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90Y1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90Y1
KR200495590Y1 KR2020190005402U KR20190005402U KR200495590Y1 KR 200495590 Y1 KR200495590 Y1 KR 200495590Y1 KR 2020190005402 U KR2020190005402 U KR 2020190005402U KR 20190005402 U KR20190005402 U KR 20190005402U KR 200495590 Y1 KR200495590 Y1 KR 200495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ct
present
seating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79U (ko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김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옥 filed Critical 김선옥
Priority to KR2020190005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9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4Clamping connections other than bolting or 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몸체로 구성되되, 몸체의 중앙부에 제1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제1프레임에 접하며 수직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제2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제2안착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결장치{Fast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어셈블리는 벽면 또는 천장에 시공된다. 이 때, 패널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벽면 또는 천장에 시공되고, 사용자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외부 패널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일측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제1지지프레임에 90도로 교차되어 이격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2개의 프레임을 90도로 교차시켜 시공할 경우, 브라켓을 이용하여 체결하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라켓을 용접이나 피스로 고정하기 때문에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레임이 이동될 수 없어 위치 변경이 필요할 때에는 절단 및 훼손하거나 다시 피스를 풀고 정정된 위치에 다시 피스 고정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2개의 프레임을 교차시켜 용접 작업을 진행할 경우, 화재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체결 작업이 간단하고, 체결후에도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는, 선형 몸체로 구성되되, 몸체의 중앙부에 제1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제1프레임에 접하며 수직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제2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제2안착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1프레임은, 사각 프레임이고, 제2프레임은, C찬넬(C-Channel) 또는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1안착부는, 사각 제2프레임과의 접촉면과 평행한 사각 제1프레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접촉부와, 제1면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사각 제1프레임의 제1면과 만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측면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2안착부는, 제1 및 제2측면접촉부가 연장 형성되어 사각 제2프레임의 제1측면에 나란히 접하고, 제1 및 제2측면접촉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사각 제1프레임과의 접촉면과 평행한 사각 제2프레임의 제1면에 나란히 접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사각 제2프레임의 제2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끼움부는, 연장부의 끝단에서 사각 제1프레임의 제1측면의 일부와, 제1면 및 제2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다수회 절곡되어 대략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는 철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및 제2안착부와 끼움부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프레임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직 교차시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체결된 상태에서도 프레임이 슬라이딩될 수 있기 때문에 위치조절이 필요한 경우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체결시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발생 위험이 높은 시공 현장에서 용접으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이며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1안착부에 제1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2안착부에 제1프레임과 수직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끼움부에 제1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현장에서의 시공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1안착부에 제1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2안착부에 제1프레임과 수직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의 끼움부에 제1프레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00)는, 선형의 몸체로 구성되며 다수회 절곡되어 2개의 프레임들(210,220)이 서로 90도로 교차되며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00)은, 제1프레임(210)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제2프레임(220)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제1안착부에서 이격된 지점 제1프레임(210)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1안착부는, 선형 몸체의 중앙부에 제1프레임(210)을 수용하도록 제1프레임(2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프레임(210)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사각형의 프레임일 경우, 제1안착부는 선형 몸체의 중앙부에서 제1프레임(210)의 3개의 면을 감싸도록 2회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1안착부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교차되어 접촉된 접촉면과 평행한 사각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접촉부(111)와, 제1면접촉부(111)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각 제1프레임(210)의 제1면과 만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측면접촉부(112a) 및 제2측면접촉부(112b)를 포함함으로써 대략 '└┘'자형의 오목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부에 제1프레임(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2안착부는, 제1프레임(210)에 접하며 수직으로 배치된 제2프레임(220)을 수용하도록 제1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제2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2안착부는, 제1측면접촉부(112a) 및 제2측면접촉부(112b)가 연장 형성되어 사각 제2프레임(220)의 제1측면에 나란히 접하고, 제2프레임(220)의 제1측면과 제1면이 만나는 꼭지점에서 제1측면접촉부(112a) 및 제2측면접촉부(112b)의 끝단이 절곡된다.
여기서, 제2프레임(220)의 제1면은, 제1프레임(210)과의 접촉면과 평행한 제2프레임(220)의 면으로, 제1측면접촉부(112a) 및 제2측면접촉부(112b)의 끝단이 절곡된 이후 연장되어 제2프레임(220)의 제1면에 나란히 접하며 연장되어 한쌍의 제1면접촉부(113a,113b)를 형성하고, 연장된 제1면접촉부(113a,113b)의 끝단에서 제2프레임(220)의 제2측면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한쌍의 절곡부(114a,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의 제2측면 방향으로의 절곡은 제2프레임(220)이 상기 절곡부에서 이탈될 수 없을 정도로 단차지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에서의 각 면은,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이 접하는 면을 접촉면으로 지칭하고, 접촉면과 평행한 면을 각각 제1면으로 지칭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안착부는, 제2프레임(220)의 수직한 2개의 면(제1측면 및 제1면)에 접하며 1개 면(제1측면에 대면하는 제2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프레임(22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00)가 구성됨으로써 4각 단면의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90도로 교차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각 프레임들(210,220)의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00)는, 제2안착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15a,115b)와, 연장부(115a,115b)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제1프레임(210)에 끼워지는 끼움부(117a,117b)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115a,115b)의 길이는 제1측면접촉부(112a) 및 제2측면접촉부(112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이 완료된 이후의 체결력이 과도하지 않아 제1프레임(210) 또는 제2프레임(220)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하며 끼움부(117a,117b)의 장착 작업도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끼움부(117a,117b)는, 연장부(115a,115b)의 끝단에서 사각 제1프레임(210)의 제1측면의 일부와, 제1면 및 제2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15a,115b)의 끝단에서 연장되며 3회 절곡되며 4각 단면의 제1프레임(21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대략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부(117a,117b)를 구비하여 제1프레임(210)에 끼워짐으로써 교차 체결된 상태인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를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견고한 체결력을 가져야 하며 가공성이 우수하며 탄성력도 구비하여야 하는 바, 그 몸체는 철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강성이 좋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체결장치(100)의 설치작업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에 제1안착부를 끼운다. 여기서, 제1프레임(210)은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일 수 있으므로 제1프레임(210)의 제1면은 천장 방향을 향하거나 벽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프레임(220)이 배치되고, 제2안착부에 안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17a,117b)를 제1프레임(210)에 끼움으로써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을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체결작업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현장에서의 시공예를 도시한 것으로, 벽면에 패널 어셈블리(3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체결장치(100)를 사용하여 내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210)이 제1안착부에 안착되고, 제1프레임(210)의 외측에 교차설치되는 제2프레임(220)이 제2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패널 어셈블리(30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2프레임(220)의 위치이동이 필요한 경우 피스로 체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모두 사각 프레임일 수도 있고, 제1프레임(210)은 사각 프레임이고, 제2프레임(220)은 C찬넬(C-Channel) 또는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이 C찬넬(C-Channel)인 경우, 제2프레임(220)과 제1프레임(210) 사이의 접촉은 면접촉이 아니라 선접촉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단면이 원형인 프레임일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의 일부로 형성된다.
또한, 원형 프레임 뿐만 아니라 다각형 단면의 프레임에도 대응되는 안착부의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안착부, 제2안착부 및 끼움부를 구비하여 교차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위가 브라켓을 피스로 조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어서 조립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체결장치
111: 제1면접촉부
112a: 제1측면접촉부
112b: 제2측면접촉부
115a,115b: 연장부
117a,117b: 끼움부
210: 제1프레임
220: 제2프레임

Claims (6)

  1. 선형 몸체로 구성되되,
    몸체의 중앙부에 단면이 사각형인 제1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제1프레임에 접하며 수직으로 배치된 단면이 사각형인 제2프레임을 수용하도록 제1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제2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제2안착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되,
    제1안착부는,
    제2프레임과의 접촉면과 평행한 제1프레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접촉부와,
    제1면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제1프레임의 제1면과 만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측면접촉부를 포함하고,
    제2안착부는,
    제1 및 제2측면접촉부가 연장 형성되어 제2프레임의 제1측면에 나란히 접하고, 제1 및 제2측면접촉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1프레임과의 접촉면과 평행한 제2프레임의 제1면에 나란히 접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제2프레임의 제2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끼움부는,
    연장부의 끝단에서 제1프레임의 제1측면의 일부와, 제1면 및 제2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철사로 구성되는, 체결장치.
KR2020190005402U 2019-12-31 2019-12-31 체결장치 KR200495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402U KR200495590Y1 (ko) 2019-12-31 2019-12-31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402U KR200495590Y1 (ko) 2019-12-31 2019-12-31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79U KR20210001579U (ko) 2021-07-08
KR200495590Y1 true KR200495590Y1 (ko) 2022-07-01

Family

ID=7686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402U KR200495590Y1 (ko) 2019-12-31 2019-12-31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90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717A (ko) * 2008-09-18 2010-03-26 심병섭 관체의 교차부위 체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79U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337B2 (ja) 少なくとも2つの開口部を備えた支持要素への線の固定装置及びこれらの結合体
US20100270446A1 (en) Universal Adjustable Box Bracket
KR101604191B1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JP2016205121A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047854B1 (ko)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233699B1 (ko)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GB2524367A (en) Coupling for wire-mesh cable tray sections and a wire-mesh cable tray section
KR200495590Y1 (ko) 체결장치
JP4896756B2 (ja) エントランスユニットの取付け装置
KR20130022180A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트 부재
KR101462626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KR2004753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JP6178256B2 (ja) 配線・配管材用台座装置、配線・配管材の交差配設構造、および配線・配管材の交差配設装置
WO201610290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KR101576742B1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KR101743041B1 (ko) 천막 고정장치
JP2016526795A (ja) エレクトロニクスおよび機器封止体のためのマウントフレームおよびレール
JP6381299B2 (ja) パネル設備の固定具
KR20170118330A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KR101031892B1 (ko) 케이블 트레이 클램프
JP6370665B2 (ja) 電気部品を備えたドア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101325668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190066777A (ko) 조립식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