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479Y1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479Y1
KR200495479Y1 KR2020210003231U KR20210003231U KR200495479Y1 KR 200495479 Y1 KR200495479 Y1 KR 200495479Y1 KR 2020210003231 U KR2020210003231 U KR 2020210003231U KR 20210003231 U KR20210003231 U KR 20210003231U KR 200495479 Y1 KR200495479 Y1 KR 200495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ice
pcb
terminal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2487U (en
Inventor
이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셜원
Priority to KR2020210003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79Y1/en
Publication of KR20210002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by a portable devic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이용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 및 회수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장치는 제 1 단말로부터 가상키에 기반한 차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제 2 서비스 장치로 상기 차량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요청하는 제 1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서비스 장치가 제공한 서비스 제공자 중 상기 제 1 단말에서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제 2 단말로 가상키를 제공하는 가상키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이용시 가상키를 차량 서비스 제공자와 공유하는 것에 의해 차량 서비스 이용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 및 회수할 필요가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rvi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ervice apparatus using a virtual ke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need to provide and retrieve a smart key for a vehicle when using a vehicle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vehicle service request based on a virtual key from a first terminal, and provides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for the vehicle service to a second service apparatus. a requesting first service provider; and a virtual key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virtual key to a second terminal owned by the service provider selected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service providers provided by the second service device in response to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nd retrieve a smart key for a vehicle when using a vehicle service by sharing a virtual key with a vehicle service provider when using a vehicle service.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VEHICLE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rvi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ervice apparatus using a virtual key.

자가 차량의 보유율이 높아지면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또한 보편화가 되고 있다. 차량용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차량용 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가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키가 차량의 내부에 있다는 것이 감지되면, 스마트키를 조작하지 않고도 시동 버튼을 이용해 시동을 걸 수 있다.As the ownership rate of own vehicles increases, smart key systems for vehicles are also becoming common. The vehicle smart key enables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trunks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even if the driver does not use the vehicle ke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mart key is inside the vehicle, the vehicle can be started using the start button without operating the smart key.

스마트키는 차량의 실내 안테나와 암호화된 무선 주파수로 연동된다. 그리고, 무선으로 통신되는 암호 코드가 스마트키와 실내 안테나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스마트키의 조작에 따라 차량이 조작된다. The smart key is linked with the vehicle's indoor antenna through an encrypted radio frequency. In addition, the vehicl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key only when the wirelessly communicated encryption code matches the smart key and the indoor antenna.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 및 시동의 편리함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유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The demand for the smart key system is increas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starting it. Accordingly, various similar products have been released.

다만,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상시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 스마트키는 소형 사이즈이고 차량을 조작하지 않을 때는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잘 소지하고 있는지 확인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의 분실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river must carry the smart key with them at all times. The smart key is small in size and the driver does not check whether the smart key is in possession when the vehicle is not opera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ident of loss of the smart key occurs frequently.

아울러, 차량 관련 서비스로 대리 운전, 대리 세차, 정비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한다. 이하, 차량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차량 서비스’로 통칭한다. In addition, various services such as surrogate driving, surrogate car washing, and maintenance exist as vehicle-related services. Hereinafter,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vehicl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vehicle service'.

이와 같은 차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차주는 스마트키를 서비스 업체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맡겨야 한다. 그리고, 서비스가 종료된 후 스마트키를 항시 현장에서 반납 받아야 한다. In order to use such a vehicle service, the vehicle owner must entrust the smart key to a service company or service provider. And, after the service is finished, the smart key must always be returned to the site.

예를 들어, 대리 운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차량 위치에서 대리 기사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차주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있는 경우, 픽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For example, a person who wants to use a surrogate driving service must wait for the surrogate driver to arrive at the vehicle location. Therefore, there is a limit that the pickup service cannot be used when the owner is far from the vehicle.

그리고,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정비 업체가 차량을 회수하러 올 때까지 차량에 차주가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차량 정비 업체가 차주에게 차량을 반납할 때 반납 위치에 차주가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즉,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수리를 맡길 때 그리고, 차량을 반납 받을 때 차주와 차량 정비 서비스 업체를 항상 미팅 일정을 조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차주는 스마트키를 차량에 둔채로 차량 수리를 맡기기도 한다. 그리고, 차주가 스마트키를 수령하지 않고 차량에 스마트키를 둔채로 차량을 반납 받기도 한다. 즉, 상기 불편함 때문에 스마트키의 도난의 위험을 무릅쓰기도 한다. In addition, if the vehicle maintenance service is to be used, the owner of the vehicle must be on standby until the vehicle maintenance company comes to collect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maintenance company returns the vehicle to the owner, the vehicle owner must be waiting at the return location.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use the vehicle maintenance ser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you have to always schedule a meeting between the owner and the vehicle maintenance service company when you entrust the vehicle for repair and when you return the vehicle.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car owners leave the smart key in the car and leave the car repaired. In addition, the car owner does not receive the smart key and sometimes receives the vehicle returned with the smart key in the vehicle. That is, because of the above inconvenience, the smart key is even risked.

1. 한국등록특허 제10-1101293호(2012.01.04 공고)1. Korea Patent No. 10-1101293 (Announcement on Jan. 4, 2012)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1284호(2016.05.11 공개)2.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1284 (published on May 11, 2016)

본 고안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accident of loss of a smart key for a vehicle.

이와 동시에, 본 고안은 다양한 차종별 스마트키에 범용성을 가질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can have versatility for various types of smart keys.

그리고,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한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전원이 없이도 동작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can operate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또한, 본 고안은 차량에 고정이 용이한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is easily fixed to a vehicle.

또한,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이용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 및 회수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need to provide and retrieve a smart key for a vehicle when using a vehicle ser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제어 PCB(170)가 수용되는 케이스(100); 및 지지대 본체(410), 홀더(430) 및 연결핀(45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430)는 내측에 스마트키 PCB(440)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공간을 가지는 PCB 고정대(4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430)는 상기 지지대 본체(4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430)는 관통홀(433)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433)에 상기 연결핀(45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450)은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450)의 일단은 상기 스마트키 PCB(440) 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제어 PCB(170)의 연결부(17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핀(450)은 헤드(45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452)는 상기 PCB 고정대(432)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스마트키 PCB(450)에 의해 압착되어 삽입홈(451a)으로 푸시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452)가 상기 삽입홈(451a)으로 푸시되면 상기 삽입홈(451a)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451b)의 탄성에 의해 테스트 단자(443)에 접속될 수 있다.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in which the control PCB 170 is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400 including a support body 410 , a holder 430 , and a connecting pin 450 , an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0 . Here, the holder 430 may include a PCB holder 432 having a space inside which the smart key PCB 440 is fitted and coupled. In addition, the holder 4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10 .
Here, the holder 430 may include a through hole 433 , and the connection pin 45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hrough hole 433 .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45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
In addition, one end of the through-inserted connection pin 450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key PCB 440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72 of the control PCB 170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n 450 includes a head 452, and the head 452 is pressed by the smart key PCB 450 fitted to the PCB holder 432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It can be pushed, and when the head 452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it can be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51b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451a. .

본 고안은 차량용 스마트키가 내장된 차량 제어 장치를 차량 내부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스마트키의 분실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vehicle using a user's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y moun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with a built-in vehicle smart key inside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of loss of the vehicle smart key can have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차종별 스마트키에 대응하는 PCB 고정대가 구비되며, 지지대에 탈부착되는 홀더에 의해 다양한 차종별 스마트키에 대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CB holder corresponding to the smart key for each type of vehicle, and can have versatility for the smart key for each type of vehicle by the hold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또한, 본 고안은 차량 제어 장치에 내장되는 PCB 간의 연결을 끼워 맞춤 결합으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숙련자의 기술이 필요없이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PCB 간의 연결 작업(예를 들어, 솔더링 작업) 시 발생되는 PCB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CBs embedded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the skill of a skilled person by performing the fit-and-matching method, and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PCBs (eg, sold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PCB.

또한, 본 고안은 차량 제어 장치의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외부 전력 없이도 동작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스마트키의 방전에 의해 스마트키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control device, it can operate without external power,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by charging the battery through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mart key cannot be us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smart key for the vehicle.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일면에 락커홈이 형성되고, 락커홈이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락커에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를 차량의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ker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the locker groove is fitted to a locker provid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ontrol device can be easi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또한, 본 고안은 차량 서비스 이용시 가상키를 차량 서비스 제공자와 공유하는 것에 의해 차량 서비스 이용시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 및 회수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rovide and retrieve the vehicle smart key when using the vehicle service by sharing the virtual key with the vehicle service provider when using the vehicle ser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및 락커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에 전선이 삽입된 단면도이다.
도 9c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에 전선이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1 단말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 1 서비스 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 2 서비스 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제 2 단말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차량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a case and a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6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7 .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c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first terminal of FIG. 10 .
1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first service device of FIG. 10 .
1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 service device of FIG. 10 .
1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 terminal of FIG. 10 .
15 is a flowchart of a vehicle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vehicle service system of FIG. 10 .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및 락커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에 전선이 삽입된 단면도이다. 도 9c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핀에 전선이 고정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a case and a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6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7 .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c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f previously known matters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고안의 차량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pplied to the vehicl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 제어 장치(10), 통신망(20) 및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control system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device 10 , a communication network 20 , and a terminal 30 .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Specific detail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망(20)은 차량 제어 장치(10)와 단말기(20)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와 단말기(30)를 연결하는 통신망(20)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한 연결일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연결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be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and the terminal 20 , and preferably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connect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and the terminal 30 may be a connectio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NFC, etc., and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s is selectively applied can do.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PDA와 같이 통신망(20)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면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일상에서 항상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소지 여부를 확인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rminal 3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such as a smart phone or a PDA possessed by the user. However, the terminal 30 is preferably used by the user in daily lif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smart phone that checks whether the user has it.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케이스(100) 및 덮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case 100 and a cover 200 .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100)의 개방된 면 측에 덮개(2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case 100 may have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have an open surface. The cover 200 may be coupled to the open side of the case 100 .

덮개(2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0)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면을 폐쇄할 수 있다. 덮개(200)는 케이스(100)와 분리되는 형태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덮개(2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형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들의 오류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ver 200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0 , and an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cover 200 may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100 . The cover 20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case 100 . Alternatively, the cover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100 by a hinge to be rotatab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ase 100 to prevent errors and malfunctions of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and to prevent damage by external forces at the same time.

여기서, 덮개(200)의 형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개폐 형식 등과 같이 덮개(200)를 케이스(100)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Here, the shape of the cover 20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cover 200 may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case 100, such as a slide opening/closing type.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케이스(100), 덮개(200) 및 락커(30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case 100 , a cover 200 , and a locker 300 .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 및 락커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00 may include a case body 110 and a locker groove 120 .

케이스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The case body 110 may have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may have an open surface.

락커홈(120)은 케이스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락커(300)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locker groove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and the locker 300 may be fitted and coupled.

락커(3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된 락커홈(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된 락커홈(120)에 락커(300)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것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10)를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locker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er groove 1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Accordingl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can be easi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fitting and coupling the locker 300 to the locker groove 1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케이스(100), 덮개(200), 락커(300) 및 지지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5 to 8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case 100 , a cover 200 , a locker 300 , and a support 400 .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 락커홈(120), 덮개 결합부(130), 지지대 거치부(140), PCB 고정부(150), 배터리 거치부(160), 제어 PCB(17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00 includes a case body 110 , a locker groove 120 , a cover coupling unit 130 , a support holder 140 , a PCB fixing unit 150 , a battery holder 160 , and a control PCB 170 . and a battery 180 .

케이스 본체(11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제어 PCB(170) 및 배터리(180)가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일면이 개방되어 지지대(400)가 거치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타면에 락커(300)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락커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body 110 may accommodate the control PCB 170 and the battery 180 in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is opened so that the support 400 can be mounted thereon. The case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locker groove 120 on the other surface of which the locker 300 is fitted and coupled.

락커홈(120)은 케이스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되는 락커(300)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0)는 차량의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locker groove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and the locker 300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fitted and coupled. Accordingly, the case 100 may be easi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덮개 결합부(130)는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덮개 결합부(130)는 덮개(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덮개(200)에 형성된 결합 수단(2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와 덮개(200)를 결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성이면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별도의 도구 없이 손쉽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끼워 맞춤 결합이 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coupling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 The cover coupl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means 220 formed on the cover 200 so that the cover 200 can be coupled, and the case 100 and the cover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hape and configuration. However, in order to easily assemble without a separate tool,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fitted and coupled.

지지대 거치부(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400)의 타면이 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holder 14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400 may be mounted thereon.

PCB 고정부(150)는 지지대 거치부(140)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에 수용되는 제어 PCB(170)를 고정하여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CB fixing unit 150 may protrude from the support holder 14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y fixing the control PCB 170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110 . .

배터리 거치부(160)는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180)가 거치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배터리(18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되는 배터리(1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holder 160 may accommodate the battery 18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body 110 ,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attery 180 accommodated in order to prevent the battery 180 from moving by an external force. It can be formed to be

여기서, 배터리 거치부(160)는 도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배터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추형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거치부(160)는 배제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추형 배터리 또는 소형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 배터리 거치부(160)가 제외되어 차량 제어 장치(10)의 사이즈가 소형화 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holder 160 is show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generally used cylindrical battery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 button-type battery is used or a small battery is used, the battery holder 160 may be excluded. That is, it may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and when a button-type battery or a small battery is used, the battery holder 160 is excluded so that the siz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can be reduced.

제어 PCB(170)는 제어 PCB판(171), 연결부(172), 통신부(173), PCB 제어부(174) 및 전원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CB 170 may include a control PCB board 171 , a connection unit 172 , a communication unit 173 , a PCB control unit 174 , and a power supply unit 175 .

제어 PCB판(171)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PCB 고정부(150)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ntrol PCB board 17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 and may be fixed by the PCB fixing unit 150 to prevent movemen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연결부(172)는 다수의 연결단자(17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연결선(EL) 및 다수의 연결핀(450)을 통해 스마트키 PCB(440)의 테스트 단자(44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72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72a,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s 443 of the smart key PCB 440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ines EL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450. have.

통신부(173)는 단말기(30),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73)와 단말기(30)의 통신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3 may provid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30 , for example, a smartphone, and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martphone. In this case,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may be applie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73 and the terminal 30 .

PCB 제어부(174)는 통신부(173)을 통해 택트 스위치(442)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를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후 해당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테스트 단자(443)에 해당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CB 제어부(174)는 전원부(17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 레벨로 변환한 후 이를 제어 신호에 의해 파악된 택트 스위치(442) 기능에 대응한 연결단자(172a)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단자(172a), 연결선(EL), 연결핀(450)을 경유하여 테스트 단자(443)에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으로 스마트키 PCB(440) 상의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 PCB(440) 상의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로 해당 택트 스위치(442)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The PCB control unit 174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each function of the tact switch 442 from the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3, analyzes the control signal, and sends the tact switch ( 442) may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being turned on. To this end, the PCB control unit 174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5 into an electrical signal level corresponding to the tact switch 442 being turned on, and then applies it to the tact switch 442 function identified by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172a). At this tim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 of the tact switch 442 may be supplied to the test terminal 443 via the connection terminal 172a, the connection line EL, and the connection pin 45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on the smart key PCB 440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tact switch 442 is ON, and the control unit on the smart key PCB 440 is the main controller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442) can be transmitted.

전원부(175)는 배터리(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PCB 제어부(174)로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5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80 , and may supply the received power to the PCB control unit 174 .

배터리(180)는 배터리 거치부(16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제어 PCB(17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off 되더라도 차량 제어 장치(10)가 자체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180)는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180)가 방전되어 차량 제어 장치(10)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케이스 본체(110) 일측에 충전 포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180 may be mounted on the battery holder 16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CB 170 to supply power. Accordingly, even if the vehicle is started of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may operate with its own power. The battery 180 may be charg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and accordingly,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cannot be used due to the battery 180 being discharged may be prevented. A charging por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to charge the battery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여기서, 배터리(180)는 도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배터리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단추형 배터리, 사각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로 대체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180 is illustrated as a generally used cylindrical battery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batteries such as button-type batteries and square batteries.

덮개(20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지지대(4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덮개(2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지지대(400)가 차량의 진동이나 이동에 의해 원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0)와 지지대(400) 사이에 구비되는 제어 PCB(170) 및 배터리(18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제어 PCB(170) 및 배터리(18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ver 200 may accommodate the support 400 in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0 . The cover 200 may prevent the support 4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vibration or movement of the vehicle by being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trol PCB 170 and the battery 180 provided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support 400 or damage to the control PCB 170 and the battery 180 .

덮개(200)는 기설정된 위치에 램프홈(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홈(210)에 램프가 삽입될 수 있다. 램프(L)는 제어 PCB(17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L)는 제어 PCB(170)의 제어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1)의 동작의 오작동 또는 오류에 대한 이상 유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램프(L)를 통해 내장된 배터리의 부족과 같이 차량 제어 장치(1)에 대한 상태 이상 유무에 대해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200 may have a lamp groove 210 formed at a preset position, and a lamp may be inserted into the lamp groove 210 . The lamp L may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CB 170 . For example, the lamp L may indicat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malfunction or error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CB 170 . It may be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whether there is a state abnormality with respect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such as a shortage.

램프(L)는 작동 이상 유무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오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상 발생 원인에 대해 바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The lamp L may display an error in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operation abnormality,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action immediately on the cause of the abnormality.

덮개(2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결합되기 위해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덮개(200)의 일면에 케이스(100)의 덮개 결합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결합 수단(2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수단(220)은 덮개 결합부(130)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성이면 한정하기 않는다. 그러나 별도의 도구 없이 손쉽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끼워 맞춤 결합이 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200 is a coupling means 2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ver coupl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on one surface of the cover 200 coupled to the case 100 in order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0 . can be formed. The coupling means 22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hape and configura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part 130 . However, in order to easily assemble without a separate tool,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fitted and coupled.

락커(300)는 차량의 내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타면에 형성된 락커홈(120)에 끼워 맞춤 결합되기 위해 락커홈(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제어 장치(10)가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locker 30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cker groove 120 in order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locker groove 1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 Accordingl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can be easily fixed inside the vehicle.

지지대(400)는 지지대 본체(410), 배터리 수용부(420), 홀더(430), 스마트키 PCB(440) 및 연결핀(4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400 may include a support body 410 , a battery receiving unit 420 , a holder 430 , a smart key PCB 440 , and a connection pin 450 .

지지대 본체(410)는 케이스(100)의 일면 즉, 케이스(100)의 개방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 본체(410)는 일면에 스마트키 PCB(440)가 결합된 홀더(4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면이 지지대 거치부(140)에 거치될 수 있다. 지지대 본체(410)은 일면에 홀더(4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430)의 결합판(431)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태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 본체(410)에 홀더(430)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은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대 본체(410)에 홀더(430)가 거치되면 지지대 본체(410)에 형성되는 제 1 나사공(412)과 홀더(430)의 외주면에서 제 1 나사공(4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나사공(435)을 나사 볼트(V)로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4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 that is, an open side of the case 100 . The holder 430 to which the smart key PCB 44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10 may be detachably coupled,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holder 140 . The support body 410 may have a coupling hole 411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late 431 of the holder 430 so that the holder 43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thereof. The means for assembling the holder 430 to the support body 410 is not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holder 430 is mounted on the support body 410 , the first screw hole 412 formed in the support body 410 and the first screw hole 412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er 430 correspond to the A method of coupling the second screw hole 435 formed in the position with a screw bolt (V) may be used.

배터리 수용부(420)는 지지대 본체(410)의 일측에서 배터리(1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180)를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420)는 배터리 거치부(160)와 결합되어 배터리(18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배터리(18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4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ttery 180 on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410 , and may accommodate the battery 180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110 .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420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holder 160 to accommodate the battery 180 , and may prevent the battery 180 from being moved by an external force.

여기서, 배터리 수용부(420)는 배터리 거치부(160)와 마찬가지로 도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배터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추형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수용부(420)은 배터리 거치부(160)와 함께 배제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추형 배터리 또는 소형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 배터리 거치부(160) 및 배터리 수용부(420)가 제외되어 차량 제어 장치(10)의 사이즈가 소형화 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420 is show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battery generally used in the drawings, like the battery holding part 16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 button-type battery is used or a small battery is use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420 may be excluded together with the battery holding part 160 . That is, it may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and when a button-type battery or a small battery is used, the battery holder 160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420 are excluded to reduce the siz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 . can be

홀더(430)는 결합판(431), PCB 고정대(432),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430 may include a coupling plate 431 , a PCB holder 432 , a through hole 433 , and a protruding support 434 .

결합판(431)은 지지대 본체(410)에 형성된 결합홀(41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4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4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411 formed in the support body 410 ,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11 .

PCB 고정대(432)는 결합판(431)의 일면에 스마트키 PCB(44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PCB 고정대(432)에 스마트키 PCB(440)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PCB holder 432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mart key PCB 440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31 , and the smart key PCB 440 is provided on the PCB holder 432 . It can be fitted with a fit.

관통홀(433)은 스마트키 PCB(440)에 구비된 테스트 단자(44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결합판(43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433)은 연결핀(45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33 may b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late 4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st terminal 443 provided on the smart key PCB 440 .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433 may be inserted and fixed with the connection pin 450 .

돌출 지지부(434)는 관통홀(4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판(431)의 일면으로 기설정된 높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433)과 동일한 지름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지지부(434)는 관통홀(433)을 관통한 연결핀(45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연결핀(450)을 지지하여 연결핀(450)의 헤드(452)가 접속되는 테스트 단자(44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지지부(434)는 삽입된 연결핀(450)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455)가 돌출 지지부(434)의 내측면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핀(450)이 삽입 고정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support 434 may be formed to protrude as much 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433 , and may be hollow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through hole 433 . have. The protruding support 434 may have a connection pin 45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33 inserted thereinto, and support the inserted connection pin 450 to connect the head 452 of the connection pin 450 to the test terminal. Deviation from (443)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protruding support 434 is sepa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455 formed on the side of the inserted connecting pin 450 is fix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434 and the connecting pin 450 is inserted and fixed.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스마트키 PCB(440)는 사용자의 기 사용중인 스마트키를 분해하여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키 PCB(440)는 스마트키 PCB판(441), 택트 스위치(442) 및 테스트 단자(4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key PCB 440 may be obtained by disassembling the smart key in use by the user. The smart key PCB 440 may include a smart key PCB plate 441 , a tact switch 442 and a test terminal 443 .

스마트키 PCB판(441)은 스마트키 PCB판(4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PCB 고정대(432)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스마트키 PCB판(441)는 일면에 택트 스위치(4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면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테스트 단자(443)가 구비될 수 있다.The smart key PCB plate 441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PCB holder 43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mart key PCB plate 441 . The smart key PCB board 441 may be provided with a tact switch 442 on one surface, and a test terminal 44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택트 스위치(442)는 스마트키 PCB판(44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푸시와 복귀를 하면서 ON/OF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442)는 ON/OFF 동작에 따라 해당 스위치에 할당된 동작(도어 LOCK, UNLOCK 및 트렁크 UNLOCK) 수행을 위한 제어 명령을 스마트 PCB(440) 상의 제어부를 통해 차량 내의 메인 컨트롤러(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 LOCK, UNLOCK 및 트렁크 UNLOCK 개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e tact switch 442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mart key PCB board 441, and as is well known, an ON/OFF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pushing and returning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tact switch 442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door LOCK, UNLOCK, and trunk UNLOCK)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 according to the ON/OFF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on the smart PCB 440 to the main controller (ECU (Electronic Electronic Unit)) in the vehicle. Control Unit), not shown). Accordingly, door lock, UNLOCK, and trunk UNLOCK opening operations of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테스트 단자(443)는 스마트키 PCB판(441)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키 PCB(440)가 PCB 고정대(432)에 결합되면 연결핀(450)을 압착하면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연결핀(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단자(443)는 스마트키 PCB(440)의 제조 단계에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용 스마트키 각각의 기능(LOCK, UNLOCK, TRUNK, ALARM 등)을 가지는 택트 스위치(442)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test terminal 44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mart key PCB plate 441 , and when the smart key PCB 440 is coupled to the PCB holder 432 , the connection pins 450 are fixed while pressing the connection pins 450 .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450 . The test terminal 443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fec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smart key PCB 440, and a tact switch 442 having each function (LOCK, UNLOCK, TRUNK, ALARM, etc.) of the vehicle smart key. Each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테스트 단자(443)는 택트 스위치(443)와 제어부(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택트 스위치(442)가 ON되는 경우 그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단자(443)에 택트 스위치(442)가 ON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한 후 제어부의 동작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키 PCB의 불량 및 정상 판정을 할 수 있다.The test terminal 443 may be located between the tact switch 443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may be located on a path that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tact switch 442 is turned 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PCB is defective or normal by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 of the tact switch 442 to the test terminal 443 and then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테스트 단자(443)는 제어 PCB(170)가 택트 스위치(442)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를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후 해당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 PCB(17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단자(443)가 해당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 PCB(170)로부터 전달받으면 스마트키 PCB(440) 상의 제어부가 해당 택트 스위치(442)가 ON 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 PCB(440) 상의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로 해당 택트 스위치(442)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택트 스위치(442)에 대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The test terminal 443 corresponds to the control PCB 17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or each function of the tact switch 442 from the terminal 30 and analyzing th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corresponding tact switch 442 One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CB 170 . At this time, when the test terminal 443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ct switch 442 being turned on from the control PCB 170, the control unit on the smart key PCB 440 turns on the tact switch 442 can be recognized, and the control unit on the smart key PCB 44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act switch 442 to the main controller inside the vehicle. Accordingly,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act switch 442 may be performed.

연결핀(450)은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를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관통 삽입된 연결핀(450)의 일단은 스마트키 PCB(440)의 테스트 단자(443)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타단이 제어 PCB(170)의 연결부(17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핀(450)은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 전도도가 높은 도체 재질일 수 있으며, 연결핀(450)의 형상은 제어 PCB(450)와 스마트키 PCB(4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하지 않는다. 연결핀(450)은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에 각각 솔더링 작업을 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 중 어느 하나에 솔더링 작업을 하고 나머지 하나는 직접 접속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즉,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The connecting pin 45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434 , and one end of the through-inserted connecting pin 450 is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of the smart key PCB 440 .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72 of the control PCB 170 . The connection pin 450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an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in 450 is the control PCB 450 and the smart key PCB. The PCB 44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nection pin 450 may be connected by soldering to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respectively, and soldering to any one of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and the other can be connected by direct connection. That is, a method for connecting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is not limited.

그러나 연결핀(450)은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를 연결하기 위해 솔더링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숙련자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동시에 숙련자가 솔더링 작업을 하더라도 PCB가 손상되는 위험 부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nnection pin 450 is soldered to connect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the skilled skill of the skilled person is required, and accordingly, the work time is prolonged and the skilled person solder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PCB is damaged even if the work is don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연결핀(4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connection pin 450 of a preferred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연결핀(450)은 몸체(451), 헤드(452), 거치부(453), 돌출부(454) 및 후크(455)를 포함할 수 있다.9A to 9C , the connecting pin 450 may include a body 451 , a head 452 , a mounting portion 453 , a protrusion 454 , and a hook 455 .

몸체(451)는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를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돌출 지지부(4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몸체(451)는 일측에 기설정된 깊이의 삽입홈(45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451a)의 내부에 탄성 부재(451b)가 내장될 수 있다.The body 451 may be insert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434 , and may be supported by the protruding support 434 . The body 451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451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elastic member 451b may be embedded in the insertion groove 451a.

삽입홈(451a)은 헤드(452)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헤드(452)는 탄성 부재(451b)에 의해 스마트키 PCB(450)의 테스트 단자(443)에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head 452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and the inserted head 452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of the smart key PCB 450 by the elastic member 451b. have.

탄성 부재(451b)는 PCB 고정대(432)에 스마트키 PCB(440)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것에 의해 헤드(452)가 압착되어 삽입홈(451a)으로 푸시되면 탄성 부재(451b)의 탄성에 의해 윈 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스마트키 PCB(440)의 테스트 단자(443)에 견고하게 접속되게 할 수 있다.When the elastic member 451b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by pressing the head 452 by the smart key PCB 440 being fitted and coupled to the PCB holder 432, the elastic member 451b wins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51b. It can be securely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of the smart key PCB 440 by using the property to return to the position.

여기서, 탄성 부재(451b)는 재질을 한정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50) 간의 전기 전도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이 도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astic member 451b may be used without limiting the material,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spring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50 .

헤드(452)는 몸체(45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몸체(451)의 일측에 구비된 삽입홈(451a)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는(452) PCB 고정대(432)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스마트키 PCB(450)에 의해 압착되어 삽입홈(451a)으로 푸시될 수 있으며, 헤드(452)가 삽입홈(451a)으로 푸시되면 삽입홈(451a)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451b)의 탄성에 의해 테스트 단자(443)에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다.The head 45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451 , and one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451 . The head 452 may be pressed by the smart key PCB 450 fitted to the PCB holder 432 and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and inserted when the head 452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It may be firmly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51b provided in the groove 451a.

거치부(453)은 몸체(45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45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거치부(453)은 몸체(451)을 관통홀(433)에 삽입 시 몸체(451)가 관통홀(433)에 거치될 수 있게 하는 것과 동시에 몸체(451)이 기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45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451 , an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451 . The mounting part 453 allows the body 451 to be mounted in the through hole 433 when the body 45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3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body 451 to be inserted by a predetermined depth. It can act as a stopper.

돌출부(454)는 거치부(453)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선(EL)이 연결되거나 제어 PCB(17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돌출부(454)는 일측에 축방향으로 고정홈(45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454a)에 연결선(EL)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454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453 , and the connection line EL may be connected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PCB 170 . A fixing groove 454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454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line EL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groove 454a.

고정홈(454a)은 연결선(EL)이 삽입된 상태로 솔더링 될 수 있으나 연결선(EL)을 삽입한 상태로 돌출부(454)를 우그러트리는 것에 의해 연결선(EL)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련자의 숙련 기술 없이 연결선(EL)을 고정 연결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454a may be solder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EL is inserted, but the connection wire EL may be fixed by crushing the protrusion 454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re EL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onnection line EL can be fixedly connected without the skill of a skilled person.

연결선(EL)은 일측이 고정홈(454a)에 삽입될 수 있으며, 타측은 제어 PCB(17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선(EL)은 타측이 제어 PCB(170)에 솔더링 될 수 있으나 끼워 맞춤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어 PCB(170)의 일면에 연결선(EL)의 타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172)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EL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454a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CB 170 .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EL may be soldered to the control PCB 170 , but it is formed in a fitting shape to fit into the connection part 172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line EL on one surface of the control PCB 170 . can be combin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솔더링 작업없이 끼워 맞춤 결합만으로 차량 제어 장치(1) 전체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ssemble the entire vehicle control device 1 only by fitting and coupling without a soldering operation.

후크(455)는 몸체(45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부(453)로부터 몸체(451)가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455)는 몸체(451)가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에 끼워 맞춤 결합되면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몸체(451)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ok 455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451,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unting portion 453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45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434. can be formed. The hook 455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434 when the body 451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434 so that the body 45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eparation can be prevented.

후크(455)는 몸체(451)의 측면에서 몸체(451)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후크(455)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고, 관통홀(433) 및 돌출 지지부(434)에 삽입되어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한정하지 않는다.The hook 455 may be formed from the side of the body 451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ody 451 , but at least one hook 455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hape of the hook 455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3 and the protruding support 434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If it is a shape, it will not limit.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차량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앞서 설명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above-described matters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도 10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차량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제어 장치(1000), 근거리 통신망(2000), 제 1 단말(3000), 제 1 서비스 장치(4000), 제 2 서비스 장치(5000), 제 2 단말(6000), 이동 통신망(70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3000)은 도 1의 단말기(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단말(3000)은 차량 제어 장치가 탑재된 차량 소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제 2 단말(6000)은 제 1 단말(3000)의 소유자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를 수행하는 주체가 소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제 1 단말(3000)과 제 1 서비스 장치(4000), 제 2 서비스 장치(5000)와 제 2 단말(6000)은 이동 통신망(6000)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 1 서비스 장치(4000)와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인터넷망(미도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vehicl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control device 1000 , a local area network 2000 , a first terminal 3000 , a first service device 4000 , a second service device 5000 , and a second 2 may include a terminal 60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0 . The first terminal 300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terminal 30 of FIG. 1 . The first terminal 3000 may be a terminal of a vehicle owner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device is mounted.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be a terminal owned by a subject performing a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owner of the first terminal 3000 . The first terminal 3000 and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a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and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communicat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6000 .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a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communicate through an Internet network (not shown).

도 11을 참고하면, 제 1 단말(3000)은 가상키(3100), 서비스 UI(3200, service user interface), 통신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terminal 3000 may include a virtual key 3100 , a service UI 3200 , and a communication unit 3300 .

가상키(31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키(3100)는 제 1 단말(3000)의 프로세서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가상키(3100)는 제 1 단말(3000) 화면을 통해 차량 잠금 및 해제 관련된 유저의 명령(이하,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키(3100)는 차량 도어의 Lock/Unlock, 트렁크 Unlock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virtual key 310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 The virtual key 3100 may be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rocessor of the first terminal 3000 . The virtual key 3100 may receive a user's command (hereinafter,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related to vehicle locking and unlocking through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3000. For example, the virtual key 3100 is a vehicle Door lock/unlock and trunk unlock buttons can be provided.

가상키(3100)는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2000)은 도 1의 통신망(20)과 동일할 수 있다. 가상키(3100)가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할 때, 보안 접속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이때, 가상키(31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에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3100)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100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인증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때 차량 제어 장치(1000)와 가상키(3100)는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표준에서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The virtual key 3100 may interwork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 Here, the local area network 2000 may b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of FIG. 1 . When the virtual key 3100 accesse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it may be based on a secure access method.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3100 may be authentica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by providing at least one of a security key, a security code, and an identifier (ID) of the virtual key 3100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 have.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and the virtual key 3100 may be connected (eg, paired in a Bluetooth standard).

가상키(3100)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통신부(330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1000)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제어 동작(차량 도어의 Lock/Unlock, 트렁크 Unlock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0)는 도 1의 차량 제어 장치(10)와 동일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0) 내의 PCB 제어부(174, 도 5 참조)는 통신부(173, 도 5 참조)를 통해 제 1 단말(1000)로부터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PCB 제어부(174)는 수신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PCB 제어부(174)는 판독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대응한 테스트 단자(443, 도 5 참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마트키 PCB(440, 도 5 참조)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대응한 택트 스위치(442, 도 5 참조)가 조작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 PCB(440, 도 5 참조)는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로 해당 택트 스위치(442, 도 5 참조)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는 전기 신호를 통해 해당 제어 명령에 대응한 차량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virtual key 3100 receives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irtual key 3100 may transmit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0 .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receiving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may perform a vehicle control operation (lock/unlock of a vehicle door, unlock a trunk, etc.) according to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may be the same as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 of FIG. 1 . The PCB controller 174 (refer to FIG. 5 )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may receive a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from the first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3 (refer to FIG. 5 ). The PCB control unit 174 may read the received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In addition, the PCB control unit 174 may supply power to the test terminal 443 (refer to FIG. 5 ) corresponding to the read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Accordingly, the smart key PCB 440 (refer to FIG. 5) may recognize that the tact switch 442 (refer to FIG. 5) corresponding to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has been operated. In addition, the smart key PCB 440 (refer to FIG. 5)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act switch 442 (refer to FIG. 5) to the main controller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inside the vehicle may perform a vehicle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rough the electric signal.

서비스 UI(3200, Service User Interface)는 차량 서비스에 대한 UI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UI(3200)는 제 1 단말(3000)의 프로세서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서비스 UI(3200)는 차량 서비스 신청 및 이용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300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 1 단말(3000) 화면을 통해 서비스 UI(3200)가 제공될 수 있다. 유저는 서비스 UI(3200)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비스 장치(4000)에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차량 정비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는 차종, 연식, 유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가 대리 운전을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는 출발위치, 도착위치,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시 유저가 제공 받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서비스 UI(3200)가 제 1 서비스 장치(41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UI 3200 (Service User Interface) may provide a UI for a vehicle service to the user. The service UI 3200 may be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rocessor of the first terminal 3000 . The service UI 32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and using a vehicle service. A servic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in the first terminal 3000 . In this case, the service UI 320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3000 . The user may make a service request through the service UI 3200 . In this case, information for a service provider search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For example, when a user requests vehicle maintenance, the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a vehicle model, year, type, and the like. When a user requests a surrogate driving, the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a departure location, an arrival location, a cost,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requesting a service, the service UI 320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100 .

서비스 UI(32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UI(3200)는 유저에게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저가 서비스 UI(3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면, 서비스 UI(32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UI 3200 may receiv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ervice provider. In this case, the service UI 3200 may provide a UI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 service provider. When the user selects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service UI 3200 , the service UI 32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통신부(33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와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접속 방식에 의할 수 있다. 통신부(3300)는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300)는 이동통신망(7000)을 통해 제 1 서비스 장치(40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30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 In this case, it may be based on a secure access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3300 may acces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using at least one of a security key, a security code, and a virtual key identifier (I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3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0 .

제 1 서비스 장치(4000)는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 가상키 관리부(4200), 통신부(4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may include a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 a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 and a communication unit 4300 .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 가상키 관리부(4200), 통신부(4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may include a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 a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 and a communication unit 4300 .

제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1 단말(30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유저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식별된 차량 서비스와 관계된 제 2 서비스 장치(5000)에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유저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를 회원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정보 제공 플랫폼의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의 요청시,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1 단말(30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를 제 2 서비스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receive a service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3000 . In this case, the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may identify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request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related to the identified vehicle service. Here,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person or a company that provides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vehicle service provider or an operator of a vehic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whose members are companies. When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der search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3000 to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 .

제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2 서비스 장치(5000)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시, 제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서비스 제공자 검색기준을 제 2 서비스 장치(50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와 동일하거나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request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 When requesting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provide the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a to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 The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a may be the same as or include a part of the information for the service provider search.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2 서비스 장치(50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2 서비스 장치(50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 1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receiv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 In addition,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provide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to the first terminal 300 .

가상키 관리부(4200)는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단말(6000, 이하, ‘제 2 단말’로 가상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키 관리부(4200)는 제 2 단말(6000)이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예를 들어,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 식별자 등, 여기서 가상키 식별자는 제 1 단말의 가상키 식별자)를 제 2 단말(600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키 관리부(4200)는 단말에서 가상키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키가 차량 제어 장치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보안 정보(각각의 가상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자, 보안코드, 보안키 등)를 관리할 수 있다.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provide the virtual key to the terminal 6000, hereinafter, 'second terminal' owned by the service provider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is the second terminal 6000. Security information (eg, security key, security code, virtual key identifier, etc., where the virtual key identifier is the virtual key identifier of the first terminal) required for access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6000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provide an application for generating a virtual key in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security information (each virtual key application) used for the virtual key to access the vehicle control device. identifier, security code, security key, etc.) can be managed.

가상키 관리부(4200)는 제 2 단말(6000)로부터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수신한 때 가상키를 회수할 수 있다. 이때, 가상키 관리부(4200)는 가상키 소멸 명령을 제 2 단말(60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키 소멸 명령을 수신한 제 2 단말(6000)에 설치된 가상키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챠량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종료하였음을 제 2 단말(600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단말(6000) 상의 가상키가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6000)은 차량이 대리 운전 도착지에 도착한 것을 GPS를 통해 인식한 때, 외부(예를 들어, 제 1 서비스 장치)로부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수신한 때 또는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제출한 때에 자동으로 차량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recover the virtual key when receiving the service termination report from the second terminal 6000 .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transmit a virtual key destruction command to the second terminal 6000 . The virtual key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6000 that has received the virtual key destruction command may delete security information required when acces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terminal 6000 automatically or manually recognizing that the vehicle service provider has terminated the service, the security required when the virtual key on the second terminal 6000 connects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Here, when the second terminal 6000 recognizes through GPS that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surrogate driving destination,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that the service has been completed from the outside (eg, the first service device), or a service termination report You can see that the vehicle service is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you submit it.

통신부(4300)는 제 1 단말(3000과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4300)는 인터넷망을 통헤 제 2 서비스 장치(50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3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30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4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유저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를 회원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정보 제공 플랫폼의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 1 서비스 장치(4000)와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운영 주체가 동일할 수도 있다.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카카오대리운전 서비스 서버, 8282 대리운전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차량 서비스 별, 서비스 사업자 별로 운영되는 복수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 운영자와 사업상 약정된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person or a company that provides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vehicle service provider or an operator of a vehic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whose members are companies.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a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have the same operating subject.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Kakao surrogate operation service server and an 8282 surrogate operation service server.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ny one of a plurality of servers operated for each vehicle service and each service provider. That is, there may be at least one second service device 5000 , a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the operator of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and a business operator contracted for business.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 및 통신부(5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include a second service providing unit 5100 and a communication unit 5200 .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상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개인 또는 회사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검색시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한 유저가 제시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비스 제공자 검색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 외 검색 조건(예를 들어, 유저와 서비스 제공자와의 지리적인 거리)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provider 5100 may receive a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The second service provider 5100 may search for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on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quest. To this e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operate a service provider database (not shown). Here, the 'service provider' may be an individual or a company. 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a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on presented by a user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may be used. Alternatively, when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a search condition other than the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a (eg, geographic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may be used.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는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provider 5100 may transmit the searched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통신부(52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2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제 2 단말(6000)은 서비스 제공자 소유의 단말기일 수 있다. 제 2 단말(6000)은 이동통신이 지원되고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지원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6000)은 스마트폰, PDA 등일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be a terminal owned by a service provider.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be a terminal in which mobile communication is supported and application installation is supported.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be a smart phone, a PDA, or the like.

제 2 단말(6000)은 가상키(6100), 서비스 UI(6200), 통신부(630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가상키(6100), 서비스 UI(6200)는 제 2 단말에 기 설치되고,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서비스 단계에서 요구되는 사항 만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가상키(6100), 서비스 UI(6200)는 제 2 단말에 기 설치되고 차량 서비스를 요청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장치에 보안 접속하기 위한 정보 만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include a virtual key 6100 , a service UI 6200 , and a communication unit 6300 . The virtual key 6100 and the service UI 6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e-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and only matters required in the vehicle service step using the virtual key may be performed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ehicle service. For example, the virtual key 6100 and the service UI 6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e-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and provide only information for secure access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requesting the vehicle servic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ehicle service. can be set.

가상키(61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키(6100)는 제 2 단말(6000)의 프로세서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가상키(6100)는 제 2 단말(3000) 화면을 통해 차량 잠금 및 해제 관련된 유저의 명령(이하,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키(6100)는 차량 도어의 Lock/Unlock, 트렁크 Unlock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The virtual key 610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 The virtual key 6100 may be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rocessor of the second terminal 6000 . The virtual key 6100 may receive a user's command related to locking and unlocking the vehicle (hereinafter,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creen of the second terminal 3000. For example, the virtual key 6100 is a vehicle Door lock/unlock and trunk unlock buttons can be provided.

가상키(6100)는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2000)은 도 1의 통신망(20)과 동일할 수 있다. 가상키(6100)가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할 때, 보안 접속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이때, 가상키(61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에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3100)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차량 제어 장치(100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인증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때 차량 제어 장치(1000)와 가상키(6100)는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표준에서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제 2 단말(6000)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될 때 사용되는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3100) 식별자(ID)와 같은 보안 정보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The virtual key 6100 may interwork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 Here, the local area network 2000 may b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of FIG. 1 . When the virtual key 6100 accesse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it may be based on a secure access method.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6100 may be authentica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by providing at least one of a security key, a security code, and an identifier (ID) of the virtual key 3100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 have.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and the virtual key 6100 may be connected (eg, paired in a Bluetooth standard). Security information such as a security key, security code, and virtual key 3100 identifier (ID) used when the second terminal 60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can

가상키(6100)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통신부(630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6000)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제어 동작(차량 도어의 Lock/Unlock, 트렁크 Unlock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0)는 도 1의 차량 제어 장치(10)와 동일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0) 내의 PCB 제어부(174, 도 5 참조)는 통신부(173, 도 5 참조)를 통해 제 2 단말(1000)로부터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PCB 제어부(174)는 수신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을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PCB 제어부(174)는 판독된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대응한 테스트 단자(443, 도 5 참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마트키 PCB(440, 도 5 참조)는 유저의 차량 제어 명령에 대응한 택트 스위치(442, 도 5 참조)가 조작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 PCB(440, 도 5 참조)는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로 해당 택트 스위치(442, 도 5 참조)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내부의 메인 컨트롤러는 전기 신호를 통해 해당 제어 명령에 대응한 차량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키(61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가상키 소멸 명령을 수신한 때,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하고 차량 서비스를 요청한 유저가 소유한 차량 상의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하는데 사용한 보안 정보(차량 서비스를 요청한 유저가 소유한 차량 상의 차량 제어 장치(1000)와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하기 위해 인증 절차에서 사용되는 보안코드, 보안키, 제 1 단말 유저의 가상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삭제할 수 있다. 가상키(6100)는 챠량 서비스 제공자가 차량 서비스를 종료하였음을 제 2 단말(600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단말(6000) 상의 가상키가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6000)은 차량이 대리 운전 도착지에 도착한 것을 GPS를 통해 인식한 때, 외부(예를 들어, 제 1 서비스 장치)로부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수신한 때 또는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제출한 때에 자동으로 차량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When the virtual key 6100 receives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irtual key 6100 may transmit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300 .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0 that has received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may perform vehicle control operations (lock/unlock the vehicle door, unlock the trunk, etc.) according to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may be the same as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 of FIG. 1 . The PCB control unit 174 (refer to FIG. 5 )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may receive a vehicle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from the second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3 (refer to FIG. 5 ). The PCB control unit 174 may read the received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In addition, the PCB control unit 174 may supply power to the test terminal 443 (refer to FIG. 5 ) corresponding to the read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Accordingly, the smart key PCB 440 (refer to FIG. 5) may recognize that the tact switch 442 (refer to FIG. 5) corresponding to the user's vehicle control command has been operated. In addition, the smart key PCB 440 (refer to FIG. 5)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act switch 442 (refer to FIG. 5) to the main controller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inside the vehicle may perform a vehicle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rough the electric signal. The virtual key 6100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when receiving the virtual key destruction comman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an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on the vehicle owned by the user who requested the vehicle service. Security information used to access (security code, security key, virtual key application identifier of the first terminal user)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o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on the vehicle owned by the user who requested the vehicle service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can be dele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terminal 6000 automatically or manually recognizing that the vehicle service provider has terminated the vehicle service, the virtual key 6100 transmits the virtual key on the second terminal 6000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 You can automatically delete security information required for access. Here, when the second terminal 6000 recognizes through GPS that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surrogate driving destination,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that the service has been completed from the outside (eg, the first service device), or a service termination report You can see that the vehicle service is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you submit it.

서비스 UI(6200, Service User Interface)는 차량 서비스에 대한 UI를 제 2 단말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UI(6200)는 제 2 단말(3000)의 프로세서 상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The service UI 6200 (Service User Interface) may provide a UI for the vehicle service to the second terminal user. The service UI 6200 may be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rocessor of the second terminal 3000 .

서비스 UI(6200)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가상키를 제공 받는 절차(?리 표현하면, 차량 제어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정보를 제공 받는 절차) 및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제출하는 절차를 제 2 단말(6000) 유저가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단말(6000)은 제 1 단말(3000) 유저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가 종료된 사실을 제 1 서비스 장치(4000)에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세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해당 차량 서비스에 대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ice UI 6200 provides a procedure for receiving a virtual key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in other words, a procedure for receiving security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procedure for submitting a service termination report. 2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perform the terminal 6000 .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report the fact that the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0 has ended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In this case, the three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may perform settlement for the corresponding vehicle service.

통신부(6300)는 차량 제어 장치(1000)와 근거리 통신망(2000)을 통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접속 방식에 의할 수 있다. 통신부(6300)는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300)는 이동통신망(7000)을 통해 제 1 서비스 장치(400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630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2000 . In this case, it may be based on a secure access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6300 may acces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using at least one of a security key, a security code, and a virtual key identifier (I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3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0 .

이하, 본 고안의 차량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차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 본 시스템의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Hereinafter, a vehicle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vehicl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ystem can be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먼저, 차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제 1 단말(3000) 상에서 실행되고, 차량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UI(3200)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S151). First, the vehicle servic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on the first terminal 3000 , and the service UI 3200 for the vehicle servi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 S151 ).

이때, 제 1 단말(3000)의 유저는 서비스 UI(3200)를 통해 차량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S152). 이때, 제 1 단말(3000)은 제 1 서비스 장치(4000)에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차량 정비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는 차종, 연식, 유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가 대리 운전을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는 출발위치, 도착위치,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시 유저가 제공 받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서비스 UI(3200)가 제 1 서비스 장치(4100)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0 may make a vehicle service request through the service UI 3200 (S152).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300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a service provider search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For example, when a user requests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a vehicle model, year, type, and the like. When a user requests a surrogate driving, the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a departure location, an arrival location, a cost,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 service request is made, the service UI 320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100 .

제 1 단말(30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때,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유저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식별된 차량 서비스와 관계된 제 2 서비스 장치(5000)에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53). 여기서,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유저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를 회원으로 하는 차량 서비스 정보 제공 플랫폼의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의 요청시,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1 단말(30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검색을 위한 정보를 제 2 서비스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3000 , the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may identify a vehicle service that the user desires to use. Then,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request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related to the identified vehicle service ( S153 ). Here,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person or a company that provides a vehicle service desir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vehicle service provider or an operator of a vehicl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platform whose members are companies. When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is requested,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for service provider search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3000 to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 .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을 수신한 때,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 요청 상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할 수 있다(S154). 이를 위해, 제 2 서비스 장치(5000)는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는 개인 또는 회사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검색시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한 유저가 제시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비스 제공자 검색시 서비스 제공자 검색 기준 외 검색 조건(예를 들어, 유저와 서비스 제공자와의 지리적인 거리)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receiving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the second service provider 5100 may search for a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a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quest (S154) . To this end,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may operate a service provider database (not shown). Here, the 'service provider' may be an individual or a company. 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a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on presented by a user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may be used. Alternatively, when searching for a service provider, a search condition other than the service provider search criteria (eg, geographic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may be used.

제 2 서비스 제공부(5100)는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 전송할 수 있다(S155).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 정보는 제 1 단말(3000) 유저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정보는 유저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또는 회사 각각의 서비스 조건(비용, 소재 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provider 5100 may transmit the searched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S155 ). The searched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erson or company that provides the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0 .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may include service conditions (cost, location, etc.) of each person or company that provides the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는 제 2 서비스 장치(50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 1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156).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may provide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service device 5000 to the first terminal 300 (S156).

이때, 제 1 단말(3000) 유저는 서비스 UI(3200)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제공자 정보 상에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S157).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0 may select one service provider from the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UI 3200 ( S157 ).

제 1 단말(3000)은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에 관한 정보를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 전송할 수 있다(S158). The first terminal 30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ervice provider to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S158).

이때, 가상키 관리부(4200)는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단말(6000, 이하, ‘제 2 단말’로 가상키를 제공할 수 있다(S159). 이때, 가상키 관리부(4200)는 제 2 단말(6000)이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예를 들어, 보안키, 보안 코드 및 가상키 식별자 등, 여기서 가상키 식별자는 제 1 단말의 가상키 식별자)를 제 2 단말(6000)에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provide the virtual key to the terminal 6000, hereinafter, 'second terminal' owned by the service provider selected by the user (S159).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2 When the terminal 6000 accesse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the necessary security information (eg, security key, security code, virtual key identifier, etc., where the virtual key identifier is the virtual key identifier of the first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6000 .

그리고, 제 2 단말(6000) 유저는 가상키 관리부(42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정보를 사용해 차량 제어 장치(1000)에 접속하여 차량을 제어하면서 유저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60). In addition,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6000 may provide the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while controlling the vehicle by access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using the secu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 S160 ).

그리고, 유저가 요청한 차량 서비스가 완료된 때, 서비스 UI(6200)는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로 차량 서비스 완료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S161). 이때,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서비스 UI(6200)는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제 1 서비스 제공부(4100)에 제공할 수 있다(S612). Then, when the vehicl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is completed, the service UI 6200 may report the vehicle service completion fact to the first service provider 4100 ( S161 ). In this case, the service UI 6200 may provide a service termination report to the first service providing unit 4100 according to a preset form (S612).

가상키 관리부(4200)는 제 2 단말(6000)로부터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수신한 때 가상키를 회수할 수 있다(S162). 이때, 가상키 관리부(4200)는 가상키 소멸 명령을 제 2 단말(60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상키 소멸 명령을 수신한 제 2 단말(6000)에 설치된 가상키는 제 1 서비스 장치(40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챠량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를 종료하였음을 제 2 단말(600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단말(6000) 상의 가상키가 차량 제어 장치(1000)로 접속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6000)은 차량이 대리 운전 도착지에 도착한 것을 GPS를 통해 인식한 때, 외부(예를 들어, 제 1 서비스 장치)로부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수신한 때 또는 서비스 종료 레포트를 제출한 때에 자동으로 차량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recover the virtual key when receiving the service termination report from the second terminal 6000 (S162). In this case, the virtual key management unit 4200 may transmit a virtual key destruction command to the second terminal 6000 . The virtual key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6000 that has received the virtual key destruction command may delete security information required when connecting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received from the first service device 4000 . 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terminal 6000 automatically or manually recognizing that the vehicle service provider has terminated the service, the security required when the virtual key on the second terminal 6000 connects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0 .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Here, when the second terminal 6000 recognizes through GPS that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surrogate driving destination,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that the service has been completed from the outside (eg, the first service device), or a service termination report You can see that the vehicle service is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you submit it.

상기 프로세스는 전체 또는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사용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above process may be used in whole or in par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nused portion may be modified when used.

1 : 차량 제어 시스템
10, 1000 : 차량 제어 장치
20, 2000 : 통신망
30 : 단말기
100 : 케이스
200 : 덮개
300 : 락커
400 : 지지대
3000 : 제 1 단말
4000 : 제 1 서비스 장치
5000 : 제 2 서비스 장치
6000 : 제 2 단말
7000 : 통신망
1: Vehicle Control System
10, 1000: vehicle control unit
20, 2000: communication network
30: terminal
100: case
200 : cover
300: locker
400: support
3000: first terminal
4000: first service device
5000: second service device
6000: second terminal
70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6)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제어 PCB(170)가 수용되는 케이스(100); 및
지지대 본체(410), 홀더(430) 및 연결핀(45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지지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430)는 내측에 스마트키 PCB(440)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공간을 가지는 PCB 고정대(432)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430)는 상기 지지대 본체(410)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Case 100 in which the control PCB 17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It includes a support body 410, a holder 430, and a connecting pin 450, and includes a support 40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0,
The holder 430 includes a PCB holder 432 having a space inside which the smart key PCB 440 is fitted and coupled,
The holder (430) is a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30)는 관통홀(433)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433)에 상기 연결핀(450)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430 includes a through hole 433,
The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in (45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hrough hole (43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450)는 제어 PCB(170)와 스마트키 PCB(4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pin 450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trol PCB 170 and the smart key PCB 440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삽입된 상기 연결핀(450)의 일단은 상기 스마트키 PCB(440) 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제어 PCB(170)의 연결부(17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through-inserted connection pin (450) is connected to the smart key PCB (440),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72) of the control PCB (17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450)은 헤드(45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452)는 상기 PCB 고정대(432)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스마트키 PCB(450)에 의해 압착되어 삽입홈(451a)으로 푸시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452)가 상기 삽입홈(451a)으로 푸시되면 상기 삽입홈(451a)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451b)의 탄성에 의해 테스트 단자(443)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pin 450 includes a head 452,
The head 452 may be press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by being pressed by the smart key PCB 450 fitted and coupled to the PCB holder 432 ,
When the head 452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51a, it is connected to the test terminal 443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451b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451a. .
삭제delete
KR2020210003231U 2021-10-26 2021-10-26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KR2004954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31U KR200495479Y1 (en) 2021-10-26 2021-10-26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63 2021-10-26
KR2020210003231U KR200495479Y1 (en) 2021-10-26 2021-10-26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63 Division 2021-10-26 2021-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87U KR20210002487U (en) 2021-11-11
KR200495479Y1 true KR200495479Y1 (en) 2022-06-08

Family

ID=7852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31U KR200495479Y1 (en) 2021-10-26 2021-10-26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79Y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93B1 (en) 2011-04-15 2012-01-04 손순호 Secession alarm system of smart key for vehicle
KR20160051284A (en) 2014-11-03 2016-05-11 박정환 Automobile smart key
KR102133801B1 (en) * 2018-10-31 2020-07-14 진유선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87U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650B1 (en) NFC system for unlocking a vehicle via smartphone biometric authentication
EP2821970B2 (en) Access contro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90169874A1 (en) Wireless-enabled interchangeable locking core
US11098500B2 (en) Lockou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keyholder electronic locking devices
US10453286B2 (en) Bi-directional access control system
CN101689314B (en) Apparatus for remote opening of doors or gates of a building
US10604115B2 (en) NFC system for unlocking a vehicle via smartphone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40121888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vehicle diagnosis
US20140176301A1 (en) Remote Function Fob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and Method for Same
US10176539B2 (en) Power supply system
CN10463712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rough mobile terminal
JP2017068449A (en) Car sharing system and vehicle lending and returning method
USRE49450E1 (en) Asset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JP2018190463A (en) Car sharing system and vehicle lending and returning method
EP2908291B1 (en) Wireless interaction with access control devices
CN111210549A (en) Key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7787579B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exchange with a laser or machine tool
WO2019058958A1 (en) Theft tracking system and theft tracking method for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device
KR200495479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KR10232029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ar service using a vertual key
CN109178072B (en) Supermarket shopping cart lock and management system
KR101406192B1 (en) Car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261810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ar service using a vertual key
KR2020004902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r
CN102057404A (en) Mobile identification transmitter in a safe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