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72Y1 - 벨트용 버클조립체 - Google Patents

벨트용 버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72Y1
KR200495572Y1 KR2020210002979U KR20210002979U KR200495572Y1 KR 200495572 Y1 KR200495572 Y1 KR 200495572Y1 KR 2020210002979 U KR2020210002979 U KR 2020210002979U KR 20210002979 U KR20210002979 U KR 20210002979U KR 200495572 Y1 KR200495572 Y1 KR 200495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fixing member
link fixing
buck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일
Original Assignee
이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일 filed Critical 이양일
Priority to KR2020210002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72Y1/ko
Priority to CN202221936984.0U priority patent/CN217826988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ck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벨트용 버클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벨트부재의 선단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재와, 버클 본체부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의 사이를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로서, 상기 벨트 연결부재, 상기 버클 본체부, 및 상기 링크 고정부재는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 본체부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일정면적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영역에는 일정 곡면을 갖는 데코 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용 버클조립체{BUCKLE ASSEMBLY FOR BELT}
본 고안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벨트용 버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의복, 특히 바지의 착용상태를 유지(즉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버클은 벨트의 양끝 부분을 결속하는데 사용되며, 버클의 한쪽 끝은 벨트의 한쪽 끝과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는 벨트의 다른 쪽 끝부분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벨트를 착용할 때에는 착용하는 자의 신체 사이즈(바지의 경우에는 허리 사이즈)의 차이에 따라 벨트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구멍 간격을 이용하여 벨트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임의로 좁은 간격에서 선택하여 조정하고 자 하는 경향의 버클이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벨트용 버클의 경우,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버클에 장착되어 있는 걸림 장치를 작동시켜 사용해 왔는데, 즉 레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걸림쇠가 해제될 수 있도록 회전시켜서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버클은 대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진 벨트용 버클은 내구성이 높고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버클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과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부품들을 결합하는데 있어서도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버클은 금형에 따라 버클의 전면 형상(디자인)이 제한되어 있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한계점도 있다. 즉 버클 제품의 디자인 별로 버클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재질의 버클은 공항 검색대와 같이 금속탐지대의 통과시 벨트를 벗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8692호(공고일자:2007년 08월 13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공항 검색대와 같은 금속탐지대의 통과시 벨트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데코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제작성능과 조립성능도 개선할 수 있는 벨트용 버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벨트부재의 선단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재와, 버클 본체부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의 사이를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로서, 상기 벨트 연결부재, 상기 버클 본체부, 및 상기 링크 고정부재는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 본체부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일정면적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영역에는, 일정 곡면을 갖는 데코 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용 버클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돌기와 상기 측면돌기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본체부의 상기 수용영역 내에는, 상기 측면돌기가 삽입되는 측면홈과 상기 장착후크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각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버클 본체부에는, 서로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의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링크 고정부재의 선회 포스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고정부재의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선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링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선회 포스트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측면리브,상기 측면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리브, 및 상기 중간리브를 사이를 두고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오목한 기둥형상을 갖는 아치 곡면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 곡면리브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경사진 상기 선회 포스트가 돌출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클 조립체의 각 부품들이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공항 검색대와 같은 금속탐지대의 통과시 벨트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형상의 데코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제품의 다양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제작성능과 조립성능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버클 조립체는 상기한 효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판촉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조립체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버클 본체부로부터 데코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버클 본체부로부터 데코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링크 고정부재와 벨트 연결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조립체는 데코 플레이트(10), 버클 본체부(20), 링크 고정부재(30), 벨트 연결부재(40), 및 벨트 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들은 합성수지재질, 예를 들어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로 이루어진다. 버클조립체는 버클 본체부(20)의 고정 톱니(31b)를 통해 벨트 부재(50)를 미끌림 현상없이 단단히 고정한다(종래 버클의 기본 기능).
도 2를 참조하면, 데코 플레이트(10)는 측면돌기(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장착후크(12; 도 4 참조)가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버클 본체부(20)는 상하측에 각각 측벽(21)이 형성되는데, 이 측벽(21)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21)에는 제1 연결공(20h; 도 4 참조)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수용영역(22)에는 데코 플레이트(10)의 장착후크(12)가 장착되는 장착공(24h)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측면돌기(11)가 삽입되는 측면홈(23h)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데코 본체(10a)의 전방에는 다양한 형상이나 문양을 디자인할 수 있다.
즉 데코 본체(10a)의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 제품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제품의 디자인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코 본체(10a)의 전명에 다양한 문양이나 로고 등 포함하는 형태로 사출 성형하고, 하나의 버클 제품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데코 플레이트(1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에 있어서도 데코 플레이트(10)에 대한 금형(몰드)만 별도 제작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버클 본체부, 링크 고정부재, 및 벨트 연결부재)는 공통으로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제품의 디자인 다양성은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데코 플레이트(10)는 비철금속이나 엑스레이 투과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죽, 목재, 동물의 뼈, 아크릴이나 에폭시와 같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링크 고정부재(30)는 상하측에 형성된 측면 리브(33)와, 측면 리브(33)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리브(34)와, 중간리브(34)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의 아치 곡면리브(31a,3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아치 곡면리브(31a,35a)에는 버클 사용시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톱니(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치 곡면리브(31a,35a)의 양측 단부에는 선회 포스트(31,3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선회 포스트(31,35)의 선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벨트 연결부재(40)도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기울어진 측벽(42)이 형성되고, 이 측벽(42)에는 각각 제2 연결공(41; 도 2참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버클 본체부(20)의 측벽(21)과 연결 본체(40a)의 측벽(42)이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링크 고정부재(30)의 선단 포스트(31,35)의 선단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들 선단 포스트(31,35)를 지지하는 리브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아치 곡면리브(31a,35a)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일정 탄성을 갖는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링크 고정부재(30)의 경사진 선회 포스트(31,35)는 버클 본체부(20)의 측벽(21)의 제1 연결공(20h)에 장착시 경사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어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장착된 이후에는 경사진 측벽(21)이 합성수지의 탄성 특성에 의해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어, 선회 포스트(31,35)가 제1 연결공(20h)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에 더해 오목한 형상의 아치 곡면리브(31a,35a)도 선회 포스트(31,35)의 장착시 수축되었다가 제1 연결공(20h)에 삽입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역할을 한다(탄성력 부가역할). 즉 본 고안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각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경사나 오목한 형상을 통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링크 고정부재(30)의 조립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조립이후에는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본체(40a; 도 2 참조)의 측벽(42)의 제2 연결공(41)에 링크 고정부재(30)의 제1 선회 포스트(31)를 삽입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버클 본체부(20)와 벨트 연결부재(40)를 링크 고정부재(30)를 통해 서로 연결하고, 벨트 연결부재(40)는 벨트 부재(50)의 단부가 연결되어 벨트 버클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버클 조립체는, 각 부품들이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공항 검색대와 같은 금속탐지대의 통과시 벨트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 및 색상으로 데코 플레이트(10)를 구성하고 간편하게 버클 본체부(20)에 착탈방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조로운 제품 디자인을 탈피하고 다양한 판촉물이나 디자인 제품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합성수지로 링크 고정부재(30)와 버클 본체부(20) 및 벨트 연결부재(40)를 구성하고 조립시 탄성에 의해 쉽게 변형시킨후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구조를 통해 제품의 조립성능은 물론이고 조립이후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데코 플레이트
10a: 데코 본체
11: 측면 돌기
12: 장착후크
20: 버클 본체부
21: 측벽
22: 수용영역
23: 인입 가이드벽
23h: 측면홈
24h: 장착공
30: 링크 고정부재
31: 제1 선회포스트
31a: 아치 곡면리브
31b: 고정톱니
32: 고정돌기
33: 측면리브
34: 중간리브
35: 제2 선회포스트
35a: 아치 곡면리브
40: 벨트 연결부재
40a: 연결본체
41: 제2 연결공
42: 측벽
50: 벨트 부재

Claims (5)

  1. 벨트부재의 선단을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재와, 버클 본체부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의 사이를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로서,
    상기 벨트 연결부재, 상기 버클 본체부, 및 상기 링크 고정부재는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 본체부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일정면적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영역에는, 일정 곡면을 갖는 데코 플레이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돌기와 상기 측면돌기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클 본체부의 상기 수용영역 내에는, 상기 측면돌기가 삽입되는 측면홈과 상기 장착후크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버클 본체부에는, 서로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의 측벽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링크 고정부재의 선회 포스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고정부재의 상기 선회 포스트의 선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고정부재는,
    복수의 상기 선회 포스트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측면리브,
    상기 측면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리브, 및
    상기 중간리브를 사이를 두고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오목한 기둥형상을 갖는 아치 곡면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 곡면리브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선단이 경사진 상기 선회 포스트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는,
    가죽, 목재,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2979U 2021-09-30 2021-09-30 벨트용 버클조립체 KR200495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79U KR200495572Y1 (ko) 2021-09-30 2021-09-30 벨트용 버클조립체
CN202221936984.0U CN217826988U (zh) 2021-09-30 2022-07-26 超轻带扣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979U KR200495572Y1 (ko) 2021-09-30 2021-09-30 벨트용 버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572Y1 true KR200495572Y1 (ko) 2022-06-29

Family

ID=8221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979U KR200495572Y1 (ko) 2021-09-30 2021-09-30 벨트용 버클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5572Y1 (ko)
CN (1) CN21782698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21U (en) * 1982-04-07 1983-11-23 Dong Sik Seong Buckles
KR20180060043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혁대용 버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21U (en) * 1982-04-07 1983-11-23 Dong Sik Seong Buckles
KR20180060043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혁대용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826988U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3620B (zh) 链扣钩
CN101511217B (zh) 带扣
US20080289076A1 (en) Accessory and fastener therefore
US9155360B1 (en) Belt buckle
US20210015216A1 (en) Band length-adjustable hook-fixing type belt buckle
US8429798B1 (en) Fastening device
KR200495572Y1 (ko) 벨트용 버클조립체
US20100107311A1 (en) Clothes tightening device
KR100544251B1 (ko) 스포츠용 바인더의 고정벨트
CN1290500A (zh) 鞋翻部的引导装置
KR20240001010A (ko) 교체형 데코 플레이트를 갖는 초경량 버클 조립체
KR101018056B1 (ko) 신발끈 액세서리
USD901830S1 (en) Sports belt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304007B1 (ko) 혁대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
KR200458147Y1 (ko) 혁대
JP2020528326A (ja) 過剰な部分を留め付け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ベルト及びストラップ
KR200208185Y1 (ko) 혁대용 버클
KR102547384B1 (ko) 장식물을 장착할 수 있는 허리벨트용 버클
KR20180002153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KR200174895Y1 (ko) 혁대용 버클
KR101018057B1 (ko) 신발끈 액세서리
KR200346500Y1 (ko) 허리벨트
KR20110001364U (ko) 장식부가 회전가능한 버클
KR200446742Y1 (ko) 장신구가 장착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