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20Y1 - Led 전광판 - Google Patents

Led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20Y1
KR200495320Y1 KR2020200004381U KR20200004381U KR200495320Y1 KR 200495320 Y1 KR200495320 Y1 KR 200495320Y1 KR 2020200004381 U KR2020200004381 U KR 2020200004381U KR 20200004381 U KR20200004381 U KR 20200004381U KR 200495320 Y1 KR200495320 Y1 KR 200495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housing
led module
fixing frame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보우포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보우포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보우포켓
Priority to KR202020000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LED 전광판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고정시키는 LED 고정 프레임 및 후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고정시키는 입력부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전광판 {LED Billboard}
본 고안은 LED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대형 전광판을 이루는 LED 모듈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LED 모듈을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LED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광판은 각종 정보를 가시적인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업 광고용, 경기장용, 멀티비전용, 교통 신호용, 정보나 메시지의 전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광판(電光板)은 여러 개의 전구를 평면에 배열하고 전류를 통하여 그림이나 문자 따위가 나타나도록 만든 판으로, 그림이나 문자를 구형하는 방법에 따라 LED 전광판이나 LCD 전광판으로 대별되고 있다.
상기 LED 전광판은 R, G, B의 램프를 이용하여 소정 픽셀의 크기마다 R, G, B의 램프를 조합하여 자연색과 유사한 256만 컬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1 내지 2m 의 3색 전광판은 편의점, 주유소, 대형 매장 등에 사용되며, 초대형 컬러 전광판은 건물 옥상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전광판이나 LCD 전광판과 같은 멀티 미디어 전광판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도, 채도, 색상이 어우러진 문자나 그래픽 등으로 표현하여 홍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유소에서 휘발유 가격을 전광판을 통해 알림으로써 주유소 휘발유 가격의 홍보에 도움을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LED 전광판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할 경우, LED 전광판의 정면에 부착된 LED 모듈의 고정력이 약해짐으로 인해, LED 전광판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오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전기장치들이 빗물과 황사 및 먼지 등에 의해 손상되어 가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LED 전광판의 주변을 차단하고서 인력에 의해서 LED 모듈에 구비되는 전기장치를 관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어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 전광판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제품임에 따라, 작업중인 인력이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의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즉,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홍보나 광고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는 LED 전광판을 최적의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LED 전광판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LED 모듈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LED 모듈을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LED 전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다만, 앞서 기술할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아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은, LED 전광판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고정시키는 LED 고정 프레임 및 후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고정시키는 입력부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은, 단면의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LED 고정 프레임은, 상기 LED 모듈을 정사각 배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LED 모듈에 가용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모듈의 발광을 제어하는 LED 발광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은, 하우징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발광제어 수단이 결합되도록 테두리의 내측으로 마련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 중심에 비어있는 중공부에는, LED 모듈의 후방을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삽입되되, 상기 보호 케이스는, LED 모듈의 후면으로 발산되는 열을 방출하는 위한 배기 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전광판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발광 제어수단의 후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고정 프레임은,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은, 합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전광판은, 하우징을 이루는 수직, 수평 길이방향의 중단과 모서리 부분에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에는, 다른 객체의 LED 전광판과 결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LED 모듈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LED 모듈을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LED 전광판을 구성하는 전기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와 보호 커버를 구비하여, LED 전광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LED 모듈이 정사각 배열되되, 배열된 LED 모듈의 중단에 형성된 배기 덕트로 하여, 용이한 열 배출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강철로 이루어지는 LED 고정 프레임으로 인해, LED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복수개 LED 모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며, 합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입력부 고정 프레임으로 하여, LED 전광판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을 내부 투영한 모습을 보여주는 내부투영도이다.
도 3 은 도 1 에서 LED 모듈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사시도이다.
도 6 은 보호 케이스 및 보호 커버가 LED 전광판의 후면에서 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보호 케이스가 장착된 LED 전광판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을 내부 투영한 모습을 보여주는 내부투영도이며, 도 3 은 도 1 에서 LED 모듈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사시도이고, 도 6 은 보호 케이스 및 보호 커버가 LED 전광판의 후면에서 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7 은 도 1 의 보호 케이스가 장착된 LED 전광판을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은, 하우징(10), LED 모듈(100), LED 고정 프레임(200), 입력부(300) 및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LED 전광판(1)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후 자세하게 서술될 LED 고정 프레임(200)과,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이 한 몸체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100)은, 전기와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1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100)은, 이후 서술될 LED 고정 프레임(200)과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고정수단 삽입홀(1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이란, 통상적인 볼트, 핀과 같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 삽입홀 역시, 고정수단에 따라 뚫려있는 홀의 표면이 나사산 혹은 매끄러운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은, 하우징의 정면, 즉, 이후 서술될 LED 고정 프레임(200)의 정면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LED 모듈(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LED 모듈(10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LED 모듈(100)을 정사각 배열을 가지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은, 평평한 면체로 형성되되, LED 모듈(100)이 결합되는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결합홀(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서술된 LED 모듈(100)에 형성된 고정수단 삽입홀(110)과 위치를 동일시 한 후, 고정수단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LED 모듈(100)의 가로, 세로 길이가 100cm*100cm 의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 역시, 정사각형의 배열로 LED 모듈(100)을 고정시키기 위해, 2*2 의 배열을 가지는 LED 모듈을 고정시킬 경우에는 200cm*200cm의 가로 세로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4*4 의 배열을 가지는 LED 모듈(100)을 고정시킬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cm*400cm 의 가로 세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을 위해 기재된 200cm*200cm, 400cm*400cm의 정사각 배열을 가지는 LED 전광판(1)의 사이즈는, LED 모듈(100)이 정사각 배열로 구비되는 방식의 예일 뿐, 반드시 한정되는 사이즈와 길이는 아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은, LED 모듈(100)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기 다른 배열을 가지도록 LED 모듈(100)을 배치시킬 수 있어, LED 전광판(1)이 이루는 크기를 조절하고, 크기의 가변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은, LED 모듈(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홀(210)이 형성된 테두리의 면적을 제외하고, LED 모듈(100)의 후방의 면적은 뚫린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LED 모듈(100)이 발광함으로 인해 후방으로 발산되는 열을 용이하게 토출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LED 고정 프레임(200)은, 강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LED 모듈(100)이 높이를 가지도록 복수로 배열되어 고정될 경우, 하우징(10) 즉, LED 고정 프레임(200)에 부여되는 수직의 하중 부하가 상승하여, LED 모듈(100)이 부착된 프레임이 하측으로 쳐지거나, 함몰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300)는, 상기 LED 모듈(100)에 전기와 제어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전기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는, LED 모듈(100)에 가용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모듈(100)의 발광을 제어하는 LED 발광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30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와 제어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접속단자 체결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인가 수단은, LED 모듈(10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혹은 축전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인가 수단은, LED 전광판(1)의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발광 제어 수단은, LED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또는 제어기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발광 제어 수단은, LED 전광판(1)의 외부에 구비되어, LED 전광판(1)으로 발광하는 패턴과 문양을 설정할 수 있는 중앙 컨트롤 장치와 연동되어, LED 모듈(100)의 발광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은, 하우징(10)의 후면, 즉, LED 고정 프레임(2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입력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에는, 하우징(10)의 후방 테두리, 즉, LED 고정 프레임(200)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전력 인가 수단 및 발광제어 수단이 결합되도록 테두리의 내측으로 마련된 삽입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의 삽입홈(410)은, 상기 입력부(300)의 두께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의 측면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00)의 측면으로 형성된 접속단자 체결홀(310)이 LED 전광판(1)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이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이 LED 고정 프레임(2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후방 중심에 비어있는 중공부(H)에는, 하우징의 정면에 구비되는 LED 모듈(100)의 후방을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50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케이스(500)는, 전방에 위치하는 LED 모듈(100)의 후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LED 모듈(100)의 후면으로 발산되는 열을 방출하는 배기 덕트(5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 덕트(510)의 형상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500)의 중단 또는 소정 위치에서 길이를 가지도록 뚫려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케이스(500)의 후면에는, LED 전광판(1)에 구비되는 LED 모듈(100)에 인가하는 전력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가 구비되기 위해서, 보호 케이스(500)의 소정 위치에 스위치가 결합되는 스위치 결합 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은, LED 모듈(100)의 후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500)가 구비되어, LED 전광판(1)의 수명이 길어진 이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LED 전광판(1)은, 앞서 서술된 보호 케이스(500)와 동일한 목적을 가지되, 삽입홈(410)에 결합된 전력 인가 수단과 발광제어 수단의 후방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커버 역시, 앞서 서술된 보호 케이스(500)와 같이 열 발산을 위한 배기 덕트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400)은, 합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전광판(1)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은, 하우징(10)을 이루는 수직, 수평 길이방향의 중단 모서리 부분에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에는, 다른 객체의 LED 전광판(1)과 결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은, 다른 객체의 LED 전광판(1')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100cm*100cm 의 크기를 가지는 LED 전광판(1)의 측면으로 다른 객체의 LED 전광판(1')을 수직, 수평으로 하나씩 이어붙인 후, 수평하게 배열된 LED 전광판의 상부로 하여 LED 전광판(1')을 쌓아올리고, 마련된 홈에 고정부재를 삽입하도록 하여, 총 200cm*200cm 의 크기를 가지는 LED 전광판(1)으로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7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전광판(1)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LED 전광판
10 : 하우징
100 : LED 모듈
110 : 고정수단 삽입홀
200 : LED 고정 프레임
210 : 결합홀
300 : 입력부
310 : 접속단자 체결홀
400 : 입력부 고정 프레임
410 : 삽입홈
500 : 보호 케이스
510 : 배기 덕트
520 : 스위치 결합 홀
H : 중공부

Claims (7)

  1. LED 전광판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정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고정시키는 LED 고정 프레임 및
    후면에 구비되어 LED 모듈을 제어하는 입력부를 고정시키는 입력부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LED 고정 프레임과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은 일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부는,
    LED 모듈에 가용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모듈의 발광을 제어하는 LED 발광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은,
    하우징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발광제어 수단이 결합되도록 테두리의 내측으로 마련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의 양측 테두리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수직하게 마련되는 삽입홈의 양 종단이 하우징의 후방 테두리 둘레를 따라 ‘ㄱ’의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에 형성되는 삽입홈의 전체적인 형상이‘ㄷ’의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두개의 삽입홈 각각의 단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협소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 중심에 비어있는 중공부에는, LED 모듈의 후방을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삽입되되,
    상기 보호 케이스는,
    LED 모듈의 후면으로 발산되는 열을 방출하는 배기 덕트가 형성되며,
    상기 LED 전광판은,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전력 인가 수단 및 LED 발광 제어수단의 후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LED 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단면의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LED 고정 프레임은,
    상기 LED 모듈을 정사각 배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고정 프레임은,
    강철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고정 프레임은,
    합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전광판은,
    하우징을 이루는 수직, 수평 길이방향의 중단과 모서리 부분에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에는,
    다른 객체의 LED 전광판과 결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전광판
KR2020200004381U 2020-11-30 2020-11-30 Led 전광판 KR200495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381U KR200495320Y1 (ko) 2020-11-30 2020-11-30 Led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381U KR200495320Y1 (ko) 2020-11-30 2020-11-30 Led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320Y1 true KR200495320Y1 (ko) 2022-05-09

Family

ID=8158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81U KR200495320Y1 (ko) 2020-11-30 2020-11-30 Led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74B1 (ko) 2022-07-21 2023-02-21 이닛컴퍼니 주식회사 선택적 퍼시빙 영역을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449A (ko) * 2002-06-07 2003-08-14 에이피전자 주식회사 전광판용 모듈
KR200388146Y1 (ko) * 2005-04-13 2005-06-29 다솔테크놀로지주식회사 드라이브단과 엘이디단이 단일기판으로 일체화된 엘이디전광판 모듈
KR101401599B1 (ko) * 2013-07-03 2014-06-03 (주)애드트로닉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KR20160087515A (ko) * 2015-01-14 2016-07-22 (주)컴텔싸인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449A (ko) * 2002-06-07 2003-08-14 에이피전자 주식회사 전광판용 모듈
KR200388146Y1 (ko) * 2005-04-13 2005-06-29 다솔테크놀로지주식회사 드라이브단과 엘이디단이 단일기판으로 일체화된 엘이디전광판 모듈
KR101401599B1 (ko) * 2013-07-03 2014-06-03 (주)애드트로닉 전원 분산 구조의 슬림형 엘이디 전광판
KR20160087515A (ko) * 2015-01-14 2016-07-22 (주)컴텔싸인 옥외용 조립식 엘이디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74B1 (ko) 2022-07-21 2023-02-21 이닛컴퍼니 주식회사 선택적 퍼시빙 영역을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893B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KR200495320Y1 (ko) Led 전광판
KR20041211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US8267564B2 (en) Light emitting structure for backlighted sign
KR200445811Y1 (ko) 엘이디 모듈이 장착된 영상장비용 전광판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CN209928898U (zh) 一种道路交通标志牌
JP2006215432A (ja) 照明装置
KR101454744B1 (ko) 시인성이 뛰어난 광고 간판
KR20070024837A (ko)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KR100706892B1 (ko) 레일 픽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풍구조의 전광판
KR100772632B1 (ko) Led모듈을 이용한 간판
KR200251058Y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KR100994697B1 (ko) 엘이디 채널 사인
KR101142288B1 (ko)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0710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홍보용 간판
KR101049045B1 (ko) 중공형 면 발광 입체문자채널
CN202120986U (zh) 一种改良的led显示屏光源结构
KR101688745B1 (ko) 이엘 발광체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KR10110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7831B1 (ko) Led디스플레이부가 백그라운드 패널로 설치된 멀티 패널형 사인-시스템
CN104085360B (zh) 一种渣土车灯式车牌
KR102509405B1 (ko) 간편 탈부착 재활용 간판
CN202118697U (zh) 一种led发光模组
JP3612798B2 (ja) 光学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