is easy to replace when the hand rail unit 40 needs to be replaced. It is replaceab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stalled durability.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의 핸드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 rail of a safety handrail is coup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3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은, 상단 지지대(30)의 상부에는 결합 돌부(110)가 형성되고, 핸드 레일부(40)에는 결합 돌부(11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4,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30, and a coupling protrusion 110 on the hand rail 40. A coupling groove 111 to be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이와 같이, 핸드 레일부(40)가 상단 지지대(30)에 고정시게 결합 돌부(110)가 결합 홈부(111)에 삽입 고정되는 바,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In this way, when the hand rail unit 40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30 , the coupling protrusion 11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111 , so that a more stable installation is possible.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지지대 11...설치홀
20...횡 지지대 21...제1 횡대
23...제2 횡대 25...종대
30...상단 지지대 40...핸드 레일부
41...고정 홈부 110..결합 돌부
111..결합 홈부
10...Support 11...Installation hole
20...Transverse support 21...First crossbar
23...Second column 25...Column
30...Upper support 40...Hand rail part
41...Fixing groove 110...Mating protrusion
111..Joint groove

Claims (4)

바닥면의 상부로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횡대;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횡대; 및 상기 제1 횡대와 상기 제2 횡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종대;를 포함하는 횡 지지대;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의 상단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상부에 결합 돌부가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 및
상기 상단 지지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상단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하부에 고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상단 지지대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 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 홈부가 형성되는 핸드 레일부;
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
A plurality of support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spaced apart at a set interval, the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installation hol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crossbar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econd crossbar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lumns connecting the first crossbar and the second crossbar; a transverse support comprising;
an upper support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hereon while being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each other; and
The upper suppo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pport and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ppor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support is inserted therein in a stat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a hand rail unit in whic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cluding, safety rail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10003042U 2021-10-08 2021-10-08 Safety guard rail KR2004956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42U KR200495678Y1 (en) 2021-10-08 2021-10-08 Safety guard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42U KR200495678Y1 (en) 2021-10-08 2021-10-08 Safety guard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78Y1 true KR200495678Y1 (en) 2022-07-22

Family

ID=8260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42U KR200495678Y1 (en) 2021-10-08 2021-10-08 Safety guard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78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422A (en) * 2003-01-23 2004-07-30 이도춘 Hand-rail device for fabricated staircase with light-emitting guide line for emergency
KR20100002130U (en) * 2008-08-20 2010-03-03 이화숙 The japanese cedar safety parapet of the sidewalk
KR102057298B1 (en) * 2019-05-28 2019-12-18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Improved assembly type safety guardrail
KR20210108611A (en) 2020-02-26 2021-09-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guard rail for easy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422A (en) * 2003-01-23 2004-07-30 이도춘 Hand-rail device for fabricated staircase with light-emitting guide line for emergency
KR20100002130U (en) * 2008-08-20 2010-03-03 이화숙 The japanese cedar safety parapet of the sidewalk
KR102057298B1 (en) * 2019-05-28 2019-12-18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Improved assembly type safety guardrail
KR20210108611A (en) 2020-02-26 2021-09-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guard rail for easy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02B1 (en) Extension sidewalk for bridge
KR102030900B1 (en) A system of wood deck
KR200491809Y1 (en) Check equipment for bridge
KR101683268B1 (en)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elastic body
KR100993800B1 (en) Deck plate
KR200495678Y1 (en) Safety guard rail
KR101187657B1 (en) Temporary sidewalk for bridge
KR20200053252A (en) Banister support fixing structure of deck rod
KR101260667B1 (en) Fixing structure of deck plate
KR20110112101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KR101385630B1 (en) Frame assembly for deck-road
KR102090329B1 (en) Sidewalk erection structure for bridge
KR20210117824A (en) A safety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ing
KR101228441B1 (en) Strength reinforce type guardrail structure
KR100700148B1 (en) A safety foothold for archite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20121983A (en) Handrail that angle control is essy
KR101274603B1 (en) Stop and flow wall of cleaning bed
KR200164470Y1 (en) Glass plate mountaine strueture
GB232432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ging
JP4175644B2 (en) Carport gutter structure
JP7050376B1 (en) Strut reinforcement and temporary scaffolding using this
JP3732846B2 (en) Open stair unit
KR102575565B1 (en) Post for rail and fence
KR200292127Y1 (en) A footboard for checking passage of bridge
KR200468861Y1 (en) Connective device of wood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