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12Y1 -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 Google Patents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12Y1
KR200495212Y1 KR2020190004063U KR20190004063U KR200495212Y1 KR 200495212 Y1 KR200495212 Y1 KR 200495212Y1 KR 2020190004063 U KR2020190004063 U KR 2020190004063U KR 20190004063 U KR20190004063 U KR 20190004063U KR 200495212 Y1 KR200495212 Y1 KR 200495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fabric
layer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16U (ko
Inventor
최영덕
박평규
Original Assignee
(주)득금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득금티앤씨 filed Critical (주)득금티앤씨
Priority to KR2020190004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1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열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 상의 옷섶과 옷깃과 소매의 구조 개선 및 통풍 구조의 구현을 통해 열의 효과적인 차단 및 통풍이 가능하게 하며, 방열 하의의 무릎부에 대하여 주름을 형성하여 활동성이 향상되게 하며, 방열 장갑의 내부에 조임밴드를 형성하여 견고한 착용 및 열의 차단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원단의 적층 구조의 개선을 통해 복사열 차단율을 향상시키기면서, 원단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Heat proximity suit}
본 고안은 방열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복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복사열의 차단율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안전한 보호 및 작업 시간의 연장이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화염 속에서 소방 및 인명구조작업을 위해 화재현장으로 투입되는 소방관이나, 제철공장의 용광로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고온의 화염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함과 함께 고온의 복사열을 역반사 시키기 위하여 방열복을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열복은 방열 상의, 방열 하의, 방열 장갑이 세트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방열복은 산업안전공단 및 소방검정공사에서 정하고 있는 방열복 검정기준에서는, 아라미드(Aramid) 원단에 접착제를 코팅 및 알루미늄의 증착 처리가 이루어진 내열 피복소재를 겉감으로 이용하며, 안감으로는 아라미드 내열원단이 이용되고,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누빔 처리된 양모휄트와 함께 나이론 원단, 부직포 등으로 된 내부 단열층을 이루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열복은 단순히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표면적으로는 열차단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각각의 착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틈새 등으로 인해 열이 쉽게 내부로 전달되는 등 열차단율이 저하되며, 이에 따른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열 하의의 경우 무릎을 굽히는 경우 관절부의 굴곡 저항성이 떨어져 작업자의 활동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2-0005064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6038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방열 상의 옷섶과 옷깃과 소매의 구조 개선 및 통풍 구조의 구현을 통해 열의 효과적인 차단 및 통풍이 가능하게 하며, 방열 하의의 무릎부에 대하여 주름을 형성하여 활동성이 향상되게 하며, 방열 장갑의 내부에 조임밴드를 형성하여 견고한 착용 및 열의 차단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원단의 적층 구조의 개선을 통해 복사열 차단율을 향상시키기면서, 원단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방열 상의와, 방열 하의와, 방열 장갑으로 된 방열복에 있어서,
상기 방열 상의에는,
전면을 덮어 마감하는 옷섶의 상부가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폭을 이루는 옷섶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가슴과 목의 연장부를 덮어 마감되게 하고,
옷섶 덮개부 상부에 위치되는 옷깃을 옷섶 덮개부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도록 옷깃 덮개부를 더 형성 및 반대편의 옷깃에 밸크로테이프로 접착 마감되게 하고, 옷깃의 내주면에는 기모를 형성하며,
소매의 끝단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목을 감싸 마감하는 손목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하의에는,
무릎부의 전면에는 적어도 상하 한 열 이상의 주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장갑에는,
손목부 내측에 작업자의 손목을 조여 마감하는 조임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상의와, 방열 하와, 방열 장갑의 원단 구조는,
내측으로부터 2겹의 아라미드 원단이 퀼팅 처리된 안감;
상기 안감의 외측에 적층되며, 2겹의 아라미드 원단이 접착 형성된 중간감; 및
상기 중간감의 외측에 적층되는 겉감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겉감은,
겉감의 가장 내층을 이루는 아라미드 원단;
아라미드 원단의 표면에 도포 형성되어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 접착층;
상기 난연 접착층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며, 액상의 접착제와 알루미늄 은분이 혼합되어 복사열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페이스트층;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층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어 복사열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증착층;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어 알루미늄 증착층의 보호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내열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상기 방열 상의에는,
상기 등판부 상부에 수평 길이를 이루는 통풍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통풍구는,
등판부의 상부지와 하부지로 분리되게 구성하되,
상부지가 하부지를 덮어 마감하여 그 상부와 하부지 사이 틈새를 이루게 구성하며,
등판부의 내측에서 하부지의 상단은 메쉬를 이루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방열 상의의 전면을 덮는 옷섶 상부와 옷깃의 개선을 통해 가슴 부위와 목 부위의 틈새를 완전 차단하고 소매 내부에 손목밴드가 형성되어 소매 부분의 틈새를 완전 차단하게 구성되며, 특히 등판부의 상부에 통풍이 가능한 통풍구가 구성된 것인바, 작업 과정에서 전면 및 손목부의 틈새 차단을 통한 열차단성이 향상되고, 등판부의 통풍구를 통해 통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열 하의의 무릎부에 주름이 구성된 것인바, 작업 과정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과정에서 자유로운 굴곡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활동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열 장갑의 손목부 내측에 조임밴드가 구성된 것인바, 장갑 착용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등 견고한 착용과 틈새 방지를 통해 열이 침투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열복을 이루는 방열 상의와, 방열 하의와, 방열 장갑의 원단 구조를 안감과 중간감과 겉감으로 구성하되, 겉감이 아라미드 원단과, 난연 접착층과 알루미늄 페이스트층과 알루미늄 증착층과, 내열 실리콘층으로 구성된 것인바, 알루미늄 증착층과 알루미늄 페이스트층에 의한 이중 열차단과 내열 실리콘층을 통한 알루미늄 증착층의 보호는 물런 유연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방열 상의 요부도.
도 3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방열 상의 등판부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방열 상의 내부도.
도 5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방열 하의 오부도.
도 6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방열 장갑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원단구조를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겉감구조를 나타낸 요부도.
도 9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착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겉감구조와 종래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의 알루미늄층을 굴곡전 비교한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겉감구조와 종래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의 알루미늄층을 굴곡후 비교한 실시예도.
도 12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겉감구조와 종래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의 알루미늄층을 굴곡후 빛 투과상태를 비교한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갑(300)이 세트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방열 상의(100)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작업자로 하여금 열차단성이 향상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방열 상의(100)에는 작업자의 전면을 덮어 마감하는 옷섶(110)의 상부가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폭을 이루는 옷섶 덮개부(111)가 더 구성된 것으로, 그 옷섶 덮개부(111)를 통해 작업자의 가슴과 목의 연장부를 충분하게 덮어 마감함으로 틈새를 완전 차단하게 구성된다.
또한, 방열 상의(100)에는 작업자의 목을 감싸 보호하는 옷깃(12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옷섶 덮개부(111)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을 그 옷깃(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옷깃 덮개부(121)이 더 구성된 것으로, 작업자의 목 부분을 충분히 덮어 틈새를 완전 차단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돌출되는 옷깃 덮개부(121)는 옷깃(120)의 반대면에 밸크로테이프(120a)로 부착 마감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옷깃(120)의 내주면에는 기모(122)를 더 형성하여 착용시 답답하기 쉬운 목 부분의 착용감이 향상되게 구성된다.
또한, 방열 상의(100)는 소매(130)의 끝단 내측에는 작업자가 팔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손목을 감싸 마감하는 손목밴드(131)가 더 구성된 것으로, 그 손목밴드(131)를 통해 소매의 틈새를 통해 열기가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손목밴드(131)는 작업자의 손목을 결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내열성을 가지는 아라미드 섬유와 고무사 등의 신축사와 혼용된 것이면 가능한 것으로, 방열 상의(100)를 착용시 손목을 감싸 틈새를 차단하게 구성되며, 소매(130)의 끝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서 방열 상의(100)는 옷섶 덮개부(111)와 옷깃 덮개부(121)와 손목밴드(131)를 통해 방열 상의(100)를 착용시 작업자의 상체로 연결되는 틈새를 차단하여 열차단성을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방열 상의(100)에는 작업자가 방열 상의(100)를 착용하고 고온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통풍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방열 상의(100)의 등판부(140) 상부에는 수평 길이르 이루는 통풍구(141)가 더 구성된다.
이때, 통풍구(141)는 등판부(140)를 상부지(140a)와 하부지(140b)로 분리 구성하되, 상부지(140a)가 하부지(140b)를 덮어 마감하게 구성되며, 이에 그 상부지(140a)와 하부지(140b)의 사이에 방열 상의(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풍구(141)가 구성된다.
그리고, 등판부(140)의 내측에서 하부지(140b)의 상단은 하부지(140b)의 안감(도면중 미도시함)과 연결되는 메쉬(150)로 연결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통풍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메쉬(150)를 통해 작업자의 신체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메쉬(150)를 상기 하부지(140b)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함은, 메쉬(150)가 상부지(140a)를 통해 덮여지게 구성함으로, 작업자의 후방에서 열기가 발생시 통풍구(141)를 통해 작업자의 신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방열 하의(200)는 작업자가 보행시나 작업을 위해 무릎을 접는 과정에서 그 활동성이 향상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방열 하의(200)에는 착용시 작업자의 관절부에 해당하는 무릎부(210)의 전면에 자유로운 굴곡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주름부(211)가 더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주름부(211)는 방열 하의(200) 원단의 전면 양측을 중첩되게 접어 봉제 처리하여 구성된 것으로, 작업자가 무릎을 접을시 중첩된 주름부(211)가 펴지면서 굴곡 활동성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방열 장갑(300)은 작업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중 복사열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방열 장갑(300)의 손목부(310)에 해당하는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목을 조여 마감하는 조임밴드(311)가 더 구성된다.
이때, 조임밴드(311)는 방열 장갑(300)의 손목부(310) 안감(도면중 미도시함) 내부에 통상의 신축성 밴드가 내입되어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시 손목에 조임 고정되어 틈새를 차단 및 장갑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갑(300)의 원단 구조는, 안감(10)과, 중간감(20)과, 겉감(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감(10)은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을 구성함에 있어,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으로, 접촉성의 향상과 내열성을 가지에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안감(10)은 내열성이 우수한 메타계 아라미드 원단이 퀼팅(Quilting) 처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간감(20)은 상기 안감(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겉감(30)과의 사이에서 단열성을 증대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중간감(20)은 두겹의 아라미드 원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내측에는 고강도를 가지는 파라계 아라미드 원단을 적용하고, 외측에는 고내열성이 최대의 특징이 메타계 아라미드 원단을 적용함으로, 그 내구성과 내열성을 한층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겉감(30)은 상기 중간감(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겉감(30)은 도 8을 참조하여 아라미드 원단(31)과, 난연 접착층(32)과,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과, 알루미늄 증착층(34)과, 내열 실리콘층(35)으로 구성된다.
먼저, 아라미드 원단(31)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아라미드 원단(31)은 메타계 아라미드(Aramid) 섬유로 적용하되, 바람직하게는 20S/3 즉, 20수 3합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내열성 및 강도를 향상시켰다.
상기 난연 접착층(32)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아라미드 원단(31)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난연성을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난연 접착층(32)은 난연성을 가지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된 것으로, 이때 난연 접착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우레탄이나 폴리에스트 계열 등 다양한 난연 접착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난연 접착층(32)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에 적용시, 난연 작용을 통해 고열이나 화염 등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층(AL Paste)(300)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난연 접착층(32)의 표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알루미늄 증착층(34)과 더불어 복사열의 차단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은 상기 난연 접착층(32)의 표면에 코팅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은 ㎛ 입자를 이루는 알루미늄 은분과, 난연성을 가지는 액상의 우레탄 접착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무수한 알루미늄 은분 입자를 통해 복사열을 난반사 시켜 차단하게 된다.
즉,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에 적용시, 알루미늄 은분을 통해 복사열의 반사 차단이 가능하게 하되,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통과한 복사열을 2차로 차단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34)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의 표면에 형성되어 복사열의 차단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알루미늄 증착층(34)은 알루미늄이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 표면에 증착되어 알루미늄 막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알루미늄 증착층(34)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에 적용시, 그 알루미늄 막에 의해 복사열의 1차적인 반사 차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열 실리콘층(35)은 본 고안 방열복 원단의 겉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34)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34)의 보호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34)의 유연성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방열 상의(100)를 이용한 상체 착용과, 방열 하의(200)를 이용한 하체 착용과, 방열 장갑(300)을 이용한 손의 착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열복을 착용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감(300)과 별도로 머리에 착용하는 방열 두건이나 발등에 착용하는 방열 덮개(도면중 미도시하) 등의 부수적인 착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방열 상의(100)를 착용함에 있어, 가슴부와 목부의 연결부에 대한 틈새 차단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먼저 전면을 덮어 마감하는 옷섶(110) 상부에 형성된 옷섶 덮개부(111)를 통해 양측이 서로 연결되는 옷섶(110) 상부를 완전히 덮어 마감하고, 옷깃(12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된 옷깃 덮개부(121)를 완전히 덮어 마감하게 되는 것인바, 틈새가 발생하기 쉬운 가슴부와 목부의 연결부에 대한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열기의 침투가 효과적을 차단되게 되며, 특히 옷깃(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기모(122)를 통해 답답할 수 있는 목 부분의 접촉력이 한층 향사되어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열 상의(100)는 소매(130)의 끝단 내측에 형성된 손목밴드(131)를 통해 작업자의 손목을 덮어 마감함으로 작업자의 손목과 소매(13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여 그 틈새를 통한 열기의 침투를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열 상의(100)에는 등판부(140)에 통풍구(141)가 구성된 것인바, 작업자가 작업중 열기가 내부로 침투되더라도 그 통풍구(141)를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가능한 한편, 잠시 작업장을 벗어난 상태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으로 작업자의 체내 온도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방열 하의(200)는 그 무릎부(210)에 주름부(211)가 구성된 것인바, 작업자가 보행중이나 작업을 위해 무릎을 굽힐 경우에도 주름부(211)의 확장을 통해 불편함 없이 보행이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방열 장갑(300)은 착용시 손목부(310)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손목부(310) 내측에 형성된 조임밴드(311)에 의해 작업자의 손목에 긴밀하게 조임 가능한 것인바, 틈새의 차단과 작업중 장갑이 벗겨지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갑(300)을 착용하고 작업하는 과정에서 복사열의 열 차단성이 한층 향상되는 것으로, 이는 원단의 겉감(30) 구조의 개선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원단 구조는 가장 중요한 복사열의 차단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이는 먼저 알루미늄 증착층(34)에 의한 1차적인 열기의 차단이 가능하게 되며, 만약 열기가 알루미늄 증착층(34)을 통과하더라도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에 의해 2차적인 열기의 차단이 가능한 것인바, 이중 열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통상의 방열복 원단은 반복된 굴곡 사용시 표면의 알루미늄 증착층이 쉽게 훼손될 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의 원단 구조는 그 알루미늄 증착층(34)의 표면에 내열 실리콘층(35)이 구성된 것인바, 그 알루미늄 증착층(34)에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반복된 굴곡 사용시에도 알루미늄 증착층(34)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유연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과 종래 방열복의 겉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복사열을 차단하는 본 고안의 알루미늄층(a)과 종래 겉감의 알루미늄층(b)을 약 10회 굴곡시켜 그 "굴곡성"과 굴곡에 따른 "빛 투과성"을 비교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의 겉감(30)의 알루미늄 페이트층(33)과 알루미늄 증착층(34)과 내열 실리콘층(35)으로 된 본 고안의 알루미늄층(a)은 종래의 알루미늄층(b)에 비해 굴곡시 크랙의 발생 정도가 상당히 미미하였으며, 특히 그 크랙으로 인한 빛의 투과성 또한 상당히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비교를 통해 알수 있듯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종래의 겉감구조에 비해 내굴곡성과 복사열 차단 성능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은 방열 상의와 방열 하의와 방열 장갑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복사열이 방열복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작업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원단 구조의 개선을 통해 방열복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복사열의 효과적인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10 : 안감 20 : 중간감
30 : 겉감 31 : 아라미드 원단
32 : 난연 접착층 33 : 알루미늄 페이스트층
34 : 알루미늄 증착층 35 : 내열 실리콘층
100 : 방열 상의 110 : 옷섶
111 : 옷섶 덮개부 120 : 옷깃
121 : 옷깃 덮개부 122 : 기모
130 : 소매 131 : 손목밴드
140 : 등판부 140a : 상부지
140b : 하부지 141 : 통풍구
150 : 메쉬
200 : 방열 하의 210 : 무릎부
211 : 주름부
300 : 방열 장갑 310 : 손목부
311 : 조임밴드

Claims (3)

  1.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갑(300)으로 된 방열복에 있어서,
    상기 방열 상의(100)에는,
    전면을 덮어 마감하는 옷섶(110)의 상부가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폭을 이루는 옷섶 덮개부(111)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가슴과 목의 연장부를 덮어 마감되게 하고,
    옷섶 덮개부(111) 상부에 위치되는 옷깃(120)을 옷섶 덮개부(111)의 폭 방향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도록 옷깃 덮개부(121)를 더 형성 및 반대편의 옷깃(120)에 밸크로테이프로 접착 마감되게 하고, 옷깃(120)의 내주면에는 기모(122)를 형성하며,
    소매(130)의 끝단 내측에는 작업자의 손목을 감싸 마감하는 손목밴드(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하의(200)에는,
    무릎부(210)의 전면에는 적어도 상하 한 열 이상의 주름부(2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장갑(300)에는,
    손목부(310) 내측에 작업자의 손목을 조여 마감하는 조임밴드(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방열 상의(100)와, 방열 하의(200)와, 방열 장갑(300)의 원단 구조는,
    내측으로부터 2겹의 아라미드 원단이 퀼팅 처리된 안감(10);
    상기 안감(10)의 외측에 적층되며, 2겹의 아라미드 원단이 접착 형성된 중간감(20); 및
    상기 중간감(20)의 외측에 적층되는 겉감(3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겉감(30)은,
    겉감의 가장 내층을 이루는 아라미드 원단(31);
    아라미드 원단의 표면에 도포 형성되어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 접착층(32);
    상기 난연 접착층(32)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며, 액상의 접착제와 알루미늄 은분이 혼합되어 복사열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
    상기 알루미늄 페이스트층(33)의 표면에 증착 형성되어 복사열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증착층(34); 및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34)의 표면에 코팅 형성되어 알루미늄 증착층(34)의 보호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내열 실리콘층(35)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상의(100)에는,
    등판부(140) 상부에 수평 길이를 이루는 통풍구(14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통풍구(141)는,
    등판부(140)의 상부지(140a)와 하부지(140b)로 분리되게 구성하되,
    상부지(140a)가 하부지(140b)를 덮어 마감하여 그 상부지(140a)와 하부지(140b) 사이 틈새를 이루게 구성하며,
    등판부(140)의 내측에서 하부지(140b)의 상단은 메쉬(150)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3. 삭제
KR2020190004063U 2019-10-07 2019-10-07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KR200495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63U KR200495212Y1 (ko) 2019-10-07 2019-10-07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63U KR200495212Y1 (ko) 2019-10-07 2019-10-07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16U KR20210000816U (ko) 2021-04-15
KR200495212Y1 true KR200495212Y1 (ko) 2022-04-01

Family

ID=7546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063U KR200495212Y1 (ko) 2019-10-07 2019-10-07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1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58B1 (ko) * 2005-12-26 2007-03-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염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42Y1 (ko) 1990-08-08 1995-09-07 대우전자 주식회사 조이스틱 입력내용의 기록 및 재생회로
KR100860380B1 (ko) 2007-04-23 2008-09-25 주식회사 파이로 경량화된 고열용 방열복
KR100995702B1 (ko) * 2008-11-27 2010-11-19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벌목작업용 재킷
KR200483638Y1 (ko) * 2016-08-11 2017-06-13 에이엔티코리아 주식회사 전자충격기용 훈련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358B1 (ko) * 2005-12-26 2007-03-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염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16U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91B1 (ko) 고열 방열복용 원단 적층구조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일체형 고열 방열복
US9655393B2 (en) Layered structural fire glove
US4034417A (en) Protective garments
US20240032629A1 (en) Glove thermal protection system
US6038700A (en) Lightweight firefighter garment with durable collar and wristlet material
US2627072A (en) Heat-resistant garment
US4302851A (en) High temperature protective mitt
US6317889B1 (en) Protective pad for protective garment
JP2007009380A (ja) 過熱蒸気防護服
KR200495212Y1 (ko)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WO2019023083A1 (en) PROTECTIVE GARMENT FOR FIREFIGHTERS
KR100629459B1 (ko) 방열복의 피복 적층구조
RU126904U1 (ru)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для пожарного (варианты)
KR200409096Y1 (ko) 방염 작업복
CN206566381U (zh) 一种消防隔热服
EP0979044B1 (en) Lightweight firefighter garment with durable collar and wristlet material
JP2001037893A (ja) 防護性と動作性とを兼ね備えた防火服の構成方法、および、同防火服
CN215958474U (zh) 一种阻燃隔离衣
CN213881830U (zh) 一种基于医学影像的辐射防护用防护工装
US20040148680A1 (en) Protective clothing, in particular glove
CN216147306U (zh) 防护服
CN210929721U (zh) 一种防阻燃救援服
RU53125U1 (ru) Комплект теплозащитной одежды
JPS594001Y2 (ja) ゼツエンジヤンパ−
KR20240017666A (ko) 일체형 활선 안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